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위한 자녀교육 - 존리 대표 지나영 교수 대담 1 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6

  • @jinayoung
    @jinayoung  2 года назад +1

    세상에서 가장 쉬운 본질 육아
    bit.ly/3UoHNNa
    인세의 일부는 사단법인 야나 후원에 쓰입니다.
    들숨에 긍정 날숨에 용기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099993
    마음이 흐르는 대로
    bit.ly/3lpR8RO
    인세의 일부는 캄보디아 낙원학교를 후원합니다.
    클래스유 온라인 강의
    인생을 스스로 개척하는 주체적인 아이, 본질 육아법
    me2.do/xMbGMysc
    세바시랜드 온라인 강의
    행복한 아이 행복한 부모, 본질 육아법
    www.sebasiland.com/courses/1701455258473680
    (클래스유와 세바시랜드 강의는 동일한 강의입니다. 편하신 곳에서 수강하시길 권합니다.)
    네이버 카페 본질육아 캡틴스
    cafe.naver.com/essentialparenting
    닥터지하고 채널 맴버쉽 가입
    ruclips.net/channel/UCBv2aQduvdXtYAAT3-EW41gjoin

  • @딩동댕-e3p
    @딩동댕-e3p 3 года назад +13

    속이 시원합니다~~~~
    한국의 아이들이 모두 행복한삶을 살기를♡

  • @삶에감사하기
    @삶에감사하기 3 года назад +15

    지나영님 말할때 눈빛 👍
    빛나요~~♥선생님 책으로 독서모임 했어요

  • @카페라떼-l2m
    @카페라떼-l2m 3 года назад +22

    자녀 정서교육+ 경제 교육= 최고의 조합입니다.
    사교육을 완전히 끊을 수 없어서 최소 기본은 하면서 주식과 펀드 교육 열심히 같이 하고 있습니다.
    저희 가족의 중요한 멘토들이십니다~

  • @라라-q6z
    @라라-q6z 3 года назад +3

    두분다 제가 너무좋아하는분입니다 ~~ 도움되는강의~~^^ 감사합니다♡

  • @joycekim6837
    @joycekim6837 3 года назад +14

    두분의 만남이 보기에도 너무 좋네요~우리나라가 이제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서 모두가 행복한 학창시절을 보내고 자신들의 길을 스스로가 찾아가는 행복한 삶으로 모두가 나아가길요~

  • @minminryu2016
    @minminryu2016 3 года назад +24

    저도 수능은 안봐도 된다고 생각해요. 아이가 하고싶은걸 시켜주고 싶어요..문제는 초중고 학교는 졸업해야 하는데, 그 학교에서 주어진 과제나 약속들을 따라는 가야겠고..한국 학교의 교육목적은 수능이어서 수능안봐도 상관없다며 남들과 다른 행선지를 타면 4차원의 특이한 사람보듯 차별적인 시선을 받아서 아이가 위축되진 않을까 신경이 쓰여요..
    대안학교는 비싸고, 혁신초를 보내자고 이사를 다니기도 어렵고,
    미국으로 보낼수도 없고~~~
    대한민국 안에서 두분말씀대로 소신있게 교육시키기가 어렵게 느껴져요..

    • @카페라떼-l2m
      @카페라떼-l2m 3 года назад +19

      우연히 애를 혁신초중을 보냈습니다. 혁신초도 난리입니다. 교사들과 학교는 안바꼈는데 유럽의 이론적 창의를 가르치니 애들이 그냥 놀기만하는 경우가 많아요. 좋은 대안학교는 커리큘럼이 대학같이 세련됐지만 경쟁이 너무 없다보니 입시에는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고 애들이 한국현실에 적응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제 결론은 일반이던, 혁신이던, 대안이던 결론은 아이가 타고나는게 90프로라고 생각돼요. 즉 특목고든 일반고든 상위권 애들은 다 비슷한 역량과 공부재능이 있는 애들이라 생각됩니다. 지교수님이 부유하지 않은 환경에서 미국 진출을 했던 것처럼요... 다만 한국은 애들 성향과 별개 다 똑같은 교육방식을 하니 상처받고 병이되는 애들이 많은거죠. 다만 아이가 좌절할때 부모와 소통하느냐 회복하는 힘이 있느냐는 부모와의 신뢰관계가 중요하다는거겠죠. 중딩이후 애들이 너무 많이 변하고 너무많이 힘들어하니까요...제정신으로 사는것만도 감사할 정도로..

  • @Oldbigbrother
    @Oldbigbrother 3 года назад +5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세상이 변했다는것을, 변해간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함에서 출발하지 않을까 합니다. 어떻게 변했고, 어떻게 변할 것인지를 어느정도 안다면, 아이들에게 그 방향이나 그 성격만이라도 알려준다면, 스스로 생각하지 않을까 합니다.

  • @이정수-z7x
    @이정수-z7x 3 года назад +8

    두 분의 유튜브도 많이 보고 두 분의 책을 보면서 실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 @ELION-ep2vb
    @ELION-ep2vb 3 года назад +1

    Dr.Ji
    Finally!!!

  • @성혜윤-m6y
    @성혜윤-m6y 2 года назад

    자막으로 정리을 잘 해주셔서 너무 보기 좋아요 감사합니다

  • @nofishday
    @nofishday 3 года назад +21

    이 두분이 한화면에 나올줄은 정말 몰랐네요 너무 좋습니다.ㅎㅎ

  • @olivi3560
    @olivi3560 3 года назад +8

    13살, 9살, 7살 아이 엄마입니다.
    지금까지는 지나영교수님이 말씀하시는 방식과 비슷하게 아이를 키웠는데요,
    큰 아이가 6학년이 되면서 중학생이 된다고 생각하니 보통 한국엄마들이 그렇듯이 주입식교육쪽으로 자꾸만 흘러가려 하더라구요. 사실 1년간 한 50%는 그렇게 지내왔습니다.
    느닷없이 공부하는 거 체크하고 간섭하는 저와 아이와의 불화는 주기적으로 계속 되었어요. ㅠ
    그러던 중 제 지인 중 방목을 하였지만 아이가 학습부분에서 자신감을 잃고 목적의식을 찾지 못해 힘들어 하는 걸 들었어요.
    그 후 더 교육적으로 신경써야겠다고 마음이 기우는 요즘. 지나영교수님의 말씀이 저를 근본으로 다시 이끌어 주십니다.
    교육적으로 더 관심을 더 가지는 방법중에 한국 부모들이면 10에 9은 하고있는 주입식교육을 안하기는 정말 어려운 일이지만
    내년, 중학교1학년 (자유학기제) 그 후~내신이 중요해지는 2학년서부터가 진정한 아이에 대한 믿음과 부모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때라는 생각이 지금 정말 절절히 듭니다.
    어렴풋이 제가 커왔던 자율성을 듬뿍받은 환경을 아이에게 주고 싶다는 생각으로 지금껏 지내왔는데,
    마치 제2라운드!가 시작되는 것 같은 이 시점에
    지나영 교수님을 알게 된 것은 저와 저희 세 아이들의 삶에 큰 변화를 만들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교수님영상보고 강의 듣듯이 공부하고 실천 해 보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박씨가문대표미인
    @박씨가문대표미인 3 года назад +2

    어머어머! 제가 좋아하는 두분이 함께 나오셨네요 ^^ 반갑습니다~~

  • @조마리아-p5v
    @조마리아-p5v 3 года назад +9

    유익한내용이었습니다~
    새롭게하소서에서두분뵙고
    은혜받았어요
    하나님께귀하게쓰임받으시길

  • @mathildapark4185
    @mathildapark4185 3 года назад +10

    지나영 교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하고, 캐나다 퀘벡 주에서 응원하고 있습니다!!!

  • @잇프제효니
    @잇프제효니 Год назад

    15:02
    15:47
    공부만 잘하는게 최고다!라고
    자란
    20~ 30대 아이들이
    나 너무 행복하다라고
    하는 아이들이 몇이나 되나?

  • @PandaSsi
    @PandaSsi 3 года назад +7

    Wow 두분다넘좋아요~

  • @curiosityexpedition9347
    @curiosityexpedition9347 3 года назад +10

    시험이 없는 대한민국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싶습니다. 2부가 너무 궁굼합니다. 지나영교수님 초록색티셔즈 너무 잘 어울립니다. 제가 너무 좋아하는 그린~색이네요.

  • @qazwsxedcrfv-i1y
    @qazwsxedcrfv-i1y 3 года назад +14

    교수님 영상 너무 감사하고 잘봤어요~ 김누리 교수님 검색하면 한국인이 불행한이유 능력주의에 대해 얘기하고 교육개혁 주장하시는데 언제 콜라보해주시면 너무 좋을것같아요. 계속 한국교육위해 관심주셔서 감사해요💕

    • @qazwsxedcrfv-i1y
      @qazwsxedcrfv-i1y 3 года назад +1

      ruclips.net/video/GxmKfeksVZQ/видео.html&feature=share
      최근 kbs 쌤과함께에서 강의하신 영상 입니다.

  • @susemi53
    @susemi53 2 года назад +2

    두분 말씀 격히 공감합니다. 한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저희는 공부가 아닌 운동이나 예술교육에 시간과 돈을 쓰고 있어요. 공부는 혼자서 할수 있지만 운동은 배워야 할수있다 생각되어서요. 멘탈과 끈기력을 가르치고자 하는게 동기였어요. 그런데 아이가 셋이다보니 공부시키는것 만만치않게 돈이 더 드는것같아요 ㅠㅜ 아무것도 안시키는건 비현실적이긴 한데 어떻게 밸런스를 맞추어야 할지 고민입니다.

  • @user-qm9vj2jk4g
    @user-qm9vj2jk4g 3 года назад +5

    교수님 오늘 넘 이쁘세요 이스타일 잘어울려요

  • @user-qm9vj2jk4g
    @user-qm9vj2jk4g 3 года назад +3

    와우 두분 다 👍

  • @milacle8510
    @milacle8510 3 года назад +2

    제가 좋아하는 두분이시네요~!

  • @rianesbae
    @rianesbae 3 года назад +6

    제가 좋아하는 두 분 나왔네요!!!

  • @janekim1513
    @janekim1513 2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 교육제도를 뜯어고쳐야하죠.

  • @지니쏭-q6e
    @지니쏭-q6e 3 года назад +3

    마음이 흐르는대로~너의 진심을 알아라…마음과 경제적 안정

  • @조유경-s5x
    @조유경-s5x 3 года назад +6

    두분다 새롭게하소서 잘봤습니다~~

  • @별별별-k2t
    @별별별-k2t 2 года назад +4

    제발 한국속 우물안 개구리로 아이들을 키우지 않도록 잘 가르쳐주세요 ~~~~~~~~~

  • @정솜결
    @정솜결 3 года назад +4

    너무 귀한영상 감사합니다ㆍ솜결

  • @새벽날개-x4m
    @새벽날개-x4m 3 года назад +7

    교수님 머리 웨이브 있으니 더 예쁘세요. 그리고 어려보이네요.^^

  • @재이-z2n
    @재이-z2n 2 года назад

    한국은 전국민이 똘똘 뭉쳐서 지옥을 만들고 있는 듯... 제발 이제 좀 변하길...

  • @jel4976
    @jel4976 3 года назад +1

    시험 못보면 육체노동밖에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