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을 통해서 인간이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지 기대되는 요즘입니다. 인공지능을 통해서 바둑을 배우는 요즘 세대가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고, 얼마만큼의 파괴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또 인공지능 세대라 부를 수 있는 바둑세대가 세계대회에서 정점을 차지하는 시기는 언제쯤일지, 정말 궁금하고 기대되네요. 보는 시청자로서도, 정말 흥미진진하고 재미있는 시기가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알파고 제로 역시 축 버그가 있었지만, 학습 후반부에 극복했다고 합니다. 릴라 제로는 나온 지 1년 반 정도가 지났으나 아직도 알파고 제로 최종 버전과 비교하면 학습량을 반도 따라잡지 못했으니, 당분간은 인공지능의 축 버그는 존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강화학습 기반이라 따로 축 관련 패치를 할 수도 없어서, (덤을 바꿀 수 없는 것과 같은 원리) 축, 사활 부분은 스스로 극복하기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우리나라 인공지능 바둑AI 바둑이를 만드신 고등과학원(키아스) 이주영 박사님과 인터뷰 한번 하셔서 인공지능의 사고 구조를 파악해서 바둑기사님들께 알려드린다면 우리나라 바둑계가 좀 더 발전하는데 도움이 될겁니다. 유튜브 보니까 이주영박사님 인터뷰 하시던데요. 꼭 인터뷰 하셔서 인공지능이 바둑을 두는 패턴을 파악해서 공유하는 것이 우리나라 바둑이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선수의 개념대신에 우선순위 개념으로 바둑을 두는 것이 더 강할 수 밖에 없거든요? 이 우선순위 개념이 인공지능이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적용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이주영박사님께 설명을 들어봐주십시오
인공지능이 왔다갔다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왔다갔다 하는 인공지능 심리를 모르겠다고 하시지만 인공지능에는 심리가 없습니다. 다만 인공지능에는 계산상 우선순위가 있어서 왔다갔다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인공지능이 중요한 자리에서 손을 빼고 다른 데를 둔다는 것은 손을 뺀자리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고 손을 뺀 자리보다 더 중요한 자리가 있어서 간겁니다. 그리고 다시 돌아온 이유는 우선순위가 더 높은 자리가 해소 되어서 손을 뺐었던 자리가 다시 최우선 자리가 되어서 돌아온 겁니다. 심리의 흐름을 중시하는 사람과는 달리 인공지능은 우선순위를 중시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두는 바둑은 이곳저곳 왔다갔다 하면서 둘 수 밖에 없습니다. 사람도 물론 우선순위를 당연히 고려합니다만 인공지능은 단 한점이라도 더 우선순위가 높은 자리가 있으면 그곳부터 둡니다. 사람도 물론 우선순위를 고려합니다만 인공지능은 소수점 이하의 점수까지 계산에 의해서 우선순위를 정하기 때문에 인간이 이해하기 힘들때도 있을겁니다
축사활에 버그가 있는것은 맞아요 사활이나 축발견을 못하고 승률 높게보다가 나중에서야 당하고 승률 확떨어지는 경우가 상당합니다. 인공지능과 인간과의 바둑이라면 사활이나 축이 승패에 상관없어서 그렇게 뒀다 할수 있겠지만, 인공지능끼리 바둑에서도 버그에의해 승률이 확 뒤집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괜히 버그가 있다고 하는게 아니에요.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더 잘둔다고해서 모든 부분에서 완벽하다고 신처럼 보는 착각을 하지 않길 바랍니다.
그리고 분명 죽었던 바둑을 살렸다고 한것도 맞지 않습니다. 인공지능은 죽었다고 한적없구요. 다만 다른데가 더 우선순위여서 추가로 안둔자리였을 뿐인겁니다. 그리고 인공지능이 못보는 수는 없다고 봐야될겁니다. 전자계산기가 계산에 틀린적이 없죠? 마찬가지입니다. 인공지능이 못보는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인공지능의 돌이 죽는다면 그건 인공지능이 우선순위가 더 높은 자리를 두기때문에 우선순위가 낮은 자리의 돌이 죽을 수는 있을겁니다. 하지만 이렇게 죽은 돌은 잡은게 아니라고 봐야 됩니다. 더 큰 자리를 인공지능이 찾이하는 동안 작은 자리를 잡은 것이니까요
그리고 인공지능한테는 선수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이곳에 두면 선수자리라 인공지능도 받을 수 밖에 없을거다. 이런말이 통하지 않아요. 인공지능은 선수자리 따라가지 않고 우선순위가 높으면 두고 우선순위 낮으면 안둡니다. 선수라는 개념은 다분히 사람들끼리 쓰는 심리적인 단어인데 인공지능은 심리가 없기때문에 통하지 않고 다만 계산상의 우선순위만을 고려합니다. 인공지능을 상대할때는 사람도 선수라는 개념을 버리고 우선순위 개념으로 두어야 조금이라도 승산을 높일 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요. 인공지능이 사활이나 축에 약한 것이 아닙니다. 인공지능이 사활이나 축의 상황에서 사활이나 축을 안둬버리고 다른데 둬버리는데 이때 인간은 이걸 잡아버려서 사활이나 축에서 이긴거로 착각하는 겁니다. 인공지능은 사활이나 축에서 손을 뺀건 다른 자리가 더 우선순위이어서 손을 뺀겁니다. 그런데 인간은 이 순간 사활이나 축을 이겼다고 보는 겁니다. 실상은 다른데가 더 커서 사활이나 축에서 인간이 이겨도 다른데 더 큰데를 주었기때문에 인간이 진겁니다. 사활이나 축이 약하다고 생각하는건 인간의 착각입니다
아니예요. 실전에 안 나오는 작위적인 모양의 사활을 만들어두고 그 사활을 해결하지 못할 경우에 패배할 수밖에 없도록 주변 상황을 세팅한 후에 폰더링을 해보면 인공지능이 사활 못 봅니다. 그래서 엉터리 수를 승률 90% 넘는다고 추천하다가 결국 사활 엉터리로 두고 나서 1%로 곤두박질 칩니다. 직접 실험해본 사람이 한둘이 아니예요. 그것뿐만 아니라 손 빼면 빅인 형태에서 한 수 더 두어서 살려주는 모양도 발견됐구요. 카카오에서 만든 oggo라는 프로그램은 신진서 9단과 공개 방송 대국에서 안 되는 축 나가서 졌구요. 그 전까지 카카오측이 프로기사 초빙해서 자체평가 했을 때 2점에 다 이겼답니다. 인공지능이 프로 상대로 2점에 역덤 주고 쉽게 이길 만큼 엄청 강한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나마 사활과 부분전이 약점이라고 사람들이 괜히 말하는 게 아니예요. 물론 그 약하다는 사활과 부분전에서도 인공지능이 평균적으로 인간보다 더 강한 건 사실입니다만, 특정 형태에서는 인간 중수보다도 못 한 수준을 보이기도 합니다. 인간은 직관으로 쉽게 경우의수를 줄여 계산할 수 있는 단순한 모양에서 인공지능은 그게 안 되거든요.
인공지능을 상대할때는 바둑인들끼리 고민하지 마시고 바둑을 둘 줄 아는 프로그래머를 섭외해서 같이 고민하셔야 됩니다. 인공지능은 프로그램 덩어리 이므로 이 구조를 잘 아는 프로그래머랑 같이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가 총을 쓰면 우리도 총을 들어야 상대가 됩니다. 상대방이 총을 들고 나왔는데 칼든 사람 수십명 모여서 상의한다고 답 안나옵니다. 최소한 총이 없더라도 총의 구조를 잘 아는 사람이 있어야 대처방안이 나옵니다
프로그래머를 섭외한다고 해봐야 알고리즘 설명 외에는 전혀 도움이 안될 것이라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네요. 현재 지도학습을 넘어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는데 결국 바둑에서 강화학습이란 것이 승률을 기반으로 경우의수를 줄여 최고의 승률로 계산된 위치에 착점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프로그래머가 하는 역할은 덤과 집계산법 등 계산에 필요한 기본적인 경계조건을 줄 뿐 학습된 알고리즘이 승률 계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는 프로그래머조차 알 방법이 없습니다. 이 상황에서 최선의 해설 방법은 바둑에 대해 훨씬 더 많은 고민을 해왔고 깊은 지식을 가진 프로기사가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와~인공지능 대단하네요.최정프로님 아깝네요.멋진해설 감사합니다.
바둑 둘줄 모르는데 입담이 좋아서 구독해요
ㅎㅎ
어떻게 저렇게 잘둘까 ㅋㅋㅋㅋㅋ 진짜 쎄다
항상 쵝오의 해설 잘 보고 있습니다~^^
최정이 랭킹높은 기사들도 잘 이기는데 절예하고 2점깔고 둘정도면,
인공지능이 쎄긴 엄청 쎄구나 ㄷㄷ
AI는 결국 뻔한 축한수 나갈때도 모든 변화를 일일히 읽으니깐 시간이 없는것이다. 사활이 복잡해도 마찬가지. 즉 시간을 안주는 바둑으로 붙으면 인간이 유리해 지는데 직감으로만 둬야하는 5초바둑이면 어떻게 될까
인공지능을 통해서 인간이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지 기대되는 요즘입니다.
인공지능을 통해서 바둑을 배우는 요즘 세대가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고, 얼마만큼의 파괴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또 인공지능 세대라 부를 수 있는 바둑세대가 세계대회에서 정점을 차지하는 시기는 언제쯤일지, 정말 궁금하고 기대되네요.
보는 시청자로서도, 정말 흥미진진하고 재미있는 시기가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성님해설은 귀에 쏙쏙
상변 백돌 수습하는 모습도 놀랍고... 좌하 귀에서 백이 2점으로 버린 게 무슨 뜻인가 했는데 결국 그게 말을 하는군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잘봤습니다 절예랑 프로들 둔영상 자주올려주세요~
이름을 최정예 로 지으려다 흔해서 최정으로 지었나ㄷㄷ 클라스 ㅎㄷㄷ
우와 소름돋는다. 너무 강하다. 정말 궁금해서 그런데 6:30에 과연 최정처럼 다른곳 안두고 거길 지키는 프로가 정말 있을까요?
돌부처라면 아마도?
인공지능을 보면 최대한 튼튼하게 지키고 인공지능 집은 폭파시키는 작전이 젤 좋은듯 해요.
전성기 이창호라면?
절예가 알파고프로보다도 강하다고 하는 분들이 많은데
최정선수 응원합니다!
시간이 문제임... 같은시간으론 절대로 안됨... 30초바둑대 4시간 혹은 8시간 정도면 해볼만 할수도 있슴...
1달 제한시간 줘도 안돼요
알파고 제로 역시 축 버그가 있었지만, 학습 후반부에 극복했다고 합니다. 릴라 제로는 나온 지 1년 반 정도가 지났으나 아직도 알파고 제로 최종 버전과 비교하면 학습량을 반도 따라잡지 못했으니, 당분간은 인공지능의 축 버그는 존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강화학습 기반이라 따로 축 관련 패치를 할 수도 없어서, (덤을 바꿀 수 없는 것과 같은 원리) 축, 사활 부분은 스스로 극복하기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다음수를 어케 두는지 절예에게 물어볼수 있지 않나요?
절예가 중국앤데 중국어를 알아야 물어보죠. ㅎㅎ
@@ruoguu걍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렘인데..
우왕 인공 지능 무섭다
아쉽군요. 흉내내기로 둔 아마추어는 절예를 이기던데ㅡㅡㅡ! 결론은 흉내내기 밖에 없는듯?
우리나라 인공지능 바둑AI 바둑이를 만드신 고등과학원(키아스) 이주영 박사님과 인터뷰 한번 하셔서 인공지능의 사고 구조를 파악해서 바둑기사님들께 알려드린다면 우리나라 바둑계가 좀 더 발전하는데 도움이 될겁니다. 유튜브 보니까 이주영박사님 인터뷰 하시던데요. 꼭 인터뷰 하셔서 인공지능이 바둑을 두는 패턴을 파악해서 공유하는 것이 우리나라 바둑이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선수의 개념대신에 우선순위 개념으로 바둑을 두는 것이 더 강할 수 밖에 없거든요? 이 우선순위 개념이 인공지능이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적용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이주영박사님께 설명을 들어봐주십시오
인공지능이 왔다갔다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왔다갔다 하는 인공지능 심리를 모르겠다고 하시지만 인공지능에는 심리가 없습니다. 다만 인공지능에는 계산상 우선순위가 있어서 왔다갔다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인공지능이 중요한 자리에서 손을 빼고 다른 데를 둔다는 것은 손을 뺀자리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고 손을 뺀 자리보다 더 중요한 자리가 있어서 간겁니다. 그리고 다시 돌아온 이유는 우선순위가 더 높은 자리가 해소 되어서 손을 뺐었던 자리가 다시 최우선 자리가 되어서 돌아온 겁니다. 심리의 흐름을 중시하는 사람과는 달리 인공지능은 우선순위를 중시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두는 바둑은 이곳저곳 왔다갔다 하면서 둘 수 밖에 없습니다. 사람도 물론 우선순위를 당연히 고려합니다만 인공지능은 단 한점이라도 더 우선순위가 높은 자리가 있으면 그곳부터 둡니다. 사람도 물론 우선순위를 고려합니다만 인공지능은 소수점 이하의 점수까지 계산에 의해서 우선순위를 정하기 때문에 인간이 이해하기 힘들때도 있을겁니다
@@무무-i8n 그건 완성도가 떨어지는 인공지능의 경우고요. 알파고나 절예 수준에서는 안통합니다. 착각하는 게 아닙니다. 다른데가 더 중요해서 다른데 둔겁니다
@@무무-i8n 그리고 설사 지금 있다고 하더라도 곧 해결됩니다. 기계의 발전 속도는 인간의 수만배 이상 빠릅니다
@@무무-i8n 대마 사활보다 바둑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죠. 이 얘긴 이쯤하죠. 제가 절예 두는걸 많이 못봐서 제가 몰랐나 보네요. 하지만 지금 약하더라도 몇개월 내에 해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축사활에 버그가 있는것은 맞아요 사활이나 축발견을 못하고 승률 높게보다가 나중에서야 당하고 승률 확떨어지는 경우가 상당합니다. 인공지능과 인간과의 바둑이라면 사활이나 축이 승패에 상관없어서 그렇게 뒀다 할수 있겠지만, 인공지능끼리 바둑에서도 버그에의해 승률이 확 뒤집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괜히 버그가 있다고 하는게 아니에요.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더 잘둔다고해서 모든 부분에서 완벽하다고 신처럼 보는 착각을 하지 않길 바랍니다.
계가도 못해보고 졌네 ㅋ
2점 바둑에서 흑은 무조건 첫수를 화점(1)에 두어야 합니다. 백이 걸치면 날일자(2)로 받아주고. 그 다음 착수도 도 무조건 백쪽 방향의 변 화점(3)에 둡니다. 그리고 시작하면 2점이 아니라 3점 바둑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분명 죽었던 바둑을 살렸다고 한것도 맞지 않습니다. 인공지능은 죽었다고 한적없구요. 다만 다른데가 더 우선순위여서 추가로 안둔자리였을 뿐인겁니다. 그리고 인공지능이 못보는 수는 없다고 봐야될겁니다. 전자계산기가 계산에 틀린적이 없죠? 마찬가지입니다. 인공지능이 못보는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인공지능의 돌이 죽는다면 그건 인공지능이 우선순위가 더 높은 자리를 두기때문에 우선순위가 낮은 자리의 돌이 죽을 수는 있을겁니다. 하지만 이렇게 죽은 돌은 잡은게 아니라고 봐야 됩니다. 더 큰 자리를 인공지능이 찾이하는 동안 작은 자리를 잡은 것이니까요
우상변의 돌을 최정선수가 잡았다고 하더라도 바둑은 이기지 못했을겁니다. 우상변이 죽는 것보다 더 큰자리가 있어서 인공지능이 우상변을 안두고 죽게 놔둔것일 테니까요
과거 절륜의 기사들의 수를 흡수해서 그런건가. 과거 바둑신들과 두는 거라고 봐도 되나
그리고 인공지능한테는 선수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이곳에 두면 선수자리라 인공지능도 받을 수 밖에 없을거다. 이런말이 통하지 않아요. 인공지능은 선수자리 따라가지 않고 우선순위가 높으면 두고 우선순위 낮으면 안둡니다. 선수라는 개념은 다분히 사람들끼리 쓰는 심리적인 단어인데 인공지능은 심리가 없기때문에 통하지 않고 다만 계산상의 우선순위만을 고려합니다. 인공지능을 상대할때는 사람도 선수라는 개념을 버리고 우선순위 개념으로 두어야 조금이라도 승산을 높일 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요. 인공지능이 사활이나 축에 약한 것이 아닙니다. 인공지능이 사활이나 축의 상황에서 사활이나 축을 안둬버리고 다른데 둬버리는데 이때 인간은 이걸 잡아버려서 사활이나 축에서 이긴거로 착각하는 겁니다. 인공지능은 사활이나 축에서 손을 뺀건 다른 자리가 더 우선순위이어서 손을 뺀겁니다. 그런데 인간은 이 순간 사활이나 축을 이겼다고 보는 겁니다. 실상은 다른데가 더 커서 사활이나 축에서 인간이 이겨도 다른데 더 큰데를 주었기때문에 인간이 진겁니다. 사활이나 축이 약하다고 생각하는건 인간의 착각입니다
다른 부분에 비해 약한 건 맞습니다. 실제로 사활 못봐서 진 판도 많습니다
인공지능 가끔 축 못봐서 축나가면서 승률 1퍼센트로 떨어지고 그러던데요?ㅋㅋㅋ 아마추어도 축버그땜 프로도 발라버리는 인공지능 잡는경우도 있는데 뭔소리하는지
아니예요. 실전에 안 나오는 작위적인 모양의 사활을 만들어두고 그 사활을 해결하지 못할 경우에 패배할 수밖에 없도록 주변 상황을 세팅한 후에 폰더링을 해보면 인공지능이 사활 못 봅니다. 그래서 엉터리 수를 승률 90% 넘는다고 추천하다가 결국 사활 엉터리로 두고 나서 1%로 곤두박질 칩니다. 직접 실험해본 사람이 한둘이 아니예요. 그것뿐만 아니라 손 빼면 빅인 형태에서 한 수 더 두어서 살려주는 모양도 발견됐구요.
카카오에서 만든 oggo라는 프로그램은 신진서 9단과 공개 방송 대국에서 안 되는 축 나가서 졌구요. 그 전까지 카카오측이 프로기사 초빙해서 자체평가 했을 때 2점에 다 이겼답니다.
인공지능이 프로 상대로 2점에 역덤 주고 쉽게 이길 만큼 엄청 강한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나마 사활과 부분전이 약점이라고 사람들이 괜히 말하는 게 아니예요. 물론 그 약하다는 사활과 부분전에서도 인공지능이 평균적으로 인간보다 더 강한 건 사실입니다만, 특정 형태에서는 인간 중수보다도 못 한 수준을 보이기도 합니다. 인간은 직관으로 쉽게 경우의수를 줄여 계산할 수 있는 단순한 모양에서 인공지능은 그게 안 되거든요.
인공지능을 상대할때는 바둑인들끼리 고민하지 마시고 바둑을 둘 줄 아는 프로그래머를 섭외해서 같이 고민하셔야 됩니다. 인공지능은 프로그램 덩어리 이므로 이 구조를 잘 아는 프로그래머랑 같이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가 총을 쓰면 우리도 총을 들어야 상대가 됩니다. 상대방이 총을 들고 나왔는데 칼든 사람 수십명 모여서 상의한다고 답 안나옵니다. 최소한 총이 없더라도 총의 구조를 잘 아는 사람이 있어야 대처방안이 나옵니다
프로그래머를 섭외한다고 해봐야 알고리즘 설명 외에는 전혀 도움이 안될 것이라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네요. 현재 지도학습을 넘어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는데 결국 바둑에서 강화학습이란 것이 승률을 기반으로 경우의수를 줄여 최고의 승률로 계산된 위치에 착점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프로그래머가 하는 역할은 덤과 집계산법 등 계산에 필요한 기본적인 경계조건을 줄 뿐 학습된 알고리즘이 승률 계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는 프로그래머조차 알 방법이 없습니다. 이 상황에서 최선의 해설 방법은 바둑에 대해 훨씬 더 많은 고민을 해왔고 깊은 지식을 가진 프로기사가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gregkim7075 도움이 될지 안될지 일단 얘기를 많이 해보란 말이었습니다. 예단 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인공지능이 왔다갔다 하면서 두는 것을 이해 못하는 듯 한데 프로그래머라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줄겁니다. 다른 부분도 더 있을지도 모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