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비X파일/건축전 꼭 알아야만 하는 진실/평당 얼마면 짓는다구요? 사실일까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971

  • @westseahouse
    @westseahouse  7 лет назад +207

    안녕하세요? 바닷가 전원주택 채널을 운영하는 케이맨입니다. 우선 제가 최근 연말에다 일이 많이 겹쳐 시간에 쫓기다보니 많은 분들의 댓글에 일일이 감사의 표시를 하지 못한 점 정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소중한 댓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 제가 올린 "건축비 X파일"이란 영상에 관해서 다소 오해가 있어, 이 공간을 빌어 부연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제가 이번 영상을 제작하게 된 의도는 전원주택을 지어 보지 않으신 예비 건축주분들이 예산을 잡으실 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었습니다.
    즉, 요즘 건축업체들이 사기꾼이 많으니 믿지 말라는 의도가 아니라, 평당 얼마라고 하는 금액은 기본시공단가이고, 그 기본시공단가 이외에 부가적으로 드는 비용이 상당히 많으니 예산을 잡으실 때 충분히 고려하시길 권해드리는 의도였습니다. 사실 영상을 올리고 생각해보니 추가적으로 드는 항목이 꽤 더 있었습니다. 그렇게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 항목을 알려드리고자 하는 의도였지 결코 시공업체를 믿지 말라는 의도는 아니었습니다.
    또한 많은 분들이 댓글과 메일로 지적하신대로 건물외에 드는 잔디나 울타리, 정자, 창고, 가구 및 가전제품, 화목난로 같은 항목은 물론 건물 건축비에 포함되질 않으나, 분명 전원생활을 하시기 위해 추후 발생하는 비용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예산을 짜실 때 분명 고려해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어 언급드렸습니다.
    따라서 건축업에 종사하시는 분들께서 보시기엔 저의 설명이 다소 부족하고 많은 억측이 있다고 생각되시겠지만, 예비건축주 분들께서 전체적인 예산을 짜실 때 분명 들어갈 비용이란 점을 고려한 구성이라는 점을 부디 이해해 주시고, 다소 기분이 상하셨다면 저의 의도를 제대로 영상에 표현하지 못해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집을 지으면 10년이 늙는 다는 말은 정말 지어보신 분들은 이해하실 거라 생각됩니다.
    부디 전국의 많은 예비건축주분들께서 큰 맘고생 없이 원하시는 아름다운 보금자리를 지으시길 바라겠습니다. 다시 한번 제 영상을 시청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gj4928
      @gj4928 7 лет назад +28

      바닷가 전원주택 ㅈㄹ하는것들이 대부분 사기꾼이더라구요, 정직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설명하고 날림공사안하고 정말 전문가분들은 이런 영상을 오히려 참고하시라고 권하죠. 발끈 하는것들은 다아~사기꾼들ㅋㅋㅋ

    • @처비베어chubbybear
      @처비베어chubbybear 7 лет назад +4

      읭? 생각보다 싸네요? 다같은업체에서 모두시공하는건가요 수전 전기 가스이런건 다 다른업체를 직접알아봐야되나요

    • @박승렬-f6h
      @박승렬-f6h 7 лет назад +11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BK-xs8mz
      @BK-xs8mz 7 лет назад +10

      ㅋㅋㅋ 대충 알고있다지만 케이맨님의 건축비 X파일=건축 속사정을 들어서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방송 내내 끝날듯... 끝나지 않는 추가 부대 비용 ㅎㅎㅎ 웃기면서도 슬픈 현실... 잘 시청했습니다.늘 좋은 방송 해주세요~~

    • @드리머-f7v
      @드리머-f7v 7 лет назад +20

      일반인이면 누구나 누락할 만한 사항을 사심없이 썼다고 생각하며...좋은영상 계속 부탁합니다...

  • @yicjk
    @yicjk 6 лет назад +92

    요즘에는 전원주택도 전세로 나온게 많습니다.
    처음부터 짓지 마시고 전세를 살면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건축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user-ty1bf9vu6i
      @user-ty1bf9vu6i 6 лет назад +3

      진짜 공감합니다...맞는 말씀이에요.

    • @모두행복해져라얍
      @모두행복해져라얍 6 лет назад +1

      오~현명한선택입니다👍👍

    • @세번째-p8h
      @세번째-p8h 6 лет назад +1

      저도 전세부터 알아보고 있습니다^^

    • @eunjongpark1504
      @eunjongpark1504 5 лет назад

      울 신랑한테도 얘기했는데 시골에 집짓는게 꿈이라며 에효~~
      오십이 넘었으니 몇년 안남았는데 그나마 주춤하는게 시어머니가 연세가 있으셔서 병원땜에.

  • @조상환-u3f
    @조상환-u3f 6 лет назад +6

    먼가 쏘옥 잘들어와요 잘들었습니다~
    저같이 잘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소중한 영상 만들어주시고
    분명 베풀줄 아는분이 틀림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분야라도 저도 다른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겠습니다~

  • @김철우-z2k
    @김철우-z2k 6 лет назад +10

    그래서 건축설계가중요하고요 내역서가 중요한겁니다. 그리고 설계와 시공을 같이하는 업체 ,그렇니까 시공을하기 위해서 설계를 공짜로해 준다는 업체와 일했기 때문이죠, 설계와 시공은 항상 견제와 협조가 필요한 관계입니다. 그런관계가 있는데 한업체에서 해준다? 당연히 견제가 안되겠죠? 설계 와 시공은 분리되어야 합니다.적정한 설계비와 공정한시공비를지불하고 당당히 요구하는 건축문화가 필요합니다.-빌드코치

  • @cosym
    @cosym 6 лет назад +38

    여러가지 말들이 많은데, 이 영상을 올리신 분의 의도와는 다른 글들이 좀 있네요.영상 올리신 분은 본인의 경험을 알려주셨고, 그 덕분에 한번 더 생각하게 해 주셨습니다.맞다 아니다 보다는 귀중한 경험을 공유해 주신것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우리가 하는 경험이 항상 맞지 않기 때문이 경험이 많은 사람이 현명해 지는 것입니다.올려주신 영상덕에 쉽게 좀더 현명해 진것에 감사하게 생각하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krauskim7662
    @krauskim7662 6 лет назад +8

    그러니까 견적내는 업자들 말은 절대 믿지 말라는 거네요.
    익히 들었던 사실인데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시네요.

  • @kjc4924
    @kjc4924 7 лет назад +34

    좋은 경험 하셨네요.저도 건축업을 하고 있습니다만...제 주변에서도 많은 분들이 평당 단가를 묻습니다.그의 대부분이 그렇게 질문을 합니다.그렇게 질물을 받으면 참 난처한 입장에 처합니다.질문하는 분에게 이렇게 답을 줍니다.집을 어떻게 지을 것이냐=그럼 건축주 분의 생각을 가설계를 그리자 = 다시 건축분과 미팅 과정에서 수정할거 수정하면서 몇차례 미팅을 가집니다. 어느정도 설계의 결과물이 나오면 전체적인 건축비에 대한 설명을 드립니다. 설계도면없는 건축비 산출은 하늘에 뜬 구룸이나 다름없습니다.

    • @sunggusu4333
      @sunggusu4333 5 лет назад

      토목구조검토/연약지반 공사비 과다시/흙막이 가시설 설계/토목옹벽설계/팽이기초 특허업체 비용 30% 절감 공기2배 단축 010 5809 1209 전국 설계 및 시공 가능하니 문의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문의 한 번 주시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루디샤
    @루디샤 6 лет назад +1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현실에 눈뜨게 해주셔서감사합니다

  • @노기상-h1z
    @노기상-h1z 6 лет назад +7

    특히 귀농 전원생활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수익의 창출입니다. 농사라는게 처음 몇해는 수익이 거의 없습니다. 가지고 온 자금 전원주택 짓고 몇년 곶감빼먹듯 쓰고 나면 생활이 막막해 다시 도시로 갑니다. 전원주택 팔려고하면 팔리지도 않습니다. 땅값과 주택건축비 다 받고 팔려고하는데 살사람은 자기 입맛에 맞춰 지을려고하지 다 지어놓은것 비싸게 사지는 않을려고해서 잘 팔리지도 않습니다. 결론은 귀농은 정말 잘생각해야 됩니다. 고정 수익 없이 무작정 전원주택 짓고살면 몇년 못갑니다.

  • @yicjk
    @yicjk 6 лет назад +27

    2억4천에 집을 지으려고 했는데 결론적으로 3억이 들었습니다.
    토지까지하면 4억이 든 셈이네요.
    다행이 건축업자를 잘만나서 그나마 추가비용이 덜 든거라 위로가 되더군요.
    양평에 저수지가 조망되는 땅을 사고 1년만에 집을 건축했는데
    또 그사이에 땅값은 두배로 뛰었더군요.
    생각지도 않았던 세금이 많이 나오고,
    대지가 아닌 임야를 개발했는데 대지로 바꾼후 이익이 발생했다고
    거기에 대한 세금도 나오더군요.
    지하수파는데 600, 양평에선 정화조 뭍으려면 600내외로 들어갑니다.
    집을 짓고 나서도 3~4천정도 더 들어간다고 보셔야 합니다.
    현재 집은 만족합니다.
    다른분들보니까 건축업자 잘 못 만나서 고생이 말이 아니던데
    건축업자가 지은 집들 꼭 보시고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세세히 물어보는게 좋습니다.
    전화번호 알아두셨다가 개인적으로 궁금한것 꼭 질문해 보시길 권합니다.
    그리고 선택장애가 있는 분들 집지으려면 진짜 10년 늙는 다는거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타일 종류부터 바닥재 천장재, 벽지, 문, 도기류, 계단, 등, 씽크대 정하다보면
    머리에서 지진납니다.

    • @yicjk
      @yicjk 6 лет назад +10

      저는 대지 150평에 1층 25평, 2층15평으로 지었습니다.
      태양광 설치했고 데크와 정자를 지었습니다.
      태양광을 3Kw설치 했고, 정원에 조그만 텃밭과 화덕을 직접 만들었습니다.
      화덕에는 나무만 태웁니다.
      종이와 비닐이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날리거나 그을음이 생기거든요.
      전원주택 지으실때는 꼭 타지인들만 있는곳에 지으세요.
      현지인과 같은 동네에 지으면 텃세가 장난이 아닙니다.
      타지인들만 있는 곳에 짓는게 최곱니다.

  • @ast2456
    @ast2456 6 лет назад +3

    설계도면을 토대로한 정확한 산출근거를 통해 나온 견적을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2~3군데 업체의 견적을 비교해보고 결정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며, 산출근거에 있는 자재 하나하나를 따져보아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없이 건축업자를 믿고 맡기시는것은 건물주 본인이 ATM기가 되고자 하는것이나 다름없는것 입니다.

  • @gyun193
    @gyun193 6 лет назад +1

    정말 공감가는 내용이네요^^ 추가되는 비용 정말 저정도는 기본으로 들더군요;,
    여기서 추가로 땅의 위치상 여러정부기관 대표적으로 시골땅은 농어촌공사와 엮이게되면 관련하여 허가와 도로 구거 사용비도 필요하고
    세금도 토지취등록세, 건물취등록세, 농지전용비외에 토지용도변경(지목 대지로 변경)으로 인한 취득세도 따로 내야합니다. 이금액도 상당히 많이 나오죠.;; 전 세금관련된 금액만 3천만원이었네요;; 집짓는거 신중히 접근하셔야 합니다~^^;

  • @companymk
    @companymk 6 лет назад +5

    잘 설명해 주셨네요! 고생 많으셨습니다. 평당'이라는 말이 아주 어려운 말입니다. 아주 아주 기본적인 비용입니다.

  • @bondjhons604
    @bondjhons604 6 лет назад +2

    훌륭한 조언입니다. 나중에 건축시 큰 참고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orinada
    @sorinada 6 лет назад +5

    건축주의 입장을 아주 소상하게 자세히 설명을 잘 해주셨네요~^^ 잘 봤습니다~^^

  • @gemmag.5450
    @gemmag.5450 6 лет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각자 보는 관점에 따라 댓글들이 달리는데요. 저같이 평범한 사람에겐 너무나 고맙네요..

  • @sky_9223
    @sky_9223 6 лет назад +3

    솔직 담백 ㅋㅋ 잼나네요. 유 경험자로서 공감 1000% 합니다.

  • @homaenge
    @homaenge 6 лет назад +1

    재밋게 잘 설명하셨네요 ㅎㅎ 씽크대 가전 가구에서 조금 낮게 잡으신거 같은 느낌이 들긴하지만 ㅎㅎ 그리고... 시공사마다 말씀하신 내역을 견적에 포함하는 경우도 제법 있죠.. 그런 시공사가 좀 더 믿을만하고 -0-.. 저도 4월에 집짓는데 견적에 포함된거 빼고 말씀하신 부분 계산하니 4천만원 정도 나오네요. 견적받을때 도기 모델명까지 세세하게 견적 내주는 시공사와 거래하는게 좋다고 생각해요~

  • @rhyschoi1243
    @rhyschoi1243 7 лет назад +33

    누굴 까는 영상이라고 안보고 총체적으로 처음 집을 지어보려는 사람들이 격을 일이라고 이해하고 들으니 “설계사무소분들하고도 많은 얘기를 하고 시작 할일이구나”하고 무릎 탁!! 치고 갑니다~

  • @마석대장
    @마석대장 6 лет назад +2

    예비 건축주에게는 유익한 정보 입니다.이제부터 미분양 포하 상태인데 점진적으로 매물도 많이 쏟아진다고 봅니다.케이맨님 살아있는 정보로 집을 짓는거 보단 직접보고 사는것이 저에겐 맞을듯 합니다.다시한번 소중한 내용들 영상으로 군더덕없이 만드신 노고에 감사 드립니다.꾸뻑 ^0*)~

  • @줄루-d5w
    @줄루-d5w 6 лет назад +5

    진짜 모르고 평당 단가만 듣고 집지었다가 빚더미에 앉겠네요..감사합니다..

  • @이상수-v7q
    @이상수-v7q 6 лет назад +1

    좋은 정보 넘나 감사 합니다
    다음에 집질때 꼬오옥 상기 하겠습니다
    너무나 감사 하고 고맙습니다.
    전에 저두 집한채 지었는데 공감이 가는 말씀 입니다
    완존 계획된 금액보다 따블 들어 갔거든요
    이것만 알면 충분 할것 같습니다
    감사 합니다 꾸뻑 ^^

  • @까시-v1x
    @까시-v1x 6 лет назад +3

    아무것도모르는분들한테는 유용한정보가되겠네요~~많은분들이보시라고 구독과 추천 눌러드립니다~~기분좋은 전원생활을 꿈꾸려다가 노후에 화병걸리면안되겠죠~~열심히 일한자~~노후에는 좀쉬어야한다~~

  • @진시황제-h8s
    @진시황제-h8s 6 лет назад +2

    대박이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복받으세요.

  • @방승효-i7n
    @방승효-i7n 6 лет назад +24

    영상에서 말씀하신 내용이 맞긴 합니다만. 요즘같이 업체 경쟁이 치열한때에 평당 얼마에 지어주겠다고 종이 한장 달랑 내 미는 업체가 있나 모르겠네요. 그런 사람은 절대 믿으시면 안됩니다. 저는 집을 지으시려는 분들에게 제일 아쉬운점은 설계에 투자를 너무 안하신다는 점 입니다. 어떤 일이든 초반 계획이 잘 잡혀야 부수적인 비용도 안들이고 예정된 기일 안에 마무리 지을 수 있는 겁니다. 설계시에 모든것이 협의되고 창호 종류부터 수도꼭지....심지어 전구 하나까지도 품명 및 규격을 정해 놓고 설계를 해야 합니다. 요즘은 일반 건축설계사무소와 인테리어 설계 사무소와 연계가 잘 되기때문에 초반 설계시 인테리어 설계비용 쪼금만 더 쓰시면 착공 전에 내집을 3d로 다 돌려 볼 수 있고요. 가구나 전자제품 등도 내 마음대로 이리저리 옮겨가면서 자리 잡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설계가 다 마무리 되면 제대로 면허가진 건축업자 3~4군대에 설계도 넘겨주고 수량산출해서 견적 받고 난 후 내역서 하나하나 검토하고 그중에 마음에 드는 한 업체 선정해서 세부적인거 특약사항 따로 정리해서 계약 하면 추가 비용 절대 없습니다. 위 영상에 나오는 토목공사, 석축쌓기, 기초단올림 같은건 견적에 당연히 포함 되어야 하는 부분이죠...단순 건축주의 변경 요청이나 현장 여건과 설계도서와의 상이한 부분으로 인한 설계변경이라면 당연히 추가 비용이 발생 하겠죠. 주택이든 전원주택이든 짓는다고 마음 먹으시면 일단 제대로 된 설계소를 먼저 찾으시길 바랍니다. 설계도가 상세하게 나오면 견적하는 시공사도 그만큼 상세하게 견적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건축 단가가 내려갑니다. 설계도가 두리뭉실하게 나오면 견적하는 시공사 에서는 시공중의변수와 불확실성 때문에 손해보지 않는 안정적인 단가를 적용 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히려 건축비 상승이 됩니다. 저도 이쪽 계통 일을 하지만 평당 얼마에 집 지어 주겠다는 사람 절대 믿지 마세요. 견적은 무조껀 품목과 규격,수량, 단가 가 나오는 상세 내역으로 받으셔야 합니다.

  • @가을나무-x1w
    @가을나무-x1w 7 лет назад +2

    많이 배우고 알고 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

  • @natesmgmtm7166
    @natesmgmtm7166 7 лет назад +11

    좋은 영상이네요. 저도 시골에 마침 땅은 있어서 지었는데도 저렇게 부가적인 비용이 많이 들어서 누가 평당 ㅇ닐마에 지었냐고 물으면 정말 난감합니다. 어디서부터 알려주는 것이 맞는지 또 땅값도 지역마다 천지차이니... 하여간 신축하시려면 여유자금 1~2천 준비하라는 말 들어서는 중간에 집 완성도 못하고 멘붕옵니다. 최소한 대출이라도 미리 해놔야 숨통이 트입니다.

  • @푸른바람-e9b
    @푸른바람-e9b 6 лет назад

    진심어린 좋은 정보 정말 고맙습니다.
    만든 영상이 초보건축주이기에 부족할수도 있지만 상당히 긴 내용을 좋은 내용을 담으므로 시청자가 지루하지 않는 내용입니다.
    집 짖는 참 좋은 영상입니다.

  • @hotwins23
    @hotwins23 6 лет назад +4

    14분이 그냥 지나가는 영상이네요~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새옹지마-z1b
    @새옹지마-z1b 2 года назад

    진실토크쇼 100배 동감합니다 바닷가 예상중인데 중요하고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 @호상-f9f
    @호상-f9f 6 лет назад +4

    전원주택은 지을려고 마음 먹으셨다면 토지매입 들어가기전 맘에드는 토지가 있다면 계약하시기전 토목설계쪽으로 가셔서 인허가 받을수있는지 먼저확인하고 받을수있다면 토목.건축 설계하셔서 인허가 들어가는데 메인 설계는 토목설계에서 진행하시고 건축설계는 어떤방식으로 지을지 조적.alc.목조.샌드위치패널 인지 먼저 선택하고 설계해서 인허가들어가시면됩니다
    농지전용.산지전용이 있을경우 그지역 공시지가로 변경하는 평수만큼 들어간다고 보심됩니다 전용비용을 납부하셔야 인허가가 나옵니다
    건축들어가게되면 동영상과 같이 비탈길이 있어 평지로 만드는 토목 공사를 하는데 우천시 배수가 잘되게 하기위해서는 잡석 보다 알골재를 30센티이상 깔고 그위에 흙을 덮어야 장마때 배수가 잘됩니다
    건축하는데 순서가 있습니다
    만약 평지이면 토목공사가 먼저가 아니라 건물을 앉을 자리에 먼저 철근콘크리트 매트작업을 하고 건물에서 나오는 상하수 작업을 하고 그뒤에 우척시 배수를위해 알골재 다음 흙으로 덥어주거나 콘크리트작업으로 마무리 하시면 됩니다
    꺼꾸로 작업진행하면 포크레인 장비값만 더 나옵니다

    • @westseahouse
      @westseahouse  6 лет назад

      상세하고 전문적인 정보 공유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른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박찬홍-c8w
    @박찬홍-c8w 6 лет назад +1

    고생하셔서 얻으신 소중한 정보 초보자도 알기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할 사항이 많네요...^^ 잘 봤습니다..^^

  • @ramremram
    @ramremram 7 лет назад +5

    도급이나 턴키로 공사하면
    팀장은 노임단가로 팀원들 일당 받아 인건비 후리기로 자기 인건비의 배로 벌어가고
    업자는 자기 인건비 제하고도 15% 의 순수익 따로 챙깁니다
    직영공사도 협회껴서 하면 협회에 관리비 뜯기고 폐급 자재 받고 시공자들은 일을 하는지 마는지 느릿느릿
    협회 안끼고 직접 감리하면서 짓는게 가장 좋은 방법인데 건축에 대해 공부도 해야하고 자기 본업도 있으니 쉽진 않죠
    경험담입니다

  • @talli0717
    @talli0717 6 лет назад

    짝짝짝...고생 많으셨네요. 저두 많은 착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엄청...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unfafa
    @junfafa 7 лет назад +132

    아이고~~이제 사십대 중후반으로 넘어가는데 50대 후반쯤 목표로 전원주택 생각했는데...이영상 보니깐 그냥 컨테이너 놓고 살아야 겠습니다..ㅋㅋ

    • @김진식-u5j
      @김진식-u5j 6 лет назад +5

      조상진 ㅋㅋ조립식건물추천할게요

    • @김진식-u5j
      @김진식-u5j 6 лет назад +3

      얼마안들지만 디자인또한이쁘게지을수있어요

    • @muktongx
      @muktongx 6 лет назад +13

      컨테이너도 수출용 컨테이너(당연히 일반 컨테이너보다 훨씬 튼튼하고 녹도 오랫동안 견디죠)에 단열재 넣고 하면 엄청 빨리 괜찮게 지을 수 있답니다..실제로 이거 3개써서 전원주택으로 하룻만에 지어서 잘 사는 사람도 있음...그 지역 사람들은 하룻만에 집이 지어져서 경악하고요

    • @muktongx
      @muktongx 6 лет назад +3

      당연하지만 일반 컨테이너보다 훨씬 비쌉니다..

    • @김제민-i2s
      @김제민-i2s 6 лет назад +3

      컨테이너 단열제 넣고 하면 좋긴하죠 어떤 생각없는분들이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다고 떠드는분있는데 아무런 보강도 안할경우이지만,.

  • @Farmsman
    @Farmsman 6 лет назад

    진짜 이런 정보를 몰랐다면 큰 낭패겠어요 잘보고 구독 좋아요하구가요ㅎㅎ

  • @snh21k
    @snh21k 6 лет назад +5

    올해부터 단열기준이 지역별 세분화 되고 강화 되었습니다.
    내진설계도 의무화 되었습니다.
    특히나 국내 업체중에 목조주택 내진설계 가능한곳이 많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건축비 상승 요인이죠.

  • @고려상인-z2j
    @고려상인-z2j 6 лет назад +1

    와.... 가격 정보가 머리에 확 들어 옵니다. 감사합니다.

  • @정서희-q7c
    @정서희-q7c 6 лет назад +4


    제가바보였네요
    말씀대로 평당금액만 생각하고
    시골어머니집 새로 지어드릴 생각이었는데 정말로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 @truthscenery2869
    @truthscenery2869 6 лет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이렇게 상세하게 설명해주신 영상은 처음이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장대성-n6u
    @장대성-n6u 7 лет назад +168

    순서가 틀렸네요. 공사견적 및 계약이 먼저가 아니고 설계가 먼저입니다. 설계도면을 갖고 공사비 견적을 받아야 하고, 설계에는 토목공사, 조경공사, 설비공사, 외부추가공사 등 모든 사항을 건축주가 포함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견적을 받으면 실 견적이 나올거에요. 참고하자면, 집장사 시공하는 분들은 도면을 꼼꼼히 보지않고 견적합니다. 그래서 나중에 딴 소리 하죠. 견적을 의뢰할 때에는 견적의뢰서를 만들고 견적에 포함할 사항을 꼼꼼히 적어 넣으면 나중에 분쟁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정화조설치, 울타리, 잔디, 데크, 난간, 설비품목(세면대 모델 등),...... 굉장히 많은 조건들이 붙습니다. 건축주는 벽지 LG로 하고 싶은데 시공사는 개나리 벽지 붙입니다.(물론 개나리가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창호도 마찬가지지요.
    집 지으면 10년 늙는다는 말 진짜입니다. ㅎㅎㅎㅎ

    • @찢명-z3j
      @찢명-z3j 7 лет назад +25

      대성 장
      돈좀 들더라도 감사 무조건 붙여야합니다.
      감사붙여 놓으면 정말 돈 안아깝게 열일합니다.

    • @찢명-z3j
      @찢명-z3j 7 лет назад +21

      도면대로 짓고있는지 철근한개라도 빼먹었는지 일일이 다 감시함...
      감사안붙이고 집 지으면 99퍼 확률로 통수맞습니다요.

    • @TV-cp1jo
      @TV-cp1jo 7 лет назад +15

      감사??? .ㅡ,ㅡ 감리겠지요.

    • @도승준-g9m
      @도승준-g9m 7 лет назад +10

      근데 감리는 시공사에서 감리 부탁하는거 아님? 둘이 짜고 치는 고스톱이면..ㄷㄷㄷ

    • @TV-cp1jo
      @TV-cp1jo 7 лет назад +7

      둘이 짜고 칠수 없어여. 서로 앙숙이라.

  • @goodlife_korea
    @goodlife_korea 6 лет назад

    맞습니다. 항목별로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종합적으로 보면 50~100% 더 들어갑니다. 그래도 잘 짓기만 하면 자신은 물로 후대에까지 좋은 삶의 터전도 되고 좋은 투자가 되기도 하지요. 잘~ 짓는 게 중요합니다 ㅎ.ㅎ

  • @hwang7629
    @hwang7629 7 лет назад +79

    옵션비용, 개발부담금, 등기비용 수수료, 태양광이라도 할려면, 진짜 끝도없이 들어갑니다

    • @muktongx
      @muktongx 6 лет назад +3

      당연한 거 아닌가요?기본적인 거 빼더라도 더 좋게 더 좋은 거 해달라고 하면 계속 들어가죠

  • @Hye-YoungPark-x3p
    @Hye-YoungPark-x3p 6 лет назад +1

    상세항 설명 감사 합니다.
    저희도 주택에 살고 있는데 주택에 산다는게 항상 관리 하고 살아야 하는 거 같아요.
    저희 살면서 줄편해도 좀 참고 돈 좀 모아지면 한군데 손보고 또 기다렸다 또 손보고 합니다.

  • @ikimoko17
    @ikimoko17 7 лет назад +5

    지금 집을 짓고 있는데 절대적으로 공감합니다. 3억으로 땅값과 집을 짓자고 했던게 거의 4억5천이 되어가네요. 저희 욕심도 있지만 그야말로 최저의 조건인 계약금액인거더군요. 하지만 아직 돈이 더 들어가야된다는 현실....

  • @yunmosung3967
    @yunmosung3967 6 лет назад +2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 @dj.k.
    @dj.k. 7 лет назад +9

    지금까지 본 공사비 중에 가장 현실적이네요.

  • @홍미애-p1l
    @홍미애-p1l 6 лет назад

    목소리나톤이설득력이있네요.귀에아주잘들어옵니다.

  • @zz-jx2vp
    @zz-jx2vp 7 лет назад +3

    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설계입니다. 구조형식, 토목공사, 부대공사의 누락은 설계단계가 치밀하지 못하였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공사비를 합당하게 정하는 것은 설계를 바탕으로 하여야 합니다. 집이란 공장에서 찍어내는 제품이 아니기에 건물 외형만 얼마... 면적으로 얼마... 이런 식으로 발주를 하여 문제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설계와 감리는 일정규모 이상이기는 하나 법제화된 건축사를 통하셔야 합니다. (건축가 아님.. "건축법, 건축사법" 참조) 시공업자에게 모든 것을 맡기는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것과 같습니다. 일부 부도덕한 건축사들이 있어 시공업자의 하수인 역할을 한 일도 없지않지만 어디까지나 일부일뿐입니다. 시공업자를 먼저 선정하시기보다 먼저 건축사를 통하여 설계를 치밀하게 하시어 안전하고 합리적인 건축을 하시기 바랍니다.

  • @숏다리코렉스
    @숏다리코렉스 6 лет назад +1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시다니요 정말 진짜 짱이에요!!ㅋㅋㅋ 그 어떤 블로그 카페 동영상보다 이 영상이 가장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ㅋㅋㅋㅋ

  • @반집승
    @반집승 7 лет назад +35

    어떤자재를 쓸 것인지, 벽두께를 얼마로 할지, 창호는 뭘사용할지. 평당얼마라는 말은 의미없는 것이죠. 겨울에 엄청 추운집을 짓고 싶으신가요? 작업팀도 문제. 실제 작업하는 사람은 줄줄이 재하도급되어 싼가격에 계약하고 공사하게 마련. 부실자재, 부실시공하게 마련입죠. 양심적인 업자도 싼가격엔 장사가 없답니다. 중요한 건 값싸고 질 좋은 집은 없다는 사실이지요. 싸움 엄청해야죠. 공사하다가 도망가는 수도 있죠.

    • @muktongx
      @muktongx 6 лет назад +1

      네..맞아요 그래서 절대로 돈도 한번에 주면 안된다고 강조하더군요...나눠서 주고 감리도 확실히 해야함. 자신이 모르면 감리사라도 고용하는 게....이런 거 돈아끼다간 더 크게 날아갑니다

  • @appro21
    @appro21 4 года назад +1

    3년전 영상을 보니 선글라스를 쓰는 컨셉이었다는것을 다시 생각나게 했네요 ^^
    이때는 케이맨님의 선글라스 벗은 모습이 조금 궁굼하기도 했었죠.....
    그나저나 건축비 영상을 다시 보니 전원주택은 아무나 짓는게 아니라는 것을 새삼 느끼며 저는 그냥 전원이 그리울때는 분위기 좋은 팬션이나 하루이틀 빌려서 지내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거 같네요....
    항상 매사에 적극적이신 케이맨님의 도전정신이 참으로 부럽기만 합니다.....
    아무것도 한거 없이 일요일 하루가 또 지나갔네요 ㅋㅋ 내일은 좀더 알찬 한주를 보내길 소망합니다.

  • @campingcaptinkwon
    @campingcaptinkwon 6 лет назад +4

    본인의 경험이지만 큰 도움이 됨니다
    딴지 걸 분들은 보지도 마세요

  • @complice
    @complice 6 лет назад

    너무 재미있고 실감나게 설명해 주셔셔 재미있고 신나게 보고 갑니다...전원은 아니지만 저도 어렸을때 거의 한 20 년을 건물위 펜트 하우스 에서 살아서 부모님이 집을 건물위에 하셔서 아직도 기억나는데 정말 전원 주택만큼 건물 유지하고 하는데 부모님이 허리가 휘셨드랬죠...가끔 건물 전체 청소 하고 외관 청소 수리 유지 정말 아직도 끔찍 하내요...그리 높은 건물이 아니라 8층 짜리라서 그나마 나중엔 왠만한건 가족들이 다 하게 되던데...ㅠㅠ 뭔가를 짖고 사는거 정말 쉬운게 아니란 생각이 듭니다...

  • @piy102
    @piy102 7 лет назад +10

    제가 가장 궁금했던 부분이네요 저도 내후년쯤 목표로하고 있는데 유용한정보 감사합니다

    • @westseahouse
      @westseahouse  7 лет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실제로는 자잘한 부분까지 훨씬더 많은데 일단 필수적인 부분만 간추려 봤습니다. 잘 계획하시고 꼼꼼히 준비하셔서 원하시는 보금자리 만드시실 바라겠습니다~

  • @nellyyoun7200
    @nellyyoun7200 6 лет назад +1

    진짜 궁금했던 부분을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Soso-nc4wh
    @Soso-nc4wh 6 лет назад +15

    전원주택은 첫째 단열이 최우선 둘째 2층짓지말것
    관리비가 마니들고 단열이 잘안됨 집을 작게지어야
    빨리 데워지고 빨리 시원해 집니다

    • @자운영-k3m
      @자운영-k3m 3 года назад

      태양광 설치했더니
      저는 2층으로 지었는데도 전기세 1달에 1만원도 안 나와요.2층으로 짓기를 정말 잘했어요

  • @sohee887
    @sohee887 4 года назад

    진짜로 상세하시네요 고맙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jinmoo3532
    @jinmoo3532 6 лет назад +54

    진주 혁신도시에 단독주택을 지었습니다..
    모든 건축업자가 그런것은 아니겠지만 칼만 안든 강도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도대체 평당가는 왜 정하는지..? 추가비용이 뭐 돈 먹는 하마입니다..
    신축 예정이 있는 예비 건축주분들은 계약서를 꼼꼼히 보시고 뭐가 포함되고 안되고 특히 계약서에 별도라고 간략하게 혹은 조그맣게 적힌 글자를 명확히 확인하셔야 하며 필요하다면 별도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기해.달라고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공사 시작 순간 노트하나 사서 공사 건축일지 적기를 추천합니다..1.공사일자 2.날씨 3.작업내용 4.작업자 수 5. 그날 특이사항(예;새참을 사줬다등)매일 매일 적고 날씨관계나 혹은 휴일 작업이 없는 날도 기록하여서 작업사진 동영상등과 함께 남겨 두시길 강력 권합니다..훗날 분쟁시 딴소리 못할 명백한 증거가 됩니다..기록은 구체적이고 사진 동영상등 자료는 많을 수록 좋죠..건축 업자가 기분 나빠 할 수 있으나 분쟁이 없다라고 가정하면 내 집을 짓는 과정의 역사라고 할 수 있으니 잘 설명하여 꼭 남기심 분명 도움 되실 겁니다..
    또하나 계약서에 존재하는 내장재. 외장재등 책정되어 있거나 재료의 선택 ,시공시 반드시 건축주의 승인하에 반입 및 시공 될 수 있도록 사전 계약시 명시하세요..
    대부분 건축주들은 전문가가 아니기에 싸구려 비슷한 재료라든지 바꿔치기해서 계약서와 다른 싸구려 재료가 시공 될 수 있으니 시공전 계약한 메이커와 수량등이 맞는지 꼼꼼히 체크하고 사진으로 남겨야 합니다..
    건축주들이 꼼꼼하고 똑똑해지지 않음 안된다는 것을 절실히 실감했습니다..업계전반에 퍼져있는 후려치기 속이기등등 건축주 호주머니는 그냥 그들의 ATM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싸우란 얘기는 아니지만 철저하고 꼼꼼한 체크와 계약만이 분쟁방지와 좋은 집을 만들어 줄 것입니다..
    실제 경험자의 이야기 입니다..

    • @kangdaily2544
      @kangdaily2544 6 лет назад +6

      실제 경험하신분의 꿀팁이네요 ^^

    • @meteor7985
      @meteor7985 6 лет назад +7

      아주 좋은 말씀입니다. 그런데 이런 똑똑한 분들을 건축업자들은 엄청 싫어하더라고요. 한 다리 건너 아는 지인이라 해야 하나 그냥 아는 분이라 해야 하나, 여튼 그 분이 이 답글 처럼 좋은 말씀을 전하는 방송을 보고 집 지을 때 그렇게 했다가 건축업자가 그냥 공사를 중단했다고 합니다. 자재 확인 수량 확인하고 사진찍고 이런 거 자기네들 못 믿고 하는 거라고 화내고 매일 싸웠답니다. SNS도 발달하고 하니, 이제 그렇게 꼼꼼하게 건축주가 직접 챙기는 거에 대해 불만 가지지 말라는 내용을 계약서에 넣어야 안전한 시대가 됐습니다.

    • @냠냠-v7r
      @냠냠-v7r 6 лет назад

      세야 딱봐도 님이 저집지은 건축업자 같은데....흠....냄새가 남,,,,

    • @kakaukan1
      @kakaukan1 6 лет назад

      저도 진주 ㅎㅎ 저도 건축주..충무공동 ..반가워요.

    • @허선희-t7h
      @허선희-t7h 6 лет назад

      @@kangdaily2544 6

  • @푸른들판-o1l
    @푸른들판-o1l 6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근데 진짜 재밌게 방송하시네요. 좋은하루 되세요.

  • @dowonnam2606
    @dowonnam2606 6 лет назад +3

    모르던 사실을 알게 되어 고맙습니다 ^^

  • @midishin6526
    @midishin6526 5 лет назад

    정말 건축비 곱하기 2.5 배정도 생각해야하고 전원주택짓겠네요 정말 와닿는 정보네요. 소중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 @kangyeollee2672
    @kangyeollee2672 6 лет назад +3

    제대로된 설계사에서 생산하는 도면, 시방서, 내역서에다 투입되는 자재의 material specification(자재별 특정제품명 명기)까지 만들고
    시공계약서에 자재 확인 후 시공, 미 확인 또는 비품 시공시 철거 후 재시공하고 미 이행시는 해당부위 잔여공사에 대한 공사비 미지급 등 조항을 집어 넣으면 아쉬운소리 할 필요없음.
    감리는 내 돈 아껴줄 사람이므로 돈 아끼지말고 성실한 상주감리로 계약하고, 계약서에 페널티에 대한 내용도 집어넣어야 함.
    시공사는 설계사에서 만든 설계도서 배포 후 설계내역서의 품목 및 수량을 기준으로 한 공사비내역서와 나머지 설계도서를 계약도서로 계약을 맺어야 함.
    결론은 제대로 된 설계사에 제대로 된 대가를 주고 원하는 수준의 설계도서를 만드는게 가장 중요함.
    피같은 내돈 들여 집짓는데 이정도도 못 챙기겠다면 그냥 아파트 사는게 답임.
    초대형 건설공사 설계, 시공감독 수차례 해 본 결과 시공능력평가 수위권의 1군업체들도 설계도서가 개판이면 돈 더 들어가는거 막을 방법없고 품질 담보하기 어려움.

  • @thaodao8537
    @thaodao8537 6 лет назад +1

    내용이 알차고 좋으네요. 감사드립니다.

  • @최타길
    @최타길 7 лет назад +31


    경험인데 지어놓은것을 구입하는좋습니다
    시골에서일꾼 구하기 넘힘들고
    집 완성되면 십년은늙어요

  • @곽소장의주택이야기
    @곽소장의주택이야기 5 лет назад +1

    평당 공사비의 함정이라는 게 있지요 대부분 사람들이 알고 있는 그리고 관심 있는

  • @giveme3514
    @giveme3514 7 лет назад +43

    어휴.. 상상도 못했네요~ 추가비용이 이렇게나 많이 생기게 될지는~
    정말 유익한 정보 감사해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용^^ 파이팅~!!

    • @westseahouse
      @westseahouse  7 лет назад

      +최고김
      감사합니다. 다들 처음에는 평당 얼마면 되겠지 하고 시작하는데, 막상 알아보고 일을 진행하다보면 대부분 2배는 들더라구요. 그래도 사실 도시의 아파트보다는 저렴하지만 맘고생할게 이만저만 아니랍니다~
      따뜻한 말씀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사랑으로-m6f
    @사랑으로-m6f 4 года назад

    건축교육을
    받을수있는
    기관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참지식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한 나날되세요 ~~~

  • @박향철-w9m
    @박향철-w9m 6 лет назад +5

    건축관계 종사하는데 아는분들 모두 평당 얼마냐? 하구 묻지요.저는 그럼 돈대로 짓는다 하죠.ㅎㅎ
    그러면서 돈 많이 들어야 좋은집짓고 돈 애끼면 나쁜집 지어지니 예산금액부터 물어보고 예산금액이 너무 적으면 좀 더모아 지어라고 합니다.
    충분한예산으로 짓는다면 예쁘고 좋게 지어줍니다.ㅎㅎ

  • @인천다람쥐
    @인천다람쥐 6 лет назад

    주택 만드실분들께 많은 도움될거 같아요
    평당 가격에 곱하기2정도 기본 생각해야겠군요 말씀도 재미있게
    풀어주셔서 웃으며 영상 잘보고 갑니다

  • @kwon8481ts
    @kwon8481ts 6 лет назад +3

    전 4년후쯤에 바닷가근처에 컨테이너 식당을 만들려고 하는데 도움 많이 되었네요.추가비 무시 못하겠네요.ㅋ

  • @전승희의다육이
    @전승희의다육이 3 года назад +1

    와우 전원주택에서 돈없는분은
    엄두도 못네겄습니다 집접 시공하지말고
    예쁜집 사서 이사하는게 헬신 팬하게네요 귀하고 소중한 정보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 @황태원-g7k
    @황태원-g7k 6 лет назад +4

    위에 나열한추가비용 절반은 건축 금액에 포함되는줄 아는되여.데크.싱크대.신발장.기와.등등 나도 건축 하청일하는데여.아무튼 잘 밨습니다.ᆢ

  • @dkqpakfld531
    @dkqpakfld531 3 года назад

    어딜가도 말안하는데 팩트체크 고맙습니다

  • @진실은언제나하나
    @진실은언제나하나 6 лет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집을 지으고 싶은데 저런 비용들이 든다는 것을 이제 알았네요.
    ㅋㅋ저는 고등학생입니다. 저만의 집을 짓고 싶네요.

  • @dons5826
    @dons5826 6 лет назад

    너무 감사합니다. 요즘같은때 큰맘먹고 준비하려는 일반인들에게 너무나도 유익한 정보였어요 처음준비하려는 제 입장에서는 상상도 못한 숨은 비용들에 정신이 확 드네요 아무도 알려주지 않아 전혀 무지했는데 더 탄탄히 준비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맘같아선 추천 100개 드리고싶네요 감사합니다.

  • @요정팅커벨-s5d
    @요정팅커벨-s5d 7 лет назад +7

    설계비 아끼지말고 꼼꼼히 빠짐없이 재료 표기하고, 추가비용 나올것 같은 공사를 미리 예측해서, 계약서에 표기하다보면 공사비가 오르는데...그 런 설계도면 가지고 단가를 조율해야된다! 설계도면이 아주 중요하다는 것.

  • @hunlee8921
    @hunlee8921 6 лет назад

    우연히 영상하나 봤다가 곁가지따라 계속 따라 봅니다. 언젠가는 전원주택 한번 살아보고 싶다는 로망 좋은 베움 얻어가요

  • @고갱님-o8f
    @고갱님-o8f 6 лет назад +5

    그 추가비용 ... 추가비용이 나오게끔 공사 한다죠 아마 .... 병원이 병주고 약주고 하는것 처럼 ,,,, 좋은 정보인것 같군요 ....

  • @comcross
    @comcross 6 лет назад

    오늘 처음 바닷가 전원주택님 영상 봤는데 재미있네요. 건축하다 빡침이 정말 느껴집니다. 좋은 영상입니다. 참고가 많이 되겠네요.

  • @황병건-g6r
    @황병건-g6r 7 лет назад

    명쾌한 설명고맙습니다 쉽게 두리뭉실 계획세워 추진할일이 아니네요 참고하겠습니다

  • @aassddffqqwweerruuii
    @aassddffqqwweerruuii 7 лет назад +5

    전원생활 컨텐츠 중에 가장 중요한 내용입니다!!

  • @BayganGundam
    @BayganGundam 7 лет назад

    좋은 취지로 영상을 올려주셔서 아주 잘보았습니다.
    무작정 시작하면 말씀하신것처럼
    돈먹는 하마가 될수 있지요.
    근데 꼼꼼하신 분들은 처음 지으셔도
    말씀하신 내용들을 모두 예상하시고
    견적을 뽑으시더군요.주변에 대단한 분들이 참 많습니다.수고하셨습니다.

  • @배기현-p9g
    @배기현-p9g 7 лет назад +25

    현 건축업자입니다. 위에 말씀하신 내용들은 추가비용으로 생각하실 것들이 아니고 건축 계획 단계부터 면밀하게 검토 해야하는 내용들 입니다. 설사 평당단가를 정하고 공사계약을 한다 하더라도 그 공사비안에 포함되는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내역으로 작성해서 계약을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처음부터 그런 내용들을 건축주가 전혀 알지 못한다고해서 자세한 설명을 해주지 않고 무조건 일단 계약후에 이것 저것 추가로 말한다면 그건 건축 초보자이거나 사기꾼 이겠지요. 정상적인 업자라면 그렇게 어설프게 하지 않을겁니다. 아무쪼록 건축을 계획하시는 모든분들 건축으로 인해 십년 늙는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 @sunggusu4333
      @sunggusu4333 5 лет назад

      토목구조검토/연약지반 공사비 과다시/흙막이 가시설 설계/토목옹벽설계/팽이기초 특허업체 비용 30% 절감 공기2배 단축 010 5809 1209 전국 설계 및 시공 가능하니 문의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문의 한 번 주시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nikioh77
    @nikioh77 6 лет назад +1

    기본적으로 .... 평당건축비*2에 의외의 비용 플러스 알파 라고 생각해야겠네요.. 좋은정보감사합니다.

  • @김재신-c6n
    @김재신-c6n 6 лет назад +3

    돈은 은행이 알아서 주겠죠...^^ 빵 터졌습니다..하하하. 따봉 꾹 누르고 가요...

  • @kainrs77
    @kainrs77 6 лет назад

    건축업자들이 꼼수인가 했더니 ..건축주의 욕심이 커지는거네요 ㅎㅎ 건축주의 욕심을 다 채우면 금액이 올라가는게 맞겠죠 더 좋은거 더 나은거 하려다보니 당연히 시공업체에서 손해보고 할수는 없는거니 건축전 디자인미팅때부터 구조 디자인 마감재료까지 직접컨택해서 그걸 토대로 건축비용을 산정하시는게 현명한방법입니다 !

  • @poemge
    @poemge 7 лет назад +63

    전원주택 다 짓어놓고도 편안할꺼 같죠?.. 여름엔 풀 해충 소음(저희는 매미) 청소 하다 못해 텃밭하나 가꾸려해도 종일 손이 가요 겨울엔 난방비 보수공사 추위 ㅋㅋ 관리인 쓸꺼 아니먼 돌아버림니다 뭐 체질에 맞는 사람이면 다행이구요 정말 개인적으로 전원주택 추천한다면 콘테이너 건축으로 25평 안넘게 작게 짓고 사는게 좋아보이고 잔디 텃밭 이것저것 포기하고 그냥 아스팔트나 시멘트 깔고 족구라인하나 그려놓는게 마음편함요 텃밭하실려면 5평 안넘게 하시구요 파쇄석은 환경에 따라 도둑고양이나 짐승들 화장실 되기 딱 좋습니다 창고는 진짜 여유좀 되시면 주차장 차고랑 같이 있는게 진리입니다 더 쓰자면 더 쓰는데 어째든 짓고나면 제 경우 주위사람이나 친구들 팬션됨니다.. 쓰레기에 설거지 꺼리..이것들은 그냥 에혀..

    • @park.t.s9944
      @park.t.s9944 7 лет назад +2

      이쁜고양이를 왜 도둑고양이라고 하나요. 길냥이들하고 같이 삽시다.

    • @커피라떼-c5g
      @커피라떼-c5g 7 лет назад +4

      유눈꽃
      풀과 텃밭의 수고가있지만...
      그건 개인취향같아요..
      풀뽑는것도 재밌다는 사람도있으니까요...
      겨울철 난방보수와 추위는
      단열을 잘하면 진짜 아파트보다 더 따스워요~ 우풍도 없구요~
      매년 손볼필요는 없어요..
      보일러는 7년 넘으면 그때부터 슬슬 고장을 일으키지만 수리받으면 또 몇년은 쓰니까요...
      집지을때 단열을 최우선으로 하고 지으면 그렇게 난방염려 안해도 되요~

    • @jys923
      @jys923 7 лет назад

      잔디는 안깍아도 그만이고 보일러 최소 10년은 멀쩡하죠.그리고 왜 추워요...요즘 이중창만해도 외풍 없는데.. 무슨 관리인씩이나 집이한 500평되면 모르겠는데

    • @cjcs2002
      @cjcs2002 7 лет назад +12

      쿠앤크 글세요. 고양이를 좋아하는사람이면 모를까 주택살면 고양이만큼 미운동물이 없어요.
      정원 파헤쳐 놓지 똥 싸놓지 쓰레기봉지 뜯어놓지...

    • @park.t.s9944
      @park.t.s9944 7 лет назад +10

      주택사는데요.. 개인주택 살아요 서울안에서.. 마당에 똥싸놓고 그래도 제가 그냥 치워요. 똥싸면 안되는곳에는 나무젓가락을 꽂아두고요.. 그러면 안싸요. 어쨌든 저는 고양이를 기르기때문에 다 이뻐보이거든요.. 그런데, 저도 몇년전만해도 님처럼 마당에 똥싸놓으면 막 내쫒고 그랬어요. 근데 어느날 사람을 잘 따르는 한 길냥이가 마당에 나타났어요. 애교피우고 그랬어요. 다리에 막부비고 저보면 발라당눕고 ㅎㅎ 그래서 사람먹는 밥 주다가 이게 나쁘다는걸 알게된후에 사료를 사서 마당 한켠에 주기 시작했어요. 물하고요. 그러다 그때는 중성화 그런거 몰라서 1년에 한번 애를 낳는다는걸 몰랐죠. 그런데 어느날 배가 불러오기 시작하더니 마당 구석진 곳에 바구니안에다가 애기5마리를 낳았더라구요. 날이 추워지는 11월달이라서 어쩔수없이 집안에 들였습니다. 집안에 박스를 만들어주어서 어미와 아가들만의 공간도 만들어주고. 고양이 네이버 카페에 가입해서 필요한 용품들 알아보고 모래도 사고 사료도 사고 닭가슴살도 삶아주었어요.. 그리고 진정한 어미의 사랑을 보았습니다. 고양이에게서요..

  • @choich5659
    @choich5659 6 лет назад

    이영상보니까 그냥 타운하우스 50세대 100세대 분양하는게 답이네요
    분양가가 정해져있고 유지보수가 어느정도 되니까(당연시행시공사가 부도안난다는가정하)
    직접 짓고사는것보단 단독주택단지 타운하우스단지로 들어가는게 답이네요.
    요즘 단지형 단독주택들은 처음시행업체가 땅을 큰부지로 매입하다보니 토지에서 어느정도 세이브가됩니다.

  • @meridian1219
    @meridian1219 6 лет назад +5

    시공업자랑 먼저 만나서 계약 하니까 저리 되지.... 설계업체랑 먼저 만나서 이야기 해야 전체 견적이 나오지. 초반에 나온 토목 이런것도 다 견적 내주고 인허가도 해주고 하는데... 좀 잘하는 설계 업체는 대지 레벨도 잘 조정해서 시야 확보도 잘 해준다. 건축업 하는 입장에서 보면 동영상 올리신분 자기 집 짓는데 너무 주먹 구구식으로 접근함.

  • @kangyg14
    @kangyg14 6 лет назад

    이야 건축에 대해서 모르는게 정말 많았는데...
    정말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최근에 지금 살고있는 집 재건축을 생각했었는데 보통 돈 드는게 아니네요...ㅠㅠ 자세히 계산해보진 않았지만 기본비x2.5배 하면 넉넉할것 같네요
    그러므로 우리집앞에 집 리모델링하는 건축주 아저씨는 부자였군요ㅋㅋ

  • @매매하얀양
    @매매하얀양 6 лет назад +3

    와 너무 잼나게 좋은 정보 감사합니나

  • @jdh1947
    @jdh1947 6 лет назад

    시공단가는 건축사의 설계비, 시공감리등 기본적인 비용이고 추가비용은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밖에 없을거에요.
    추가비용에서 건축사가 이득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추가 공사 상황을 알맞게 판단하는 것도 건축사의 역량이기도 하고요.
    좋은 건축이라고 할 수 있다면 좋은 설계로 구조와 단열, 설비등이 잘 알맞게 설계되어 집을 사용하기에 문제점이 없어야겠고,
    추가비용은 추가나 상황에 따라 발생할수 밖에 없지만 얼마나 더 좋고 시간과 비용을 알맞게 시공하는것은 모든 건축인들의 역량이기에
    이 영상말씀처럼 건축견적 상담시 그들이 지었던 결과물들이나 상담중 내용에서 건축주가 현명하게 판단했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수-s2q
    @이상수-s2q 6 лет назад +6

    일산부근(대곡역) 10년전 기본 단가 1억원으로 50평 주택 짓기로 했지만 결국 2억쯤 들었는데.. 외장에 쓴 돈은 별로 없고 농지 변경 및 취득세가 8천정도 ...세금 덩어리.입니다.. 130평 창고 짓을땐 건축비 보다 세금이 더 많았던 기억이 있네요.. 하여간 세금 무시 못하죠.

  • @greencheek7453
    @greencheek7453 6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저도 지금 고려중이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argonryu4891
    @argonryu4891 7 лет назад +19

    훌륭한 어드밴스 인포메이션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 @westseahouse
      @westseahouse  7 лет назад

      +argon ryu
      감사합니다. 건축을 계획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기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되세요~

    • @greaterreviewer5429
      @greaterreviewer5429 6 лет назад +1

      argon ryu 어드밴스 인포메이션ㅋㅋㅋ ㅋㅋ

  • @qwasdfgh1586
    @qwasdfgh1586 6 лет назад

    영상 잘봤습니다.
    건설쪽에 일하다 보니 연관된 일이라
    몇자 적어봅니다.
    건축물을 짓는 참여자는 크게 4군데가
    있는데 건축주, 설계사, 감리사, 시공사(건축업자)로 나눠죠
    규모가 작은 주택을 지을땐 통상 건축주, 시공자 (설계, 감리,건축업자) 둘로 나눱니다.
    영상처럼 건축을 잘 모르는 건축주는
    시공자에 평당 얼마로 견적을 받습니다. 콜해서 지으면서 추가 비용들이 발생하는게 일반적인데요
    건축주는 예상했든 못했든 중간에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추가비용때문에 속알이를 하게됩니다.
    추가공사비를 안주면 공사중단이 되는 문제도 발생하니까요.
    작은집은 공사기간도 짧고 비용도 줄이려다보면 설계, 감리를 그냥 형식으로만 하는게 문제가 됩니다.
    작은집도 설계, 감리의 필요성을 적어보면.
    * 설계는 집을 그리는것만이 아닌
    설계도서가 작성됩니다.
    설계도면: 토목, 건축, 전기, 설비등
    특정공법이나 자재스펙을.
    그림으로 박을수 있음
    시방서: 건축주가 바라는 자재의 사용,
    하자방지를 위한 조치, 특정자재의 품질등을 특정하여 일반시방서외에 특기시방서로 명시할수 있습니다.
    특기시방을 위반시공하면 계약위반사유가 되어 소송으로 가서 이행을 요구할수 있습니다. 자재의 변경은 감리확인을 거쳐 건축주가 승인해야하는겁니다.
    설계도면에 없어도 특기시방서에 명시된것이 순서로 우선합니다.
    내역서: 건축주가 바라는 자재의 단가로 내역을 뽑아 의도하지 않은 추가 비용을 사전에 방지할수 있죠
    설계과정에서 설계비용이 일반 기본인허가용보다 내용이 추가되다보면 비용이 더 올라가겠지만
    짬짜미로 건축업자에 맡겨 무슨재질로 지어지는지도 모르고 끌려다니는것보다 원하는 재료로 지을수 있고 가격을 확인가능하기 때문에 설계를 맡기고 설계시 건축주 요구내용을 전달하여 참여하는게 좋습니다.
    *감리는 작은주택지을때 설계사에서 같이 집어넣어 인,허가때만 서류적으로만 쓰는게 보통인데
    집짓는 몇개월 공사진행, 하자요인검측, 설계된 자재의 사용,
    협의되지 않은 자재의 변경등 공사진행 전반을 검측하기 때문에
    주 몇회등 근무조건과 감리비를 조율하여 중간중간 건축주에 보고해주는 조건으로 계약맺는것이
    제대로 집을 지을려면 필수입니다.
    직접 건축업자와 건축주가 다툴일이 줄어듭니다. 건축의 경우 경력많고
    은퇴하고 쉬는 분들도 있고 잘조율하면 주 2-3회 월 얼마. 해서
    2-3달 하면 기술적, 법률적, 금액적 비용절감등 건축주이익을 따지면. 이 비용 아끼고 업자에 통으로 맡겨서 하는경우 그냥 지어주는대로 감지덕지 건축물 인계받고 많은 하자에 속상한 일도 많아지죠.
    건축업자가 추천하는 설계사나 감리사는 원칙적으로 피하는게 좋죠
    자신들과 거래하는 업체인경우가 많아
    그쪽입장에서는 건축업자가 클라이언트이기도 하니까요
    몇군데 수소문해서 믿을만한 설계, 감리사를 따로 선정하는게 좋습니다.
    건축업자에 견적받고 집을 급하게 지으려고 서두르다보면 품질이 제대로 나오기 쉽지않죠. 계약서 도장부터 찍지 마시고 설계사에 들려 사용자재, 구조에대해 전문가에게 조언을 들어가며 진행하는걸 추천합니다.

  • @poseidonkevin8807
    @poseidonkevin8807 6 лет назад +4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이승필-l8u
    @이승필-l8u 7 лет назад

    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이런 정보가 삶을 살면서 가장 필요한 정보가 아닐까 싶습니다.
    더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 @달리는거야
    @달리는거야 7 лет назад +6

    설계시에 공정별 내역설계를해서 발주하고 건축업자와 갈등시 소송에 대비를 했어야 합니다. 아울러 스스로 할 수 있는것은 시간을 두고 천천히 하는게 행복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