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문 완벽히 이해할 때까지 읽는 훈련을 하셔야돼요. 아 물론 수능장에선 그러면 안되겠죠ㅎㅎㅎ 대부분 학생들이 지문 한 번 훅 읽고 문제를 읽은 다음 아 모르겠어하고 다시 지문으로 돌아가서 '찾기'를 하는데, 이렇게 하기 때문에 비문학의 오답률이 가장 높고 시간도 부족한 겁니다. 정말로 지문을 완전히 간파한다면, 문제 선택지들을 쓱 한 번 읽고나서 바로 답이 보입니다. 정말이에요. 그렇게 되려면 문제 풀기 전에 한 문장도 빠짐없이 허투루 넘어가는 것 없이 전부 이해하셔야 됩니다. 그렇게 하면 국어 1등급은 물론 만점도 시간문제입니다. 그 때쯤이면 지문 한번만 쓱 읽어도 마법처럼 내용이 전부 파악이 되었기 때문에 다 풀고나서 시간마저 남아돕니다. 그리고 글들을 문학이나 비문학, 화법작문으로 나누어서 푸는 방법이 다 다르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명확히 틀렸고요, 모든 글들이 결국엔 같은 글들일 뿐이고 완전히 이해를 할 때까지 읽는다면 그 어떤 글이 나와도 문제를 막힘없이 푸는 게 가능합니다. 저는 내내 3,4 등급만 받다가 이걸 깨닫고 공부했더니 반년만에 최초로 만점을 받는 기적을 이뤘습니다.
대부분 글의 구성은 두괄식 구성으로 이루어집니다.그러나 우리 나라 사람들은 중요한 것을 대화의 끝에 이야기하는 성향이 강하죠. 때문에 국어 비문학 독해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이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인 주제, 화제 혹은 이에 대한 상위 개념이 서론에 주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화제에 대한 자세한 예시, 혹은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주된 의도가 무엇인지! 글의 구성을 유기적으로 생각한 후에 독해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공신님 말씀처럼 결론이 아닌 서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을 읽으면 글을 읽어나가는 속도와 정확성을 겸비하게 될 것입니다. 화이팅!
그리고 개인적으로 지문을 다 안 읽고 문제 푸는 방법 저는 굉장히 비추하고요, 오히려 하나도 빠짐없이 빠른시간에 다 이해하고 읽을 수 있게끔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말로 시간이 부족한데 못 읽은 지문이 남아있지 않은 이상 그렇게 풀다간 우수수 틀리기 쉽상입니다.
요약:글은 서론에 모든 주제와 방향이 담겨있기마련. 글의 처음을 보고 답을찾을수있으니 글의 서론을 보고 방향을 잡아라 인듯
기술부분은 다읽어야함
허공신 먼소리임 비문학문제는 글다 읽는게 아니고 그냥 흐름만 파악하면서 문제푸는건데 다읽는건 시간낭비일뿐임
하이바라임 말 맞는데 ㅎㅎ.. 몇몇 유명 학원은 그런 비법을 알려줘요.
하이바라 말도안되요 ㅋㅋㅋㅋㅋㅋ. 비문학을 흐름으로 푸는 문제가있고 정확히 이해하고 푸는 문제가있는데 예를들어 과학지문 같은경우 흐름으로만 푸실려고요? 절대 잘못된 습관입니다.
ㅋㅋㅋㅋㅋㅋ그렇게 푸는연습해보세요 백날해봐라 만점나오나;;
타판Tafan 시간아끼는건 두번보지않고 최대한 한번으로 보고 푸는것이지 야매로 하면 한계가 분명 존재합니다. 뭐 현역이라 시간부족하면 본인재량껏 공부하세요.
강성태님 혹시나 보실지모르겠지만 이런거 설명해주실때 예를들어 한지문을 띄어주시고 저방법대로 같이 글을읽고 파악해서 이렇게 하는것이다라고 구체적으로같이 풀어주셨음해요...
솔직히 국어 공부법 모르겠는 사람들 난 비문학 문제푸는 중에 지문다시 본다 이런분들 김동욱 선생님한테 배우세요 지문 한번 제대로 읽고 문제 푸는게 젤 좋은 방법이고 그 지문을 한번에 제대로 잊어버리지 않게 읽는법을 김동욱 선생님이 가르쳐줍니다
? 김동욱이 기르치는게 뭐가있음 ㅋㅋㅋ? 그냥 지문읽어주고 맨날 똑같은데
이거 영어 독해에서도 마찬가지 패턴이에요
지문 완벽히 이해할 때까지 읽는 훈련을 하셔야돼요. 아 물론 수능장에선 그러면 안되겠죠ㅎㅎㅎ 대부분 학생들이 지문 한 번 훅 읽고 문제를 읽은 다음 아 모르겠어하고 다시 지문으로 돌아가서 '찾기'를 하는데, 이렇게 하기 때문에 비문학의 오답률이 가장 높고 시간도 부족한 겁니다. 정말로 지문을 완전히 간파한다면, 문제 선택지들을 쓱 한 번 읽고나서 바로 답이 보입니다. 정말이에요. 그렇게 되려면 문제 풀기 전에 한 문장도 빠짐없이 허투루 넘어가는 것 없이 전부 이해하셔야 됩니다. 그렇게 하면 국어 1등급은 물론 만점도 시간문제입니다. 그 때쯤이면 지문 한번만 쓱 읽어도 마법처럼 내용이 전부 파악이 되었기 때문에 다 풀고나서 시간마저 남아돕니다. 그리고 글들을 문학이나 비문학, 화법작문으로 나누어서 푸는 방법이 다 다르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명확히 틀렸고요, 모든 글들이 결국엔 같은 글들일 뿐이고 완전히 이해를 할 때까지 읽는다면 그 어떤 글이 나와도 문제를 막힘없이 푸는 게 가능합니다. 저는 내내 3,4 등급만 받다가 이걸 깨닫고 공부했더니 반년만에 최초로 만점을 받는 기적을 이뤘습니다.
일단 독해력이 중요하다는 건가요??
저는 그렇게 해보니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요 ㅠㅠ
읽으면서 구조가 판단이 되어야 속도가 빨라지고 문제 예측 가능함
강성태 공신은 모든걸 꿰뚫고 있었기에 수능 고득점이 가능했던거임
문제가 예측된다는게 이런문제가 나오겠다는 당연한거고 깊이 들어가면 이런 선지가 나오겠다임
대부분 글의 구성은 두괄식 구성으로 이루어집니다.그러나 우리 나라 사람들은 중요한 것을 대화의 끝에 이야기하는 성향이 강하죠. 때문에 국어 비문학 독해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이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인 주제, 화제 혹은 이에 대한 상위 개념이 서론에 주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화제에 대한 자세한 예시, 혹은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주된 의도가 무엇인지! 글의 구성을 유기적으로 생각한 후에 독해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공신님 말씀처럼 결론이 아닌 서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을 읽으면 글을 읽어나가는 속도와 정확성을 겸비하게 될 것입니다. 화이팅!
서론이 뭔가요
+곽동현 처음 부분임
서론 본론 결론 중 글의 나침반 역할을 하는 서론이 제일 중요하다
속독때문에 ncs 공부 힘들어하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ㅎㅎ
와.
. 감사합니다 이거 보고 연습해봐야지
와 진짜 감사합니다 국어 시간 부족했는데
ㅋㅋ 과학기술에서 저거 따라했다간 바로 재수행
온핑 ㅋㅋㅋㅋㅋ 과학기술할때 저거하면 100퍼 3점 짜리랑 그위에 있는 2점짜리 못풀죡ㅋㅋ
쓰빠씨바 속편한소리하네
@@barrontrumpbwt 과학기술 지문 다 틀리고 다른거 다 맞아도 1등급 못함
@@쀼쀼뺭뺭우이잉찌우니 ㅇㅈ
무슨 말인가료??과학기술은 4가디 유형에 안들어맞는다는건가요?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잘 보고 갑니다!!!
진짜 평가원글은 맥락만 잘 잡으면 같은 소리한다는 느낌이 딱 듦
니 인생이 걸린 시험 수능에서 저딴 방법이 통할거 같냐
제발좀 가만히 있어라
*뭐만 적으면 이게 나온다 말이지*
머지 국어 비문학 저렇게 나오는 거 였음? ㅈㄴ 극소수만 저렇게 나오는 거 같은데
백날 설명하면 뭐합니까.
본인이 정답부터 보고 하면
기출문제적용하면 10분이면 깨우칩니다.
본인이 깨우치면 죽을때까지 머리에 남습니다.
그냥 정답부터 보라고 해요.
주제파악과 객관성유지☆☆☆☆☆
ㅋㅋㅋㅋ 이걸로 될 것 같으면 아무도 비문학으로 고생안하죠 ㅋㅋㅋㅋ 영상보시는 분들 중에 저 정도 구조도 모르는 분은 없을 듯
난 예전에는 본론이 제일 중요하다 생각했음..
글 쓰기할때도 적용돼요 ㅎㅎ
수능엔 적용 안됌
잘봅니다..ㄹㅇ
그리고 개인적으로 지문을 다 안 읽고 문제 푸는 방법 저는 굉장히 비추하고요, 오히려 하나도 빠짐없이 빠른시간에 다 이해하고 읽을 수 있게끔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말로 시간이 부족한데 못 읽은 지문이 남아있지 않은 이상 그렇게 풀다간 우수수 틀리기 쉽상입니다.
어떻게 빨리 읽으면서 머리속에 다 집어넣을까요? ㅠㅠㅠㅠㅠㅠㅠ 그냥 많은 문제를 푸는 것만이 방법일까요... 제가 글 읽는 속도가 매우 느리거든요 ㅠㅠㅠㅠㅠ
멋져ㅜㅜㅜㅜ
마치 나침판처럼,,
삐빅 화작에 해당하는 영상입니다
중학생되서 이거 알고 시험에서 나오지도 안을텐데라 생각했습니다 진짜 안나옵니다 중학생따까지만
에휴 나중에 모의고사치면 울겠네
지금은 어떻게 됐을까?
성지순례 왔습니다
ncs에서는 개꿀이자너
결론
싸움은 원인 이 없는 싸움이 없어요
싸움에 말렸으면 일단 살고봐야되요
화작 잘푸는 팁좀알려주세요 제발 화작에서 4개틀립니다
잘보고갑니다
good
수능영어에도 적용되나요!
잘보고 가요
절대 안됨 ㅋㅋ
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이 있죠. 전 문제먼저 보고 지문 보는데 1~2는 항상 나옵니다
내일인데..ㅠ
말이쉽지ㅋㅋㅋㅋ
비문학 말고 문학에 대한 팁은 혹시 없나여?
외우는건 불가능 합니다...
저는 문학 공부할때 해법 문학? 같은 문학 모음책을 사서 유명한것 부터 시작해서 계속 꾸준히 보고 분석을 했습니다. 그리니 문학 점수가 많이 올랐더라고요
Ka mate 아니 거기서 제 말에서 그 해법 문학이라는 책이 책을 읽는게 아니라 옆에 분석과 문제가 있다는 말인데요??
Ka mate 무슨 말인지 알것같네요 솔직히 기본적인 작품은 외워야 다른 작품도 해석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문학은 각 장르마다 해당되는 핵심어와 표현의 특징만 찾아낼 줄 안다면 문제 푸는데 수월 합니데이
@@bbangkkoo 네 진짜로 2년전 답글이네요
결론? 결론?? 아이고 놀래라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잘보고 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