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이러한 정보는 비체인이 운영하는 블로그나 웹사이트 혹은 비체인 내부자의 트위터에서 정보를 얻으시는 것이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저 또한 자세한 내용보다는 개념위주로 찾아보다보니 아주 자세한 내용 설명 못 드린점 죄송합니다. 질문자분께서 해주신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루이비똥 가방에 내장칩을 심는 방식으로 하지 않을까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즉 처음에 만들어 졌을때 내장칩을 설치하고, 각 유통관계에서 이 내장칩을 스캔하고, 이 정보들이 블록체인에 상세히 기록되게 함으로써 (가방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한) 최대한 투명하게 유통과정을 체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kimkyungryun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막기위한 방편중 하나가 중국의 값싼 물건을 들여오는것인데 영상에서 처럼 중국의 가짜물건을 판별할 깔끔한 솔루션으로 비체인을 생각해서요 전자상거래도 점점 활발해지고 그 시너지가 될거라 생각햇어요 즉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상황이 비체인을 올려줄거라는 망상... 전 그게 물려잇는 이유입니다...
아 그것도 일리가 있는 말씀이십니다. 코로나 및 우크라이나 전쟁이후 미국과 중국 양국간의 거래가 굉장히 늘어난것은 사실이나 아직까진 안타깝게도 비체인이 많이 활용되진 않는거 같습니다 ㅠㅠ 또 최근 비체인의 헤드인 Sunny Lu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오히려 기업들이 새로운 방식보단 전통적인 방식의 공급망 관리를 선호하며 조금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 상황이 전세계적으로 많이 좋아졌고 또 비체인 역시 전세계에 오피스를 설치하며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으니 좋은 성과 꼭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음 이게 무슨 말씀 이신지 조금 더 설명 부탁 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중앙화 되어 있다면 현재 존재하는 솔루션들과 차이가 없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영상에서 중국 리스크라고 표현한것은 예전에 마윈 (Jack Ma)이 말 실수를 했을때 전세계 최대 기업중 하나인 알리바바를 후려친 과거가 있는 중국 정부이기 때문이고 또 최근 CBDC 발행을 추진하면서 점점 더 암호화폐를 배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비체인이 하고 있는 일 자세히 알고 싶은데 정보가 없네요.
루이비통,bmw,월마트 얘기밖에 없고 또 이들과 무슨일을 하고 있는지도 안나오는데.
예를 들어서 루이비통 가방이 진짜인지 어떻게 증명을 하는지 궁굼합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정보는 비체인이 운영하는 블로그나 웹사이트 혹은 비체인 내부자의 트위터에서 정보를 얻으시는 것이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저 또한 자세한 내용보다는 개념위주로 찾아보다보니 아주 자세한 내용 설명 못 드린점 죄송합니다. 질문자분께서 해주신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루이비똥 가방에 내장칩을 심는 방식으로 하지 않을까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즉 처음에 만들어 졌을때 내장칩을 설치하고, 각 유통관계에서 이 내장칩을 스캔하고, 이 정보들이 블록체인에 상세히 기록되게 함으로써 (가방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한) 최대한 투명하게 유통과정을 체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잘봤습니다. ㅎ 개인적으로 비체인에 물려있는데 조금은 맘이 아프네요 ㅎ.ㅎ
아이고 ㅠㅠㅠ 꼭 좋은 가격에 털고 나오시기를 바라겠습니다 ㅠㅠㅠ
@@kimkyungryun 저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차후 큰 수익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털고 나올코인이 아닌것 같습니다
@비체인 댓글 감사합니다. 혹시 어떤점에서 비체인이 앞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저도 리서치한게 제한적이다 보니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다면 저도 배우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kimkyungryun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막기위한 방편중 하나가 중국의 값싼 물건을 들여오는것인데 영상에서 처럼 중국의 가짜물건을 판별할 깔끔한 솔루션으로 비체인을 생각해서요 전자상거래도 점점 활발해지고 그 시너지가 될거라 생각햇어요
즉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상황이 비체인을 올려줄거라는 망상... 전 그게 물려잇는 이유입니다...
아 그것도 일리가 있는 말씀이십니다. 코로나 및 우크라이나 전쟁이후 미국과 중국 양국간의 거래가 굉장히 늘어난것은 사실이나 아직까진 안타깝게도 비체인이 많이 활용되진 않는거 같습니다 ㅠㅠ 또 최근 비체인의 헤드인 Sunny Lu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오히려 기업들이 새로운 방식보단 전통적인 방식의 공급망 관리를 선호하며 조금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 상황이 전세계적으로 많이 좋아졌고 또 비체인 역시 전세계에 오피스를 설치하며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으니 좋은 성과 꼭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저는 중국 위주의 코인이라서 오히려 중앙화가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음 이게 무슨 말씀 이신지 조금 더 설명 부탁 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중앙화 되어 있다면 현재 존재하는 솔루션들과 차이가 없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영상에서 중국 리스크라고 표현한것은 예전에 마윈 (Jack Ma)이 말 실수를 했을때 전세계 최대 기업중 하나인 알리바바를 후려친 과거가 있는 중국 정부이기 때문이고 또 최근 CBDC 발행을 추진하면서 점점 더 암호화폐를 배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kimkyungryun ㅎㅎ저도 잘 몰라요 코린이라 ㅎㅎ그냥 영상보고 떠오른 말이예요
중국코인이다 보니 중국 공산당 특성상 정부 주도가 가능한 중앙화된 코인이 채택될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아하 ㅎㅎ 그런 의미에서..... 그 부분에서는 저 또한 일정부분 동의하는 바입니다. 중국정부의 경우 말을 잘 듣는 기업들은 잘 키우려는 경향이 있는 것도 사실인거 같습니다 ㅎㅎ
@@kimkyungryun 네 ㅎㅎ암튼 좋은 정보 영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