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평소 전기 쓰는걸 생각없이 써오다가 이번달 전기세 나온거보고.. 전기좀 아껴야겟다 생각했엇는데 이 영상을 보고 나니 그 동기가 더 뚜렸해졌고 해결책도 어느정도 보인것 같습니다. 이번 영상은 하나의 재미를 주기 위한 컨텐츠라기보다 보는 우리들로 하여금 '전기를 절약' 하자는 습관을 들이는 캠페인에 초점을 맞춘것 같아 유익했습니다.
하지만 생각외로 일상에서 쓰이는 전기량이 어마어마하고 이런건 안써도 된다 하지만 그게 하루이틀이지 일주일만 지나도 내가 왜 굳이 이러고 있지? 이생각이 드실겁니다. 그리고 대한민국 전체사용량이 꽤 높은거지 가정의 사용량은 개발도상국 수준입니다. 산업용 전기가 정말 무지막지한거예요. 전기 쓰는걸로 죄책감 안가지셔도 됩니다.
오랜만에 진짜 재밌는 컨텐츠였네요 일상 생활이랑 접목해서 도전 컨텐츠 느낌으로 하니까 재밌습니다 수드님 결과적으로 완패하긴했지만 이과적으로 계산하면서 행동하는거도 감탄나오고요ㅎㅎㅎ 근데 한전 전기는 기업들이 다 가져다 쓰는데 많이 쓰는편도 아닌 일반 국민들한테만 아끼라고 요구하는 캠페인을 하네요 ㅠ 산업 전기료를 올려야지.
어이없네 ㅋㅋ 전기 맡겨놨어? 버티실수있고요?ㅇㅈㄹ ㅋㅋㅋ 이미 가정용 전기로 부담하고 있잖아? 요금체계 정비 안해서 산업용은 저렴하고, 저렴한 전기라 펑펑 낭비해대고, 그러다 전기 부족하면 가정용 전기세 올리고. 그러니까 '언제까지 전력 낭비를 가정용에만 책임을 물을거냐, 산업용 전기세 올려라'란 말이 나오는건데 무슨 뭐 전기 맡겨놓은 사람마냥 준내 당당하게 멍청한 소릴 하냐
@@김윤만-z1s 내가 원하는 것은 단순한 초전도체의 정의가 아닙니다. 그것이 궁금했다면 그냥 검색해서 정보를 취하고 말았겠죠. 님이 말한 안될과학같은 채널의 영상을 봐도 되는 거고. 하지만 내가 원하는 것은 긱블만의 방식으로 풀어주는 재미를 원하는 겁니다. 같은 주제라도 긱블에서 보는 재미는 다르거든요.
재밌는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생각난다면 .. 그냥 댓글로 적으면 댓글 보시고 보완 조금 하면 재밌겠다 싶으면 실험해보시나요~!? 현재 재밌는 아이디어가 많이 넘치는데.. 간략하게 한가지를 예를 들자면.. 차가운 얼음물통을 실외에 놔두면 물통에 수중기(?)가 생기는데 이론상 무한 물을 생성할수 있는게 아닌지... 누가 먼저 어떠한 방법을 쓰던 1L를 만든다던지.. 철로 만든 모형 장난감 자동차앞에 자석을 달면 외부의 힘없이 스스로 앞으로 전진할지 안할지 한다면 몇키로까지 버티는지 ..ㅋㅋ
문과 대 이과는 단순한 컨텐츠이다. 두명이 서로 이론과 잔머리를 굴려대다가, 항상 문과가 승리하는 컨텐츠다
인정합니다
인실X의 교훈을 주는 꼰딴츠 표본
ㅋㅋ
문-갓
나도 평소 전기 쓰는걸 생각없이 써오다가 이번달 전기세 나온거보고.. 전기좀 아껴야겟다 생각했엇는데 이 영상을 보고 나니 그 동기가 더 뚜렸해졌고 해결책도 어느정도 보인것 같습니다. 이번 영상은 하나의 재미를 주기 위한 컨텐츠라기보다 보는 우리들로 하여금 '전기를 절약' 하자는 습관을 들이는 캠페인에 초점을 맞춘것 같아 유익했습니다.
하지만 생각외로 일상에서 쓰이는
전기량이 어마어마하고
이런건 안써도 된다 하지만
그게 하루이틀이지
일주일만 지나도 내가 왜 굳이 이러고
있지?
이생각이 드실겁니다.
그리고 대한민국 전체사용량이
꽤 높은거지
가정의 사용량은 개발도상국 수준입니다.
산업용 전기가 정말 무지막지한거예요.
전기 쓰는걸로 죄책감 안가지셔도 됩니다.
아닠ㅋㅋㅋ독하다독해 그냥 적당히 쓸생각하면서 지내도될텐뎈ㅋㅋㅋ
아무래도 돈준다고 하니 ㅋㅋㅋㅋㅋ
생각보다 전력량 겁나많이 달아서 놀라움 ㄷㄷ
진용진의 머니게임을 이런식으로 했다면...
수드님 진짜 그래도 대단하다 이과 컨셉 유지해야하니까 만보기도 그렇게 하고..사실..문과는 그냥 일반적인 상황이라고 보면 돠는거라....
이과의 장점: 이론이 정확하다.
이과의 단점: 이론만 정확하다.
문과의 장점 : 직감으로 승부한다.
문과의 단점 : 직감으로 승부한다.
@@wtf_is_this_channel드립을 이해를 못해;;
@@xe.onm1n? 뭐가 이해를 못한거임
@@xe.onm1n걍 니가 찐인듯ㅋㅋ
@@wtf_is_this_channel문과의 장점: 직감으로 승부한다
문과의 단점:직감으로만 승부한다
평소 전기 제품을 쓰면서도 얼마나 많은 전기를 사용하고있는지 체감하기 쉽지 않은데 전력량을 유의하며 생활을 하게된다는 점에서 이 컨텐츠 재밌게 봤어요! 저도 오늘부터 1kwh 줄이기에 동참해보겠습니다 😎
오랜만에 진짜 재밌는 컨텐츠였네요 일상 생활이랑 접목해서 도전 컨텐츠 느낌으로 하니까 재밌습니다 수드님 결과적으로 완패하긴했지만 이과적으로 계산하면서 행동하는거도 감탄나오고요ㅎㅎㅎ 근데 한전 전기는 기업들이 다 가져다 쓰는데 많이 쓰는편도 아닌 일반 국민들한테만 아끼라고 요구하는 캠페인을 하네요 ㅠ 산업 전기료를 올려야지.
안데 스포당했어
산업용오르면 단가인상에다한 부담은 버티실수있고요?
어이없네 ㅋㅋ 전기 맡겨놨어? 버티실수있고요?ㅇㅈㄹ ㅋㅋㅋ
이미 가정용 전기로 부담하고 있잖아? 요금체계 정비 안해서 산업용은 저렴하고, 저렴한 전기라 펑펑 낭비해대고, 그러다 전기 부족하면 가정용 전기세 올리고. 그러니까 '언제까지 전력 낭비를 가정용에만 책임을 물을거냐, 산업용 전기세 올려라'란 말이 나오는건데 무슨 뭐 전기 맡겨놓은 사람마냥 준내 당당하게 멍청한 소릴 하냐
@@꼬부기-v4y
하계기준
주택 300kWh 이하 112원 /kWh + 기본요금 910원 (저압)
산업용 300kw미만(하계) 갑1
107.7원/kWh+기본요금 5,550원(저압)
산업용 300kw미만(하계)갑2
고압A-1 87.2원 기본료 6,490원
고압A-2 82.3원 기본료 7,470원
고압B-1 84원 기본료 6,000원
고압B-2 79.5원 기본료 6,900원
이야 참싸다 그렇지? 그만 선동 당해
아 이자료 어디꺼냐고 한국전력 요금표란다 ^^
거기다가 가정용만 올린다고?
뭔 산업용은 매년 가격오르고있단다.
@@꼬부기-v4y 자꾸 산업용 전기료를 안올린줄 아시는데 산업용전기료도 수십년간 꾸준히 인상해왔고 오히려 가정용은 동결하는동안에도 인상해왔습니다. 한전 홈페이지만 가도 알수있는내용.
이 날씨에 전기없이? 리스펙...!
이론상 이과가 유리한데 문과가 피지컬로 이겨버리는 컨텐츠
늘 피지컬에 밀리는 이과....
만보기 분해와 온열기에서 머리 쓸데 안 쓸데 구분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거 뭔가 이과+문과 vs PD같은 느낌 ㅋㅋ
와 컨텐츠 기획 엄청 잘했네요.
게임을 할 때 명확한 규칙을 만들어 놓고 하길 바랍니다
하는 도중에 바뀌면 보는 사람도 하는 사람도 김빠지기 마련이고 재미도 반감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번 영상 수드래곤님 왜이렇게 귀여우신거지,,,
입금 드렸읍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수드님은 노는걸로 알고 가시면서도 저 유니폼을 입으시네요….
놀랍게도 결혼식에도 입고 가십니다
@@Hatsal_Tunel 오!! 투넬님의 답글이라니!!! ㅋㅋㅋㅋㅋ결혼식은 전혀 예상치 못했습니다… 애사심이 강하다..라고 봐야할까요ㅋㅋㅋㅋㅋㅋ
긱블팀 초전도체 재현 함 해주세요...조회수 대박날거여요...
12:47 이때 이미 또 한 명의 이과 1패 적립 😂
9:21 오타 났어요 10시 30분 경과가 아니라 9시 30분 이에요
편집자님 오늘 아자르에서 만났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구독자 인증입니다 :) 대화도중 폰이 꺼져서 😅😅😅
여름철 전기 실생활연계로 의미도있고 엠티에서 게임하면서 일하고 긱블 복지 폼 미쳤다
와 저거 화장실 온수로 음식하는거 미국 국립공원 호텔이면 전자레인지 없는 경우도 꽤 있어서 저렇게 했어야 했는데 ㅋㅋㅋㅋㅋㅋ
이 컨텐츠 너무 좋네요.
조금더 규칙을 빡빡하게 해서 게스트 불러서 하면 좋을듯
ㅇㅈ 2vs2나 3vs3 이었으면 더 재밌었을듯
@@TIBTO21 팀전이면 불화마저 컨텐츠가...!
공익성과 정보성과 재미를 다 잡은 컨텐츠
13:53 이과는 불 끄기 전 눈을 감음. = 눈을 감은 상태에서 어두운 환경에 돌입하면 뜬 상태보다 더 빠르게 눈이 적응함
전기를 늘릴 수 있는 미션이 있으면 좋았을텐데 좀 아쉽네요
진짜 예능보는것같다 ㅋㅋㅋ
9:19 예? 10시간 30분이요? ㅋㅋㅋㅋ
형님 문뜩 드는 생각인데 항상 번뜩한 아이디어로 발명해주셔서 감사하며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네비게이션이 발명됬다는데 건물안에있는 건물 도면을 이용해서 건물용 네이게이션도 있으면 어떨까 싶어서 적어봐용
건물 안에서까지 길을 못 찾아요...?
약도를 보고도?
ㅠ 그런가 음성안내가 있으면 약도 보는 수고가 덜 할꺼 같아서 끄적여봤어용 ㅠ
@@김이박-v7q앞이 안보이면 우째 찾노
오 컨텐츠 너무 좋아요 👍
4:03 화장실 전기 쓴 건 왜 포함 안 시키나요?
02:37 보너스로 상금을 '올릴 수 있는' 미니게임이라고 해놓고 전부 상금 까는 미니게임밖에 없네ㅋㅋㅋㅋㅋ
9:22 여기 감금 9시 30분경과 아닌가욥
1일 전기 사용량을 일깨워주는 유익한 컨텐츠였어요
앞으로 어떻게하면 전기를 더 절약 할 수 있는지 알게되어 좋아요
잘보겠습니다!!!
10:38 500Wh아님?
엄청 덥겠는데요ㄷㄷㄷ
멸균 식품은 그냥 먹어도 됨.
살균 식품은 그냥 먹으면 아플 수 있음.
냉동치킨은 살균 식품
문과가 이겼다네요~
수드래곤 잘생겨따아…
저희가 본 영화 : 트루먼 쇼
수용님 성격 진짜 좋다... ㅋㅋㅋㅋㅋ
혹시 인덕션? 가스레인지면 써도 되는 거 아닌가요?
전기의 소중함
이과참신했다, 전기가 저런식으로 소비되는군요 뭔가 신기하네요 평소에 잘 끄고 뽑아서 뿌듯하기도 하고
12:49 긱블아 폭팔적이 뭐냐...
12:47 혹시 폭발적 아닌가요....아니었다면 죄송합니다.......
궁금한게 있어요
지구의 중력은 아래로 힘을 받는데 내핵까지 파고 들어서 제가 서 있는 지점에서 그대로 내핵을 뚫어서 떨어진다면 저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
?
님이 서 있는 곳까지 뚫고 들어가기엔 그 힘이 너무 약합니다.
내핵에선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요
요즘 뉴스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상온 초전도체로 영상 만들어 주세요.
초전도체가 뭔지 다시 한번 설명 부탁드리고
초전도체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상온 초전도제는 진짜 가능한 것인지 설명해 주세요.
그 영화 아바타랑 같이 설명 하면 좋을듯
이미 안될과학 채널에서 다룬 주제네요
@@김윤만-z1s 내가 원하는 것은 단순한 초전도체의 정의가 아닙니다.
그것이 궁금했다면 그냥 검색해서 정보를 취하고 말았겠죠.
님이 말한 안될과학같은 채널의 영상을 봐도 되는 거고.
하지만 내가 원하는 것은 긱블만의 방식으로 풀어주는 재미를 원하는 겁니다.
같은 주제라도 긱블에서 보는 재미는 다르거든요.
@@sarang...초전도체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상온초전도체는 가능한지 모두.. 유튜브에 나와 있습니다.
10:11 하 수드님 귀여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이건 진짜 재밌었다ㅠ
간만에 재미있게 본거 같아요 ㅎㅎㅎㅎ 너무 즐거웠어요
나중에 발전기도 만들어서 누가 발전많이하나도 콘텐츠로하면 재밌을거 같아욬ㅋㅋㅋㅋㅋ
9:21 10시간 30분이 아니라 9시간 30분 아닌가...
화장실 온수 보일러 통해서 나오는데 전기 계산 된건가요~
애플펜슬 케이스 정보있나요?
4:41 자산이라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행히 온수보일러에는 전력 공급을 해줬나보네요 ㅋㅋㅋ
이제 긱블에서 초전도체 개발만 남았네요~~!! 상온초전도체 실험 해보시죠ㅋㅋ
재밌어요! 다음에도 재밌는 컨텐츠 부탁해요!
상온초전도채 만들어주세요
새만금스카우트잼버리 간접체험 폼 미쳤다
밥솥에서 수건을 넣어도
수건안의 물기가
빠져나가는게 아니라 수증기로변해서 어짜피 다시 묻는것때문에 진게 아닐까
삼겹살... 먹고싶다...
수돗물 펌프도 전기쓰는데😊
앗 아앗
온수도 전기로 만들지 않나요?
처음 수건 두개의 무게가 동일한지 체크도 해야하지 않나요?
영상에는 안나왔는데 물 넣기 전 후 동일 무게를 확인했습니다!
@@수드 감사합니다 잘보고있어요!
@@shinelee5695 😆
옛 로고가 그리워요😢
14:14 여기 부분 노래 이름 아시는분?
중간중간 소pd님 목소리같은데 수드님이라고 자막 달려 있네요
콘텐츠 아이디어 제안은 어디에서 해야하나요? 알려주세요
긱블 설명글: 저희는 쓸모 없는 것만 만듭니다
긱블 채널 배경(?) 사진: 쓸모 없는 도전은 없다
??
20:11 스마트폰 50번 충전을 참아야하는 전기라고 생각하니 엄청 줄이기 어려운 전기량이네요…
쌉가능...
편안하게 한 3일 정도 쉬다 오겠네...
오늘의 교훈:문과가 이길때가 더 많다
컴퓨터 사용 10시간은 좀...노트북도 아니고 데탑의 경우 주 용도가 게임인데 게임종류나 컴퓨터 스펙에 따라 다르겠지만 못해도 300w는 넘지 않을까요?
고사양은 350까지도 나가서 2시간51분밖에 못 쓰지만 1990~2000년대 구형(윈도XP 등)으론 14시간도 쓸 수 있긴 합니다.
@@오치치577 제가 그 시절 쓰던 컴을 생각하면 모니터만 100와트를 넘었던 것 같습니다.
저거 프로젝트 할려고 표시한 과장성인 것 같아요 ㅋㅋ
물없이 vs 전기없이 해주세용
그래서 인덕션이 그렇게 파워가 강했군요
게임을 계속 져버리니 이길 수가 없넼ㅋㅋㅋㅋ
뜬금없지만 초전도체에 대해 궁금합니다! 긱블분들~~~!!!
검색하세요^^
@@인공심장^^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전기차부터 운행제한으로 사용을 막아야 겠군요
하루 생산되는 전기의 과반수를 사용하는 공장들도 전기를 아끼고 말이죠
결론은 한전의 이야기는 말이 안되는 소리라고 생각됩니다
전체 사용량 기준 가장 소모량이 적은 가정에서 아껴봐야 티끌 모아 티끌입니다
당연히 1kwh 배터리 광고 협찬일 줄 알았는데 ㅋㅋㅋ 반전이네요
형!초전도체는?
20분짜리 영상이 엄청 짧게 느껴졌네요 재밌게 봤습니당 ㅎㅎㅎ
대충 맥가이버 브금 틀어주고 공구 던져주면 해결 할수있어 실패하면 패트와 매트 브금 틀어주면됨
이과가 패배하는 결론에서, 우리는 실학이 왜 마이너였는지 알 수 있...
아니다 이 악마야!
소리보다
영화볼 때 불끄고 TV밝기를 낮추셨어야...
누진세가 너무 비싸서 답도 없죠. 기업들은 전기 발전해서 한전에 팔아먹고 수익 개꿀 이러고 있고 ㅋㅋ 이젠 집에서도 태양광 풍력 등등 써가면서 발전해서 써야지 전기세 비싸서 에휴
뭔가 돋보기 같은걸로 불 피워서 뎁힌다거나 뭐 이런걸 생각했는데 그런 컨텐츠가 아니었구나
[교훈]
인덕션은 전력효율 좋은거 쓰자
긱블에서 상온상압초전도체 만들어주시면 안될까요?
긱블님들 지금 이럴때가 아닙니다 초전도체보자마자 긱블같은 영향력있는 과학유튜버가 나설때입니다
12:47 폭발적으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감사 합니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세상에서제일빠른?미니카만들어주세요😊
그래도 잼버리에 비하면 5성은 아니더라도 3성급..
재밌는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생각난다면 .. 그냥 댓글로 적으면
댓글 보시고 보완 조금 하면 재밌겠다 싶으면 실험해보시나요~!? 현재 재밌는 아이디어가 많이 넘치는데..
간략하게 한가지를 예를 들자면..
차가운 얼음물통을 실외에 놔두면 물통에 수중기(?)가 생기는데 이론상 무한 물을 생성할수 있는게 아닌지...
누가 먼저 어떠한 방법을 쓰던 1L를 만든다던지..
철로 만든 모형 장난감 자동차앞에 자석을 달면 외부의 힘없이 스스로 앞으로 전진할지 안할지 한다면 몇키로까지 버티는지 ..ㅋㅋ
생존에 필요한건 이과적 지식이 아닌 물리 ㅋㅋㅋㅋㅋ
적어도 가스레인지랑 냄비는 제공해주지. 인덕션이랑 전자레인지가 전력을 얼마나 많이 소비하는데...
캬 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