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부 보다는 압력이 낮겠지만 속도가 빠른 부분과 비교하면 압력이 높습니다. 이런 이유로 비행기 날개의 뒤쪽에 박리(Separation)가 잘 발생하는 것도 비슷한 이유입니다. 무엇과 비교하느냐에 따라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을수도 또는 낮을수도 있습니다. 본 영상에서의 비교 대상은 대략 각도가 60~100도 사이의 유속이 후류보다 상대적으로 바른 유속입니다.
채널 성격이 학부 수준(+알파)인데, SPH와 MPS는 전산유체해석으로 수준이 높고, 개념적인 설명이라고 보다는 테크니컬한 부분이라.... SPH와 MPS는 조만간 다루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영상 주제에 대한 좋은 의견 주셨는데, 죄송합니다. ^^ 학부 수준의 유체역학, 열역학, 열전달의 개념적인 부분에 대한 영상에 집중하려 합니다. 아직까진 열역학 내용이 없는데, 이 부분을 조금씩 추가하려 계획하고 있습니다.
후류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의 영역이 아닌가요?!
전면부 보다는 압력이 낮겠지만 속도가 빠른 부분과 비교하면 압력이 높습니다.
이런 이유로 비행기 날개의 뒤쪽에 박리(Separation)가 잘 발생하는 것도 비슷한 이유입니다.
무엇과 비교하느냐에 따라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을수도 또는 낮을수도 있습니다.
본 영상에서의 비교 대상은 대략 각도가 60~100도 사이의 유속이 후류보다 상대적으로 바른 유속입니다.
교수님 혹시 짧은 평판(1m) 평판에서 re수를 구해서 층류구간이 1.5m가 나오면 1.5m구간이 전부 층류인가요? 아니면 평판 길이까지1m만 층류구간인건가요?
네, 1.5 m까지 층류이면 그 보다 먼 거리에서는 난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1.5 m 이내인 1.0 m 구간은 층류입니다.
질문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는데,
왜 평판의 길이가 1 m인데 1.5 m 지점에서의 유동조건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내부유동에서 유체가 시작지점에서 층류로 흐르게 된다면 이론상 계속 층류로 흐르게 되는건가요?
네, 내부유동에서 Re수는 파이프 직경과 같은 Hydraulic diameter 이기에 유체의 물성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입구에서 층류이면 계속 층류입니다.
다만, 입구에서의 유동이 완전발달되지 않은 영역과 완전 발달된 영역은 나누어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공부하는데 도움많이 받았습니다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주위에 열유체 공부하는 다른 친구들에게도 소개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SPH MPS 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심 안될까용ㅎㅎ
SPH, MPS는 전산유체해석(CFD) 기법을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열유체101 네 맞습니다!
채널 성격이 학부 수준(+알파)인데, SPH와 MPS는 전산유체해석으로 수준이 높고, 개념적인 설명이라고 보다는 테크니컬한 부분이라....
SPH와 MPS는 조만간 다루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영상 주제에 대한 좋은 의견 주셨는데, 죄송합니다. ^^
학부 수준의 유체역학, 열역학, 열전달의 개념적인 부분에 대한 영상에 집중하려 합니다. 아직까진 열역학 내용이 없는데, 이 부분을 조금씩 추가하려 계획하고 있습니다.
@@열유체101 아녜용ㅎㅎ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청륰ㅋㅋㅋ 갱상도 서타일이시네예
네, 완전 갱상도 스타일이죠...^^
태생이 태생인지라 발음은 안되더라구요. 죄송합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