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하고 앉아있네 물리학자들 S8E10 2편 - 양자 정보와 양자 컴퓨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양자 정보와 양자 컴퓨터
    14:34
    · 양자 정보학이란?
    21:46
    · 양자 컴퓨터의 시작
    50:28
    · 양자 컴퓨터가 빠른 이유
    1:20:58
    · 양자 컴퓨터는 어디까지 발전했나
    1:32:53
    · 양자 컴퓨터가 풀어야할 숙제
    과학과 사람들 제공
    ‘사람들’에 많이 가입해 주세요! 🥰
    www.sciencepeo...

Комментарии • 37

  • @bitterlemonNJ
    @bitterlemonNJ 2 года назад +25

    과학과 사람들에는 이런분들이 자주 출연해주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과학 특히 물리학에 흥미를 느껴 교양 강연을 듣기 시작한지 몇년이 됐는데 대부분의 강연의 수준이 항상 초심자에 맞춰서 진행을 하더라고요. 그러다보니 매번 듣던 내용만 듣게 되고, 조금 더 심화 과정으로 가고 싶어도 접할 기회가 별로 없는게 현실이죠.
    파토님 평소 말씀처럼 이해가 안되면 여러번 돌려보면 되니, (여담으로 이강영 교수님 나온편은 제대로 이해해보려고 10번은 돌려본거 같습니다) 조금 어렵더라도 이런 심화 과정 강의를 자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 @detshowkawachi6646
    @detshowkawachi6646 2 года назад +6

    민태기 박사님 기다릴때만큼
    이번에도 너무너무 기다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어부바맨-o1v
    @어부바맨-o1v 2 года назад +9

    몇번을 더 들어야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이런 강의 아카이브는 정말 소중하네요. 얼굴을 남기고 싶지 않으신 교수님들을 위해 과학하고 앉아있네에서 “복면과학“ 컨텐츠를 마련해야겠어요 ㅎㅎ

  • @두번은없다
    @두번은없다 2 года назад +7

    시청자분들이 이런 유익한 컨텐츠들에 관심이 높아져서 과학적 소양이 높아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kaizz80
    @kaizz80 2 года назад +7

    열번정도 더 듣고싶어서 저장해놓고 계속듣고있습니다. 이런 영상을 만들 기회를 만들어주셔서 너무감사합니다ㅎㅎ

  • @WalkingHomoSapiens
    @WalkingHomoSapiens Год назад

    이진형 교수님 더 자주 초청해주세요! 너무 좋습니다! :)

  • @포도나무100
    @포도나무100 Год назад +1

    2번째 들으며 조금이라도 이해하는 부분이 생기니 괜히 뿌듯함이 생기네요 ㅎㅎㅎ이진형 교수님 최대한 눈높이 교육하시느라 애쓰시는 모습이 좋습니다~ 아이 키우는데 교수님 같이 훌륭한 분을 선생님으로 만났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seyongkwon
    @seyongkwon Год назад

    유튜브에서 본 영상중에 최고입니다!!

  • @제갈식
    @제갈식 2 года назад +3

    31:36 이해는 결국 경험과 언어로 하는것이며
    시뮬레이션과 예측이 가능해야 비로소 이해를 한것이다.

  • @cdd4756
    @cdd4756 2 года назад +6

    교수님 너무 좋습니다.. 좀 더 자주 나와 주시면 감사할 거 같아요..!!

  • @제갈식
    @제갈식 2 года назад +2

    24:30 비가역연산은 손실압축이고 엔트로피 증가이며
    물리적으로만 가능하므로 에너지가 소모된다.

  • @zerojin2
    @zerojin2 2 года назад +2

    29:19 NAND와 NOR 게이트만으로 다 되더군요.. 아폴로 우주선에 탑재된 항법용 컴퓨터도 수천개의 NOR게이트 칩(이것 자체로도 집적회로입니다, 초기단계)을 엮어서 만들었죠.. AGC block I, block II 로 찾아들보시면 됨...

  • @AllMusicLibrary-x8x
    @AllMusicLibrary-x8x 2 года назад +4

    어려운 내용 조목조목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당분간 고정 출연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 다음이 또 기다려집니다.

  • @Jaiku.
    @Jaiku. 2 года назад

    🖖

  • @시원하수
    @시원하수 Год назад +1

    말씀하신 페레스책은 구입 가능한가요?

  • @도원석-n6g
    @도원석-n6g 2 года назад

    양자 역학·적용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가. 물질(정보).
    1. 물리학에선,
    ⑴ 물질=정보?라고 한다. 이야기를 들었을때.
    1.1. 생각되기를.
    ⑴ 전문 지식(물리)언어인, '물질'이,
    ⑵ 철학 지식(보편)언어인, '정보'가 됐으니,
    1.1.1. 판단 되기를,
    ⑴ 물리학문은, 객관성 100%에 접근했다.
    ① 이유: 보편성(철학)에서, 전문성(특수성)이 나왔으니,
    보편성과 전문성 일치=그 학문 객관성 100%.
    ㉠ 많은 전문지식에서, 보편성과 전문성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 이 불일치 의미=부분적 지식(오류도 그만큼 있는).
    (이 부분으로, 전체를 설명해야 할테니)
    ⑵ 물리학에선 물질이 무엇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였는데,
    ① 이유: 물리학에 있는 '정보' 의미=밝혀지지 않았다. 라는 뜻.
    ② 의미: 오류 수치는 거의 0%에 이르고, 이제 밝혀질 시간만 남았다.
    2. 이 영상을 시청하니,
    ⑴ 물리학자?와 수학자? 논의 결과,
    ① 물질과 숫자는 일치. 가 있었군요.
    ㉠ 이 이유로, 물질=정보가 됐구요.
    2.1. 사칙연산을 논리적으로 확인하면,
    ⑴ 기준(시작): 덧셈.
    ⑵ 변화(응용): 곱셈·나눗셈·뺄셈.
    ⑶ 증명 되는 것: 덧셈·곱셈·나눗셈.
    ⑷ 증명 안되는 것: 뺄셈(음수).
    ⑸ 애매한 증명: 숫자 '0'
    ① 이유: 숫자 '0'=덧셈이 없고, 뺄셈이 있어서.
    ② 이유: 숫자 '0'=뺄셈이 있고, 음수는 아니여서.
    2.1.1. 음수가 증명 되려면,
    ⑴ 숫자=물질. 일 경우 가능.
    ① 도형과 숫자 관계도,
    ㉠ 숫자=물질(도형)임을 증명.
    2-1. 음수 증명 의미.
    ⑴ 물질=추상과 일치.
    ① 숫자=물질과 일치.
    2-2. 그 때는(2011년),
    ⑴ 확인하면서 그냥 그런가 했는데,
    ⑵ 방송을 시청하니, 물리학과 수학에서 논의가 있었고,
    ① 논의 결과: 물질=숫자(정보)로 결론이 났군요.
    (지금 생각하면, 없는 것이 숫자가 될 수 없는데, 그 당시는 처음이여서 낯설어 했죠)
    나. 기타.
    1. 방송 시청하면서,
    ⑴ 몇 가지 더 생각이 났는데,
    ① 2주가 지나니 기억이 안나네요.
    ㉠ 방송 내용은 이해한듯 싶습니다.
    2. 물질 영역에,
    ⑴ 양자 물질.
    ⑵ 거시 물질. 이 있으니,
    2.1. 의미.
    ⑴ 이 두 물질 작동 방식은, 본질적으로 같아야 하니,
    2.1.1. 적용.
    ⑴ 컴퓨터를 구분하면,
    ① 거시 물질 재료만 있는 컴퓨터(고전 컴퓨터).
    ② 양자 물질 재료도 있는 컴퓨터(양자 컴퓨터). 겠구요.
    3. 물리학과 철학이 같이 설명돼 기쁜 마음으로 시청했습니다.

  • @rivery210
    @rivery210 2 года назад +1

    11:36 애셔 페레스 책이 어떤 책인지 알 수 있을까요? 혹시 이건가요? Quantum Theory: Concepts and Methods 번역본은 없는 것 같아 찾아보지는 못했습니다. 챕터라도 알려주시면 열심히 찾아보겠습니다.

  • @제갈식
    @제갈식 2 года назад +2

    34:40 양자컴퓨터는 가역 컴퓨터이며
    양자역학을 이해하기위한 경험축적용 장난감으로서 처음 제안되었다.

    • @제갈식
      @제갈식 2 года назад +1

      @@quantumq3471 본문 내용과 다른데요?
      혹시 저 영상의 강사분이신가요?? 아니면 패쓰~

  • @mkimys72
    @mkimys72 2 года назад +2

    지난번 강의에 했어야 할 질문: 이중 슬릿 실험에서 전자를 한번에 하나씩 쏘면 하나의 점이 스크린에 나타난 다고 하셨고 전자가 왼쪽 슬릿을 지나는 상태와 오른쪽 슬릿을 지나는 상태가 중첩 되었다고 하셨는데 왜 왼쪽 벽, 중앙 벽, 또는 오른쪽 벽애 부딪히는 상태들은 언급되지 않나요? 전자를 쐈는데 점이 스크린에 안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간섭무늬에 상관없으니 무시하는 건가요, 아니면 소리나 물결파에서 처럼 막힌부분이 있어도 뚤린 구멍으로 소리나 파도가 전달되듯 언제나 하나의 점이 스크린에 나타나는 건가요?

    • @morsesteve2284
      @morsesteve2284 2 года назад

      이중슬릿을 지나는 상태는 관측되는 상황이 아니라 상태의 중첩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벽에 부딪힐 때는 관측되는 상황으로 가정했으므로 확률진폭의 중첩이 아닌 확률진폭이 붕괴되는 겁니다. 파동함수의 붕괴...

  • @새벽하늘-d2e
    @새벽하늘-d2e 2 года назад +3

    컴퓨터 공학도
    입장에서 본 양자 컴퓨터는
    햑융합 발전 시스템 보다 훨씬
    멀리있는 미래의 모호한 기술입니다.
    현재 물리학자들의 주정이나 가설을 고려한 양자컴퓨터의 실현 가능성은 "핵융합발전"과 "타임머신" 사이 어디에 위치하는 가능성이라고 생각됩니다.

  • @zerojin2
    @zerojin2 2 года назад

    43:42 오정근 박사님의 코멘트는 아주 시기적절&지당하셨읍니다!
    23:06 교수님 드랍더bits♪ qbit은 리듬타기엔 힘이 드니 사양합니더~

  • @제갈식
    @제갈식 2 года назад +2

    22:50 전자컴퓨터가 열을 발생하는 이유는 비가역적 연산 때문이다!

    • @제갈식
      @제갈식 2 года назад +2

      @@quantumq3471 물론 얼마 안되겠죠.
      중요한 건 그게 아닌거 같습니다.

  • @morsesteve2284
    @morsesteve2284 2 года назад

    광자로 이중슬릿 실험을 할 경우에, 광자끼리 상호작용이 없으므로 발사하는 시간간격이 간섭무늬에 영향을 안준다고 했는데, 양자장론적으로 고에너지 광자는 광자끼리 상호작용이 있지 않나요?? ( 파인만다이어그램 고차항 상호작용)

  • @sscbone
    @sscbone 2 года назад

    마리마리
    1초 전
    양자암호 대장주 #텔레필드 소개해드립니다. 올해는 양자암호의 시대가 올것같아요

  • @쀼쀼잉-h9y
    @쀼쀼잉-h9y 2 года назад

    구글이 자사의 양자 컴퓨터로 웜홀을 실험했다는 기사가 있는데 이게 웜홀을 시뮬레이션 했다는건지 아니면 진짜 웜홀을 만들어서 물질이나 정보를 전송했다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웜홀인지 궁금합니다.

  • @subin4420
    @subin4420 2 года назад

    11:50

  • @ecocellmy8256
    @ecocellmy8256 2 года назад +1

    많은걸 배우는 채널입니다. 양자역학이 맞다는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아직도 모르지만 증명이 된건가요? 아니면 아직도 검증단계인가요?

    • @jaehyunlee9115
      @jaehyunlee9115 2 года назад

      현재 발견되는 물리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론 체계로 그것이 가지는 의미는 물음표로 남아있지만, 물리현상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현재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jonghowanhan9810
    @jonghowanhan981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첫1분정도 애기할때 의문점이듭니다 실험에 참가 하거나 그실험에 동의 한다던가 그런 거없이 과학지 9월호 에나온거 마냥 그냥 남들말듯고 하니까 좀 그렇네요.

  • @panpan7205
    @panpan7205 2 года назад +1

    우유빛깔 학이유

  • @cosmosMusicx
    @cosmosMusicx 2 года назад +1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 한개를 잡아서, 하나를 쏜다고??착각이고 엉터리
    실험이다.완벽한 물리학의
    사기꾼들이다!🍖🍴

    • @응밥해-s9f
      @응밥해-s9f Год назад +2

      나도 이부분이 이해 안감 정확히 전자를 하나 집아서 쏜다고?

  • @이건개발-p8n
    @이건개발-p8n Год назад

    소짜 대짜 양짜

  • @maddscientist1050
    @maddscientist1050 2 года назад

    그래 소한민국이 그래봤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