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결가지고 싸우지 마요 모두가 소중하니까요 | UOS입시만담 시즌3 ep.7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서울시립대 #입시 #입시결과 #입결 #학생부종합전형 #학종 #수시입시 #수시모집 #종단분석 #시립대 #서울시
    안녕하세요 서울시립대학교 입학처입니다.
    2024년 UOS 입시만담, 알차게 준비해서 세 번째 시즌으로 돌아왔습니다.
    궁금한 점 댓글 남겨 주시면 대댓글로 상세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7

  • @이승사자
    @이승사자 Месяц назад

    서울시립대가 제일 상세하게 대학입시정보 주는것 같습니다.

  • @Blur-ht8pv
    @Blur-ht8p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전국에서 제일 친절한 입학처...
    영상 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 @다둥맘-o4w
    @다둥맘-o4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입시만담 귀에 쏙쏙 들어오면서 재밌어요!

  • @빨강풍선-n2y
    @빨강풍선-n2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시립대! 가고 싶어요. 파이팅!

  • @파이팅-v9e
    @파이팅-v9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시립대 정말 좋은 학교입니다👍

  • @gg9208
    @gg920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영상 항상 감사하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시립대는 전공적합성과 인재상을 중요하게 본다고 생각됩니다. 수학 1.5등급, 영어 3.6등급, 탐구 1.6등급으로 3년동안 경영 관련 내용의 생기부를 채웠으나 내신 성적은 경제학과의 인재상에 더 부합해보여 경제학과 혹은 세무학과로 우회하여 지원하는 것이 맞나 고민이 됩니다..
    혹시 선생님께 자문을 구할 수 있을까요?

    • @gg9208
      @gg920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영으로 3년을 채운 생기부로 경제학과에 넣으면 면접에서 큰 마이너스 요인이 될까요..??

    • @studio_UA
      @studio_U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전공적합성과 인재상이라기보다는 인재상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 대학에 와서 얼마나 잘 할지를 '역량'으로 본 후, 주어진 서류를 읽고 누가 더 '우수'해 보이는지 상대적으로 정성평가한다고 생각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경영이든 경제든 세무든 기본적으로 상경계열로 묶을 수 있고, 고등학생이 사실 이 셋을 구분하여 공부하는 것이 그리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다른 댓글에도 달았지만 저희는 평가를 하는 사람들이지 어떻게 하라고 추천을 해 주는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에 결국은 지원자님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셔야 합니다. 말씀해 주신 내용을 정리하면 학업역량은 경제학부에(영어 때문에 경영이 아니라), 잠재역량은 경영학부에 더 가깝다(3년동안 경영 관련 내용의 생기부를 채웠기 때문에)는 생각이 스스로 드셨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1. 서울시립대가 너무 좋으면 학종1으로 경제를, 학종2로 경영을 씁니다. 어짜피 경영은 학종2로밖에 안 뽑으니까요.
      2. 방법1의 조합을 경제나 세무로 바꿉니다.
      3. 대학어디가와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내신평균을 참고하고, 학종1은 잠재역량이 40%, 학종2는 잠재역량이 50%라는 것을 이해하고 무엇이 나의 불리를 최소화할 수 있을지 고민한 후 스스로 선택합니다.
      4. 정말로 이런 저런 고민을 다 해봤는데, 뭘 해도 각이 안 나온다 싶으면 진짜로 서울시립대 지원 안하셔도 괜찮습니다. 내 생기부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나 자신이니까요. 무엇이 되든 간에 지원자님 스스로, 그래도 나는 치열하게 고민해서 원서카드를 선택했으니 이젠 후회가 없다고 느낄 카드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studio_UA
      @studio_U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gg9208 경영-경제, 전전컴-컴과처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헷갈리는 학과들은 학과 소개 홈페이지와 교육과정(커리큘럼)을 비교하여 보시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입학처 홈페이지에 있는 전공안내서를 보셔도 좋습니다. 경영이든 경제든 크게 보면 상경계열이니 내가 탐구한 내용이 경영과 경제가 크게 다르지 않을 수도 있고, 아예 전혀 결이 다르게 탐구했을 수도 있습니다. 내 생기부를 통해 관찰된 내용이 어떠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마이너스 요인이라고 할 수 없죠. 비하하는 게 아니라 일반고든 특목고든 그게 누구든 아무리 날고 기어봐야 결국엔 고등학생이거든요. 다만 지원자님이 이런 질문을 하신다는 것 자체가 뭔가 껄끄러움을 느끼신다는 것이거든요? 그럼 아마 높은 확률로 저희도 그렇게 생각할 겁니다. 사람 생각하는 게 다 비슷하거든요.

  • @Soo-f3y
    @Soo-f3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장학금 받으면서 다니면 좋겠네요!

  • @veritas-u5f
    @veritas-u5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진짜 가고싶다

  • @어디는어디
    @어디는어디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제발 붙여주세요 환원 제발

    • @어디는어디
      @어디는어디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시립대 붙으면 딴 데 안갈게요 공부도 열심히 할게요 비교과도 할게요,, 뼈를 묻겠습니다...

  • @sixtom6818
    @sixtom681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시풍당당🥰

  • @Poco-ld9iv
    @Poco-ld9i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6:08 내용과는 다르게 그래프는 전형에 따라 GPA의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네요

    • @studio_UA
      @studio_U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니요. 그래봐야 7학기 기준 3.6~3.8 사이에 불과합니다. 1학년 때에 비하면 좁아지고 모이는 양상을 보이죠.

    • @Poco-ld9iv
      @Poco-ld9iv 2 месяца назад

      7학기부터 성적이 모이는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고학년 전공 과목에서 절대평가 비중이 증가하면서 성적의 표준편차가 감소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수강한 과목들을 돌아보면, 4학년 전공 과목의 (A+ 비율)/(C+ 이하의 비율)이 1학년 전공 과목에 비해 월등히 높았습니다. 교수님께서 고학년 과목의 성적을 관대하게 부여하면서 급간을 좁게 설정하시고, 성적 급간이 좁아지면 학생들의 성적 분포가 자연스럽게 집중될 수밖에 없겠죠.
      양측검정을 수행하면 분명 노란색에 해당하는 집단과 보라색에 해당하는 집단의 모평균이 다르다는 결과를 얻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