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 기술 무기 전부 겪어보고 올리는 피의 거짓 솔직한 리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0

  • @yohan99002
    @yohan99002 Год назад +3

    미즈님 게임 취향이 저랑 비슷한부분이 많아서 추천하시는 게임은 거의 다 했는데 피의거짓을 할까말까 고민하다가 이 영상 보고 해야겠다 생각하고 지금 다운 받는중이에요 ㅎㅎ
    항상 응원합니다! 영상 자주 올려주세요
    곧 마리오원더, 마블스파이더맨2 리뷰 기대하겠습니다 ㅎㅎ

  • @maverick3399
    @maverick3399 Год назад +9

    발매하고 패치 하기 전 유튜브에 한 외국인이 썼던 댓글이 기억나네요. ‘어려움을 위한 어려움이 곧 재미와 같지는 않다’ 제작진은 만들때 스트레스를 1순위에 둘 것이 아니라 재미에 1순위에 두고 만들라는 의미심장한 얘깁니다.

  • @동끼호테-j2o
    @동끼호테-j2o Год назад +3

    딱 80점짜리 게임임.
    특정무기 쏠림과 기술 동력 진화 불균형 같은 문제도 있지만,
    가장 문제는 말도 안되는 공격프레임과 퍼가를 강제하는 패턴들이라고 봄. 막보의 경우 말레니아 물새난격을 계속 쓰는 수준의 연속기를 보여주는데 퍼가말고는 딱히 대안이 없음.

  • @ZoneNyang
    @ZoneNyang Год назад +2

    정확히는 기술 무기가 구린게 아니라
    기술 무기에 달린 날이 구린거지
    기술 손잡이들에 동력 무기 날을 달면 굉장히 훌륭한 성능을 보입니다
    뼈톱과 인형도끼에 이하의 자루를 달면 초회차 기준 동력 무기보다 좋은 성능을 내고요
    샐러맨더의 단검 손잡이: 크랭크 기술 보정시 기술 B(원본 C)
    명인 요리사 손잡이: 기술 보정시 A(원본 B)
    동력 무기의 경우는 위 손잡이에 동력 보정(샐러맨더 C, 요리사 C)을 하거나 크라트 경찰봉 손잡이, 또는 그냥 보스 무기인 성검을 쓰면 되고요

  • @내눈줄아니-q7c
    @내눈줄아니-q7c Год назад +12

    딱 하나만 더 얘기하자면....프롬의 다크소울이나 엘든링은 제가 기억하기로는 무기의 최소 요구치가 있습니다 그래서 능력치가 모자르면 그 무기를 쓸수 없죠...하지만 피의 거짓은 모든 무기가 사용가능합니다 다만...그 무기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릴려면 맞는 스탯을 올려줘야 할 뿐이죠...이렇다면 오히려 무기의 자유도는 프롬게임이 더 한정되어 있다고 봅니다...국산 게임이라 옹호하는게 아니라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 드리고자 하는 것이니 양해 부탁합니다

  • @민들레꽃-n8j
    @민들레꽃-n8j Год назад +1

    2회차는 진화빌드했는데 나름 재밋었어요ㅎㅎ😂

  • @내눈줄아니-q7c
    @내눈줄아니-q7c Год назад +25

    개인차는 있겠지만....저는 피의거짓이 길찾기가 복잡하지 않아 오히려 스트레스 없이 했어요....무기도 처음주는 대검으로 조력자 없이 엔딩까지 봤고....지금 3회차 하려는데 사기무기라고 알려지는 것들이 보스무기 보다는 일반무기조합....톱날 +요리사.....그러니까 빠른 단도 손잡이에 강력한 데미미지를 주는 날쪽이에요.....앞서 말했듯 개인차가 있다고 생각합니다....저는 프롬게임을 많이 해봤거든요...

  • @yeonggyunkim9417
    @yeonggyunkim9417 Год назад +3

    기술무기로 엔딩본 사람으로서, 기술무기가 똥인게 아니라 기술무기의 날이 똥인겁니다(그중에 레이피어랑 우산은 진짜 쓰레기..) ㅋㅋㅋㅋ
    부스터글레이브즌가 그거에 인형도끼날인가 그거 쓰면 뎀지가 상당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동력무기는 공속이 느려서 강공 터트리기 힘든데, 기술무기는 강공이 빨라서 안정적인 앞잡이를 할 수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력은 강공이 단순이 때리는 강공모션인데 기술무기는 이동효과, 패링 등이 붙어서 안전하고 빠르거나 그로기를 먹이거나 독특한 전투방식을 가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 @DrRalo
    @DrRalo Год назад +8

    1회차 45시간 처음무기 겨울의 레이피어만 써서 엔딩봤습니다.
    무빙회피만으로도 나름 패턴별로 공략하는 맛이 있어서 재밌게 했네요
    2회차는 대검도 써보면서 해봐야겠어요...

  • @josephy301
    @josephy301 Год назад +1

    구독했어요. 미국인데 한국 유투브를 많이 보게 되는 게임이네요. 공략 영상도 올리시면 좋을거 같네요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공략까진 아니고 꿀팁영상들은 이미 만들어둔게 있습니다! 공략은 유명하신분이 있으셔서ㅋㅋㅋ

  • @Andamiro-f5t
    @Andamiro-f5t Год назад +2

    아무래도 기술무기가 안 좋은 이유가 있다면 역시 보스패턴이 대부분 때릴 수 있는 타이밍이 거의 한두대로 국한되어있어서 인 것 같네요. 대검이든 레이피어든 한 두대만 때릴 수 있는 상황이 자주나오고 레이피어론 대검이 1대 때릴 상황에 2대 때릴 수 있다해도 2대 때릴때 다음 보스 패턴이 나올 경우도 있어서 딜량 비례 리스크가 큰 문제가 있죠. 보스 체력이 너무나도 큰 문제도 있지만 다른 문제로는 피구라는 하면서 느끼는거지만 참격 타격 관통 이라는 이 세가지 무기 컨셉을 제대로 못 살린게 아쉽다고 해야하나 사실상 참격이든 타격이든 관통이든 다 비슷한 딜량이고 그나마 다른건 타격 무기로 방패병인형 잡기 쉽다는 점 정도네요. 근데 그마저도 그 하나를 위해 타격 무기를 강화할 바에 그냥 플라스크 던지는.....

  • @레온밀
    @레온밀 Год назад +1

    무기조합자체는 톱날이나 렌치 인형도끼정도면 보스무기이상으로 좋다고 생각하는데 뭔가 동력무기 느낌이긴하죠...자루를 기술쪽 달면 기술보정받기는한데...

  • @Burning_Soda
    @Burning_Soda Год назад +4

    영상 반박글을 좀 써보자 합니다
    1.기술무기는 약하다, 약하다 못해 게임이 하기 싫어질 정도였다.
    이 부분은 어찌보면 맞는말이고, 어찌보면 굉장히 잘못된 말입니다.
    우선 무기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기술 무기는 동력 무기에 비해 DPS, 펄스 전지 충전량, 페이블 충전량, 가드 내성 등 모든 부분에서 부족하고, 기술 무기를 동력무기 사용하듯이 사용하려하면 쓰레기나 다름이 없습니다.
    다만 이제 무기 조합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재빠른 모션을 가진 자루에 무거운 날을 붙이려 하는 순간 기술 스탯이 빛을 발하게 됩니다.
    묵직한 공격력과 최고의 가드 내성을 가진 무기 "살아있는 인형들의 도끼"의 날을 준수한 약공격에 시원시원한 강공격 차지 모션을 가진 무기 "명인 요리사의 칼"의 자루에 붙여보셨나요?
    많은 P의거짓 무기추천 영상에서 추천하는 조합중 하나로, 자루가 기술 스탯 보정이 높기 때문에 이 또한 기술무기입니다만, 매우 높은 DPS를 뽑아내고 가드내성이 높아 안정적인 무기라고 소개들을 합니다.
    이거말곤 일반무기들은 답도 없지 않느냐 할 순 있는데, 개인적으로 지금 3회차를 밀고있는 기술무기가 하나 있습니다. "피스톨 착암기"의 날과 "폭군 암살자의 단도"의 자루의 조합입니다.
    기존 암살자의 단도의 모션보단 느려지기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준수한 모션 및 속도, 거기에 60을 넘는 준수한 가드내성도 붙어있습니다. 그외에도 찾아보는 재미가 있을 수 있겠네요.
    영상에서 나오는 기술 무기 사용을 얘기하실때 보면 샐러맨더 단도도 섞여있고 그러던데, 그냥 가벼운 무기라고 다 기술 무기라고 보셨는지는 모르겠으나 샐러맨더 단도는 엄연히 따지자면 기술 무기가 아닌 진화 무기 입니다.
    샐러맨더 단도에서 가장 높은 보정을 가진 것은 진화로 보정수치 B가 기본이고, 진화의 크랭크를 사용하면 진화보정이 A까지 치솟습니다.
    이제 샐러맨더 단도의 모션만 가지고 전기 속성인 원형 전기톱, 화염 속성인 흑철 절삭기를 달아주면 1회차 2회차를 그냥 날먹할 수 있는 최고의 진화보정 무기가 탄생하게 됩니다.
    기술 무기라고 약코를 하시기엔 애초에 진화무기였습니다 예
    그럼 무기 조합이 불가능한 특수 무기들중 기술 무기는 어떠냐?
    쌍룡도는 그 패링 기술도 좋지만 간격조절에 특화되어있는 무기이며
    에티켓은 솔직히말해서 쓰레기가 맞습니다..만 모션중 가드판정을 넣어 전투중에 따로 가드를 하지않고 공격을 지속하란 의미에서 만든 무기인가 싶습니다.
    그외엔 어떤가?하면 "약속의 트리아이나" 또한 훌륭하다 못해 기술계의 성검이랑 별명이 붙어있을 정도로 우수한 성능을 자랑하며, "퍼펫 더 리퍼" 또한 긴 리치를 가진 강공격으로 준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로보로스의 눈은 페이블 낭비가 심합니다만, 페이블 아츠가 매우 좋은 성능을 갖고있으며 기술무기중에서도 높은편의 가드성능을 갖고있습니다.
    이렇게 봐도 기술무기가 쓰레기인가요?
    2.무기 조합
    특수 무기가 일반 무기보다 좋아서 일반 무기를 안쓰게 됬다고 하셨는데, 이는 위에서 기술 무기에 관한 글에서 얘기했든 무거운 날에 가벼운 자루를 조합하여도 대부분의 특수무기보다 훨신 좋다고 할 수 있는 성능을 가졌기에 핑계에 지나지 않다고 봅니다.
    또, 강화도에 따라 무기를 마음대로 바꾸지 못한다고 하였는데
    한정된 강화자원은 기존 소울류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기존 소울류, 특히 엘든링에서도 무기 하나, 둘 정도만 파서 1회차를 본 뒤 하고 싶은 무기를 찾아 강화들을 해서 2회차 3회차로 넘어가는게 공식이나 다름이 없었고, 회차를 미는 도중 무기를 바꾸고 싶다하면 상점에서 월석을 구매해서 어느정도까지는 강화할 수 있으니 상관없습니다.
    스탯 때문에 바꿀 수 없다는 말은 진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스탯별로 적절한 자루 가짓수가 어느정도 있고, 심지어 보정이 받아도 속성공격력 밖에 올려주지 못해 날의 가짓수도 제한되어있는 진화스탯 쪽 무기끼리만 봐도 사용가능한 자루 7자루, 속성공격력이 포함되어있는 날 6자루 총 42가지 조합이 가능한데, 동력이랑 기술만 써봤다는 사람이 스탯 제한 때문에 무기 조합이 불가능하다고 하는건 진짜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스탯 제한때문에 무기를 못드는 것도 아니고 스탯 초기화도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건 진짜 말도 안되는 핑계밖에 안된다고 봅니다.
    뭐 뉴비가 얼마나 알겠느냐, 뉴비입장에서 리뷰한건데 어떻게 그러겠냐 라고 하기엔
    56시간이라는 적지 않은 시간을 하셨고, 리뷰하겠다고 하는 사람이 이정도 정보도 안찾아보고 리뷰를 했다고 하기에는 아쉬울 뿐임..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뭐.. 리뷰는 어디까지나 의견이지만
      정확한 워딩은 기술무기의 날이 별로라는 의미였습니다.
      피의 거짓은 애초에 마케팅 자체가 엄청나게 많은 무기조합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강화에 막혀서 자유로운 무기전환이 생각이상으로 쉽지 않았죠.
      많은 무기조합과 그걸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왕식의 무기 전환방식이 훨씬 유연한 방법이라고는 생각합니다.
      다른 무기의 조합이나 다른걸 사용하고 싶어도 이미 사용하는 무기의 날에 강화도를 다 때려밖아서
      다른 무기의 날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상태였습니다.
      이 의견은 저보다도 훨씬 유명하시고 게임 분석도 치밀하신 김실장님과 같은 의견이시죠.
      언급하신 무기들은 게임이 나오고 꽤 시간이 지난후에야 커뮤니티에서 각광받고 있는 무기 조합들인데
      저는 출시 직후에 하루에 10시간 이상씩 플레이를 해서 그 어떤 공략도 무기의 조합도 전혀 없던 상태였음을
      감안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리뷰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인데 감정 담아서 일일히 쓰시면 어차피 둘다 감정소모인데
      흥분좀 가라 앉히십쇼

    • @Burning_Soda
      @Burning_Soda Год назад

      ​@@미즈의게임스튜디오​선생님..
      답글쓰면서까지 핑계만 하시면 곤란합니다
      정식 출시일이 9월 19일이고 저도 그때부터 천천히 달려왔던 사람입니다
      선생님이 9월 21일 20시간 정도 하신 영상 올린 후 10월 3일까지, 편집시간 감안해도 9월 말까지 약 35시간 했다고 봅니다.
      그때도 폭군 암살자의 단도+도시의 창이라던가, 9월 25일까지 올라온 무기 추천영상만 봐도 좋은 기술빌드가 상당히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없고, 기술 무기는 쌍룡검말곤 하기도 싫어진다 라고 얘기하셨죠
      그리고 김실장님 영상은 날과 자루에 대해 확실히 구분을 했고 날에 성능 대부분이 모여있기 때문에 자루에도 성능을 분담해야했다, 가드성능만 봐도 나눠줬으면 좋았을것이다 라고 합니다. 다만 선생님은 이렇게 얘기하고자 하는 의도가 영상에 있었나요?
      기술 무기류의 날의 성능이 뒤떨어진다 가 아니라 기술스탯을 받는 무기들 전체가 다 쓰레기같다고 하시고, 쌍룡검 하나만 보고 어떻게든 재미를 보면서 했다고 하지않으셨나요?
      심지어 김실장님 영상에선 자루에 스탯보정치도 언급하셨는데, 이는 조합에 영향을 줄 정도도 아니라고도 하셨지만 선생님은 스탯때문에 무기 교체가 불가능하시다고 하시지 않으셨나요?
      그리고 초반에 무기 재료를 다 박아버리고 선택의 자유를 제한해버린다는 얘기는 김실장님도 아쉬웠다는 얘기합니다만, 이는 제가 얘기했듯이 기존 소울류에서도 재료공급량이 매우 유사합니다.
      소울류에서도 1단계재료를 천천히 주다가 2단계 재료를 주기 시작하면 1단계재료를 돈으로 살 수 있게하고, 3단계 재료를 주기시작하면 2단계 재료를 돈으로 살 수 있게 하죠
      무기 재료가 한정적인걸 감안해도 저는 1회차부터 날 3개 4개씩 강화해가면서 했던거 생각하면 공급량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무기를 강화하기전에 무기조합으로 훈련장에서 비교실험정도는 충분히 할 수 있게 되어있었어요
      심지어 선생님은 이미 1회차를 끝까지 해보셨던 상황인데 그렇게 말하기에는 56시간이라는 시간이 아깝지 않을까요?
      리뷰라고 하기엔 게임에 대한 분석보단 불만만 토로하는 영상같아 "핑계"라는 워딩을 사용하여 얘기하였습니다만, 답글까지 와서 핑계를 대실줄은 몰랐습니다.
      게임을 리뷰하여 남들에게 알리는 영상을 만들고자하면.. 적어도 저같은 일개 유저보단 조금 더 정보를 찾아봐야 하지 않았을까요? 당시의 타임라인을 고려하고 조금만 찾아봐도 이렇게 나오는데..

    • @요하나-m6x
      @요하나-m6x Год назад +1

      ​@@Burning_Soda 핑계라니 누가보면 대역죄인인 것 처럼 써놓으셨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정 좀 하세요

    • @요하나-m6x
      @요하나-m6x Год назад

      @@Burning_Soda 다른 댓글들도 좀 보시고 그러세요 영상올린 사람과 동일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아닌 사람들도 있지만
      님처럼 감정적인 사람은 혼자인데 좀 돌아보시고 그러세요 ㅋㅋㅋㅋㅋㅋ
      이래서 유튜브재생하고 댓글먼저 보는 맛은 있지

    • @Burning_Soda
      @Burning_Soda Год назад

      ​@@요하나-m6x​
      제가 좀 화를 많이 낸건 인정합니다만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잘못된부분에 대해 이야기하시면 됩니다.
      유튜버 선생님은 이것저것 불만을 토로했지만 그건 핑계다, 단면만보고 제대로 안찾아보고 리뷰를 그렇게 하는게 맞냐 라고했는데 다른 핑계를 들고와서 전혀 반박이 되지않고있지않습니까?
      그래서 제가 화가 더 났었고요.
      대역죄인은 아닐지라도 잘못은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56시간이나 했다는 타이틀을 걸고 리뷰를 하는데 정보를 찾아보고 플레이를 한게 맞나, 이런 리뷰 영상의 주 시청대상은 이 게임을 할까 말까 하는 사람 혹은 이제 이 게임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는 사람이 대상인데 이렇게 편향적인 정보만 전달하고 잘못됬다싶은 정보를 얘기하는게, 이게 잘못이면 잘못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다른 댓글들을 보면 이렇게 감정적인 댓글 안 보이긴합니다. 근데 다른 정보영상중에 쌍룡검빼고 기술무기 다 쓰레기다, 스탯때문에 무기 못바꾼다고 하는 영상이 있나요?
      게임을 살지말지, 게임 시작한지 얼마안되는 유저가 보면 스탯잘못찍으면 캐릭터 나락가고 무기 잘못 강화하면 다른무기는 아얘 못쓰는 게임으로 보지 않을까요?

  • @box78_box
    @box78_box Год назад +4

    1회차 기술무기 유저입니다
    딜부족은 절실히 느끼고 있어서
    쌍룡검 쓰다가 딜이 너무 필요할 때 인형도끼+명인요리사자루로 플레이하는 중입니다
    너무 힘들어서 그냥 동력무기 쓸가 하다가도 쌍룡검을 포기 못하겠네요 ㅋㅋㅋ

  • @GoroshiMan
    @GoroshiMan Год назад +2

    다른거 다떠나서 제일 스트레슨 무게가 아닐까 생각드네요;; 너무 비효율적임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저가 올린 팁 영상에도 있지만
      스테미나 회복률 상승아뮬렛만 끼면
      80퍼전까지는 무게에 대한 패널티가 생각보다 크지않습니다 덕분에 저는 동력무기에 퓨리어택 회피아뮬도 껴서 생각보다 쾌적하게 1회차 엔딩을 봤었죠...

    • @vidyesvara
      @vidyesvara Год назад

      기존 프롬류 게임 하던 기준으로 보면 체력, 지구력, 공격력 대신 적재 찍는 게 아깝다고 느낄 수 있는데 이 게임은 적재가 가장 효율 좋은 스탯입니다. 무게 늘려서 좋은 장비 차는 게 다른 능력치에 투자하는 것보다 체감이 큽니다.

    • @HEALINGSOUL_MISSION
      @HEALINGSOUL_MISSION Год назад

      3회차 넘어가면 무기 3개 다차고 리전암3개 다차도 가벼움임... 물론 1회차는 아쉽기만합니다.

    • @GoroshiMan
      @GoroshiMan Год назад +1

      @@HEALINGSOUL_MISSION 3회차를 가져와서 말하는건 의미가없음

    • @HEALINGSOUL_MISSION
      @HEALINGSOUL_MISSION Год назад

      @@GoroshiMan 그리고 무게로 징징댈수없는게 무거움까지는 회피성능도 안떨어짐

  • @알타리로모스
    @알타리로모스 Год назад +1

    그래도 엇박과 정박을 섞는개 아닌 엇박공격 따로 정박 따로라 1트 클 하려는게 아니라면 쉽습니다

  • @버섯-i6b
    @버섯-i6b Год назад +2

    내가 어렵게 했던 이유가 기량무기로 싸워서였구나...!!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날렵하게 치고 빠지는건 여기서 불가능합니다

    • @제로웬
      @제로웬 Год назад

      ​@@미즈의게임스튜디오그것도 그렇지만 가벼운 무기의 장점을 살리기 힘들었음..무게가 가벼우면 회피거리도 상당히 들어나고 하는 메리트가 있어야 하는데 가벼움 상태로 만드는게 정말 어려움..

  • @windeuna1721
    @windeuna1721 Год назад +1

    이지스방패 2단계 업글까지만하고
    L2가드중에 L1연타시에 적공격 정박엇박 다 퍼가되고
    L2가드중에 R1공격시에 무기내구도 하락안됨
    P기관 쿼츠 패시브적용에 무기내구도최대치에 공격력상승 옵션 적용됨
    쿼츠패시브는 리전관련 옵션 넣어주고
    스텟은 적재력 많이 투자하고 그러면 게임 난이도 하드에서 이지 됩니다

  • @98noryb01
    @98noryb01 Год назад

    소울류 피의거짓으로 입문했고
    초반 3챕터까지 답도없이 뒤져서 이거 그냥 그만할까 했다가
    3챕터 보스에서 25번 대가리 깨지면서 깬뒤로 3트이전으로 모든 보스잡고 지금 10챕터 도달했네요
    소울류 재미를 알게해준게임 너무 꿀잼

  • @란-x1v
    @란-x1v Год назад +1

    오늘 데모 다 깨고 구매후 다시 했는데 데모가더빡센거같네요ㄷㄷㅡ

  • @user-dol
    @user-dol Год назад +1

    파이프렌치+봉.. 폭딜
    페이츠 아츠 슈퍼아머!!

  • @yunkwangll
    @yunkwangll Год назад +2

    매콤한 소울류에 달달한 설탕을 뿌린 느낌인데 모험을 한다는 느낌이 약해서
    과연 이걸 소울류라 해야할지 그냥 짭블본이라 해야할지.? 소울류 입문하고자 하는 뉴비분들이 부담없이 체험할수있는
    달달한 소울류라 해야겠네요.

  • @곰팅이-s8f
    @곰팅이-s8f Год назад +1

    음 마이크 문제이신지 아니면 그냥 중간에 거리조절 문제이신건지 모르겠는데 소리가 한번씩 멀어지는 느낌이 영상에서 한번씩 있더라구여. 이건 중간에 마이크에서 조금 떨어지신것같구
    기본적으로 음질때문에 마이크도 좀 더 좋은거 쓰시면 좋을것같기는 해요!
    영상은 끝까지 잘봤습니다! 저는 입문으로 P의거짓 했는데 진짜 욕이란 욕도 다 하면서 스토리가 맘에 들어서 좋았어요!
    1회차때 진엔딩을 못봐서 2회차에 진엔딩보려고 2회차까지 마무리했네요!
    개인적으로 DLC 나오면 바로 사서 플레이하고 후속작 나와도 바로해볼듯!
    + 우산으로 끝까지 깨보려고 깝쳐보다가 현타를 느끼고
    쌍룡검으로 모든 공격을 패링하려다가 뒤지게 얻어맞기도함 ㅋㅋㅋ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아 저도 기량무기 하려고 바로 우산먼저 주워서 썻는데 이게 맞나 싶은 생각이 너무 심하게 들어서 바로 접었습니다.
      마이크는..... 사실 좋은걸 쓰지만 너무 오래되서 슬슬 바꿀까 생각은 하고 있었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ddlega1
    @ddlega1 Год назад +1

    성검, 트리아이나, 리퍼, 톱날+샐러맨더, 인간성 써봤는데 성검만한 무기가 없더라..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구독 좀 해주십셔 형님들

  • @둘리형아
    @둘리형아 Год назад +1

    오늘 안건데요.
    기술 스탯이 안좋은거같음..
    동력의 크랭크로 바꾸면 기술이 30이상이고 동력이 11이어도 더 세요..
    ㅋㅋㅋㅋ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어...전혀 몰랐던 사실이네요 이건ㅋㅋㅋㅋ 스탯자체가 효율이 별로인건

  • @나락-s5h
    @나락-s5h Год назад +2

    너무 단점위주의 리뷰라 ... 놀랍네요;;;
    단점은 길게 언급하시고 장점은 짧게...
    게임성을 따져봐도 단점보다 장점이 더많은데...

  • @kingdoking
    @kingdoking Год назад +2

    어마나! 나 소울류 처음 해보는데 기술 무기고 엔딩 봤는데 나 잘하는 편일지도!!!! 😊

  • @gimdam
    @gimdam Год назад +1

    피의거짓 리뷰중에 제생각과 가장 일치 하네요~ 어제 이지스방패 퍼펙트가드 100% 영상을 본후 플레이 하니 보스전 완전 쉬워졌어요. 버그인지 원래 그런건지 ㅋ 플스기준 L2누른채로 L1연타입니다. 여러분도 해보세용~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오 그런방법이... 있었군요 이지스방패

    • @yj9238
      @yj9238 Год назад

      이지스 방패 4강까지 강화하면 쓸수 있는 기술 말씀하신거 같아요.

    • @작쿤-l9z
      @작쿤-l9z Год назад

      이제 패치되서 안됨

  • @birdflu1
    @birdflu1 Год назад

    나쁜 리뷰는 아니지만 별로 공감은 안되네요. 무기는 내가 원하는대로 날이랑 자루를 조합해볼수있고 언제든지 능력치 초기화해서 다른 빌드를 해볼수있고 싱글게임에 무기 밸런스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처럼 게임 못하는 아저씨도 조력자랑 함께 보스 쉽게 클리어할수있고요, 조력자 소환 안되는 몇몇 구간에서만 좀 힘들었는데 꾸준히 트라이하면 충분히 클리어 가능한 수준이었네요

  • @Manner-Nam
    @Manner-Nam Год назад +1

    P의 거짓이 입문자한테 너무 어렵다 말이 많은데. 그건 진짜 무식하게 정공법만 고집하는 경우고 시스템 잘 파악하고 온갖 잡 수단 동원하면 난이도 화 내려감. 보스전 조력자 활용이 한 예이고. 1회차 기준으롯 투척물이 사기 아이템이라 에르고 노가다로 투척물만 가든 채워도 엘리트몹 순삭 가능

  • @하하핫-j6j
    @하하핫-j6j Год назад +1

    동력,기술 둘다 틀렸습니다 ㅋㅋ
    진화+이지스+투척 개사기...

  • @t알고리즘-p9y
    @t알고리즘-p9y Год назад +5

    글쎄요. 길찾기도 어렵지않고 시스템만 좀 이해하면 난이도가 그렇게 어렵다고 느껴지진 않았네요. 이게임이 블러드본과 유사하다고 말들이 나왔던게임인데 블러드본이 오히려 온리 회피플레이라 더 어려웠던 기억이 있네요. 다크소울시리즈도 그렇게 친절한 게임들은 아니였고요. 입문자용으로도 충분히 재밌게 즐길수있는 게임이라고 봅니다.

    • @t알고리즘-p9y
      @t알고리즘-p9y Год назад +2

      또 하나 조력자 시스템도 있어서 보스가 어려운분들은 조력자의 도움을 통해 쉽게 클리어가 가능하기도하고요. 여러면에서 초심자 입문자들을 배려한 게임이라고 봅니다.

  • @tini_tiny_bird
    @tini_tiny_bird Год назад +2

    헐 정반대로 생각해요 저는.
    p의 거짓으로 소울류 입문했고 매우매우 재미있게 플레이 했습니다. (현재 5회차 진행중)
    보스 에르고로 교환하는 무기가 너무 좋아서 일반 무기를 잘 안 쓴다고 하셨는데
    전 오히려 일반무기가 너무 좋아서 보스 무기를 안 쓰고 깼네요 ~_~..
    이렇게 다양하게 플레이 경험을 가질 수 있다는 것 자체로 잘 만든 게임이 아닐까 싶어요.

  • @vidyesvara
    @vidyesvara Год назад +2

    P의 거짓 입문용으로 괜찮습니다. 패치 후에 난이도도 많이 하향되었고 조력자+투척물이면 보스 패턴 알기도 전에 때려잡습니다.

  • @준형박-g6k
    @준형박-g6k Год назад +1

    솔직히 패치전에도 그렇게 어렵다고 생각안했는데 입문할때 하셔도 충분함
    블본이 갠적으로 제일 빡샛음
    아 참고로 3회차까지 깻음

  • @maru9684
    @maru9684 Год назад +1

    소울류는 엘든링 딱 하나 해봤고
    피의 거짓이 소울 두번째인데
    개인적으론 피의 거짓이 더 재미있었습니다
    단지 뭔가...느껴지는 볼륨이나 세계관의 디테일과 매력은 당연 엘든링이 더 우세하다고 생각하구요
    무기는 원래 단검 회피 직업군 같은 걸 좋아해서
    폭군 암살자 단검에 기술 찍고 나머지 적당히 생존이랑 무게 신경써서 찍고 엔딩 봤는데
    비교를 위해서 다른 무기들 유튜브를 통해서 봤는데
    뭐랄까...역시 동력 무기들이 확실히 더 고점에 있다고 느껴지더군요
    그래도 제가 플레이한 적당한 딜링에 빠른 템포로 치고 빠지고 회피기 위주 능력으로
    쏙쏙 피해주면서 어떨 때는 과감하게 y축으로 계속 회피하면 딜링을 유지하는 쫄깃한 맛은 일품이었습니다
    그리고 소울류 특징!! 회피는 뒤로 회피하기 보다는 그냥 과감하게 앞이나 옆으로 회피하는게
    생존에 있어 훨씬 좋다는 걸 잘 알고 있죠 ㅎㅎ
    폭군 단검 스킬에 치명타 확률도 있어서 유지하는 시간에 딜을 잘 우겨넣는 컨트롤이 가능하다면
    기술 무기엔 순수 단검만한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 @wonjust8839
    @wonjust8839 Год назад +9

    개인적으로 입문자용으로 아주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소울류는 공략을 보며 게임을 진행하는적이 많았지만 피의거짓은 공략1도 안보고도 충분히 진행할수 있었네요. 길찾기도 어렵지 않았구요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2

      입문용으론 다크소울3나 엘든링이 너무 좋아서...

    • @믁휴
      @믁휴 Год назад +3

      ​@@미즈의게임스튜디오 입문용으로도 패치후 피의거짓이 훨씬 까마득히 편합니다

    • @미즈의게임스튜디오
      @미즈의게임스튜디오  Год назад +1

      ​@@믁휴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론... 피의 거짓의 전투방식은 기존 소울류보다 전투할때 신경써야할게 압도적으로 많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에도 나와있듯이 기존 소울류에서 전투에 신경쓰는 건
      보스의 체력에 따른 페이즈 변화, 스테미나, 본인의 체력, 물약, 거리 조절, 가끔씩 나오는 엇박, 잡기 정도라면
      피의 거짓은 밥먹듯이 나오는 엇박, 반드시 요구되는 퍼펙트가드, 그로기 상태에 반드시 요구되는 차지 강공격, 무기 내구도 관리까지 추가로 더 신경써서 플레이 할게 많다보니
      당연히 입문자 기준에서 난이도는 피의 거짓이 훨씬 더 높다고 생각은 듭니다.
      다크소울3 군다는 앞으로 가서 회피나 막기 없이 공격키만 눌러도 잡을 수 있습니다.

    • @박기환-w7w
      @박기환-w7w Год назад +3

      입문자용으로는 절때 비추입니다. 피로감이 다른소울라이크보다 상당히 높습니다. 블로드본 세키로 해보고 피의거짓까지 해보고 남깁니다.

    • @믁휴
      @믁휴 Год назад +6

      장담하는데 입문자용으로 피구라 만한게 없음
      그로기 퍼펙트 패링이 어렵다지만
      반대로 유저 본인도 보스나 엘리트몹에 원투킬 나진 않음
      보스전 소환 나그네도 충분히 어그로외 딜량에서
      도움되는 수준임
      동선 구성이 매우 직관적이고 이벤트 발동만 시킨다면
      포탈 아이콘 으로 대화표시 설명해줘서 놓치기 힘듬
      패턴 괴랄 ? 역동작이 많다지만 의외로 우회전 계속 좌회전 계속 하며
      막고 반격하는 수준의 방어적 전투로도 보스대응 전부 가능
      제발 프롬빠들아 나도 충분히 프롬 3대 500 치는데
      프롬겜은 이만큼 친절하지 않어 절대로
      유저친화 패치 이후에 1회차를 다시 해봐봐 좀
      출시 첫날 엘리트 잡던 피로도를 아직 얘기하는거면
      그냥 적응력 부족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