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개발자 안창욱 교수님 AI에게 저작권료를 달라는 게 말이 된다 생각하시나요? [미친감성] 미디 작곡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ai #작곡 #kpop #작곡가 #미디 #미디작곡 #싱어송라이터 #보컬 #reaction
    [감성사운드 고퀄리티 무료 특강]
    ✅ 신사동 호랭이X미친감성 HiP HOP, RNB 무료특강
    vvd.bz/bZKN
    ✅ 탑라이너 문한미루 무료특강
    vvd.bz/bZKG
    ✅ 멜로디의 법칙 2 무료특강
    vvd.bz/bZKO
    ✅ 장효진X미친감성 보컬 믹싱 무료특강
    vvd.bz/bZKH
    ✅ Crush Beautiful 무료특강
    vvd.bz/bZKJ
    ✅ 온라인 6기 35회차 무료특강
    vvd.bz/bZKP
    ✅ Next Level, Fearless 사운드 무료특강
    vvd.bz/bZKM
    ✅ 원어민이 알려주는 뮤지션 영어 무료특강
    vvd.bz/bZKK
    ✅ 신사동 호랭이 앨범제작발매 클래스 무료특강
    vvd.bz/bZKI

Комментарии • 35

  • @CrazyMusicJ
    @CrazyMusicJ  Год назад +24

    최근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도 AI의 문제점의 심각성을
    알고 많은 작곡가분들이 모여 회의도 했을 만큼 뮤지션들의 정당한 권리를 지키려면 지금부터 여러분들이 관심을 가져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권리를 빼앗기고 나선 찾기 힘드니까요.
    여러분들은 안창욱 교수님의 저작권료 발언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No-fi6ds
    @No-fi6d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맞죠. 말도 안되는 소리죠. ai 쪽 일 하는 분들은 제발 윤리 의식 좀 가지세요.
    그리고 예술은 사람이 만드는 거에 의미가 있는거지 기계가 만드는 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가짜니까요.
    저 교수님은 기술적으로 인정 받으셔야지, 음악쪽으로 인정 받으실 생각은 하지마시길 바랍니다.
    저 교수님은 기술가이지 음악가가 아닙니다.
    저작권료는 인간에게만 해당되는 것입니다.
    ai 는 인간들의 삶을 조금 더 편리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로만 쓰여야하며 그들이 주체를 가져서는 안되는 겁니다.

  • @21dungji
    @21dungji Год назад

    👍

  • @painindure
    @painindure Год назад +9

    장사꾼이 들어오면 어디든 물 흐림ㅋㅋㅋㅋ 아 블리자드 말한겁니다

  • @더블유-n7n
    @더블유-n7n Год назад

    영상 보고 많은걸 알게되었고
    그로인해 생각도 바뀌었어요~

  • @ethenlee3875
    @ethenlee3875 Год назад +30

    AI 공부시킨 자료의 저적권료도 좀 내던가

  • @크림소다C
    @크림소다C Год назад +2

    저 AI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및 수익금의 권리 등 관련 내용들이 바로 지금 미국 헐리웃 방송가에서 파업 하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거든요... 이건 결국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면서 창작분야에 대한 구조가 개편되며 수익분배율을 재편하는 상황에서 툴을 소유한 거대기업들과 그나마 현시점에서 그들과 싸워볼 수 있는 파워(재력 및 명분)를 가진 창작가들 사이에 파워게임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데요.. 창작가 분들이 밀리는 순간 두번 다시는 거대세력과 싸울 수 있는 창작가 세력이 등장할 가능성은 없어질 겁니다..

  • @Milkmaru
    @Milkmaru Год назад +8

    물론 AI가 더 발전해서 사람이 원하는 방향으로의 수정 작업 및 믹싱까지 가능해진다면 저작권료를 논해볼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는 미감님의 말씀대로 좀 긴 스플라이스 수준인데 저작권료를 얘기하기에는 시기상조이긴 하네요.

  • @jinprabha9153
    @jinprabha9153 Год назад +1

    전기전자기계용 소프트웨어에 인공지능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상당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설계를 했다고 특허나 저작권료를 주진 않죠.
    인공지능은 하나의 툴(tool,도구) 일 뿐입니다.

  • @yong-binkim3534
    @yong-binkim3534 Год назад +1

    저는 관점이 달라요. 실력의 문제와 완성도의 문제가 저작권과 연관된다고는 생각 안합니다.
    허접한것도 문제만 없다면 허접한대로 저작권이 필요하겠죠.
    하지만 그 근원이 어디서 왔냐는거죠.
    다른분이 말씀하셨다시피 훈련데이터가 어디서 어떻게 왔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AI가 전문가처럼 멜로디도 만들고 소리도 만들고 가이드도 따고 믹싱도 하고 한다고 과연 저작권에서 자유로울까요?
    전 솔직히 아니라고 봅니다.
    AI 작곡 하신다는 분이 그걸 모를리가 없을텐데요.

  • @less1593
    @less1593 Год назад

    ㅎㅎㅎㅎㅎㅎ

  • @mendexana4881
    @mendexana4881 Год назад +5

    인공지는 연구를 하는 사람으로써 이러한 AI가 나올떄 마다 첫 질문이 그래서 훈련 데이터는 어디서라는 겁니다.
    (현재 뉴스를 보지 않았고 해당 기업이 어떻게 연구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아파치2.0 라이센스 또는 MIT 라이센스 가진 데이터를 사용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일반적으로 관련 규제가 미비할 경우 훈련 데이터들은 회색지대 또는 만든 사람의 양심에 기대는 경우가 있습니다.

  • @singsongwrite
    @singsongwrite Год назад +4

    ai가 만드는 곡의 퀄리티나 할 수 없는 부분을 가지고 이야기를 하면 반박할 논거가 너무 많이 나옵니다. 저작권은 K-pop에만 있는게 아니죠. 이런 논리로는 ai에게 저작권 줘야한다는 이야기를 반박할 수 없어요.
    근본적으로 저작권법의 제정 취지로 볼 때 ai는 그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점과 ai가 창작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에 대한 해석이 들어가야 합니다.
    사운드가 나쁘고 팔리지 않는 음악도 엄연히 저작권 보호의 대상입니다. 단, 사람이 만들었을 때 말이죠.

  • @naver5261
    @naver5261 Год назад

    창작의 가치는 인간에 의한 값어치로 결정되야만 한다. 기계따위가 어디서. 그리고 AI라는게 자율신경도 아닌 인간지식의 집합체일뿐

  • @SEOULITE
    @SEOULITE Год назад +1

    A.I. 라는 건 특정 과학기술을 대중화할 이상적인 명칭일 뿐 단어 그대로 인공의 지능을 만드는 것은 철학적, 이론적, 실천적으로 불가능 합니다. 단지 인간이 만들어 놓은 것들 중 일부를 학습시켜 원하는 결과를 원하는 수준으로 엉성하게 뽑아 낼 수 있을 뿐이며 그것은 미래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학습이라는 것도 이 기술분야를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신기해 보일지 몰라도, 알고보면 나약한 가설과 전제 위에서 의심스러운 마케팅과 불쾌한 의도로 조직된 시스템 및 그 비즈니스에 인간이 낚여 들기를 바라고 만들어 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돈이 우선시되는 곳에서 도덕성은 대체로 뒷전으로 밀려납니다.
    구문생성 쪽의 ChatGPT는 기획자가 '의도'하는 대로, 개발자가 변수를 설정하고, 대량의 가련한 노가다가 투입되어 답변을 '교정'해 만들어 낸 웃기는 짓거리에 불과합니다. 상당히 편향없이 널리 알려졌거나 깊은 통찰이 필요 없는 부문에서 초보자에게 약간의 도움을 주는 도구에 불과합니다. 전문가는 이런 도구를 쓸 필요가 없는데 이유인즉 전문가는 초보자가 하는 일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당연한 결과로 이런 도구를 활용해 초보자가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노벨상 받은 인공지능 학자나 이 바닥에서 뭘 좀 아는 사람들이 속으로 비웃는 이유입니다. 그러면 왜 CharGPT가 화제일까요? 해외의 경우는 글로벌 기업과 투자자들, 국내의 경우는 정부기관들, 언론과 증권가, 책팔이와 유투버들이 이걸 띄워 돈을 벌기 때문입니다. 이런 도구가 인간을 대체한다구요? 모든 지식관련 분야에서 초보자는 원래 쓸모가 없는 존재였습니다.
    인류가 만든 현재의 도로 시스템에서, 완전히 운전대를 놓고 운전하는 건 단순히 미친짓입니다. 레일위에 놓여져 중앙제어되는 지하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엑스레이 분석 등 국소적인 테두리 안에서의 성능이 보장되는 의료부문, 대량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해 비용대비 효과를 봐야하는 분야에서는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 그려주는 자동화 소프트웨어는 그걸 만든 사람과 그걸 소비해 주는 사람들의 협소한 취향의 테두리 안에서는 -그들만의 세상이니 그들만의 유통화폐 등의 도움을 받아- 가능성을 열어 놓기는 합니다. 이런 분야는 보건의료나 국방과는 달리 그닥 중요한 분야라 할 수 없습니다.
    다른 창작분야와 마찬가지로 음악부문에서 자동화 소프트웨어들의 기여가 있다면 그것은 예술의 가치와 허황된 명성을 더 잘 분리해 주는 것입니다. 즉 대중과 거리가 먼 클래식과 언더그라운드에는 자발적이며 불평없이 깊이와 새로움을 추구할 도전적인 예술가들만 남는데 도움을 주며, 대중음악 분야 역시 열정과 노력이 없는 자들이 도태되기 더 쉬운 구도를 만들어 낸다고 봅니다.

  • @한영훈-w5u
    @한영훈-w5u Год назад

    AI저작권이라!!! 음....... 창작이라 볼수 있나? AI는 딥러닝 무한으로 합니다!!사람은 배우는 과정에서 비용발생 하지요!! AI가 저작권의 영역에 들어오려면 딥러닝 과정도 비용이 발생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AI는 공짜로 무한으로 학습하고 있다것을 관과해서는 안될꺼 같네요!!! 그러면 대체 누구에게 얼마나 지불해야 하는거야>>? 비용충당 되나?

  • @criskei-k
    @criskei-k Год назад

    웹툰이나 일러스트 쪽도 무제한으로 학습한 ai로 돈을 벌겠다고 난리죠.. 학습한 그림들에 대해서 자기들은 저작권료도 내지 않았으면서요.

  • @minkim1767
    @minkim1767 Год назад +2

    프로그램 판매 사용 라이센스 비용인거면 모르겠는데..저작권은 선넘었네..

  • @박희수-t8d
    @박희수-t8d Год назад +1

    AI 제작 때문에 미국 영화판에서 시나리오 작가들과 배우들 파업하고 난리인데, 일단 AI 작곡의 단점이 이미 인간 작곡자들이 만들어놓은 소스를 이용한 것이라서 그 원곡 작자에게 지불하느냐하면 그게 아니라는 것

  • @조감독
    @조감독 Год назад +1

    ai프로그램을 이미 교묘히 사용하는 작곡가들이 분명 있을거라 생각합니다...ai프로그램 개발사들이 이미 공지하기를 이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가사를 넣거나 편곡을 하거나 기타등등의 작업을 60% 수정했을경우 스포티파이 등 앨범을 내서 수익을 창출할수있다고 공지하고 있습니다...그러니 이미 곡의 분위기나 장르, 가이드라인 정도는 ai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이 충분히 있을수 있습니다

  • @bedenhelm
    @bedenhelm Год назад

    저 뉴스 처음 봤을 때 '어 그럼 대충 많은 음악들 등록시켜놓고 나중에 비슷한거 나오면 다 표절소송 걸 수 있겠네'했는데...ㅋㅋ

  • @K-Architect
    @K-Architect Год назад

    러다이트 운동

  • @쥬사마-j2s
    @쥬사마-j2s Год назад +1

    Ai 프로그램 사용요금을 내는건 맞다. 그 프로그램으로 만들었다면 돈 내고 만든 사람에게 권한이 있어야지

  • @수프리모-s5v
    @수프리모-s5v Год назад

    이런 머머리..

  • @도란도란-팔레트
    @도란도란-팔레트 Год назад

    AI는 아직 인간과 같은 감성이 없어요. 그리고 인간과 같은 정체성 같은 것도 없습니다. 사실 AI가 정체성을 가진다면 인류에게 재앙이 될수도 있긴 합니다. 예술이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라면 자신의 정체성이 없으므로 감성이 있을 수 없는 AI의 작곡은 AI 자신에게 예술성이 없다고 보는게 타당합니다. 사실 AI는 공교한 프로그램입니다. 인간이 수없이 많은 데이터를 넣어주고 각 데이터의 값을 지정해주어 어떤 경우에 어떤 값이 출력되도록 만든 것이죠. 어떤 이들은 AI의 그림이나 음악을 들으며 감동을 받고 눈물을 흘릴수도 있지만 그건 AI의 예술성이 원인이라기 보다는 보고 듣는 각 사람의 경험과 지성의 발로라고 보는게 타당합니다 아무 감정없는 무기물인 돌 하나를 보고도 어떤 감정을 느껴 수석이라 칭하고 갈고 닦아 고이 소장하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지요. 무기물인 돌덩어리가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하는게 아니기에 스스로 무얼 생각하고 그런 형상을 만든게 아니지만 사람들은 자신의 경험과 지성과 감성의 발로로 무언가 느끼게 되고 감상하고 감동을 받기도 하는거죠. 그러므로 AI에게 저작권을 부여하는 것은 아직 옳지 않다고 봅니다. 물론 AI를 도구로 활용해 작곡가가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이입한 예술품을 창작했다면 마치 굴러다니는 돌을 주워 하나의 예술적인 수석으로 만들어 낸 사람이 그에 대한 권한을 갖는 것처럼 당연히 저작권이 있어야 겠죠.

  • @rirman6402
    @rirman6402 Год назад +1

    어차피 도구로서의 활용일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데.. 그렇다고 잘 만들어서 기성곡만큼 좋은 퀄리티도 아니고... 그냥 아이디어 투척정도의 도구일뿐인것 같습니다. 그정도 도구에서 무슨... 저작권료를 바라는 걸까요...

  • @넌내게목욕값을줬-w2x
    @넌내게목욕값을줬-w2x Год назад

    미친감성 사운드님 그알 제보 하긴 했어요?ㅋㅋ 어떻게 된거에요??ㅋㅋ그럼 차라리 추적60분에 제보해보시는게...
    외삼촌...의 외자도 안나오던데요?ㅋㅋ

  • @eunhyeu2b
    @eunhyeu2b Год назад

    AI말고 데모곡 사서 가사 3개정도만 바꾸면 됩니다...
    그렇게 케이팝 국제망신... 한국작곡가님들 얼굴에 똥칠도 해주고..

  • @jink3280
    @jink3280 Год назад +3

    AI가 앞으로 다양한 직업군을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대체하게 될텐데 그러면 그 직업에 원래 종사하시던 분들은 피해를 보게 되겠죠. 복잡한 문제네요.
    앞서 말씀하신 논리중에
    1. AI 작곡 수준이 낮다
    2. 사람이 힘들게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만든다. 하지만 AI는 몇초면 만든다.
    1번은 논점에서 벗어나신 것 같고, 2번은 앞으로 AI가 대체하는 대부분 직업군에서 나타날 현상 같습니다. 많은 복잡한 프로세스를 간소화시키는 효율성은 AI의 장점이기도 하죠. 특정 직업군에 원래 종사하시던 분들은 피해를 보겠지만 인류 전체로 보면 이득이니까요 (특히 생산직 같은 경우)
    하지만 주관적 가치판단이 들어가는 창작과 관련된 분야는 좀 더 깊게 생각해보아야할 것 같습니다. AI가 발전할수록 많은 논쟁의 주제가 될 것 같아요.
    “저작권”의 정의에 대해 말씀하신 것: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이 담겨야 한다. 과연 AI가 이것을 담을 수 있는가? 깊게 생각해볼만한 주제 같습니다.

  • @bigbrother7201
    @bigbrother7201 Год назад +1

    인간아 인간아.. 욕심도 적당히 부려야지..

  • @앙마-u8m
    @앙마-u8m Год назад

    AI는 아직 창작이 아닌 짜집기 아닌가요?
    진짜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 @rolects
    @rolects Год назад +1

    현역작곡가도 유희x처럼 외국곡 카피하고 버무려서 저작권 받지 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