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님 ㅠㅠ 멍청한 질문이라는 건 없습니다! 모든 질문은 제게 소중합니다 🥰 혈액에서 순환종양세포라 하시면 2가지 부류로 생각이 되는데, 하나는 원래 혈액 속을 순환하는 WBC (백혈구)가 암세포화된 것과 다른 하나는 상피조직에 있던 암세포가 epithelial messenchymal transition (EMT)를 통해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 다른 곳으로 이동중인 상피성 암종, 이 2가지가 떠오릅니다. 둘 중에 어떤 것을 보느냐에 따라 배양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액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혈액을 뽑은 후 원심분리와 시약으로 유핵세포를 분리해내서, 일차세포 배양을 시도해야 합니다. 그런데 혈액 속 유핵세포의 비율은 1%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그 수가 너무나 적습니다. 암말기면 모를까 순환하는 종양 세포는 그 수가 훨씬 더 적을테구요. 거의 사막에서 바늘 찾기일겁니다.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 또는 유전자에 형광물질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태깅해서 찾아내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일거라고 생각이 듭니다만, 위 방법은 대학병원급 연구소에서나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ㅠㅠ 말씀하신 일반인의 범주가 정말 의생명과학에 아예 낯선 일반인인지, 의생명 분야 학부를 졸업하고 실험 디자인에 대한 이해가 있는 일반인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일반적인 연구실에서는 저런 배양이 매우 힘들겁니다...ㅠㅠㅠ 관련 자료는 google scholar에서 circulating tumor 또는 EMT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셔서, 논문들을 읽어보심을 추천드립니다.
설명을 진짜 잘하시네요!! 교수님 같아요 ㅎㅎ
제 대학원 생활의 시작을 선생님의 영상으로 함께하니까 정말 든든합니다!!
저도 이렇게 실험이론에 대한 설명을 잘하는 대학원생이 되고 싶어요 ㅎ!!
@@User-gm3ec 감사합니다 ㅠㅠ 너무 과분한 칭찬이세요 🥹🫶 아직 부족하지만 더 정진해보겠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분명 저보다 나은 대학원생이 되실 겁니다. 응원합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
앜ㅋㅋ 저도 감사합니다 🙈 좋은 주말 되세요 ☺️
선생님께서도 혹시 PBL을 이용하여 PMA, ionomycin 자극후 cytokine을 유세포 분석으로 보시나요??
@@김진영-w1e9j 아니요 ㅠㅠ 저는 cytokine은 즈로 ELISA로 보는 편입니다. PMA나 ionomycin은 연구실에 있긴 하지만 사용하고 있진 않구요 ☺️
@ThisIsGraduateStudent 네 답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혹시 팩스 분석시 gating 하는 방법도 알려주실수 있나요??ㅠ
@@나무류 넵넵! 다음 주 또는 다다음주 방송때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많이 바쁘실텐데 죄송합니다. 멍청한 질문 하나 드려도 될가요ㅜ
혈액에서 순환종양세포를 찾아서 암세포 배양을 해보고 싶은데 일반인도 가능할가요? 관련자료나 그런게 있을가요?..
무지님 ㅠㅠ 멍청한 질문이라는 건 없습니다! 모든 질문은 제게 소중합니다 🥰
혈액에서 순환종양세포라 하시면 2가지 부류로 생각이 되는데, 하나는 원래 혈액 속을 순환하는 WBC (백혈구)가 암세포화된 것과 다른 하나는 상피조직에 있던 암세포가 epithelial messenchymal transition (EMT)를 통해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 다른 곳으로 이동중인 상피성 암종, 이 2가지가 떠오릅니다.
둘 중에 어떤 것을 보느냐에 따라 배양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액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혈액을 뽑은 후 원심분리와 시약으로 유핵세포를 분리해내서, 일차세포 배양을 시도해야 합니다. 그런데 혈액 속 유핵세포의 비율은 1%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그 수가 너무나 적습니다. 암말기면 모를까 순환하는 종양 세포는 그 수가 훨씬 더 적을테구요. 거의 사막에서 바늘 찾기일겁니다.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 또는 유전자에 형광물질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태깅해서 찾아내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일거라고 생각이 듭니다만, 위 방법은 대학병원급 연구소에서나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ㅠㅠ
말씀하신 일반인의 범주가 정말 의생명과학에 아예 낯선 일반인인지, 의생명 분야 학부를 졸업하고 실험 디자인에 대한 이해가 있는 일반인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일반적인 연구실에서는 저런 배양이 매우 힘들겁니다...ㅠㅠㅠ
관련 자료는 google scholar에서 circulating tumor 또는 EMT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셔서, 논문들을 읽어보심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