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석의 반야심경 제5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 五蘊皆空 度 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 오온개공 도 일체고액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無苦集滅道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무고집멸도
    無智 亦無得 以無所得故
    무지 역무득 이무소득고
    菩提薩埵 依般若波羅蜜多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
    故心無罣礙 無罣礙故 無有恐怖 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
    고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三世諸佛 依般若波羅蜜多 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 고득아뇩다라삼막삼보리
    故知 般若波羅蜜多 是大神呪 是大明呪 是無上呪 是無等等呪 能除 一切苦 眞實不虛
    고지 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능제 일체고 진실불허
    故說 般若波羅蜜多呪 卽說呪曰
    고설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Комментарии • 79

  • @김한섭-p8g
    @김한섭-p8g 4 года назад +8

    이시대 정신적 방향타를 가진 최진석 교수님 화이팅 우리들 마음속에 노벨상 최진석 색.수.상.행.식 오원은 모두 공이다 반야경을 다 모아놓은것을 반야심경 이라한다 고통의 바다 안에서 해탈하고 윤회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세상의 진실한 모습 실상 인연을 보아야 한다 인연생기는 12단계로 설명할수 있다

  • @박현서-j1u
    @박현서-j1u 4 года назад +8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방종택
    @방종택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Happy-dk8dx
    @Happy-dk8dx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박멍멍-u1g
    @박멍멍-u1g 3 года назад +6

    선생님 말씀 너무 좋아요
    부처님이 보신 우주의 실상하고 인간이 알고 있는 우리의 우주를 깨트려 알려주신것을 잘들었습니다
    인간이 생리적 정신 육체의 한계로 본질을 제대로 구분 못하는 인간의 한계를 느끼며 부처의 가르침으로 이한계를 넘기를 바라며 좋은 말씀 너무 감사 합니다 ㅎㅎㅎㅎㅎㅎ

  • @조영애-i8c
    @조영애-i8c 4 года назад +10

    교수님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강의를 열심히 듣고 실천하고 지금도 들엇던 말씀도 듣고 또들어요 들을떼마다 깨달음은 제가 실천하고 넘어간만큼 의식이 달라져요 늘감사함을 갖고있었지만 글을 남기는게 자신이 없엇읍니다 늘 고맙고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 @서미정-c6u
    @서미정-c6u 3 года назад +4

    교수님~~덕분에 인생살기에 많이도움받고 있습니다^헛똑똑이로 살았음에 후회하고 반성하고 있어요^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강의 부탁드립니다 ~

  • @유병상-d5t
    @유병상-d5t 4 года назад +9

    매일 조금씩 듣습니다
    꼭 한 번은 해보고 싶었던 공부입니다
    감사합니다~♥

  • @sh.k5628
    @sh.k5628 4 года назад +43

    고맙습니다. 5강 긴호흡 영상 잘 익히겠습니다. 이동이나 외출이 부담스러운 이 미증유의 시기에 어딘가에서 담담하게 철학적 관점으로 불가의 가르침을나누시고, 또 누군가는 촬영하고, 누군가는 편집해서 이렇게 올려주시는 수고로움이 곧 '보시/布施'가 아닌가 합니다. 감사합니다.

  • @성례조-y5q
    @성례조-y5q 2 года назад +3

    반야심경 5강까지 들으면서 얼마나 편협한 생각으로 살아왔는지에 대한 생각을 떨쳐버릴수가 없네요

  • @바른마음따뜻한마음
    @바른마음따뜻한마음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세요

  • @Koreanart-talk
    @Koreanart-talk 4 года назад +7

    대답을 하기보다는 질문하는데 익숙한 사람이 되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이선영-y7i3m
    @이선영-y7i3m 4 года назад +17

    업을 두껍게 쌓았던 제가 철학적 공의 논리로 인연맺은 교수님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효령대군이 유신들로부터 비판받으며 반야심경을 언해•간행했으니.- 18대손 제가 교수님께 가르침을 받게되어 행복합니다. 큰 우주속 제가 강렬하고 응축된 메시지의 심장에 이해의 도달이 늦더라도 한 발걸음을 떼었으니 백척간두진일보로 노력하겠습니다. 시편23편 외우듯이 경이 외워지길 바라는 오늘이 참말로 행복합니다. ^.~♥

  • @지니맘-b8z
    @지니맘-b8z 4 года назад +6

    교수님
    완전 팬이되었어요

  • @장성재-z8r
    @장성재-z8r 3 года назад +3

    교수님 감사합니다

  • @사랑행복-x9i
    @사랑행복-x9i 4 года назад +6

    탁월한 강의 감사합니다.

  • @kwang-h2t
    @kwang-h2t 4 года назад +4

    저는 1961년생입니다. 최진석 교수님과 도올 선생님 유튜브 강의 듣는 재미로 살아갑니다.

  • @감-b7o
    @감-b7o 4 года назад +9

    감사합니다.교수닝!
    몇 번 더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깊어지고
    자유롭기를 바랍니다.
    건너가기를 바랍니다.
    건너가는 이 과정이 소중한 것이라는 것을 새깁니다.

  • @전지현-w3n
    @전지현-w3n 4 года назад +10

    교수님의 반야심경 강의를 듣고 너무 감명 깊게 잘들엇습니다. 지금 이나이에 이런 강의를듣고 저의 삶에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어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인간해방
    @인간해방 4 года назад +10

    어렵고 이해하기 힘들었던 반야심경
    저처럼 무지랭이도 이해할수 있도록
    명강의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빛고은-v4u
    @빛고은-v4u 4 года назад +18

    마음의 소리를 듣고 싶은 요즘♡
    참으로
    고맙습니다

  • @dd95955
    @dd95955 2 года назад +1

    어렵지만 재미있고 매력적입니다 반야심경을 외우면서 가족들의 행복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황정민-k6m
    @황정민-k6m 4 года назад +7

    교수님, 반야심경 강의를 쉽고 알차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강의를 들을때마다 생각과 마음이 열리고 잔잔한 미소와 함께 행복감이 밀려옵니다.^^

  • @K하늘-u7v
    @K하늘-u7v 4 года назад +7

    어수선하고 분주한 요즘입니다.
    모두 지치지 말고, 잘 지내고
    무심히 지나던 일상이 빨리 오기를
    바랍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ᆢ

  • @moonlight-cj2cv
    @moonlight-cj2cv 4 года назад +5

    감사합니다.교수님의 이해하기쉬운 설명은 무지한 저를 감동을주십니다.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십쇼♥️♥️♥️

  • @paul-ek9zg
    @paul-ek9zg 3 года назад +3

    응원합니다^^

  • @김상우-c7f
    @김상우-c7f 4 года назад +6

    반야심경의 설명은 어렵다
    그렇지만
    새로운 시각을 요구하는 것이
    재밌다.

  • @dufosla2
    @dufosla2 4 года назад +2

    의지하는.
    보다 앞뒤 전체 설명하신 교수님 말씀의 문맥상 ㅣ.
    ㅣ.의지하는것 처럼 보이지만
    반야와 함께 가는 ... 아뇩다라삼약삼보리의 해석과 맞는것?. 즉 반야바라밀과 함께 할때 .의지처가 없는. 의지해서는 평생가도 못가죠.
    지혜를 설명하실때 반복을 즐긴다는 설명에 소름돋는 설명 깜놀..대단하심.대박 선생.

  • @은녕-v6v
    @은녕-v6v Год назад

    지금 이시대에
    누구나 접해야할 명강이십니다!
    감사합니다.
    최교수님께서 천부경이나 슈타이너에 아카식레코드를 함께 풀어주셨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건너가기 전문이시니
    조만간 접하실줄 믿습니다!
    기대합니다!

  • @서정태-p5l
    @서정태-p5l 4 года назад +16

    본무자성, 건너가기의 통찰에 감사드립니다. 5강까지 단숨에 들었는데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 @임미류나무
    @임미류나무 4 года назад +16

    와^^~
    교수님
    티비로 연결해놓고
    화면에 꽉찬
    교수님 모습 뵙고
    깜짝 놀랐습니다
    마치
    바로 앞에서 강의 듣는것처럼 좋아요
    건강하세요🙏🙏🙏

  • @김수월행
    @김수월행 4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yeonglanchoo
    @yeonglanchoo 4 года назад +6

    길고 고달팠던 삶의 터널에서 희망을 발견했습니다

  • @user-dream-book
    @user-dream-book 4 года назад +6

    교수님 영상보고 있었는데 알림이ㅎㅎ 잘 보겠습니다~~

  • @수수-x5i
    @수수-x5i 2 года назад +3

    아빠가 계셨다면 같이 들었을텐데요ㆍ감사합니다ㆍ

  • @라라-l6c
    @라라-l6c 2 года назад +7

    최진석교수님 존경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 @박미숙-f9c
    @박미숙-f9c 4 года назад +9

    많은 철학자가 계시지만 교수님강의를 보게됩니다.~♡

  • @hyunjupark6227
    @hyunjupark6227 4 года назад +8

    교수님 질문입니다. 1. 천상천하 유아독존은 위치(자리) 에 있는 건가요? 존재로 있는 건가요? 2. 독존은 절대자 혹은 유일한자 인가요? 아니면 조건이 되면 누구나 될 수 있는 건가요? 3. 그러면 우리는 그 존재를 절대적 존재에 대한 경이로움으로 바라봐야 하나요? 아니면 무한한 고통과 외로움의 극치를 이룬자로 바라봐야 하나요?

    • @jooyoungkim7753
      @jooyoungkim7753 4 года назад +3

      교수님이 1강인가 2강에서 말씀 주셨어요. 천상천하 유아독존은 '내'가 '신(神)'임을 알아야 한다,는 의미라구요. 경전을 읽고 경전을 추종하는 내가 아닌, 나만의 경전을 쓰려고 길을 나서는 자는 '나'밖에 없다,고 하셨네요.

  • @이경자-u6f
    @이경자-u6f 4 года назад +2

    맥주 한잔 마셨더니 힘들게 설하신 말씀이 공중에 떠다녀요 그래서 다음으로 안녕요

  • @이목연-w5q
    @이목연-w5q 4 года назад +9

    열반은 명사가 아니라 건너가는 행위, 감사합니다~

  • @이용균-q5x
    @이용균-q5x 4 года назад +20

    정신없이 바쁘고, 몸도 힘들지만 퇴근해서 생각해보면 뿌듯하고 희열을 느낄때가 있습니다. 전날 제가 미리 생각하고 훈련했던 그대로 모든게 잘 풀렸기 때문입니다. 이것또한 건너가기의 몸부림 입니까?

  • @yeonkkot
    @yeonkkot 4 года назад +5

    건너감이 지혜이다....선생님의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의 강의를 독일어나 영어로 번역할 수는 없는지요?

  • @玄-o8p
    @玄-o8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운동권의 효용성도 연구 부탁드립니다.

  • @milex3z
    @milex3z 4 года назад +4

    교수님 강의 감사드립니다.
    요즘 교수님의 궁금증은 무엇인지요?

  • @화타-m2i
    @화타-m2i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께서 언급하신 "~~주의" 속엔 종교, 정치진영논리도 포함되지 않을까 싶네요 ^😊^
    어쩜 '종교, 정치 진영이 최대의 폭력적인 ~주의'가 아닐까 추정됩니다 😢😢

  • @TheMoohan73
    @TheMoohan73 3 года назад +1

    많이 배웁니다....감사합니다.

  • @玄-o8p
    @玄-o8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립적으로 보지마라!
    감사합니다.

  • @예자선
    @예자선 4 года назад +1

    앗 잘 듣다가, 마음 속에 바라는 바에서 두려움이 생긴다는 부분에서 갑자기 머릿 속이 도루묵 됐어요. 목표하는 거를 똑바로 가지고 용맹정진 하는 거랑?

    • @예자선
      @예자선 4 года назад +1

      아...최선을 다하는 과정에서 보람을 찾고, 안되면 계속하고, 되면또 다른 목표로...근데 힘드네요. 하지만 말씀 틀어놓고 꾹 버티고 있어요.

  • @천수도사
    @천수도사 3 года назад +2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
    반야심경의 깨달음
    보이는데로 해석하면 절대 안된다
    아직도 색과 공의 해석을 비어있네 비어있지않네 등등 이런 해석은 말그대로의 해석에 집착하고 있는것이다
    능엄경 이 놀라운 경전의 진정한 뜻으로 비추어 반야심경을 풀어야만 한다
    반야심경 전체는 인간에 대해서 논하고 있는것이다
    문맥을 이어감에 있어서 ,,,,,
    색과 공에 집착하는것은 말그대로의 해석논리에 불과한것이다
    색은 현생의 인간을 뜻하는것이요
    공은 비움이 아닌 부처를 뜻하는것이다
    비어있지만 빈것이 아닌 그 원래자리인 부처님이 공존함을 뜻한다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불이색
    인간은 부처와 다르지않다
    부처는 인간과 다르지않다
    다르지않기에 같다라는 표현을 앞뒤로 써가며 만들어놓은 반야심경을 제대로 해석해야한다
    인간은 부처와 같다
    부처는 인간과 같다
    다르지않기에 같다 그것이 색과 공인것이다
    깨닫지못하면 중생이요
    깨달으면 부처요
    무안이비설신의 (색=인간 )
    의 : 사람의 뜻
    이것은 인간으로써의 뜻이므로
    본연의 자아인 공 (부처)의 뜻이 아니므로 헛된 망상에 불과한것이다
    반야심경 전체는 인간에 대한부분을 바로 알고자하는 부처의 뜻이 담겨져 있다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부분은 인간의 내면에 있는 부처를 뜻함에 있다
    색이란 인간으로 나타남을 뜻한다 인간으로 태어나고 현생에 보여졌기에 색이란 표현이고 공이란 색안에 있는 본래의 품성을 뜻하므로 능엄경에서는 본래의 성품 즉 공하지만 원래는 그 품성이 존재함을 뜻한다
    공은 색과 현혹되어 비어있다로 해석하는것은 옳바른 가르침이 아니다 능엄경에 비친 부처의 뜻을 바로 알고 이해하길 바란다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여!
    인간은 부처와 다르지않다
    부처는 인간과 다르지않다
    인간은 부처와 같다
    부처는 인간과 같다
    ( 인간에서 오는 색과 )수 상 행 식 또한 이와 같은 맥락이도다

  • @taeyoonkim7737
    @taeyoonkim7737 4 года назад

    너무나

  • @김해피-f3h
    @김해피-f3h 3 года назад +2

    고도로 추상화된 형식만 남기고, 태도를 반복하는 것이 진짜 지혜다.

  • @호청향
    @호청향 4 года назад +2

    마하반야바라밀_()_

  • @내일의태양-r2d
    @내일의태양-r2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번 함평에서 1 기 2기 강의하시는
    알림 문구 못찾아 전화번호 알고 싶습니다

  • @박재춘-s1k
    @박재춘-s1k 4 года назад +3

    無分別의 세계로
    들어가야 불교는
    해결되고 이해된다

  • @박재춘-s1k
    @박재춘-s1k 4 года назад

    色卽是空 空卽是色안데 어찌하여
    空中無色無수상행식
    하며 전부부정해
    버리는지요?

  • @philsoolee1703
    @philsoolee1703 Год назад

    4성제 --> 8정도 -->성불

  • @박재춘-s1k
    @박재춘-s1k 4 года назад

    無我=空 이 둘은 같은
    말입니다

  • @번빈농축
    @번빈농축 3 года назад

    이념,종교,관습 etc(顚倒夢想) 인간을 가축화시킨다.

  • @박재춘-s1k
    @박재춘-s1k 4 года назад +1

    색없는 공 없고 공없는
    색도 없다 ㆍ고로
    윤회도없는거어닍요

  • @정진-o2k
    @정진-o2k 4 года назад +2

    반야지혜의 건너가기. 본무자성. 이념에서 세계로.. 전도몽상.. 도가도비상도. 유무상생.을 ...선생님은 노자 불교를 통해..자유. 창조. 생각.으로 계속 보여지는 것과 보고싶은 것으로 인식을 이야기하시는데..여기서.. 나는 인간과 세계를 다시 물어보고 싶습니다.
    이것도 인간이고 저 것도 인가이다.
    이것도 세계고 저것도 세계다.
    보고싶은것을 보는게 인간이고.. 내가 모여 세계가 되는 것보다 셰계가나를 낳았다고도 볼수는 있다.. 모든 이야기에 부귀영회는 말하지 않는다. 이셰계는 넘버링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반야심경을 가장믾이 아는 1등이 강의를 한다.

  • @박재춘-s1k
    @박재춘-s1k 4 года назад

    반야심경도모순이
    있어 보입니다
    위의 오타 아닌지요

  • @davidhan3292
    @davidhan3292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반야경을 반야한듯 해석 하는 것 또한 연기로 인한사고의 틀에 보여진 바이므로 공이 분명할 진데 그를 어찌하여 본체인듯 설하시는 지요. ?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남과다르게 인식하고 해석한것을 반야라고 주장하고 또 사람들이 반야라고들 존중해왔지만 그중 어느것이 반야인지를 누구도 증명하지 못했지요. 오직 남과 다른 해석을 하고싶은 자들에게만 긴말이 존경받았지만 이또한 틀의 강요일 뿐 아니던가요?
    해석은 시각이 다름에 가치가 있는게 아니라 해석이 현실문제에 적용되어 가치를 증명해야만 비로서 가치가 인정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석가 이후 누구도 부처가 되지못한 이유는 방법론이 없거나 또는 해석한 것이 맞는지를 알수있는 준거가 없어 모두가 해석한 것을 깨달은 본체라고 주장ㅎㅏ기 때문 아닌지요?

  • @박재춘-s1k
    @박재춘-s1k 4 года назад

    本無自性어 아니고
    自性空이라 함이 더
    정확한 표현이 아닌지요

  • @김수선-e7x
    @김수선-e7x 3 года назад

  • @아마골프를위한채널
    @아마골프를위한채널 2 года назад

    최진석스승님
    저는 눈에 보이고 만져지고 느낄 수 있는 몸이라는 실체를 다루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철학이란 보이지 않는 것을 다루는 학문이라하셨습니다.
    질문을 드리면
    스승님은 눈에 보이는 몸이라는 실체를 잘 다루고 계신지는 모르겠습니다.
    눈에 아주 잘 보이는 5감이 있는 몸을 잘 다루는 것이 고집멸도를 멸 할 수 있는 첫 걸음이라는걸 아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앉아 있는 것이 내 몸에 어떤 의미로 인식 되고 있는지는 알고는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혹 서울에 오시면 오셔서 철학자 중 저의 첫 제자가 되실것을 권해드립니다
    10회 10시간 과정이며 끝까지 다니신다면 교육 비용은 무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스승님

  • @조정숙-z8e
    @조정숙-z8e 4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bon-h2v
    @bon-h2v 4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삼명명리
    @삼명명리 4 года назад +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