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 모르면 망할 수 밖에 없습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504

  • @NightcoreEnjoyWorld-oo5ub
    @NightcoreEnjoyWorld-oo5u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30

    저 고정시켜주세요!!

    • @멍멍-e7w
      @멍멍-e7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1

      갑자기 ㅎ

    • @hyeonwoopark9242
      @hyeonwoopark924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오 소원 성취

    • @cafenavi-oz1ew
      @cafenavi-oz1e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3

      이걸해주네ㅋㅋ

    • @hbj8985
      @hbj898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그리고 마무리는 하트ㅋㅋ 완벽

    • @진주-k6q7k
      @진주-k6q7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ㅋㅋㅋㅋ

  • @user-tb2ro1kg9v
    @user-tb2ro1kg9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55

    부자들에 대한 여러 유튜브 영상을 보았는데 부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딱 두개가 있더군요.
    1. 책을 읽어라, 2. 남을 도와라

    • @김디카-z6b
      @김디카-z6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유투브에 나오는 부자들? Zzzzzㅋㅋㅋㅋㅋㅋㅋ
      할짓없어서 유투브 한다 그쟈?

    • @geungjeong-2
      @geungjeong-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ㅇㄷ

    • @bigclubliverpool
      @bigclubliverpoo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부자니까 책읽을시간이 있고 남을 도울 여유가있는거지 ㅋㅋ

    • @Fairytale_school
      @Fairytale_schoo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bigclubliverpool 책읽기는 하루에 10분씩!! ^^

    • @kinseok10
      @kinseok1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bigclubliverpool 시간은 가난한 사람이 더 많지 않겠냐? 영상에서도 티비만 본다는데

  • @돌대가리-t7r
    @돌대가리-t7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21

    저는 20살 때까지 집안에서 스마트폰을 못쓰게 했는데 급식시절에는 정말 불만이 많았지만 30대가된 지금에는 부모님께 감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없던 덕분에 다양한 방식의 문제해결 능력을 배웠거든요 그리고 더불어 인내심을 기르게 되서 명절마다 부모님께 이시절 추억 팔이 하면서 감사하고 있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맞습니다. 최고의 부모님이시네요

    • @blackdream5247
      @blackdream524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현명한 부모님을 만나셨군요ㅎ 부럽네요ㅠ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람들 ㅈㄴ착취해놓고 욕먹기싫어하는 양심터진 1% 모습 잘보고갑니다 ㅋㅋ

    • @Fuck_96
      @Fuck_9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hhf6t82be5j3정신병 있노?

    • @김아무개씨-s9b
      @김아무개씨-s9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폰 없이 교우 관계를 햇다고? 아싸임?

  • @minazzan
    @minazza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9

    정말 공감합니다... 스마트폰을 쓰고 나서는 기억력도 감퇴된 것 같고 긴글을 읽는 것에 더 많은 노력을 해야한다는 것을 느껴요... 업무 상 늘 휴대폰을 끼고 있어야해서 멀리하기 어려운 조건인데ㅠㅠ 참 딜레마에요..ㅠ

  • @rejion1877
    @rejion187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1

    스마트폰 없던시절엔 독서가 취미였고 그 취미가 군인때까지 이어졌는데 전역후에는 독서를 안하다보니 현재 기사시험 공부하면서 문제가 읽히질 않네요 공부할때도 집중이 잘 안되구요 스스로 스마트폰에 중독됬다는걸 알기는 하는데 극복하기가 쉽지 않네요..

    • @where9810
      @where981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핸드폰 끄고 가방에 두세요. 기사시험 공부 시간만 투자하면 누구나 합니다. 자격증 하나 따세요. 없는 사람보다 있는게 기술직 할때 차이납니다.

    • @blackdream5247
      @blackdream524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스마트폰의 노예가 되었음을 인지하셨다면 조금만 더 의지를 붙태우면 될거 같네요ㅎ

    • @인생은마라톤-x2u
      @인생은마라톤-x2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도 그래서..
      독서 습관 만드느냐고 힘들었네요..
      하루에 10페이지 정도씩만 읽으면서 페이지당 읽을때 1분으로 끊는 연습하면서 10페이지 읽는데 10분에서 15분 사이 걸리더라고요.. 그렇게 한달하고 나니 책 읽는데 눈이 다른데로 가는건 없고 뜻이 읽히면서 좀 들어오더라고여..(다른 유튜브 채널에서 얘기해준 내용) 따라했습니다.
      독서대 이용하셔서 공부하시면서 기사시험 빠르게 몸 건강히 붙길 바랍니다~

    • @blackdream5247
      @blackdream524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생은마라톤-x2u 오 저도 독서대 덕분에 책 읽기 정말 편해졌어요ㅎㅎ 지금도 독서대 없으면 못읽을 듯요 자세가 너무 불편해서요ㄷㄷ

    • @stillness-f8z
      @stillness-f8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수험기간 만이라도 투지폰으로 쓰세요...
      저도 그렇게 극복함...

  • @가브리엘-c6w
    @가브리엘-c6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95

    뛰어날 필요 없습니다. 이제는 평균만 해줘도 멋진 신입들어 왔다고 합니다. 실제로든 아니든 mz세대는 딱 할 일만 제대로 하면 좋은 평가 받습니다. 다만 회사에 취업할거면 '나'만 편한게 아니라 '내'가 소속된 조직이나 회사가 잘 굴러갈 수 있게 같이 일해주면 됩니다
    나만 희생한다?가 아니라 모두가 목표를 위해 헌신하는겁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맞습니다:)

    • @kimchiman51
      @kimchiman5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일하는 곳이 회사라는 곳을 망각하는 저지능자들이 너무 많죠

    • @진국-g6f
      @진국-g6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정답입니당

    • @shdj1hshs1shshs1
      @shdj1hshs1shshs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kimchiman51응 어차피 10년만지나도 제발와주세요 할건데 뭐하러열심히함

    • @vs-dr4vp
      @vs-dr4v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shdj1hshs1shshs1 ㅇㅇ 갑질 못하게 하려고 이민자 받고 AI개발중임

  • @dinos119
    @dinos11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8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논문은 종이로 인쇄해서 보는거, 책도 종이책으로 읽는게 더 잘 읽히더라고요. 덕분에 근처 무인 복사집 단골이 되었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저도 그랬습니다 ㅋㅋ

    • @쭈니-w4i
      @쭈니-w4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도 그렇게 느꼈습니다 종이책이 훨씬 집중이 잘 되더라구요

    • @바다구름-o6b
      @바다구름-o6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실제로 그렇다고 하네요.
      종이로 된 신문을 읽을때랑 인터넷 뉴스기사를 읽을때 기억의 휘발성이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있음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바다구름-o6b 맞습니다. 관련 연구가 상당히 많더군요

    • @stillness-f8z
      @stillness-f8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특이점이 온다 라는 책을 보니, 화면을 보면 미세한 반짝임이 있는데, 뇌가 그 반짝임을 인식하느라 집중력이 떨어진다고 함...
      저도 동의함.
      난이도 높은 글은 화면으로 읽으면 이해가 안 됨...
      그래서 출력해서 봄...

  • @어깡이-o6g
    @어깡이-o6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2

    일 할때, 책 읽을때, 자격증 공부 할 때 폰 일절 안봅니다. 집중해서 실수는 줄이고 빨리 끝낸 후 개인시간 더 가지는게 좋더라구요.
    공부하거나 책 읽을 때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면 제 기준으로 이해할때까지 읽고 또 읽어서 타인보다 많이 느리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인데, 기억에는 정말 오래 남더라구요. 특히 공부는 전공관련 공부는 기본 베이스만 잘 이해해놓으면 상급 자격증 공부 할 때 도움 많이되더라구요.
    .
    요즘은 아이들이 울고불고 난리치니 유아기 부터 폰으로 영상 틀어주고, 아이 나름 대로 호기심으로 바라보고 , 호기심을 원동력으로 움직이는걸 좋아하는데 사고방식 키워 줄 시간 주지않는게 문제라 봅니다, 인성.인내심 보단 '내' 아이를, '남'에게 끼워 맞추는 삶은 자식에게도, 부모에게도 좋지 않은거 같아요.
    .
    위에 말했듯, 저는 이해관계 속에 느린 스타일의 사람인데, 학창시절 선생님들이 저는 발달이나 인지가 늦다고 부모님 호출하셨음에도, 저를 잘 알고 있는 부모님은 저를 단 한번도 혼내지 않고, 느리면 그 나름대로 장점이 있겠지 하며 제가 하는 방식이 맞다고 다독여주셨어요.
    .
    모든걸 떠나, 부모들이 원했던 자신의
    삶을 아이에게 투영하는게 제일 큰 문제..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맞습니다. 전부 동의합니다

  • @2246-v5h
    @2246-v5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원래 사람은 끼리끼리 어울린다고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저 같은 하층민이 상류층 지식을 가진 사람과 대면하기란 군 생활 2년을 제외하면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는데 이렇게나마 간접적으로 대화할 수 있어서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더 좋은 이야기 많이 나누시죠:) 저도 더 노력해야하는 사람이라

  • @이서띠007
    @이서띠00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5

    제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중 하나로 책임감을 꼽고 있습니다.
    살다보니 책임감은 타고난게 아니라 소통과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달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세대를 불문하고 소통을 잘하는 사람들은 적고, 깊은 생각을 하는 것 조차 싫어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아 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잘하는 사람들은 잘하지만, 그건 세상 어딜가든 상위 1%가 먹여살리죠.
    문제는 그들과 같이 살아가는 99%가 가만히 있어도 모자를 판에 알량한 지식과 견해로 발목을 잡으니 답답합니다. 선진국 반열에 들어선 국가들은 다 겪는 문제인가봐요...
    인간은 반강제성이 없으면 게을러질 수 밖에 없는데, 이대로 가면 전쟁이나 식량난처럼 대규모 이벤트가 생길까봐 두렵습니다...나만 성공해봤자 뭐하겠어요...
    *"좋은 집이 있다 한들, 땅이 없다면 무슨 소용인가?"*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사람들 착취 ㅈㄴ해놓고 욕하지말라는 양심터진 1%의 모습입니다

    • @bes4448
      @bes444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글씨 굵게 어떻게 해요??

    • @handmadesoap8327
      @handmadesoap832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bes4448굵게 할 글 문구 양 옆으로 * 넣어주세요

    • @장삼풍-e8w
      @장삼풍-e8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예근성 쩌네 이양반

  • @hjshin560
    @hjshin56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40대까지는 인생컨닝님이 얘기한 것처럼 티비 안보고, 책 보고 하는 식으로 살았는데, 50대 되니까 포기하게 되더군요. 나이 들면서 지적 능력이 퇴화한다고나 할까, 진지한 내용을 붙잡고 있는건 한 시간 넘기 힘들더라구요. 이런 노화는 개인차가 클지 작을지 궁금하네요.
    연로하신 부모님이 하루종일 티비만 켜놓고 멍하니 있는 것보면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현재보다 더 늙으면 똑같은 모습이지 아닐까 하는 걱정도 들고요.
    말씀하신대로 10대, 20대에는 빨리 가려 지름길이나 요령 찾기 보단 정석적인 훈련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현재 사회가 물적 성취를 인생 성공으로 치환하는 바람에 모두가 조급해져 버렸죠.
    제 세대에도 인생컨닝님의 조언은 꼰대틱하다고 느낄텐데, 현재 사회에서는 더더욱.
    아마도 꼰대 나이가 되어야 비로서 깨닫게 되는 아이러니...
    이 채널도 남성 편중에 40,50대가 주력이라면 가정 교육에 쓸법하긴 한 얘기지만 사실 이 나이 남자들은 집에서 서열이 개 다음이라 발언권이 없...
    그래도 꾸준히 좋은 말씀 아끼지 말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뭐 하나라도 걸려서 인생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면 의미 있는 행위일테니까요.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ㅠㅠ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

  • @sangeunpark1673
    @sangeunpark167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실제로 인류는 농업혁명 이후로 지능은 끊임없이 박살나고 있습니다.(책 : 사피언스, 총균쇠 등 내용) 그렇다고 인류가 퇴보하고 있진않습니다. 고대 기록을 보면 젊은이들이 경험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책에 빠져있다며 한탄하는 기록이 있습니다. 매체는 끊임없이 진보하고 필요한 정보는 끊임없이 변합니다. 다들 너무 걱정하지 말고 열심히 살면 됩니다.

  • @블루벨벳-p3g
    @블루벨벳-p3g 12 дней назад +1

    올해 안에 새로 알게된 최고의 유투브 방송예요 매일 듣습니다 최고예요 ❤

  • @쭈니-w4i
    @쭈니-w4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전 어느 순간부터 스마트폰 유튜브 내용이 거짓 투성이 싸구려 정보가 넘친 다는걸 깨닫고 유튜브를 잘 안보고 독서를 시작했는데 확실히 기억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 모든 면에서 좋아지는걸 느끼 겠더라구요 변호사님의 말씀에 너무 동강입니다. 독서가 답인거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재평가맛집-만화썰이
    @재평가맛집-만화썰이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솔직히 말씀드리면 지금 SNS가 문제인 이유는 SNS가 신생컨텐츠이다보니 어리고 젊은 사람들의 유입이 많다보니
    어른들의 지식을 습득할만한 곳이 못 됐다는 게 좀 커보입니다
    예전에도 네이버 카페가 처음 등장했을 때, 왠만한 연예인들 안티 카페가 만들어지고 그 연예인들에 대한 과도한 비방 때문에 많은 분들이 고초를 겪은 것과 같은 이치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같은 경우에는 젊은 사람들이 활동하는 커뮤니티에 어른들의 지식을 넣어놓는다면 훨씬 나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런 점에서 인생 컨닝 님도 충분히 멋진 일을 하고계시다 생각해요
    물론 알고리즘 때문에 추천이 안되는 사람도 많겠지만.. 뭐 할 수 있는 만킁은 해야죠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네 맞습니다. 저도 그런 생각입니다 ㅠ
      다만 자동추천 알고리즘으로 인해 책에서도 지적하듯 양질의 컨텐츠가 보는 분들에게만 노출된다는 점이 조금 걱정이긴 합니다

  • @MangriCPA
    @MangriCP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55 이거 저도 정말 많이 겪는 내용인데 ㅋㅋㅋ
    저희는 기말감사 후 Dart 전자공시시스템에 업로드 하기위한 양식 파일인 DSD파일을 작성을 하는데, 1차적인 작성 이후엔 꼭 오탈자, 숫자 에러 등을 검증하기 위한 풋팅이라는 작업을 해요. 근데 확실히 화면으로 보는거보다 종이로 뽑아서 보는게 에러 잡아내는 정확도가 올라가더군요 ㅎㅎ

  • @empireleader1982
    @empireleader198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종이책ㅎㅎ 완전 공강합니다^^ 속독법도 머리에 안 들어오더라구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gaopa7
    @gaopa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요즘은 음악도 소비하는 시대지 배우는 시대가 아니다. 그러므로 너 또한 이제 노땅이 됐구만!' 이라고 제게 드럼을 알려주신 은사님들이 그러시더군요. "굳이 연습을 왜 해요?" 라는 분위기라고 합니다 요즘 어린애들을 가르치면요. 하긴 뭐 AI나 기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버튼 몇번만 딸깍 거리면 전부 되는 세상이니 이해는 합니다.
    다만, 인간이고 유한한 시간을 가졌기에 뭔가 집중해서 이뤄내는 맛을 아는 것도 개인적으론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그걸 하기 힘든 세상이니깐요.
    개인적으로 드럼과 무술에 한창 미쳤을땐 연습실에 7일내내 가서 5시간 이상 앉아서 안쉬고 계속 기초부터 연습해본 적이 있습니다. 도장다닐 때도 비슷했고요.
    남들은 입시생도 아니고, 그저 취미인데 왜 굳이 그렇게까지 하냐고 말하지만, 이건 제가 좋아서 하는거라 남들이 이해 못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내가 설정한 목표를 오롯이 내 노력으로 이뤘을때의 그 성취감은 굉장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주죠. 그걸 또 느끼려고 계속 욕하면서도 연습을 할 수 있고요. 또한, 하다보면 자신만의 방법이 생기기에 남들이 보기엔 지겨워 보여도 난 오롯이 집중이 가능하기에 2~3시간 집중하며 연습하는건 굉장히 쉽습니다. (저는 최대가 5시간)
    이건 안해본 사람은 절대 느낄 수 없습니다. 이해시킬 수도 없고요.
    어떤 경지에 도달한 사람은 다른 것들을 일부 포기하고, 그것에 자기의 시간과 혼을 갈아넣은 사람들입니다. 그렇기에 장인이 되는거죠.
    수박 겉핥기 식으로 빨리 할바에야 조금 느려도 집중해서 한 번에 하는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 @joihn21716
    @joihn2171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0

    도둑맞은 집중력 이 책 페이커 선수 같은 다른 명사들도 즐겨 읽으면서 적극 추천하는 책이더군요! 한번 읽어보겠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넵!

    • @Energy_Mastery
      @Energy_Master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젠장 또 상혁이 형이야... 숭배를 하지 않을 수 없어!

    • @블루벨벳-p3g
      @블루벨벳-p3g 12 дней назад

      저도 너덜너덜하게 본 책 ❤

  • @kjw1983
    @kjw198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저의 경우에는 짧은 문장을 직접 쓰는 것부터 시작해서 매일 도서의 문장 10개씩 쓰는 것을 연습하고 있습니다.
    그냥 폰으로 적어도 되는데,
    왜 굳이 필사를 하는가?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일부러라도 그렇게 직접 적는
    습관을 키워서 집중도를 높이는 것과,
    필기를 함으로써 머리를 굳지않게 하는 것+손을 유연하게 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정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richhappy
    @richhapp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최고입니다 👍
    일본 유학온뒤 바빠서 그리고 공부 시간으로 TV 볼 시간없는것에 감사드려요. 조금 아날로그식으로 살고 있지만 정답인것 같습니다.
    유튜브에서 이런 양질의 콘텐츠 알게되어 감사드립니다.
    요즘 대학생들 레포트검사에서도 글의질이 확연합니다. 독서량이 많은 학생의 글은 매우 우수한 경우가 많아 따로 캡쳐해두기도 합니다. 아 역시 맞아 (끄덕끄덕)
    좋은 방송 항상 응원합니다.

  • @duk9711
    @duk971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쇼츠 , 릴스 , 틱톡 같이 인간이 원하는 영상이 뜰 수 있는 피드백이 빠르니 중독이 쉽다라고 영상 본거 같아요.

  • @고매스터
    @고매스터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아이와 대화로 잘 설명하고 스마트폰은 성인이 되는날 제일 비싼 폰 사준다고 약속했어요~거실에 TV 없고 주말엔 가족모두 도서관가는게 자연스런 생활 루틴이 되었습니다.
    아이 있을때 부부는 폰을 안볼려고 합니다.그러다 보니 아이는 책 빌려 보는 욕심이 생깁니다. 관심이 스마트폰이 아닌 책으로 가더군요.
    아이에게 강요보다는 부모가 함께 하면 아이의 관심과 습관도 따라 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우와 멋지세요! 저도 그렇게 하려 노력하려 합니다^^

  • @안티키테라-k8b
    @안티키테라-k8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예전에 화폐전쟁 종이책 하루에 1권씩 취미로 정독했었는데, 스마트폰 많이 보니까 그 속도도 안 나오고, 잘 읽히지도 않더라고요. 집중력도 확실히 떨어지고...
    뭣보다 긴 호흡으로 생각해야 할 일들이 너무 짧고 성급하게 결론 내려지는 일들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사고 체계가 짧아지니, 기억력도 단편 단편으로 바뀌었어요.
    깊은 자아성찰을 하기가 힘들어졌습니다...
    그래서 최근엔 취미도 아날로그 취미로 바꾸는 중입니다. 운동이 되든, 악기가 되든 뭐든 말이예요.
    저의 경우는 악기였는데(매일 연습 2시간 정도), 확실히 일상이 예전처럼 돌아가는 기분이었습니다.

  • @bourbon125
    @bourbon12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젊을때 이런거 하나라도 더 알아서 참 고맙습니다.
    이 채널에서 자주 느끼는 생각입니다.😊

  • @곱하기의삶
    @곱하기의삶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그래도 저는 아직까지는 e북보다는 종이책입니다 종이넘기는 그 감성이 너무 좋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맞습니다^^

    • @llullu4273
      @llullu427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눈이 금방 피로해져서 e북 못 보겠음..

  • @Kamielluna
    @Kamiellun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인터넷을 할때 가장 중요한게
    이게 옳은 정보인가 나쁜정보인가
    나에게 도움이 되는가 도움이 되지 않는가
    의미있는 정보인가 킬링타임용 정보인가
    등등등
    이런걸 나눌 수 있는 분별력이 기초가 되야하는데
    이런게 전혀 없죠....

  • @fullluna128
    @fullluna12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오늘 내옹은 완전 공감❤

  • @sak9121
    @sak912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9:15 원씽이란 책에서 나온 내용하고 비슷하네요 멀티태스킹은 여러가지일을 한번에 하는게아니라 이거했다 저거했다 하는거고 우선순위를 정해 가장 먼저 해야할일 한가지에 집중해야한다.
    원씽도 추천드려요~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저도 그 책 읽어보았어요!

  • @시린상처
    @시린상처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책은 종이로 보는 맛이있죠
    책을 넘기며 느끼는 촉감
    책 자체의 종이, 잉크 냄새
    한번씩 글의 내용을 음미하며 상상하는 재미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는 말씀입니다.

  • @김대원-u1o
    @김대원-u1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알고 싶은것만 딱딱 검색해서 유튜브를 활용하는게 좋은건데
    어느순간 숏폼 보면 몇개 더보게 되고 악순환 되더라구요!
    이런 유익한 영상들만 잘 찾아보고 tv나 영상류는 안보는게 눈건강
    뇌인지력에 좋을거 같습니다!
    책읽을때도 태블릿 보는것보다 종이책 읽는게 훠~얼씬 낫더라구요 ㅎㅎ
    좋은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새초롱-f1c
    @새초롱-f1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저도 강하게 공감 합니다. 저도 이북리더기 간편할것 같아서. 여러 기기를 삿지만 독서생활 하면서 많이 느낀게 질의 차이가 많이 나더라구요. 이북 전자책리더기 그냥 친구 줘버리고. 요즘은 종이책으로만 집중을 합니다 공감합니다 선생님 😊

  • @짱만배
    @짱만배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특출난 사람, 초 천재적인 사람 필요없어요...
    아니 그냥 조금 어벙하고 잘 몰라도 되니까
    예의가 뭔지 알고 동료의식이 풍부하고
    함께 헤쳐나갈 줄 알며 이타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이 필요합니다.

  • @피트알론소-v2l
    @피트알론소-v2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5:45 저도 논문 읽을땐 대학원때부터 종이로 봐야 이해가 빨라서 중요한 거는 꼭 인쇄하는거 같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습니다. 저도!

  • @이정환-o6k
    @이정환-o6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지하철 타고 가다 보면 90프로가 폰 보고 있음...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죠...

    • @JamesWillGrayson
      @JamesWillGrays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물리적으로 책을 둘 공간이 없었어 전자책을 구매해서 핸드폰으로 읽는 1인….. ㅠㅠ

    • @동치미무사
      @동치미무사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 일부러 그꼴 보기 싫어서 일부러 안보고 눈감고 감 ㅋㅋ

    • @이정환-o6k
      @이정환-o6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치미무사
      저도 그래요...
      남녀노소 모두 기계으로 폰 만 보고 있으니 사람이 아닌 기계로 보여요.

    • @searchbenny
      @searchbenn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하철은 그나마 움직이지 않으니 다행이죠. 길거리 다니면서 휴대폰 본다고 앞도 안보는 사람들 천지입니다;; 위험

  • @lecbloo
    @lecblo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책느낀점 화면뒤에선 수천명의 엔지니어들이 화면을 붙잡게 만들었다는 내용에서 자또한 유투브쇼츠 같은것에 몇시간 보내는거에서 공감이 됬고 알고리즘 자체가 긍정적인 내용보단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내용을 추천한다는 대목에서 어쩌면 인터넷 커뮤니티에 빠지면 부정적인 대목이 많은것또한 그이유이지 않나 싶습니다(대표적으로 젠더갈등)

  • @씨엘프
    @씨엘프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변호사님이 정곡을 짚으셨네요.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내용을 보면 집중이 안됨. 판서로 문장을 읽어야지 파악이 잘 되는거 같음. 멀티 테스킹은 사람이 천재가 아닌이상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음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ㅠ 전 천재가 아니라서 멀티태스킹은 한계가 있더군요 ㅠ

  • @ISTPKoreanMan
    @ISTPKoreanMa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1020분들 변호사님 말씀 허투로 듣지 마세요 진짜 중요한 말씀 해주시는겁니다
    1020 때 책 많이 읽고 남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지식을 창조해내고 어떤 식으로 사는지를 보시고 선택을 내려야 합니다. 내가 무엇을 할지 아이디어를 얻어도 되고요. 사람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모든걸 다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 현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책이란게 필요하고 선택을 내려야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인생의 진도를 나갈 수가 없습니다.
    게임은 해도 됩니다. 단 중독만 되지 마세요. sns는 끊으세요. 이거로 세상을 보는게 아니라 책으로 세상을 봐야합니다. 책은 정제되어 있고 책을 팔려면 세상에서 통하는 통설을 최대한 담아야 하는데 sns는 개인적인 주관이 여과 없이 마구잡이로 올라와서 그걸로 세상을 배우면 큰일납니다. 통설은 커녕 편협한 지식과 생각이 난무하는 곳입니다. 전 제가 알고 있는 통설, 책에 언급될만한 수준 높은 정보가 아니면 뭐든지 의심합니다.
    책 읽기 싫으시면 휴먼스토리 등의 다른 사람들의 삶과 직업을 엿볼 수 있는 유튜브를 많이 보세요. 진짜 책만큼 도움 많이 됩니다.

  • @wmp2403
    @wmp240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빨리 외우려 할 수록 안 외워진다는거 진짜 격하게 공감합니다ㅋㅋ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저만 그런거 아니죠? ㅋㅋㅋ

  • @Omuyunsong33
    @Omuyunsong3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변호사님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주 시청해서 제 것으로 만들겠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user-ob1sw7xh7l
    @user-ob1sw7xh7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오 안그래도 저 최근에 사서 읽고 있는 책인데 이렇게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kkakjang2
    @kkakjang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 조금 아프지만 요즘 저한테 너무 필요한 말들인 것 같습니다...

  • @gouduoli
    @gouduol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유튜브 올라올때마다 눈팅만하다가 처음댓글을 달아봅니다. 요즘 집중력 문제가 많이대두되고 있어서 저도 경각심이 많이듭니다. 성인들도 뇌가 많이 망가진 사람이 많아서, 요즘 어디서 이런 이야기 하기가 굉장히 조심스럽고 책만보면서 혼자 생각하는 정도였는데,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다는 이야기는..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더 큰 문제가 기다리고있다는 이야기겠죠? ㅠ.ㅠ... 변호사님, 화이팅!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사실 사회적으로도 논의해봐도 좋을 주제 같아요

  • @NASDAQ_ZERATUL
    @NASDAQ_ZERATU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공부는 얼마나 집중력을 강하게 그리고 오래 유지하느냐의 싸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 지능이라는게 그렇게 사람마다 크게 다르지 않죠 소수의 천재와 바보를 제외하고는 말이죠 아무리 오래 앉아있어도 집중력이 약하면 소용없구요 이 집중력을 길러주는게 인생의 있어서 부모가 반드시 해줘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시멜로 이야기도 바로 이 지점을 다루고 있죠 예전에 화제됐던 grit도 이 내용이구요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공감합니다. 제가 사실 어릴 때 바둑을 배웠었는데 집중력 훈련에 아주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상녀이-u4p
    @상녀이-u4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상에 빠져 휘둘리는게 문제가 아니라 매순간 반응하는 자신을 보지않는 것이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 @김상연-l3k
    @김상연-l3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제일마음분산시키는것이 개 집안에서 개키우는거 난목숨걸고라도 반대하고픈 자기공부 자기자립준비하기도 바쁜사람들이 짐승 개한마리에게 마음정신다뺏겨서
    전심각하다고 봅니다

  • @songofnightnstar
    @songofnightnsta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세상은 키보드 밖에 있다는 어느 정치인의 말이 떠오르네요. 기술이 진보할수록 기술을 피해야 멍청해지지 않는 아이러니...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기술 진보가 어떤 사람에겐 유용하지만 어떤 사람에겐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 같습니다

    • @onevideowithsub
      @onevideowithsu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키잔스키가 말했듯이 기술의 노예가 되어가고있는거임 ㅋㅋ

  • @채식호랭이
    @채식호랭이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저희 부부도 나중에 아이가 생기면 TV는 안보여줘야지 했는데, 신혼혼수로 TV가 생겨버리니까 막상 버리기도 그렇고 애매해지더라구요.
    그런데 아이가 생기고 5살쯤 때마침 TV가 고장나면서, 기왕 이렇게 된거 TV없이 살아보자했는데, 살아집디다ㅎㅎ..
    처음에는 그 적막함이 조금은 생소했는데, 지금은 적응이 되어서 오히려 TV있는 집 가면 정신없고 시끄럽기도 하구요,
    지금 딸아이가 7살 되었는데, 저녁에 가족 간에 대화도 많구요, 확실히 책은 많이 읽습니다. 솔직히 볼게 책 밖에 없거든요.
    또래보다 한글도 좀 빨리 뗀 편이었구요.
    한글 떼기 전에는 먼저 책 가져와서 읽어 달라해서 읽어줬는데, 요즘은 본인이 찾아서 읽으니까 새삼 많이 컷구나 느끼고있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야.... 응원합니다:)

    • @Energy_Mastery
      @Energy_Master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따라해야겠습니다

  • @NoirStylish
    @NoirStylis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요즘 집중력과 기억력에 걱정이 있었는데 마침 이 주제로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fnm1900
    @fnm190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몇 주 전에 제가 하루에 인스타그램만 두시간정도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요즘 폰에 보는 기능 기본으로 다 있더라구요. 사용 시간, 앱 연 횟수를 주간, 월별 통계도 내줍니다.) 하루 10분 제한 타이머를 걸었고, 인스타 스토리 올리는걸 그만하기로 했습니다. 처음 며칠은 어색했는데 지금은 삶이 전반적으로 개운해진 기분이 드네요.

  • @조팬더-u6t
    @조팬더-u6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빨리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말씀 동의합니다. 실제로 마음이 급해져 불안을 느끼면 뇌의 일정 부분이 비활성화되어 받아들이는 정보량이 줄어든다는 글을 본 적이 있습니다.

  • @duerhwin6109
    @duerhwin610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퍼거슨경, 오늘도 어김없이 1승 추가..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늘 승리하시는 퍼거슨 옹...

  • @학쥬
    @학쥬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백날 좋은 컨테츠를 만들어서 유포해도 원초적인 말초신경을 자극하는건 못이기지요ㅎ
    대표적인게 팬xx

  • @xtkmpv35
    @xtkmpv3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가족/친구와 식사하는 자리 또는 대면으로 대화/미팅 하는 자리에서 핸드폰 테이블 위에 올려놓지 마세요. 대화에 집중이 훨신 더 잘되고 예의 있고 배려하는 기초라고 생각합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습니다! 저도 공감합니다

  • @쭈니-w4i
    @쭈니-w4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변호사님의 말씀이 구구절절 옳은 말씀이십니다. 정말 좋네요~~ 저랑 생각이 완전히 똑같습니다. ㅎㅎ

  • @hyeonwoopark9242
    @hyeonwoopark924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뇌과학에 흥미가 있어서 다른 유튜브도 구독하는 편인데 책 읽으면서 좋은 연구가 될 거 같네요
    저도 집중력이 필요한 업무를 해서 코드 짜거나 기획 업무시에는 제 키보드에 달린 방해금지 모드를 켜두고 합니다
    sns는 제 성향상 안 하긴하는데 메신저는 동감가네요
    종이책 부분도 조금이라도 전자파랑 멀어지기 위해 선호하는 편이고 이 부분은 예전에 스티브 잡스가 자녀들에게 지시했던 부분을 제 생활에 적용한거네요
    다른 습관으로는 이 책 괜찮다 싶으면 줄 긋고 낭독하면서 내용을 생각하는 편입니다
    실제로 인간의 뇌를 본따 만든 컴퓨터 OS에서도 프로세스 간 작업 전환에 대한 비용이 발생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context switching 이란 현상인데 궁금하신 분들은 찾아보시면 좋은 글 많으니 이해가 되실겁니다
    오늘도 좋은 책 한 권 컨닝해 갑니다 즐거운 저녁되세요:)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찾아서 읽어보겠습미다

  • @mildseven77
    @mildseven7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허허
    Mz세대 특징이 1인분만 하면 대는거아님? 인데
    신입한테 요구하는 최소한의 1인분 못하는 애들이 99프로임ㅋㅋㅋㅋ
    0.3인분 해놓고선 자기는 1인분했다고 당당히 생각하는 애들때매 돌아버리겠음
    변호사님 말씀대로 그 1등공신은 스마트폰 특히 sns때문임ㅋㅋㅋ
    지 인생은 없고 남의 인생 24시간 염탐하고 지 세상이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에 있으니 그럼

  • @klesa4152
    @klesa415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책요약 서비스 좋네요 변호사님도 복습하고 기록남기고 구독자는 책하나 요약고급스럽게 듣고 ㅎㅎ

  • @user-dove77
    @user-dove7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악기다루기 +팀플레이같은 운동하기
    종이책 뿐만아니라 위에것도 굉장히 집중력향상에도움됨

  • @PJone2
    @PJone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데,
    앞으로감기를 누르고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비단 책뿐만 아니라, 유튜브등도 비슷한 작용을 하고있는것같습니다.
    어느 교수님의 "멀티테스킹은 장점이 아니라 그 모든것에 제대로 집중하고있지 않은 것이다."라는 말씀이 떠오르네요.

  • @sinroeblog
    @sinroeblo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변호사님 컨텐츠
    내용이 좋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책을 많이 읽으시는 분이셨군요. 반갑습니다. 꼭 건승하시길 기원드립니다.

  • @송지원-v3w
    @송지원-v3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사를 자주 다녀서+업무 상 이북리더기를 갖고 다니는데() 4천권 정도 보유 중이라고 하면 깜짝 놀라더라고요. 1만권은 갖고 있어야되는 건데 흠..나 책 좀 읽었다고 뻐기는 애들 가만히 들어보면 고등학교 대학교 때 천권 읽었다 자기 활자중독이다 하는데 하는데..초등학교 초기에 만권 찍은 저는 그냥 조용히 웃습니다 ㅋㅋ 자칭 활자중독이라는 사람들 가만 보면 읽는 책도 뭐 그닥...이예요. 불쏘시개들을 분간할 능력이 없으면 그건 읽은 것도 아니죠.
    많이 읽다 보면 문단 단위로 눈에 들어옵니다. 중요한 건 뇌에 스캔 뜨듯이 그대로 들어가는데..어릴 때는 그게 어느 페이지 어느 줄에 있는지도 알았는데 점점 나이 드니 그정도까지는 안되는 것 같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와 최고 ㅋㅋㅋ 말씀 정말 공감합니다:) 문단단위로 눈에들어온다는 점 특히!

  • @linandy3307
    @linandy3307 4 месяца назад

    변호사님 탁월하십니다~

  • @기열방-w8h
    @기열방-w8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변호사님은 기본 기능과 집중력이 좋으시겠죠 전 목욕탕캐셔인데 넘 단순일이라 머리쓸일이 없어요 단순반복이라 그래서 유튜브 6-7시간씩 보는데 스마트폰 쓴게 그리 오래안돼 책을 즐겨보는데 이젠 중년이라 책보는것도 힘들더군요 풍문으로 전자책업계인들은 자녀들에게 종이책을 읽힌다고 들었어요 스마트폰 없는 시대 태어난게 좀 다행인건 그 덕에 독서를 많이하게 됐거든요 공부는 왕도가없죠 음식으론 견과류가 좋죠

  • @yunhyunglee6015
    @yunhyunglee601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매번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나중에 유명해져서 바쁘더라도 간간히 영상 올려주셨으면 합니다 인생 컨닝님 최고입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계속 올릴게요!

  • @박현찬-b2e
    @박현찬-b2e 4 месяца назад

    1:00 저는 ADHD 질환을 가지고 있어서 저런류의 검사를 했을때 10이 아니라 40~50이 감소하는 상황이 생기더라구요. 제 iq가 120정도였고 저런 멀티능력 검사에선 70정도가 찍혔습니다..

  • @종로너구리-r4c
    @종로너구리-r4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인생컨닝 처럼... 일반적인 장애가 없는 부부가 낳은 아이면... 맞는 말임...
    저같은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들... 경계성 장애인들 같은 경우... 책보다 영상이 더 효과적일수 있습니다... 100퍼센트는 없고
    부모님의 일반적인 지능과 건강한 신체 를 물려받음과 아님을 파악 하고 교육 테크 트리를 타는게 현명할것 같습니다

  • @이성화-l2j
    @이성화-l2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제 영상 보고 바로 책 구매 했습니다! 꼭 읽고 인증 할게요^^

  • @YLeader100
    @YLeader10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유연지능관? 유동성지능 아닌 결정지능 말씀하시는거 맞죠?
    딴지는 아니고 요즘 논문작성에 꽂혀있다보니 제가 헛갈려서...ㅎㅎ
    인생컨닝 채널~ 운전중 자주 듣는답니다. 알차게 시간채우는데 너무 좋아요. 감솨합니다. 변호사님^^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네 맞습니다:)

  • @kfreethinker
    @kfreethink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거 진짜 심각한 문제입니다....
    눈물 날 지경😢
    확실히 쉽게 배운 지식은 쉽게 잊혀지는 듯 합니다.
    AI시대가 될수록 더욱 정석이 중요해지는 듯 합니다.. 편법은 오래 못감.

  • @justinelee5218
    @justinelee521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어린시절이나 학창시절에 스마트폰이 없었던게 다행이라 생각함.. 그때는 그래도 여러가지 지식을 책이나 종이신문으로 취득했었던거 같고 당시에 읽었던 책들이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뇌리에 많이 남아 있는거 같네요..
    스마트폰 중독은 현대인의 가장 큰 질병 중에 하나 인듯.. 괜히 유튜브에 널려있는 본인보다 잘살거나 외모가 뛰어난 사람들 보며 자괴감만 더 들게 하니 안그래도 타인의 눈치보는 대한민국 사회에 더 악영향..

  • @김가나-l3c
    @김가나-l3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임산부 입니다. 저도 출산하고 키우면서 최대한 아이 핸드폰 늦게사주고 싶은데ㅜㅜ아이가 나만 없고 친구들이랑 카톡도 못하고 왕따당해 이런식으로 할까봐 넘 걱정되요 ㅠㅠ그리고 맞벌이 부부라 항상 애를 끼고 다니는게 아니라서 연락수단으로 걱정되기도 하고…ㅜㅜ육아 선배로써 제발 유튜브 오래하셔서 어떻게 늦게 핸드폰 사주는걸 견딜수 있는지 꼬옥 알려주세요 ㅠㅠ제 주변에는 그런사람이 없어요

    • @강철멘탈-AGM
      @강철멘탈-AG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똑같은 생각을하면 이영상을 봤습니다 폰 나중에 사주고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욕심내고 싶지만 다른친구들 다있어서 서로 카톡하고 전화해서 약속잡는데 혼자 연락못받아서 자신도모르게 왕따가되버리는건아닌지 꼭 왕따 당하는애들이 못된애들이 아니고 오히려 너무착한나머지, 너무 예쁜나머지 또는 오히려 너무 없어버려서 친구들의 생각중에 쟤는 무시해도된다는 이런 감정과 생각이 친구들사이에 전염되면서 그상황에 놓이면 이미 돌이킬수없는 상황이 되있지 않나 싶습니다 그렇다고 폰을주자니 도박이나 선정적자료에 중독될까 우려스럽고 그래도 최소한 자식이 다른친구들에게 무시는 당하지않게 최소한은 맞춰줘야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상황에서 엇나가지 않게 꾸준한 관심을 주며 잡아주는게 부모의 역할이아닐까 결론지었습니다

  • @bulu0613
    @bulu061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항상 나는 멀티태스킹이 된다는 착각에 빠져서 회사에서도 업무하면서 유튜브를 켜서 뭘 들으면서 했는데 백프로 다 이해하면서 듣지 못하거나 아니면 업무에 집중을 못했던거 같아요. 유튜브 중독에 빠져서 읽던 책은 몇달째 진도가 안나가고 넷플릭스로 영화에도 집중을 못하는 저를 발견했어요 ㅠㅠ 하루에 단 몇시간이라도 스마트폰을 잠시 내려놔야겠네요. 변호사님 조언 감사합니다.

  • @egn7294
    @egn729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저도 읽어봤는데 상당히 좋은 책이었습니다. 좋은 추천 감사합니다.

  • @쿠에나
    @쿠에나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인정! 유튜브켜놓고 일할때가 많은데요. 일에 집중하기 시작하면 유튜브 소리나 화면이 하나도 신경안쓰이고 일에만 집중하게되네요.
    유튜브 켜논게 의식될때는 일에 집중이 안되구요.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 @Rxkang
      @Rxka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애초에 유튜브 켜놓고 일하는게 뇌를 쓰레기처럼 쓰고 계신거 같은데요

  • @복원-b8s
    @복원-b8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렸을때 tv는 바보상자 라고 많이 들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그 바보상자가 모든 사람들 손에 하나씩 쥐어줘 있어요. 누군가가 이세상 모두가 바보이길 바라는것 같아요. 하나씩 선택과 집중을 하며 제 스스로 정신적으로 정진 하려 노력합니다.

  • @라엘-w8q
    @라엘-w8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휴대폰 오래보고있으면 눈 아파짐..
    목도 아프고.. 책볼일 있으면 교보문고 가서 책도 구경해요
    요즘은 조그만 책도 나오던데 미니북 같은거.. 휴대폰으로 주로 유튜브 보는데 가끔 현타올때도 있어요..
    좋은책은 직접 사서 소장용 갖고있는것 좋은것 같아요.. 갠적으로 밀리의서재 이런거 안좋아해요.. 가벼운 내용들은 밀리 이용 좋지만요.. 요즘은 페이퍼신문도 보기 힘든것같아요..
    미용서적은 비싼돈 들여서 직접 사서바요 일본미용책 샀는데 12만원 ㅂㄷㅂㄷ 번역본포함..

  • @스피닝-l9f
    @스피닝-l9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늘도 유튜브로 배우고갑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풀-z5l
    @풀-z5l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가 요즘 읽고 있는 책이라 공감가네요.
    딴 생각은 다른 형태의 집중이다라는 부분을 읽고 있어요

  • @룰루하잉-x3s
    @룰루하잉-x3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내용을 영상시청하는 아이러니😂😂😂

  •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집중력 높혀주는 음식 쉽게 구할 수 있으니 섭취하길 권합니다.

  • @Taeja-Ho002
    @Taeja-Ho00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 내가 읽은 책이잖아~
    ADHD 판정 받고 약 복용하면서 같이 읽었던 책인데 이렇게 보니 반갑네요.

  • @sudose
    @sudos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변호사님 채널명 바뀌었구낭. 라이브 조용히 봤어요 ㅎ

  • @travel_You_Tuber
    @travel_You_Tube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인생컨닝 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眞명확
    @眞명확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말씀 입니다
    감사합니다 ❤

  • @TAB022O
    @TAB022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공감합니다 ㅎㅎ 저도 집에 티비가 없어요 넷플릭스등을 안보는것도 있고....

  • @Blue_Waves_.
    @Blue_Waves_.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기술의 발전이 역설적으로 사회를 퇴행시키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텍스트가 아니라 영상매체에 익숙해지다 보니, 요즘 문해력 등 학습능력 저하가 심각하다고 합니다. 뭐만 하면 "3줄 요약"이러고...ㅋㅋ
    또 sns가 발전하면서 대인관계가 얕아지고, 인간소외는 더 심해져서 사회통합이 저해되고, 성별갈등이나 비교/계급화를 더 부추기는 같아요.

    • @ha-cz3nu
      @ha-cz3n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말길게 쓰고 모호하게 쓰는게 사라져서 전 좋은거같아요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늘 책말고 다른 책에서 우려하는 부분은 지식의 양극화, 사실 빈부격차 부분이라 제가 후반부에 다루었는데, 당연히 사회가 망한다 이런 것은 아니겠지만 개인의 관점에서는 능력차이가 극심해지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 @bluehorse1052
    @bluehorse105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 오늘 딱 주문했는데 변호사님이 또 이렇게 소개 시켜주시네요 👍🏻👍🏻 전 MZ도 아닌데 박살난 것 같은 이 두뇌 ㅋㅋㅋㅋㅋㅋ 어쩌나요 😅

  • @jeonhyeonc9444
    @jeonhyeonc944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익한 영상 고맙습니다.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user-vy7yy8jl8z
    @user-vy7yy8jl8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가장 저렴한 공간이 온라인공간이기도 하니까요!

  • @권태화-t8u
    @권태화-t8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번 영상을 통해 저출산의 원인 중 하나가 떠올랐습니다.
    모두들 스마트폰에 눈을 떼지 못하니까 아이컨택이 안 되고 있으니까요.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부분도 분명..

  • @임성현-g5s
    @임성현-g5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폰으로 책을 볼 때 글자크기를 크게
    키워서 가성근시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책은 만능이 아닙니다. 시간과 시력을
    뺏어가지요. 그러니 5분 타이머를 맞춰서
    5분 단위로 읽고, 중간에 집중력이
    떨어지면 5분정도 눈을 감고 쉬는 게
    도움이 됩니다.
    종이책도 좋지만 저는 글자크기를 키울 수
    있는 전자책을 더 선호합니다.
    그리고 SNS를 하세요. 단, 타이머를
    맞춰야 되고 최대 10분씩 20분까지만
    사용해야 합니다. 30분부터는 뇌가 멍해집니다.

  • @煌龍-v9x
    @煌龍-v9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퇴근길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변호사님💯📝📑

  • @fjskansjskcn
    @fjskansjskc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수험생입니다. 집중력이 떨어진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있었는데 핸드폰이 정말 큰 문제였군요... 저녁 먹으면서 시청하고 저녁 공부 시간에 핸드폰 넣어두고 공부하니 바로 능률이 올랐습니다 감사합니다 ㅎ

  • @최페
    @최페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말씀 너무 조으다

  • @은태김-b7r
    @은태김-b7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리썹님 친구답게 논리적이에요!!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ㅋㅋㅋㅋㅋ친구는 아니에요 ㅋㅋ 일면식도없는 ㅋㅋ

    • @일베청년-n4i
      @일베청년-n4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lifecunning ㅈ됐노ㅋㅋㅋ

  • @식혜-n3z
    @식혜-n3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독서만한게 없다는것을 변호사님 말씀하시는거 보고 알게됐네요 요즘들어 집중력이 떨어지는게 심각해요ㅠ 책을 좀 가까이 할수 있도록 노력해봐야죠😊

  • @Harada_Ai
    @Harada_A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괜한 오지랖일 수도 있습니다. 40대인 제 눈으론 전형적인 "Kids these days" 주장으로 보입니다. 뭐 객관적으로 단단하다고 생각하는 근거들 제시하고 계시지만 당사자들에겐 또 다르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도 어렸을 때 '요즘 것들이란...' 소리 들어보신 분들도 있을 겁니다. 아무리 걱정해도 입장 전환은 마찬가지라는 거죠.
    제 사견이지만 신문물에 접촉한 세대들은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그만큼을 그 문명의 도구에 정체성을 일부 이관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결국 그 도구 없으면 사람 노릇도 못하게 되는 상황이 나오게 됩니다만 그게 인간의 발전 과정이었습니다. 당장 임플란트 없으면 취식도 불가능한 어르신들 많습니다. 뇌 활동도 마찬가지입니다. 좀 비약이 심한 생각이지만 얼마 안 가 뇌에 임플란트(뉴로링크) 심어서 기억을 외부 저장장치에 의존하는 세대가 생길 겁니다. 그건 아닌 것 같다고요? 100년 전에 마차 이용하던 영국인들이 자동차 보고 똑같은 생각 했습니다. 다만 정신문물은 다르지 않냐고 하실텐데 현대 AI상황을 제대로 본 분들은 생각이 좀 다를 겁니다.

  • @elanjey8554
    @elanjey855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도 예전에 2년정도 티비가 없던 시절이 있었는데.....물론 그때는 유투브도 없고 스마트폰도 없던 시절임.오직 티비로만 모든걸 접해야 했던 시기였음....... 생각해보면 그시절이 되게 좋았던거 같음..심심하면 책을 보고 사색하고..뭔가 스스로를 돌볼 시간이 많고 오히려 삶이 풍부했던듯함..

  • @제갈공명-i2h
    @제갈공명-i2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어릴적 어린이 유치원부터 그때부터 인생에 관한 이야기인것 같습니다~
    물론 인생컨닝님의 말씀처럼 다 맞는 말씀인것 같습니다~
    내가 어릴적엔 인생컨닝의 말씀처럼 한 가정집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근데, 무조건 인생컨닝님의 말씀이 다 맞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의 형님이 사실은 카이스트(대전 현 과학기술원) 박사님입니다~
    근데, 형님집에는 tv가 있었지만, 큰 조카는 한명은 서울에 갔고 작은 조카는 의대에 갔습니다~
    항상 명절에 친할머니 외할머니집에 갈때는 책을 가지고 와서 명절에도 문제를 풀며 공부하더군요~
    그리고, 큰 조카는 독서를 아주 좋아했습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넵 그렇죠~ 사실 저도 자라는 환경에선 티비가 있긴 했었어요 ㅎㅎ

    • @제갈공명-i2h
      @제갈공명-i2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집에 tv가 있건 없건 그게 중요한것이 아니라 부모님들이 자녀들에게 어떻게 되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집에 tv가 없다면 공부하는데 더 많은 도움은 되겠죠~
      그리고, 책이 있다면 더 좋을것 입니다~

    • @lifecunning
      @lifecunn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갈공명-i2h맞습니다:) 본질은 부모의 교육관인 것 같습니다

    • @제갈공명-i2h
      @제갈공명-i2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