“느려”… 스튜디오 네트워크 속도 답답해서 10기가 NAS 만들기 도전해봤습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9 июн 2024
  • 이전에 10Gbps 에드온 카드를 시놀로지 NAS에 연결해서 속도를 뚫어줬습니다. 이후 문제는 해당 랜카드는 포트가 2개 뿐이라 2대의 PC만 제 속도를 사용할 수 있고 나머지는 포기했어야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내부 네트워크망에서는 모두 사용 할 수 있게 장비 추가에 도전해봤습니다!
    🔋 Info.
    NAS : 시놀로지 DS1819+
    스위칭허브 : 티피링크 TL-SX1008
    ⏲️ Timestamps.
    00:00 인트로
    00:18 오프닝
    02:04 오늘 개선할 사항은?
    03:29 기존 속도 체크
    05:02 해결 방법은?
    06:55 설치해보기
    08:52 설치 후 속도 체크
    10:32 PD 질문
    🎵 Music.
    ES_You_Might_Have_Heard_of_Me_-_Arthur_Benson
    👕 Merch.
    지금 입고있는 옷? : abit.ly/blackcowlabs
    📧 Business contacts.
    itsub@itud.io
    #내부인터넷 #10기가 #10배빠른속도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1 тыс.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895

    구입한 스위칭 허브 단점 :
    저소음이라는 말에 끌렸는데, 집에서 쓰면 뺨맞기 좋은 소음

    • @user-is1gn3pg2d
      @user-is1gn3pg2d Год назад +26

      팬 소음이 ㅠㅠ

    • @ulcarting0
      @ulcarting0 Год назад +91

      저도 드럽게 시끄러운 PoE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녹투아 팬으로 교체하고 조용해졌어요

    • @jatbob
      @jatbob Год назад +3

      저소음....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80

      @@ulcarting0 안그래도 녹투아팬 아마존에서 직구해놨어요 ㅋㅋㅋㅋㅋ
      오면 바로 교체한다 ㅠㅠ

    • @user-lo1ko3pu6n
      @user-lo1ko3pu6n Год назад +2

      뺨만 맞지는 않을꺼 같은데..

  • @daldalkoko
    @daldalkoko Год назад +216

    문과 출신이라 IT 기기에 대해 거의 관심도 없었고, 또 모르기도 했는데 잇섭님 덕분에 지금은 친구놈들이 하는 이야기가 어느 정도는 끼어들 수 있을 정도가 되었습니다. ㅎㅎ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68

      저도 공부하면서 경험을 더 많이 공유해보겠습니다 ㅎㅎ

    • @user-jh3kn6cp1r
      @user-jh3kn6cp1r Год назад +2

      친구분들은 이과인가요?

    • @rinatchi
      @rinatchi Год назад +7

      근데 아이러니하게도 개발자 중에 문과 출신이 50%는 됩니당 왜냐면 '개천에서 용난다'는 이론이 정확하게 부합하는 유일한 고소득 직종이 IT 쪽이거든요. 전문직은 학력, 학벌, 인맥이 중요하지만 개발자는 학력, 학벌, 인맥 보다 실력, 능력만 좋으면 전문직과 비등한 고소득 연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격조건에 문과든, 이과든 그런 거 상관없거든요. 공부만 빡세게 하면 됩니다. 나중에 개발자 돼서도 계속 꾸준히 공부해야 하는 건 덤이고요.

    • @hellosalamander
      @hellosalamander Год назад +1

      @@rinatchi 그만큼 이과중 전공 메리트 살리기 어려운 분야라는 말도 되죠. 이런 점 때문에 이과라면 사실 컴공을 선택할 이유가 없습니다.

  • @user-tl4kp1qi4p
    @user-tl4kp1qi4p Год назад

    홍지승선수 오버더톱 감명깊게 잘 보았습니다
    가슴뛰는 명승부들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학 복 많이 받으세요

  • @asdasdfth
    @asdasdfth Год назад +1

    좋은 작업환경을 위한다 말하며
    본인의 취미생활을 하시는 모습...
    직원들이 부럽습니다.

  • @AlcoholeMachine
    @AlcoholeMachine Год назад +39

    구입하신 TL-SX1008 허브는 제조사 홈피에서 정보 찾아보니 전문화된 네트워크 장비는 아니고 단순 10G지원 허브입니다. 그래서 전체가 하나의 Bridge 포트인 셈이라서 시놀로지 NAS에서만 10G 두개의 이더넷 포트를 LACP 또는 Port Bonding으로 묶고 TL-SX1008 연결하면 20G 대역폭으로 만들 수 있고, 속도 체감은 한대의 PC가 데이터를 옮길때보다 여러대의 PC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때 그 효과가 제대로 나오겠네요. 검색해도 자료가 거의 안 나오는 이유는 10G부터는 거의 기업망에서만 사용하는데 기업망은 10G부터는 광케이블로 연결해서 사용하기 때문이죠.

    • @user-ms7ct4xk9t
      @user-ms7ct4xk9t Год назад +2

      솔직히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지만 멋있어서 따봉

    • @MrSeungseung
      @MrSeungseung Год назад +1

      10G은 기업에서 주로 쓰인다.
      10G부터 광케이블을 사용한다.
      결국 10G 스위칭허브는 서버 공유기용이다.
      확인.

  • @THREEleafning
    @THREEleafning Год назад +23

    0:10 ㅇㅈ..
    휴대 가능한 기기들 구경하거나 사서 써보는게 취미라서 잇섭님 영상 자주보고 있긴 하지만..
    솔직히 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재밌어서 봅니다.

    • @user-zp3qn4se8v
      @user-zp3qn4se8v Год назад

      👆 👆 진짜 검색해서 영 상 보고 화 보 보셈~ ! 👆 👆

      올 노 ㅊ 개 지림 👆 👆 검색 ㄱㄱ
      👆 👆 못보던거 많음요! 👆 👆

    • @user-mw9bl7tj7w
      @user-mw9bl7tj7w Год назад

      👆 👆 티 빤 쮸 하나 걸친대로 👆 👆

      화끈한 댄스중ㄷㄷㄷ
      👆 👆 삭 제 되기전 스 피 드하게 👆 보 .예 .노 .지 👆 검색 ㄱ ㄱ

    • @user-cj7zn8kx2g
      @user-cj7zn8kx2g Год назад

      👆 👆 진짜 검색해서 영 상 보고 화 보 보셈~ ! 👆 👆

      올 노 ㅊ 개 지림 👆 👆 검색 ㄱㄱ
      👆 👆 못보던거 많음요! 👆 👆

  • @user-qx4kq5lf1z
    @user-qx4kq5lf1z Год назад +1

    최근에 저도 네트워크 공부하면서 알게된 내용들을 더 다양한 분들께 간단하게나마 접하게 해주시는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kr9bd7mx1d
      @user-kr9bd7mx1d Год назад

      👆 👆 수 위,, 지 리 기로 유명!!!
      최신근황 ㄹㅇ
      👆 👆 삭 제 되기전 스 피 드하게 👆 보 .예 .노 .지 👆 검색 ㄱ ㄱ

  • @JJHo114
    @JJHo114 Год назад

    인트로 팩폭 너무 아픈데요...
    그런 의미에서 언제 한 번 저런거 설명해주시는 영상 하나만 올려주시죠

  • @user-fk2yg4hx6m
    @user-fk2yg4hx6m Год назад +246

    네트워크 선을 2개 묶어서 20Gbps로 하려면 스위치장비에서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구매하신 장비는 언매니지드 스위치 장비라서 구성이 어렵습니다.
    지금 상태에서 같은 장비끼리 2포트를 꼽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 @kim_doil
      @kim_doil Год назад +31

      그럼 흑우가 흑우짓 한거네요?

    • @user-zs5tx4mv4l
      @user-zs5tx4mv4l Год назад +10

      언매니지드 제품이더라도
      L2스위치급이면 굳이 설정안해도
      시놀로지 제조사 제품이면 자기가 알아서 묶습니다

    •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Год назад +16

      @@user-zs5tx4mv4l L2 스위치 장비는 tplink 제품이고 시놀로지 제품이던 뭐던 L2 스위칭 장비에서 지가 알아서 LACP 구성 한다 라는 거 들어본 적 없습니다.
      게다가 시놀리지 제품인 NAS 에서도 랜포트 2개를 묶어주는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 @user-zs5tx4mv4l
      @user-zs5tx4mv4l Год назад +3

      @@shootingStar236 제품 정보 찾아보니 L2급도 아니네요 아예 L2급에 맞는 기준성능도 아니네요 시놀로지에서 설정을 아예 안먹을듯 싶네요.
      굳이 설정안해도 기본 알아서 잡는 장비도 있습니다 외산장비외에 국내 장비는 되기도 해요
      제가 시스코랑 넷기어 다산 써봤는데
      시스코나 넷기어는 수동으로 설정해야하고, 다산은 굳이 설정안해줘도 잡혔습니다

    • @firewallandL3
      @firewallandL3 Год назад +8

      @@user-zs5tx4mv4l 다산이 잡힌이유는 특정 버전 다산 장비의 기본 업링크 포트 설정에 lacp설정이 되어 나오는 것이 있기 때문이며, 기본적으로 lacp 설정은 상하단에서 해주어야 합니다.

  • @user-ho8nj5xf8r
    @user-ho8nj5xf8r Год назад +328

    랜카드 두개를 시놀로지에서 묶어주셔야 됩니다. 그냥 선만 연결한다고 20기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허브에 포트가 남은 편집용으로 기존에 접속하던 PC에도 10기가 듀얼랜 카드 설치하고 묶어서 속도 올릴수 있고 시놀로지에 하드가 전부 레이드로 묶여있고 ssd장착해서 캐시 설정했다면 속도는 더뽑을수 있겠죠.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19

      시놀로지 자체에서도 채널 본딩 기능이 있어서 추후 이것저것 좀 적응되면 세팅 도전해보려합니다!

    • @victorchoi8102
      @victorchoi8102 Год назад +6

      중고 엔터프라이즈 장비 가즈아!

    • @jin968
      @jin968 Год назад +11

      link aggregation (802.3ad) 지원하는 스위치가 필요하고, NAS와 스위치 양쪽에서 관련 설정 해줘야합니다. 사용하신 모델이 지원하는지누 모르겠네요

    • @user-iv8mw1fn1n
      @user-iv8mw1fn1n Год назад +9

      해당 본딩 기능으로 두 랜선을 묶어 20기가 대역폭으로 만들어도 실질적인 속도가 올라가는건 아니에요. 속도는 10기가 랜선이 지원하는 속도가 최대입니다. 대역폭을 늘렸을 때의 장점은 여러가지 작업을 할 때 선 하나당 쓸 수 있는 10기가의 속도를 온전히 쓸 수 있도록 해서 병목현상을 줄여 속도를 원활 하게 쓸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다중 작업을 하는 곳이라면 충분히 메리트가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굳이 쓸 필요는 없는 기능입니다.

    • @youteepee
      @youteepee Год назад +1

      @@user-iv8mw1fn1n 이해가 안가서 물어봅니다. 나스 10기가 pc 10기가 2대가 동시에 쓰면 5기가 나올거고, 나스 20기가 pc 10기가 2대가 동시에 쓰면 10기가 나올건데.. 속도가 빨라짐거 아닌가요?

  • @DevPoopoo
    @DevPoopoo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오! 요즘 제일 관심있게 보는 부분인데 잇섭님이 알려주시니까 좋다 ㅋㅋ

  • @chuuny
    @chuuny Год назад

    이번 영상에 인트로 가 재미있어서 뭔말인지 모르겠지만 끝까지 봤어요…ㅎㅎ

  • @bosedigit
    @bosedigit Год назад +16

    UTP 케이블로 10GB 정보가 거의 없는 이유가... 현장에서는 대부분 10gb급은 광케이블 허브로 쓰기 때문입니다. cat7 자체가 포지션이 애매 합니다~

  • @user-eg8bn6pc5k
    @user-eg8bn6pc5k Год назад +168

    몇가지 정보들을 남깁니다
    1. 이미 댓글에 많이 언급된 LACP는 속도가 아닌 접속자 대역폭을 늘리는 방식으로 10g를 두개 연결한다하더라도 한 컴퓨터에서 나스로 20g의 속도를 낼순 없습니다 많은 작업자(잇섭님의 경우, PD님들 잇섭님 포함)들이 원활하게 이용가능하게 하기 위함으로 LACP를 사용합니다. 이때는 시놀로지 제어판에서 네트워크에 본딩 작업과 스위칭허브에서 LACP를 활성화 시키셔서 나스의 두포트를 묶으셔야 합니다.
    2. 10g+10g 해서 20gbps를 사용하는 방법으론 smb3.0이 있습니다 멀티채널을 이용해서 나스 두포트, 컴퓨터 두포트씩 연결하시고 smb 3.0을 활성화 시켜주시면 20g속도를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이때는 따로 시놀로지 네트워크에서 본딩 작업을 하시면 안됩니다. (저의 경우로는 나스에 1g*4개의 포트를, 컴퓨터에 1g*4개의 랜카드를 장착하여 SMB3.0으로 이론상 110Mb/s*4= 440Mb/s 속도롤 테스트 해봤습니다. 당시 2개의 하드를 Raid0를 사용으로 250Mb/s속도가 나오더군요. 여기선 하드에서 병목현상이 나타났습니다)
    3. 10g 이용시에는 RJ45포트보단 광케이블 gbic사용이 더 안정성에 좋다고 들었습니다 RJ45는 발열이 심하다고 합니다 그로인해 안정성이 떨어진다 합니다.(대신 광케이블 gbic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셋팅 가격이 그리 저렴하진 않습니다)
    추가적으로 10G속도를 원활하게 느끼시려면 하드 읽기/쓰기 속도도 중요합니다. RAID 레벨을 무엇으로 셋팅하냐에 따라 속도 차이도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말하시는 SSD캐싱도 복수의 데이터(웹서버 등) 불러오거나 옮기실때에는 큰 도움이 됩니다.(단일향상은 크지 않지만 존재합니다) 하드 크기에 따라 SSD캐싱 최소 권장용량도 시놀로지 공홈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 @user-ro1sm7dt3f
      @user-ro1sm7dt3f Год назад +7

      요즘 gbic보다는 SFP모듈을 많이 사용합니다.

    • @user-eg8bn6pc5k
      @user-eg8bn6pc5k Год назад +15

      @@user-ro1sm7dt3f sfp도 mini gbic이라해서 같이 묶는 말로 사용하긴 했는데 혼동을 줄수 있겠군요 파랑새 말씀대로 요즘은 sfp를 많이 사용합니다!

    • @user-xs6vl7gr9w
      @user-xs6vl7gr9w Год назад +1

      SFP+ 포트 4개에 RJ45 하나 달린 미크로틱 CRS305 집에서 쓰는데 소음도 없고 중고로 사면 10만원 내외라 그렇게 비싼거같진 않았습니다. 물론 NIC도 GBIC도 중고로 사고요

    • @user-gp4bg8qr1k
      @user-gp4bg8qr1k Год назад +14

      일단 무슨얘긴지는 모르겠는데 잇섭님한테 도움이 될거같아서 개추ㅋㅋ

    • @-Namul
      @-Namul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교수님!

  • @ivy9902
    @ivy9902 Год назад +19

    두개 꽂는다고 단순히 20일 되진 않습니다. Link Aggregation 기능을 NAS와 스위치에서 지원해 줘야 합니다.

  • @KY_0110
    @KY_0110 Год назад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덕분에 어려웠던 테크지식이 상승한 것 같아요 ㅎㅎ 그런김에 레노버 P12 구입하러 갑니다.

  • @defabc4596
    @defabc4596 Год назад +16

    이런 영상이 진짜 흥미로워서 좋은 것 같아요. 항상 네트워크 장비나 저장장치는 HDD나 nvme SSD를 제외하면 접할 일이 없었는데 지난번 영상도 그렇고 일반적인 사용자가 경험할 수 없는 장치들을 실제로 사용하고, 이런게 있다라는 걸 자세하게 알 수 있어서 재밌어요 ㅋㅋㅋ 하.. 저런 환경에서 한 번 직접 써보고 싶네요

    • @user-kr9bd7mx1d
      @user-kr9bd7mx1d Год назад

      👆 👆 진짜 검색해서 영 상 보고 화 보 보셈~ ! 👆 👆

      올 노 ㅊ 개 지림 👆 👆 검색 ㄱㄱ
      👆 👆 못보던거 많음요! 👆 👆

    • @user-dr6tp8yc5e
      @user-dr6tp8yc5e Год назад

      👆 👆 빵빵 엉 ㄷ ㅓㅇ ㅇ ㅣ
      👆 👆 저 녁에 방 송하는것도 개 지 리 더 라
      👆 👆 삭 제 되기전 스 피 드하게 👆 보 .예 .노 .지 👆 검색 ㄱ ㄱ

  • @samkim6033
    @samkim6033 Год назад +6

    저도 nas로 내부망 2.5gbps까지라도 구축해보고싶네여... 근데 10gbps 지원 포트 nas 가격이 장난 아니던 ㅠㅠ 재밌게 잘봤습니다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3

      에드온 카드인데, 요것도 장난아니지요...

  • @ratendresse
    @ratendress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독자 10만일때부터 본영상중에 오늘영상이 제일웃겼다..ㅋㅋㅋㅋ

  • @user-ji2rm1jh3h
    @user-ji2rm1jh3h Год назад +6

    10기가 나스라니 속도가 정말 빨라질 것 같으며 효율 또한 정말 좋아질 것 같습니다.

  • @rotilrus3872
    @rotilrus3872 Год назад +93

    잇섭도 언젠가 인공위성 언박싱하는 그날까지 응원하겠습니다 ㅋㅋㅋㅋㅋ

  • @user-zn4md3my8s
    @user-zn4md3my8s Год назад +2

    인트로 맛집ㅋㅋㅋㅋㅋ

  • @user-dm3yz7ll9e
    @user-dm3yz7ll9e Год назад +1

    lacp는 스위치와 NAS에서 둘다 설정해줘야 하는것 맞습니다. 지원하지 않는다면 SMB멀티채널 이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RAID로 묶인 HDD의 갯수를 더 늘리거나, SSD로 교체해야 속도체감이 가능하실 거에요

  • @Wing-Zer0
    @Wing-Zer0 Год назад +24

    마지막에 설명하신부분 정확합니다
    현업 네트워크 엔지니어입니다
    사실 포트채널은(케이블2개를 1포트처럼 사용) 하는것은
    서버와 네트웍간의 대역폭을 넓히는 과정이지 속도하고는 아무런 상관 없습니다
    자료가 없는 이유는 사용하시는 장비는 거의 SW라고 불리기보단 공유기에 가깝습니다
    SW는 대부분 콘솔이나 내부 접속 GUI를 가지고 셋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고
    장비 설정이나 이런부분은 Cisco가 가장 많이 공유되고(거의 네트웍 업계표준 장비급)
    이라 타사 장비는 많은 부분에서 공개정보가 적습니다
    콘솔셋팅 SW같은 경우 장비 회사 모델명 적으시면 상새한 정보를 얻으실수 있으시겠지만
    잇섭님 사무실의 경우 vlan를 사용하실 환경도 아니시고
    건물 하나를 통체로 쓰시는것도 아니여서 저정도 장비로 충분해 보입니다
    다만 추후 회선 IP를 받을수 있는 라우터 장비를 상단에 놓으신다면
    기간사 2중화로(KT/SK 또는 KT/LGU , SK/LGU) 회선 장애시 다른 회선이 커버할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수 있습니다
    참고로 라우터는 가격이 비싸기때문에 인터페이스 DHCP 인식이 가능한 VPN이라면
    VPN 으로 구성도 가능합니다 물론 공유기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Vrrp 구성으로 공유기 2대로 마스터 백업 구성으로 더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을 구성할수 있습니다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2

      추가로 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raonhasea
      @raonhasea Год назад +1

      역시 현업에 계시는 분!
      깔끔한 설명!

    • @masterediy
      @masterediy Год назад

      많이 배워갑니다. 왠지모르게 잇섭님 기간사 2중화 하실지도

    • @user-pw4nx9hi6x
      @user-pw4nx9hi6x 4 месяца назад

      대박!

  • @dyyim4725
    @dyyim4725 Год назад +5

    스위칭허브 실제 사용영상 잘 봤습니다. 여러분들이 말씀해준것처럼 두개를 연결해도 20으로 늘진 않구요, 네트워크 장비의 속도의 경우 요즘은 선들은 대부분 빠른전송을 지원하지만 파일을 읽고 쓰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들에서 네트워크의 속도를 못따라가서 성능증가가 어려운게 요즘 현실이라서 네트워크 장비를 아무리 비싼 스펙으로 써도 그 망을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 핸드폰들의 속도가 아마 안받쳐줄꺼 같아요 ㅎㅎ ㅜㅜ 그래도 내부적으로는 비약적인 성능증가는 있겠지만 그 이상으로 올리시기는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 지나가는 공대생이였습니다 영상 잘 보구 있어요~

  • @soo8413
    @soo8413 Год назад

    잇섭님 영상 보다가 본딩기능이라는거 처음 알았습니다 ㅎㅎ 회사 시스템에 네트워크 부하가 많았는데 본딩설정 해봐야겠습니다 ㅎㄹ

  • @user-vx1fj9uf6w
    @user-vx1fj9uf6w Год назад +2

    10:56 빨라진다는 답도 맞습니다. 정보 전달속도는 빛의 속도에 가까운데 애초에 빨라진다는 의미가 대역폭이 넓어진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 @user-uz2bl8gh1j
    @user-uz2bl8gh1j Год назад +8

    NAS의 네트워크에 보면 생성에 본딩이 있습니다. 이메뉴로 10G 2개 Lan PORT를 본딩 하여, 적응 로드 밸런싱을 선택하시면, TL-SX1008에서도 NAS에 20G 대역폭 확보가 가능합니다. 즉 10G로 묶은 2대의 PC로 붙어도 각각 10G씩 20G전송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HDD의 경우 SHR말고 RAID5로 묶으셔야 10G 대역폭의 모두 확보가 가능합니다. HDD1대당 150~200GBps정도의 속도가 나오는데 8개가 RAID로 묶여야 10G의 1000GBps를 충당 할 수 있는 속도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NAS의 10의 경우 칩셋이 인텔 칩셋이 아니라서 패킷처리속도가 안나와서 Write할때 300GBps로 나오는것이 벤치마킹되는데 이때 MTU를 9000로 바꾸시면 훨씬더 빠른속도로 Write되는 경험을 하실수 있을것입니다. 물론 NAS와 PC클라이언트 모두 MTU9000으로 맞추셔야 합니다. 만약에 클라이언트 PC에서도 2개의 10G포트가 있으시면 여기서도 본딩하여서 ALB(적응형 로드벨렁싱)하시고 SMB멀티채널을 설정하시면 NAS에서 PC로 20G전송이 가능합니다. IEEE 802.3ad LACP의 경우는 2개 이상의 Switch간의 연결에서 BONDING할때 꼭 필요한 부분이라 1개의 Switch만 사용하실경우에는 대역폭 확보에 그리 필요하진 않습니다.
    Quick Point는 다음과 같습니다.
    1. NAS의 PORT를 Bonding 해라(ALB:적응형로드벨렁싱)
    2. MTU를 9000으로 맞춰라(NAS, PC모두다)
    3. RAID를 5로 묶어라 (HDD의 대역폭을 맞추기 위해)
    4. SSD 캐시를 사용하면 작은 파일 Write에 크게 도움 된다.
    감사합니다.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10002kc
      @10002kc Год назад

      @@ITSUB ㅋㅋ 일이 커진거 같아요 올해 대형 프로젝트가 될 것인가?

  • @sattoholic
    @sattoholic Год назад +3

    이번 CES2023에 ASUS가 10Gb 지원 공유기 공개했더군요. (GT-BE98) 아직 출시 시기랑 가격 미정이던데, 언젠가 잇섭님 스튜디오에 거미 한마리 놓으실 날이 올 수 있겠네요

  • @user-sp6yi4he3o
    @user-sp6yi4he3o Год назад

    나중에 직접 나스랑 유무선 공유기 제작해보고 싶은데 영상 보니 더욱 하고싶네요 👍 그나저나 스위칭허브 제품 회사가 중국 기업이다보니 꺼려지는 건 어쩔 수 없네요

  • @user-yk1cm7yb1g
    @user-yk1cm7yb1g Год назад

    이런리뷰 좋습니다! 그냥 기분이 좋아집니다 ㅋㅋ

  • @moonlee5866
    @moonlee5866 Год назад +68

    선 2개 연결해서 대역폭 뽑으려면 LACP라는 기술을 써야 합니다.
    근데 그게 unmanagement 스위치 허브에는 잘 없고 management 스위치에 주로 있어요.
    NVME 캐쉬를 쓰면 10G에 근접하게 뽑을 수 있고, 10Gbps지원하는 라우터(공유기랑 조금 다름)를 쓴다면 외부랑도 10G 가능하실거 같습니다.
    Mikrotik 제품 쓰면 생각보다 안비싸요. 일명 가난한 자의 Cisco...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29

      Mikrotik... 찾아보러 갑니다 ㅎㅎ

    • @mink6967
      @mink6967 Год назад +1

      미크로틱보다 큐냅이 더 쌀겁니다 ㅎㅎ

    • @user-fk2yg4hx6m
      @user-fk2yg4hx6m Год назад +3

      미크로틱 장비로 가시면 광으로 가시거나. UTP 를 사용하려면. 백만원대 스위치 장비를 구입하셔야 합니다.
      다만 미크로틱 os 설정은. 공유기 웹ui 설정 처럼 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이 쉬운 펀입니다.

    • @mink6967
      @mink6967 Год назад +2

      @@ITSUB 어차피 윈도에서 10g쓰시기 때문에 굳이... NAS쪽 부하가 크면 NAS쪽 본딩이 의미가 있긴 하겠지만 잇섭님 사무실이 그렇게 크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그럴 필요까지 있나 싶습니다.

    • @park27001
      @park27001 Год назад +11

      @@ITSUB 국내에서 MikroTik 기술지원 담당하고 있습니다. 만약 궁금한 것 있으시면 문의 주세요.

  • @raonhasea
    @raonhasea Год назад +7

    스위칭 허브가 별도 설정할 수 있지만 보통은 랜선만 꼽으면 바로 사용 가능하죠!
    다만 보통 1G는 싼데 10G는 넘나 비싸서....
    그리고 10G 공유기도 있는데 정말 가격이 ㅎㄷㄷ 합니다.
    지...지갑이 열릴수 없는 가격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29

      사실 며칠전에 샀습니다.
      곧 영상으로....

    • @raonhasea
      @raonhasea Год назад +1

      @@ITSUB 역시!🐃 다음 영상 기대되네요! ㅋㅋ

    • @raonhasea
      @raonhasea Год назад

      @@ITSUB 구매하신 스위치는 별도 세팅이 안들어가는 비관리형이라고 검색되네요!
      (별도 세팅 할 수 있는게 없는 스위치)

    • @neaf_clover
      @neaf_clover Год назад

      지갑을 잠가버렸다.

  • @user-hn9nh3ep7b
    @user-hn9nh3ep7b Год назад +2

    2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건 LACP를 사용하더라도 실제적으로 1개의 세션은 하나의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 10G속도입니다. 스위칭허브는 실제적으로 장비마다 다르지만 포워딩 레이트자체가 없이 던지는거라 동시에 많이 쓰실때는 느려질 꺼에요.

  • @ThechannelImadetoloseweight
    @ThechannelImadetoloseweight Год назад

    인트로 내모숩오지네…. 맨날 잇섭 딕션과 동그래지는모숩보러옴,,

  • @user-oz7eg2um9p
    @user-oz7eg2um9p Год назад +5

    다음 업그레이드때는 utp(랜선) 말고 광으로 연결해보심이 어떠신지 ㅎㅅㅎ

  • @Sunnykim_08
    @Sunnykim_08 Год назад +4

    하다하다 결국 직접 만드신 ㅋㅋㅋㅋㅋ
    10기가 속도 진짜 궁금하네요🥺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

      내부망은 무진장 빨라요 ㅋㅋ

  • @user-wd2lc6bt4w
    @user-wd2lc6bt4w Год назад

    집에서 해볼일 없지만 관심있게 보게되는 영상들 ㅋㅋ

  • @ciscoSerif
    @ciscoSerif Год назад +1

    10G 스위치 자체가 발열이 많아서, 팬이 많이 돌아가요 ㅎㅎ 그리고 스위칭 허브면 그냥 꼽아도 작동합니다. 일반 스위치라도 꼽으면 그냥 작동해요. Default Vlan1로 잡혀서... vlan 나누면 나눈거에 맞춰서 셋팅해야겠지만,

  • @tv1394
    @tv1394 Год назад +1

    좋은 정보 리뷰 잘보고 갑니다

  • @dwkim6511
    @dwkim6511 Год назад +13

    Lag로 묶어야 하는데(스위치,NAS모두), 스위치가 깡통이라 설정이 안될거 같아서 포트를 묶는건 포기하시면 될 것 같아요. 나중에 설정가능한 스위치을 사용하면 lag로 묶을 순 있지만 20G가 된다하더라도 source, destination ip를 hash해서 경로가 두 라인중 하나가 결정될거라 동일 세션이 다른 링크를 탈거 같진 않아서 실제로 체감이될 것 같지 않네요. NAS에서 bonidng mode 1(active-passive)로 구성하고 링크 2개 연결하시면 포트 하나가 죽었을때의 페일오버 용도로는 사용이 가능하실 것 같아요

    • @Josh-zu7hf
      @Josh-zu7hf Год назад

      로드 발런싱은 hash가 어떻게 되어 있냐가 관건이라... 어쨌든 로드 발런싱이 안되지는 않죠

    • @mariaoyawa9101
      @mariaoyawa9101 Год назад

      自分には優しいさとみくん😂笑
      youtubeei.com/watch?v=HJEgUrVuBZo
      さとみくんの動画は本当に見ていて楽しいです☺🌼

  • @inbusinessjhchoi1981
    @inbusinessjhchoi1981 Год назад +6

    이용하시는 Client, NAS, switch 모두 Jumbo frame MTU 9000을 사용하시면 각 장비의 Interrupt를 줄일 수 있기에 조금 더 효율적으로 동작이 가능할겁니다.
    * Frame size를 늘리는 것은 한번에 전송하는 크기를 늘리기에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해도 프로세서에 걸리는 Interrupt를 줄여주기에 프로세서 파워의 낭비를 줄여줍니다.
    특히 Server들의 경우 BIOS상에서 I/O AT Enable 설정을 이용하시면 백업과 같은 대용량 파일 전송등에 유리합니다만 PC BIOS에 설정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이 부분은 프로세서 세대별로 개선되어 나오고 있기에 명칭에 있어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사용하시는 Application이 지연시간(Latency)에 민감한 경우, 예를 들면 동영상 편집 시 동영상 프레임간 왔다 갔다 하는 경우와 같은 상황이라면 기본값인 MTU 1500을 유지하시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되신다면 양쪽 전부 테스트해 보신 뒤 적당한 설정을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user-wb8bv7ir3r
    @user-wb8bv7ir3r Год назад +2

    Synology가 소프트웨어도 쓰기 편해서 저도 서브 NAS로 사용중이긴 합니다.
    10Gbps 네트워킹을 제대로 풀스피드로 사용하기 위해선 NVME SSD캐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더군요.
    저같은 경우엔 Unraid라는 OS를 사용하여 NVME SSD GEN3 512GB 2개를 캐시드라이브로 4TB HDD를 레이드로 묶어서 사용 중입니다

  • @S_Tale
    @S_Tale Год назад

    군대에서 서버실 장비 보는 느낌이네요 ㅋㅋㅋㅋ
    서버 장비는 뭔가 어려워서 기사님 부르는게 짱인 것 같더라구요
    통신병일때 기사님 하는거 봐도 모르겠는.... ㅋㅋㅋㅋ

  • @roundrobin8107
    @roundrobin8107 Год назад +3

    MTU 값을 9KB 로 변경후 사용하시면 아마 최대속도에 근접하게 나올겁니다

  • @supermanlsc
    @supermanlsc Год назад +6

    네트워크 장비가 저 정도로 많다면, 랜툴, CAT.7용 RJ45, CAT.7용 랜선(보통 100m~최대305m 단위로 판매함) 사다가 랜선을 딱 필요한 길이만큼 제조해서 사용하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매번 랜선 필요할때 사다 쓰는것보다는 오히려 제조하는게 더 싸고 깔끔해보일거거든요..

  • @bky9597
    @bky9597 Год назад

    공유기는 RT-AX89X 쓰면 됩니다.
    21년도부터 제가 쓰고있는건데 당시 10g 포트 2개달린 공유기가 저거 밖어 없어서 사용하였습니다.
    10gbe 1개를 wan으로 쓰고
    SFP+ 1개를 SPF+ 포트가 달린 허브에 연결하거나
    10gbe 아답타를 사용해서 구매하신 tp link에 연결하믄 됩니다.
    구매가는 40만원 이었습니다.
    DS1819+랑 연결 파일 전송시 7gb~9gb 정도 속도로 안정적입니다.

  • @eventpic
    @eventpi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9개월 전 영상이라 댓글을 달면 보실진 모르겠네요 ㅎㅎㅎ
    지금은 10gbe 쓰고 계실까요?
    저는 얼마전에 1821+에 10gbe 구성했습니다.
    맥북 프로에는 qnap thunderbolt 10gbe로 쓰고 있는데....
    잇섭님 영상처럼 HDD의 속도 한계가 있다보니 10gbe로 구성해도 속도는 500MB/s 정도로 사용중입니다.
    물롬 1gbe보다는 빠르긴 하지만 이럴꺼면 비싼 10gbe 썬더볼트 쓰지말고 NAS는 10gbe로 놓고 맥북은 5gbe로 구성해도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지금 스위치를 쓰지않고 1:1로 직결해서 사용중인데... 스위치로 구성하면 10gbe 2포트 티밍하고 클라이언트는 5gbe로 구성해도 충분할거란 생각이 들었네요
    혹시 아직 잇섭님 맥북에 10gbe 구성안하셨다면 5gbe로 테스트........ ㅎㅎㅎㅎㅎ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 @Rooto_
    @Rooto_ Год назад +3

    Cat.7은 표준케이블이 없어서 성능 보장이 안됩니다. 일반적인 RJ45 커넥터로 된 모든 케이블은 다 Cat.6 성능밖에 못냅니다. Cat.8도 마찬가지로 커넥터가 다르거든요. 그리고 플랫케이블은 아무래도 누화에 취약하니 추천하지 않아요.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 @SGTGunnySGT
    @SGTGunnySGT Год назад +5

    교수님이 뭐라 하는지 모르니까 일단 듣고 본다... 그게 나다...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3

      수업들을때 ㄹㅇ 뭐라는지 모름

  • @user-xi5zs7ig8r
    @user-xi5zs7ig8r Год назад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초급 영상 잘봤습니다~
    (스위치, 허브 등 개념까지 한번… 해주심이? ^^)

  • @user-qd8gl5pr2d
    @user-qd8gl5pr2d Год назад +1

    라우팅 기능이 지원되는 스위칭 허브를 구매 하셨으면 내외부 둘 다 10G 구성이 가능하셨을 겁니다. 대신 장비가격이 많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긴하죠.

  • @greenteacola4
    @greenteacola4 Год назад +87

    초짜 네트워크 엔지니어입니다.
    1. 소음
    원래 킬때는 소음이 강합니다. 가정에서 스위치(스위칭 허브)를 안 쓰는 이유가 랜 케이블을 연결 할 필요가 없어서도 있지만 소음도 한몫 합니다. 설정을 통해 인위적으로 팬을 끄는 방법이 있긴 한데(제조사마다 다름) 추천하지 않습니다
    2. 대역폭
    두개 꽂는거 시도해본적 없습니다... 보통 하나만 꽂고 넘어가거든요 다른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3. 설정의 쉬움
    일반 공유기 인데 조금 더 고급기능(보안, ip관리 등)과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기 위해 스위치를 사용하는거다 보니 필요 없으시다면 굳이 사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추가 질문 남겨주시면 아는데까지 답변드리겠습니다
    실수하신 부분은 없는것 같아요!

    • @raonhasea
      @raonhasea Год назад +10

      두개 꼽는거 다중 작업 할때 좋아요.
      편집자1, 편집자2 두분이 한꺼번에 영상 업/다 할때 차이가 큼니다.
      작업이 하나일 경우는 차이가 없는걸로...

    • @veteus
      @veteus Год назад +12

      링크 어그리게이션이나 삼바 멀티채널 쓰면 속도가 2배 빨라지기는 하는데 본문에서도 나온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자체의 읽기/쓰기 속도가 제한이 있기 때문에 10G망에서는 별 의미가 없어요. 게다가 본 영상의 스위치허브는 링크어그리게이션은 지원 안하는 것 같아요.

    • @seiryu7184
      @seiryu7184 Год назад

      저도 링크 어그리게이션 생각했는데 이미 말씀해주신것처럼 하드 자체 속도제한때문에 큰 의미는 없을거 같습니다.

    • @user-rw5el2cy6e
      @user-rw5el2cy6e Год назад

      @@veteus HDD 의 속도 한계 인것 같습니다.. SSD 사용하는 NAS 있으면 10G랑 호환이 잘 될 텐데

    • @sunnsun1979
      @sunnsun1979 Год назад

      @@veteus 하드디스크의 읽기 쓰기 속도가 100에서 200MB/s라고 생각하고 raid5/shr로 7개만 묶어도 10g가깝게 속도는 나와요.
      잇섭님꺼는 8베이니까 8개 다 하드 집어넣고 raid5니까 한개는 복구용으로 쓰이면 실제로 7베이니까 충분히 10g속도 나올 수 있어요.
      물론 현실은 10g로 딱 나오는게아니라 800Mb/s에서 900MB/s전후로 나옵니다.
      참고로 제가 1821+에 4테라 바라쿠다 하드 8개 집어 넣고 단일 파일을 복사할 때 860에서920Mb/s 정도 나옵니다.
      컴퓨터는 m.2 nvme pcie3 SSD이고요(하이닉스 p31)

  • @Jaywahn
    @Jaywahn Год назад +70

    ???: 하지만 빨랐죠?

  • @user-vr6jk4xd8o
    @user-vr6jk4xd8o Год назад

    허브설정은 별거 안해도되용 vlan,mac필터같이 부가기능할때 설정해주시면 되고용 그리고 스위치 ID,PW 지원하면 걸어주시면 좋아요 옛날과 다르게 콘솔케이블이아니라 공유기랑 비슷하게 관리할수있어서 보안이 중요해요

  • @nanokim6766
    @nanokim6766 Год назад

    영상 끝까지 봤는데 무슨 소린진 모르겠지만
    재밌게 봤습니다!! >ㅁ

  • @ninnin91
    @ninnin91 Год назад +20

    NAS 네트워크는 외부작업을 위해 여기까지만 하시고
    사무실 내부 PC들과는 16Gbps HBA와 SAN으로 연결하는거 보고싶네요 ㅎㅎ..
    시놀로지 디스크 스테이션 말고, 랙 스테이션으로 구축하시면 아마 지원하는 모델들 많을거에요!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9

      마지막.. 10Gbps 공유기 사서 이것까지만 올리고 말씀해주신 부분
      하나씩 파보겠습니다 ㅎㅎ

    • @ninnin91
      @ninnin91 Год назад

      @@ITSUB 근데 그전에 올플래쉬로 변경을 하셔야 그나마 성능이 체감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ㅋㅋㅋㅋ... 컨트롤러 성능도 충분히 뒷받침 되야되다보니 ㅠㅠㅠ

    • @user-bf1ug2dp6o
      @user-bf1ug2dp6o Год назад +3

      @@ITSUB 그러시면, 나중에 가시면 ..시놀로지를 버리시게 될것에요. NetApp으로 가시게 될듯.....NetApp 제품은 NAS의 끝판왕...스타트가격이..ㄷㄷㄷㄷㄷ

    • @xhxh009
      @xhxh009 Год назад

      이러가다 ssd 들어가는 DB서버를 구축하시는게 아닐까라는...

    • @ninnin91
      @ninnin91 Год назад

      @@user-bf1ug2dp6o 스타트 가격도 가격인데, 기본 구성 인프라 비용이.... ㄷㄷ FAS2720A 정도만 넣어도 차고 넘치지 않을까요...

  • @chao7514
    @chao7514 Год назад +2

    근데 이번 인트로 ㅋㅋㅋㅋㅋㅋ 스스로 영상 보시고 나서 느끼신건가욬ㅋㅋㅋㅋ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

      아녀;; 저희 다른 직원들이 보구여 ㅋㅋㅋㅋ

    • @chao7514
      @chao7514 Год назад

      @@ITSUB Aㅏ.................. 슬픈거시였다....

  • @user-dd2kf6oe5x
    @user-dd2kf6oe5x Год назад +1

    오래전엔 컴퓨터 한대마다 들어가서 잡아줘야 했는대 지금은 자체내에서 자동으로 설정 잡아 주는것도 있고해서 많이 쉬워 진겁니다..
    20년 전에는 설정법을 몰라 서울에서 지방으로 해주시는 기사님이 내려 와 주시던가
    팩스로 설정법을 일일이 한장식 보내 주시곤 하셧죠...

  • @user-th4zh7ur9h
    @user-th4zh7ur9h Год назад

    ㅋㅎㅋㅎ 잇섭님 마지막에 아뇨 없는데 ㅎ.. 이장면이 왜이렇게 웃기지..

  • @NuzmAhy
    @NuzmAhy Год назад +38

    지금 잇섭님이 구성하신 세팅들이 십몇년이 지나 좀 더 보편화될 일이 기대됩니다. (시대별 100만원 PC성능을 비교하듯)

    • @high-rice
      @high-ric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 13년도 하스웰 그 이전 아이비 브릿지 cpu는 일반 가정집에서도 구닥다리라 버리는 시대인데 십 몇년 지나면 지금 컴퓨터도 똑같습니다.
      무어의 법칙이 몇십년 이후에 깨지더라도 네트워크 기술도 발전하고 있어서 당장 클라우드 컴퓨팅 전망도 좋아서 오히려 가정집 컴퓨터 사양은 낮아질지도 모르지요.

    • @hayarobys
      @hayarobys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러게요! 사무실 같은 제한적 범위에선 케이블 없이 빠른 세상도 올 수 있지않을까? 하는 묘한 설레임이 들어요 ㅎㅎ

  • @IllIIllIlIIIlI
    @IllIIllIlIIIlI Год назад +20

    HDD의 최대 속도는 보통 200~300MB(1600Mb~2400Mb)나옵니다.
    SATA대역폭은 750MB(6000Mb)에 비해서 한참 작죠
    그런데, HDD의 최대속도는 가장 최상의 컨디션일때이고,
    많이 쓰고 삭제하다보면, 단편화가 생겨서 느려집니다
    그리고, 이것은 어디까지나 순차적 접근일때고,
    영상편집시 무작위 접근을 하게 되면, 이보다 한참 떨어집니다
    그러면, 1Gb로도 떡을 칠수 있다고 생각할수 있죠.
    HDD의 경우 NAS에 꼽으면 RAID모드로 동작합니다
    가장 빠른 RAID로 사용하려면, 한번에 모두 장착하여,
    가장 높은 성능의 RAID로 자동 세팅되는것입니다
    돈생길때마다 1개씩 꼽으면, 개별로 동작해서, 성능이 느립니다
    만약에 한번에 HDD를 꼽으면, 1개의 영상파일을 저장시에
    8개의 HDD에 나눠 쓰기 때문에, 속도가 8배가 나옵니다.
    그런데, 복구 때문에 이거보다는 조금 떨어진 5배의 속도가 나올수 있습니다
    결론, HDD의 최대 성능은 한번에 설치시, 5배의 속도를 얻을수 있어서
    10Gb한 보람을 찾게 된다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5

      저는 지금 레이드를 SHR로 묶고 있는데, 요게 RAID5랑 비슷하다더라구요 ㅎㅎ

    • @IllIIllIlIIIlI
      @IllIIllIlIIIlI Год назад +2

      @@ITSUB 잇섭님 말씀대로, 지금 구성으로 RAID5랑 동일하게, 제가 의견드린 극대화된 성능이 나오는것이 맞는거 같습니다.
      변경없이 이대로 사용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

    • @user-ce5wo4fg7d
      @user-ce5wo4fg7d Год назад

      💢완전 노모 😱🌺예🐾쁜 처자 아ㄹ모ㅁ 쑈✅

    • @starting21
      @starting21 Год назад

      Raid 방식에 따라 다르다보니 ㅎ

  • @yayul5
    @yayul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10기가를 사용하는데 가정집인데 꽤 슬만해요ㅋㅋㅋㅋ
    저도 완전 똑같이 따라하고 있었습니다!

  • @numberzero7
    @numberzero7 Год назад

    오늘에서야..ds720+(기가인터넷,12tb)로 첫 입문인데 벌써 10기가시라니 ㄷㄷ
    그나저나 간단하게쓸려면 간단하지만
    설정 이것저것 추가할려면 복잡하네요

  • @danieldecorsa
    @danieldecorsa Год назад +3

    이 참에 아예 10g 라우터에 내부는 광으로 깔았으면 하는 묘한 아쉬움이 남네요 ㅋㅋ 10g 부터는 utp가 많이 비효율적입니다.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

      아마 공유기 바꾸고난 이후에는 이제 광으로 가야할듯해요ㅋㅋ
      광에 관심생기는중...

  • @user-in1eb2vw4i
    @user-in1eb2vw4i Год назад +9

    나스에서 스위치로 랜선 두개를 꽃으신다면 스위치에서 포트 트렁크작업을 하셔야합니다. 그래야 말하신대로 2차선으로 대역폭을 넓히게 됩니다.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

      요것도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스위치에서 지원해줘야한다는데, 제가 구입한건 안되나봐요...
      NAS에서는 지원해서 NAS에서 먼저 도전해봐야겠습니다 ㅎㅎ

    • @user-in1eb2vw4i
      @user-in1eb2vw4i Год назад +1

      @@ITSUB확실하지않지만 lacp(링크어그리게이션)이나 alb 둘중 하나는 보통 지원하니 한번 확인해보셔요.
      트렁크 설정이 불가하다면 포트별로 다른아이피를 할당하시고 세분이시니 각 아이피에 나눠 접속하시면 동시사용할때 한포트만 사용하시는거보다는 속도가 나오실겁니다.
      그리고 시놀로지에서도 네트워크 포트별로 점보프레임설정이 켜져 있으면 대용량 이동시 속도가 조금 향상됩니다.

    • @user-iv8mw1fn1n
      @user-iv8mw1fn1n Год назад

      @@ITSUB 하시려는 내용의 경우 링크어그리게이션이 맞습니다. 다만 해당 기능 사용을 하려면 스위치단에서도 지원이 가능 해야되고 관리 콘솔에 접속 할 수 있는 스위치여야 합니다.

    • @user-pd9uf6uz6c
      @user-pd9uf6uz6c Год назад

      포트 Trunk 설정은 단일 포트에 복수의 VLAN을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윗분 Moon Lee 말씀대로 대역폭을 늘릴려면 Management 가능한 스위치에서 LACP(Link aggregation Contorol Protocol)라는 기술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포트 Trunk 기술은 Cisco 전용 프로토콜(ISL)이며 표준 프로토콜은 Tag(IEEE 802.1q) 라고 말합니다.

  • @user-wy9nm1uu7k
    @user-wy9nm1uu7k Год назад

    많은 정보 지식 잘 얻고 갑니다~

  • @user-ox8he1du8v
    @user-ox8he1du8v Год назад

    설비에 스위칭 허브를 사용합니다.
    아무런 버튼이라던가 조작할 수 있는게 없기 때문에 랜선을 연결만하면 끝입니다.
    근데 일반 랜공유기랑 다른게, 연결된 랜선들이 서로 다 연결되어있다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일반 공유기는 들어오는 인터넷 선 하나에 나가는 랜포트들이 있는 반면에, 이건 In/Out이 포트 하나하나마다 묶여있다고 보시면 편합니다.
    물론 쉽게쉽게 생각하면 이렇다는겁니다.

  • @Jb-xi7gh
    @Jb-xi7gh Год назад +3

    영상 너무 유익하고 이해하기 쉽게 잘 되어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ㅎㅎ 이 영상 보고 아이폰 14 프로 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Kwon5reum
    @Kwon5reum Год назад +173

    이러다 인공위성도 하나 마련하실 듯 ㄷㄷ

    • @taraetarae_0053
      @taraetarae_0053 Год назад +27

      국내 최초 스타링크 사용후기 기원합니다 ㅋㅋㅋㅋ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53

      KT에서 판매한 위성 삽니다

    • @user-fb2so8up6x
      @user-fb2so8up6x Год назад +12

      @@ITSUB 스페이스x에 개인용 위성 발사 후기 10년 후 기대할게요!

    • @A_Schicklgruber
      @A_Schicklgruber Год назад +24

      @@ITSUB 이걸 돌려까네ㅋㅋ

    • @chao7514
      @chao7514 Год назад +3

      ???: 일론 머스크 스타링크 게 섰거라! 한국의 잇섭의 다이렉트 인터넷 위성 발사!

  • @sexmaster
    @sexmaster Год назад +1

    시놀로지 RAID 10/01 로 구성하시면 하드디스크 스펙상 최고의 속도가 가능하며,
    또는 최상의 속도와 용량으로 구축을 하실려면, LTT와 비슷한 환경으로 구축하시면 됩니다.

  • @poroidol
    @poroidol Год назад

    ㄹㅇ 전자제품 덕후들은 놀러가보고싶은 사무실이다..

  • @ottogibob
    @ottogibob Год назад +3

    hdd가 sata로 연결되어서 10g(구성에 따라서 20g)를 다 못쓴다면
    nvme ssd를 캐시로 추가해서 캐시 적중에 따라 더 빠르게 쓸 수도 있고
    용량을 조금 포기하고 레이드를 구성하셔서 더 빠르고 안전하게 쓸 수 있을지도요?
    그리고...
    조금 더 나가서... 스토리지 서버를 만드시는건 어떠십니까? ㅋㅋㅋ
    직접하면 더한 것도 할 수 있을텐데말입니다? ㅋㅋ

    • @masterediy
      @masterediy Год назад

      조만간 렉달고 스토리지 서버구성하실듯... 500테라바이트 정도요?

  • @user-ow2jp3vg2z
    @user-ow2jp3vg2z Год назад +3

    제쪽에서도 대학원 HPC 컴퓨팅 서버때문에 synology nas 및 supermicro server로 10Gbps 내부망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으니 조금 비슷한 상황 같네요
    밑에분들이 다 잘 말씀해주신 것처럼 스위치쪽에서도 802.3ad를 지원해야 link aggregation이 활성화됩니다. 그 전까지는 active backup 모드로 작동할 것 같습니다(한 쪽이 죽으면 다른 한쪽이 작동)
    그리고 이것도 그냥 스위치 포트에 랜선 꽂으면 끝나는게 아니라 스위치 제어 페이지로 들어가서(iptime 공유기 설정하는 것처럼) 몇번포트와 몇번포트가 lacp될 것인지, 어떤 모드인지(static aggregation / lacp)까지 설정해 주셔야 끝나게 됩니다
    리눅스 본딩 드라이버에서 지원하는 round-robin의 경우 실제로 회선을 두 개 묶는게 아니라 번갈아서 패킷을 나눠주는 것이기 때문에 2개를 묶으면 2배만큼은 안나오지만 한개보단 더 나오긴 합니다
    이 경우 스위치에서 따로 설정해줘야하는 건 없구요
    802.3ad의 경우 스위치에서 지원하는 layer에 따라서도 hash policy를 다르게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전송속도도 차이가날 수 있습니다(layer2, layer2+3, layer3+4)
    참고가 되실지 모르겠지만 저 같은 경우 netgear사의 xs728t 모델 사용했었습니다 아마존에서 직구/직배하면 포트 수(24 X rj45, 4 X sfp+) 에 비해 가격이 2~3천불 수준이라 많이 싸긴 했거든요 ㅎㅎ
    좀 제대로 lacp 구현하고 싶으시다면 cisco같은 제품을 이용하시는 게 맞고 내부망에서만 쓸 수 있지만 끝판왕으로 가시려면 HPC에서 쓰는 infiniband라는 솔루션도 있습니당(포트당 100Gbps 대역폭)

  • @ziik3
    @ziik3 Год назад +1

    스위칭허브는 비싸도 관리형 추천해용 ㅎㅎ 시스코 ㅎㅎ🎉

  • @user-do6yx2cn8z
    @user-do6yx2cn8z Год назад

    무슨말인지 전혀 모르겠지만 그냥 재밌어서
    끝까지 봤어요 ㅋㅋㅋㅋㅋㅋ

  • @user-fl9mx9py9l
    @user-fl9mx9py9l Год назад +6

    오늘도 생각나는 모 회사의 속도 장난질

  • @user-gq7ph9hu6n
    @user-gq7ph9hu6n Год назад +9

    잇섭님 전기세 한번만 보여주세요ㅋㅋㅋ😂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9

      집은 대략 7만원 가까이나오고, 스튜디오는 이번달은 좀 많이 나왔어요;; 20~30 정도

    • @mashrabbit
      @mashrabbit Год назад +1

      의외로 상시 켜있는 장비는 와트수 그리 안 높아요. 근데 그게 너무 많아서 문제지만...

  • @YEO5191
    @YEO5191 Год назад

    제가 P31을 ssd케이스로 연결해서 usb3.1대역폭으로 연결하면 700~800정도까지도 받습니다만 저건 NAS인데도 읽기가 500정도 뜨니까 어마어마한 속도네요 ㄷㄷ;;
    일반적인 사기업도 저런 망 구축하기 어렵습니다. 10g장비가 워낙 고가이기도 하고 아직은 저장장치가 따라주기도 어려우니까요

  • @spikehoon
    @spikehoon Год назад

    역시 테크충. 이런 컨텐츠는 인정.... 잠깐 왜 자기껀 안바꾸고 있나요/ 바꾸면 인정.

  • @user-oe6du1gz7o
    @user-oe6du1gz7o Год назад +3

    형그럼 8K HDR 해주는거죠?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카메라가 지원하는 날까지 존버타봅니다

  • @JUN-jv1um
    @JUN-jv1um Год назад +3


    어젯밤 꿈에 형이 나와서 오늘 로또 샀어
    당첨되면 댓글 남길게 ㅋㅋㅋㅋㅋ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1

      헐... 젭알!!

  • @realrigidbody
    @realrigidbody Год назад

    LACP해도 대역폭만 들어날뿐 속도향상은 없습니다. 속도를 늘리려면 SMB멀티채널을 설정하시거나 40G/100G/400G 스위치와 해당 NIC 및 광패치코드, 광트랜시버도 구비하셔야합니다. 물론 스토리지도 그에 상응한 I/O속도를 확보해주셔야합니다. 레이드설정은 기본이겠죠. 이정도 쓰시려면 All Flash 레이드 가셔야합니다. 또한 Infiniband도 하나의 솔루션입니다. SAN을 구축하셔도 되고요.

  • @user-iv1to5el2t
    @user-iv1to5el2t Год назад

    오...뭔 소리인지 대충 이해는 되네요 ㅋㅋㅋㅋㅋ 제가 한 번 컴퓨터 조립을 나중에 도전해보고 싶은데 막상 해보면 실수할 것 같고 그러더라구요 ㅠ 컴알못들을 위해서 컴퓨터 조립 가이드 같은 영상도 함 올려주실 수 있나요?(과거에 있었다면 패스 ㅎ)

  • @JHyungmin
    @JHyungmin Год назад

    스위칭 허브 쓰시면 요즘 거의 로컬ip로 알아서 들어갈껍니다. 설정해 주셔도 되지만... 외부망 접속이 필요할때는 nas정도만 고정지정해두면 되겠네요

  • @choiwusoung
    @choiwusoung Год назад

    ㅋㅋㅋ 인트로 ㄹㅇ ㅋㅋㅋㅋㅋ
    일단 잇섭이니깐 그냥 보는거임 ㅋㅋㅋ

  • @sonhayoung7553
    @sonhayoung7553 Год назад

    인트로 장인 :)

  • @tveng87
    @tveng87 Год назад

    지금 회사에서 비슷하게 구축하고 있는중인데 재미있네요ㅎ. 현직 방송국 엔지니어입니다. 밑에 좋은 댓글들이 많네요. 이참에 CISCO나 JUNIPER 스위치 깊게 파보시죠.

  • @Chochup
    @Chochup Год назад

    선댓후감상 오늘도 유익한영상 감사합니다!

  • @user-og9jt9sr9c
    @user-og9jt9sr9c Год назад

    할인해도 비싼대 중고는얼마예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코로나 조심하시고 건강하세요 앞날도 행복하시길 바래요 잇섭형 피디님도요 ㅋㅋㅋㅋ

  • @josepha4885
    @josepha4885 Год назад +1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일단 말씀하신 대역폭은 맞습니다. 그러나 대역폭을 늘리기 위해서 2개를 꽂는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2개를 꽂고 2차선으로 확장을 할 수 있도록 설정이 필요합니다. 그 방식 중의 하나가 링크 어그리게이션 즉 포트 2개를 하나로 동작을 하는 것 처럼 묶어준다? (쉽게 설명을 하려다보니 조금 다를 수 있음) 무튼 설정이 되어야 합니다. 링크 어그리게이션으로 묶을 때 옵션이 있는데 그 옵션 중에 대역폭을 늘리는 옵션, 링크 포트 하나가 망가졌을 때 다른 쪽으로 통신이 되도록 안전성을 확보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이 링크어그리게이션이 지원이 되는 스위치를 구입을 하셔야 해당 기능은 동작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지 않아도 유도리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 피디님은 a포트로 다른 피디님은 b포트로 연결해서 파일 전송을 하면 한 포트씩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역폭을 나누어서 쓸 수 있는 것이시지요 그냥 꼼수로 응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네트워크는 여러 공유기와 연결하고 하면 구체적인 설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하나의 스위치를 가지고 사무실 전체를 연결하셔야 통신이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사기는 아이피타임에 컴퓨터는 스위치에 꽂으면 통신이 안될 수 있죠~ 되게 하는 방법이 있지만 좋은 방법은 아닐 수 있습니다. 짧게 나마 다른 동영상들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서 저도 조금의 도움이 되고자 댓글 남겨드립니다.

  • @gygy5995
    @gygy5995 Год назад

    인트로가 항상너무 웃겨요 ㅋㅋㅋ

  • @acj0331able
    @acj0331able Год назад

    예전에 우마님이 NAS관련 문의했던거같은데 조만간 명분이 생기겠네요ㅋㅋㅋㅋ

  • @no.4315
    @no.4315 Год назад

    로드밸런싱장비가 필요함.. 단순 스위칭허브로 간단히 구성할수없어요 L2구조의 한계.. 톨게이트가 요금소가 30개라도 두개만 열려있음 병목이 생기는거죠 차가밀리지않게 교통정리해서 트래픽을 분산시켜줄 장비가 필요한거임..

  • @sgj3303
    @sgj3303 Год назад

    얼마전에 전역했는데 군대에서 매일 작업하는게 영상으로 나와서 바로 이해가는데… 기억하고 싶지 않네요 ㅎ

  • @scweeny
    @scweeny Год назад +1

    현재 집 내부망을 2.5Gbps로 구성한상황입니다. 미니PC를 하나 구매하여 공유기 OS를 올려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2.5Gbps 공유기를 사는것보다 그게 훨 낫더군요.
    10Gbps도 방식은 동일하니..한번 잇섭님도 10Gbps 허브가 있으니 작은 컴퓨터 하나를 사용해서 자작 공유기를 구축하는 영상을 올려보시는건 어떠실까요

    • @ITSUB
      @ITSUB  Год назад +2

      이게 집에서 한다면 이리저리 도전하고 실패하면서 배우면서 하겠지만,
      다 같이 작업하는 스튜디오에서 마음대로 하기에는 쉽지 않더라구요 ㅠ

  • @GuSerin06
    @GuSerin06 Год назад +1

    오늘 밥 먹을것들을 공부하시는 잇섭님;;

  • @dowooron
    @dowooron Год назад

    위에 다른분들이 설명해주신 설정을 안해주시면, NAS랑 2개 랜선을 연결했을때 루핑(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가 뱅글뱅글 돌고있는것)으로 인해 인터넷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스위칭허브는 전기에 멀티탭 역활이라 그렇게 쓰시는게 맞습니다.

  • @endlesswork287
    @endlesswork287 Год назад

    2개 연결하는게 그 링크 포트 결합 - lacp기술 쓰시면 될겁니다.
    근데 그런거 사용하려면 이미 네트워크 기초 지식이 있는 상태 + 비싼 관리형 스위치(시스코, 미크로틱 엥간한거 또는 넷기어의 고급형)를 사용해야 하는지라 못해봤네요
    공유기는 (더럽게 비싸지만) 넷기어 RBKE963시리즈가 있습니다. 어쩌면 공유기가 많은 환경이시니 메시형 공유기로 통일이 더 편하실수 있겠네요.
    외부로는 10gbpps, 내부로는 유선 연결 2.5gbpps 지원친구입니당.

  • @CharlsJeon
    @CharlsJeon Год назад

    진짜 구독자 200만명이 넘어도 댓글에 하트 열심히 달아주시고 답글해주시는 유튜버 어디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