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4월 게임 단속이나 육성이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1999년 4월 게임 단속이나 육성이냐

Комментарии • 64

  • @koleanan1001
    @koleanan1001 5 лет назад +43

    게임보다 더 해로운 것은 바로 각종 불륜이 판치는 드라마입니다.

    • @whenever0807
      @whenever0807 3 года назад +2

      맞는 말이지만 GTA로 살인 사건 여럿 나는 등의 해악도 분명 있어요

    • @abc-h9l5c
      @abc-h9l5c 3 года назад +4

      학교드라마,학교폭력 영화도 문제임
      그걸보고 따라하는사람도 있을태고

    • @richardphillipsfeynman8851
      @richardphillipsfeynman8851 17 часов назад

      @@whenever0807 GTA로 살인사건이 일어나는거면 폭력 영화들도 전부 금지해야지. 한국영화는 특히 잔인한 연출 좋아하던데 영화산업도 금지하자

    • @whenever0807
      @whenever0807 7 часов назад

      @@richardphillipsfeynman8851 실제로 청소년들이 모방해서 살인 사건 여러번 났는데도 문제없다 생가하세요?

  • @kk-wv6zd
    @kk-wv6zd 6 лет назад +42

    지금봐도 어색하지않는게임중 하나

    • @sss379843
      @sss379843 4 года назад +5

      저때 스타그래픽이 얼마나 혁신적이였을지 상상이 안가네요

    • @kdchwin
      @kdchwin 2 года назад

      @@sss379843 토탈어나이얼레이션 이라는 게임 그래픽에 충격받아 스타크래프트가 발매연기

    • @nWoHITMAN
      @nWoHITMAN 2 года назад

      @@kdchwin 토탈어나이얼레이션이 아니라 이온 스톰의 도미니언: 스톰 오버 기프트 3보고 바꾼겁니다

  • @smiththe1687
    @smiththe1687 6 лет назад +22

    이때처럼 꾸준히 나갔어야 했는데ㅋㅋㅋ 정통부 게임산업육성

  • @비밥드론-f8e
    @비밥드론-f8e 6 лет назад +25

    저때NC소프트는 동네 구멍가게수준이었지ㅋㅋㅋ

  • @intel14nm60
    @intel14nm60 6 лет назад +24

    저때 페이커는 티비로 만화보는 땅꼬마였겠지... 이런 산업이 탄압받았다면 지금의 페이커도 없었을거고 그냥 수학 선생이 되었을거야

    • @salcazoid
      @salcazoid 4 года назад +2

      아마 태어나기 전이였을걸여?

    • @intel14nm60
      @intel14nm60 4 года назад +1

      @@salcazoid 1996년생임

    • @abc-h9l5c
      @abc-h9l5c 3 года назад +1

      페이커95인가96일탠데... 4살쯤이겠네

    • @봐요썸넬만
      @봐요썸넬만 3 года назад +1

      저때로 돌아가면 페이커 문방구 데려가서 맛있는거 많이 사줘야지

  • @nWoHITMAN
    @nWoHITMAN 2 года назад +4

    이때 이후로도 25년이나 달리고 있는 스타크래프트느님..ㄷㄷ

  • @AYKGC
    @AYKGC Год назад

    와…. 내용은 모르겠고
    저 시절 PC방 분위기가 확 느껴지네..
    살짝 꿉꿉하고 어두컴컴한데 헤드셋도 없어서 여기저기서 들리는 SCV뽑아내는 소리와 마린 죽어가는 소리만 들리던 그 시절…

  • @hjh2196
    @hjh2196 2 года назад +1

    이 뒤는 잠깐 아케이드 오락실 리듬 게임이 흥하다가 [DDR,펌프 등등] 리니지나오면서 다시 PC방게임이 완전히 게임계를 다 장악해버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LOCK-h2u
    @GLOCK-h2u 3 года назад +3

    꼰대 같은 소리좀 자제 했으면 좋겠다.
    게임보다. 해로운게 불륜이 난무한 드라마다

  • @tvlsh5771
    @tvlsh577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PC방 의자 간만이네요.
    어느 PC방 가던 저의자인데 핑크색,남색 ㅋㅋ

  • @ichiro2751
    @ichiro2751 6 лет назад +7

    택진이형 형이 왜 거기서 나와?

  • @hoshika427
    @hoshika427 4 года назад +2

    슨상님 게임산업 육성 정책

  • @Santiago-4545
    @Santiago-454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때가 새천년을 맞이하기 9개월 전이었다니...

  • @Renlaw666
    @Renlaw666 6 лет назад +11

    와 당시 쩌는 정통부

  • @dulke_suzevi
    @dulke_suzevi 3 года назад +4

    당시 스타크래프트 청소년 버전에서는 마린 죽을때 흰피 흘렸었음 ㅋㅋ

    • @izumiaco5079
      @izumiaco5079 3 года назад +2

      메탈슬러그 모덴군 우유 뿜던 시절

  • @Kitty4485
    @Kitty4485 3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방향으로 발전했으면 좋으려면 국내 게임업계 생존전략은 가챠뽑기 확률사기

    • @Kitty4485
      @Kitty4485 3 года назад

      @@16애무 좋은 방향으로 발전했으면 좋으련만 /
      뭐 대충 알아들어라 애무님아 내가 쓰다가 실수한거 같은데
      가챠 - 원래 일본에서 철컥철컥 절그럭절그럭 대충 이런뜻이고
      동전넣고 돌리는 뽑기 기계 떠올리면 된다
      확률사기 - 확률형 아이템이라 적고 확률 사기라고 보면 되고
      0.0001 프로, 리지니 M 같은 게임에서 과금하고 뽑기로 득템율이 보통 이정도니까 확률사기다
      내가 첨에 잘 적었어야 하는데 개떡같이 적어서 미안하다 찰떡같이 알아들어
      아는 만큼 보인다 겜좀 해봤으면 대충 알아들을거다

    • @Kitty4485
      @Kitty4485 3 года назад

      @@16애무 한가지만 하셔여 반말하다 존대하다 존대하니 저도 존대로 대하지요
      후끈한줄 알면 부끄럼을 아신다는건데
      위에 뭐라 했습니까 아는만큼 보인다고요
      잡학다식한거 알아줘서 감사하고 저도 일본말은 모릅니다 게임하다 여기저기 주어들은거죠 그리고 한국사람 맞습니다 일본말 모르신다면서 잘 쓰시네요 좋은 하루 되셔요 ~

  • @hyeoknam1648
    @hyeoknam1648 3 года назад

    1:14 택진이형?

  • @메짱이-y5e
    @메짱이-y5e 3 года назад +1

    저형님들 지금 40대겠네 ㅋㅋㅋㅋㅋ

  • @ord_house_chef
    @ord_house_chef 3 года назад

    0:08 상혁아?

  • @벼리-e6g
    @벼리-e6g 6 лет назад +2

    리니지 이때 붐을 일으키기 시작전이였지

  • @hoodie7745
    @hoodie7745 4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지금 게임시장수입은 영화 음반 같이 웬만한 산업들은 다재치지ㅋㅋ 게임 이외의 문화산업을 다합쳐도 게임시장 수입 못따라오더만

  • @coldsmith7914
    @coldsmith7914 Год назад

    정통부를 왜 폐지해가지고...그

  • @개늑대
    @개늑대 3 года назад

    아스타치워요 테란할대마다초반만에겁나털린기억있단말야!

  • @user-a9sa8d39zm
    @user-a9sa8d39zm Год назад

    민속놀이 입니다

  • @김욱-j1g
    @김욱-j1g 3 года назад

    와 나 이 뉴스 본 기억나네 ㅋ 이후 미성년자도 스타를 하게됐지 ㅋ

  • @KansaiMINT
    @KansaiMINT 3 года назад

    0:18 와 브루드워도아니고 오리지날이네 메딕없는거보소 ㄷㄷ

    • @al-jh6jb
      @al-jh6jb 3 года назад

      99년은 브루드워 나왔을때 아님?

  • @kimjinhyun97
    @kimjinhyun97 6 лет назад +2

    스타 틴 버젼 있지안앗나?????

  • @mooncuspia
    @mooncuspia 4 года назад

    문화관광부가 이겼음 큰일 날 뻔 했네...;;;

  • @shinypokemon.
    @shinypokemon. 2 года назад

    저거 김택진아냐?

  • @Rider-lo9vt
    @Rider-lo9vt 4 года назад +1

    문화관광부가 아니라 문화탄압부였네

  • @nasran01
    @nasran01 3 года назад

    1999년에 스타에도 있엇구먼

  • @pys-zz3pk
    @pys-zz3pk 3 года назад

    2021년 현재 아직도 스타리그 진행중

  • @퓨어마스터
    @퓨어마스터 3 года назад

    저때 NC주식을 샀어야하는건데... 씁..

    • @pfizerbottle.
      @pfizerbottle. 2 года назад

      Nc소프트 상장은 2000년도임. 원래1999년에 하려다가 imf영향땜에 미뤄짐

  • @김정현-e8q7n
    @김정현-e8q7n 7 лет назад +1

    저게 아직도 남아있는데 크...

  • @ai7010b
    @ai7010b 3 года назад

    잔인한 게임이라 규제를 논의 했다는..........

  • @궁굼해하지마-s4l
    @궁굼해하지마-s4l 4 года назад

    내가 초딩때 거의 깨버리고 다녔는데

  • @koreajapangood0000
    @koreajapangood0000 6 лет назад +4

    저기 게임하고 있는사람들 아저씨인데

  • @surplusking2425
    @surplusking2425 6 лет назад +7

    저때의 선택이 김대중 행정부 신의 한수였지

  • @릿지-r7s
    @릿지-r7s 3 года назад +1

    약 20년뒤 게임의 폭력성을 알아보기 위해 PC방 전원을 차단하게 됩니다^^

  • @lacoste636
    @lacoste636 6 лет назад +1

    그래서 게임산업이 발전했어? 배그 하나빼곤 죄다 현질 유도하는 온라인게임밖에 없지 않아?

    • @surplusking2425
      @surplusking2425 6 лет назад

      스팀에서 국산 온라인게임 평가같은거 보면 딱히 그렇지도 않음. 오히려 케이팝이 거품이고 과금유도는 한국만이 아닌 게임산업 전체의 문제라

    • @dubu999
      @dubu999 4 года назад +1

      @@surplusking2425 나도 게임 좋아하지만 솔직히 단순 매출액 가지고 케이팝이 거품이니 한류가 허상이니 뭐니 하는건 의미 없는 말이다. 소프트파워의 힘을 무시하는 생각임 ㅋㅋ 예컨데 나는 CDPR의 위쳐 폐인이고 사펑도 구매 예정에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폴란드어를 배우고 싶다거나 폴란드에 여행을 가고 싶다는 생각은 1도 안듬. 한때 미쳐살았던 월탱을 하면서도 벨라루스에 가고 싶다는 생각은 들은적이 없고 애초에 러시아게임인줄 알았다. 이건 스타크래프트를 하건 롤을 하건 베데스다 게임을 하건 마찬가지임. 왜냐 하면 게임은 정말 작정하고 문화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를 녹아내며 만든 게임이 아닌 이상 2차 소비로 이어지는 근거가 약한 컨텐츠다. 지금은 망했지만 10년전에 일본에서 라그나로크가 유행하며 온갖 동인작가들도 그림 그린다고 인기 끌고 한적도 있었고 애니 소아온 작가에게 영감도 준 게임인데 라그나로크를 하면서 과연 얼마나 되는 일본 사람들이 아 이 게임을 하면서 한국문화를 느낄수 있었고 한국에 가서 여행도 하며 라그나로크 굿즈도 사야겠다 하는 생각을 했을까? 나는 업무차 오는 일본 유통업자 관계자들 말곤 없다고 확신한다ㅋㅋ
      그에 반해 케이팝이나 한류컨텐츠는 한국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문화적 파급력을 가지고 있음. 이건 해당 컨텐츠가 한국어로서 이루어지고 한국의 문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드러나 있기 때문임. 자동으로 한국과 한국의 언어 문화 음식등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끔 되어 있고 이는 곧바로 2차 소비로 이어짐.
      많은 게임 팬들이 아무래도 박해받고 억압을 받다보니 대중문화에 반감을 가지고 있고 나도 이해하지만
      오히려 이런 서브컬쳐를 즐기는 팬들이 가장 쉽게 이해 할수 있는게 이런 한류 컨텐츠임.
      프사가 아무래도 애니 관련 된 프사니 말해보자면 한류팬들은 일본 애니 좋아하는 덕후들과 똑같은 심리적 기작이 일어남
      일본애니 덕후들이 일본 애니 보면서 일본과 일본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일본어를 자연스럽게 듣고 익히며 일본어에 관심을 가지고 일본어학과에 진학하거나 JLPT 같은 시험에 응시해보거나 더 나아가 일본에 여행을가 애니가 묘사했던곳에 가 성지순례를 하고, 아키하바라에 가고 굿즈들을 사 모으고 여러 행사에 참여하고 하는것들이 한류팬들에게 동일하게 일어남. 루리웹 같은데 보면 일본은 그렇게 싫어하면서 일본을 못 잃으며 변명 해가며 일본 상품들을 구매하고 소비하며 외화를 유출시키는데 그 만큼 이러한 종류의 문화의 힘과 파급력은 강력하다는거고 무시할 수 없는 힘임. 오히려 게임은 그런면에서 볼때 공산품과 비슷한 특성이 있다 본다. 미국에 현대차나 기아차를 가져다 팔면 한국차의 위상은 올라가겠지만 그렇다 해서 한국에 대한 2차 소비로 이어지는건 아니지. 이러한 특성을 무시해도 된다는 위치가 되려면 삼성이 휴대폰 파는것 마냥 압도적인 위치를 가져가야 하는데 한국 게임이 전세계 게임시장에 일본 게임 마냥 한국 게임이라는 카테고리를 브랜드화 하고 점유하며 위치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 @이중호-u1t
      @이중호-u1t 4 года назад

      @@dubu999 kpop이 한국에대한 관심을 일으키는 문화적 파급력을 가지고 있다는건...뭐 찐팬이면 콘서트 같은건 조금은 보러올 수 있겠지 근데 그렇다고 한국에 막 관심이 생길까?걔네는 그냥 아이돌을 좋아하는거야.월드컵을 보러간다고 그나라에 관심이 생기지 않는것처럼 콘서트를 보러온다 하더라도 그냥 콘서트자체를 보러오는거지 한국에 오는게 아니야.... 물론 그에따른 간접적인 지역매출 증가와 직접적인 아이돌 굿즈에 대한 매출증가는 있어. 하지만 요는 그게 끝이라는거지.kpop만 따지고 봤을때 한국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는 문화적 파급력을 지닌다는것을 잘못된 견해인거같아.뭐 종합적으로 한국이라는 나라의 존재를 알게되는데 기여한것은 맞지만 그게 끝이지.예를 들어미국이라는 나라를 몰랐다가 미국가수의 노래를 듣고 알게되었다고 미국에 관심이 생기고 미국에 가고싶어졌다 라는건 너무 비약일테니까?

    • @dubu999
      @dubu999 4 года назад

      @@이중호-u1t 대중매체의 파급력을 모르네 ㅋㅋ 멀리 갈것도 없음 댓글에서 언급했듯이 일본 애니보고 일본어 배우고 일본가는 애들이 방증이다. 그 말대로라면 애니만 좋아하는거니 애니만 보고 끝내야 하는데 왜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까. 이건 한국 오타쿠 뿐만이 아니라 서구의 위아부들도 마찬가지임.
      방구석에서 음악만 듣다가 콘서트 보러 한국에 와야겠다 한국에 와서 콘서트 보는게 끝이다 그게 뭔 가치가 있냐 하는데 그게 바로 2차 파급력임. 한국에 대해 원래라면 알지도 못하고 갈 생각도 없는애들이 그 가수때문에 한국에오고, 콘서트만 보는게 아님 한국에 와서 한국 숙박시설에 투숙하고 한국에서 밥을 먹고 온김에 한국 관광지도 들림. 그러면서 외화가 유입됨. 한국에 대한 관심이 환기된다 그 자체 부터 대단한 파급이고 무시할만한게 아님.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만들어지면 다른 공산품이나 소비에도 영향을 끼침.
      일본에서 유일하게 삼성폰 쓰는 사람들은 한류팬 아줌마들 밖에 없다 하는것처럼 재고된 국가적 이미지가 다른곳에서도 영향을 끼친다. 그게 소프트 파워임.
      게임과 같은 국가적 특색이 드러나지 않는 공산품은 그냥 그 게임을 좋아해서 게임을 한다로 끝임. 한국과 연결된 고리가 약하기 때문에 아예 그 무슨의미 있냐 하는 '콘서트만을 보러온다' 하는 다음 선택지조차 아예 1도 없음. 차라리 게임 개발 보다는 프로게이머들이 가진 파급력이 더 클거다
      이런건 그냥 동남아 같이 한류 영향력이 큰 나라에 가서 본인이 느끼는 수 밖에 없다 ㅋㅋ 뭐 댓글로 백날 말해보고 정부 보고서나 언론을 인용한등 무슨 소용이겠나
      미국음악 미국 문화를 예로 들지만 이미 미국 문화란 거대한 영향력 안에 절여져 숨쉬듯 그들 문화의 영향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입장에서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가 새로이 시작하는것과는 동률로 생각하기 어려울듯. 이미 그들이 만들어 놓은 거대한 문화적 매트릭스 안에 있는데 뭘 새로이 더 느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