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담수화 기술은 정말 물 부족 위기의 해결사일까?(ft.비용이 문제가 아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сен 2024
  •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
    =============================================
    저도, 여러분도 잘 아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달콤하고, 화려하고, 거창한 무언가의 이면엔
    우리가 모르는, 혹은 알면서도 외면해야 할
    ‘씁쓸함’이 있다는 사실을 말이죠.
    오늘은 해수담수화 기술의
    조금은 불편한 진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해수담수화 #물부족 #기후변화
    =============================================
    [참고 자료]
    - E. Delyannis, (2003). "Historic background of desalination and renewable energies."
    - Nirajan Dhakal et al., (2022). "Is Desalination a Solution to Freshwater Scarcity in Developing Countries?"
    - Alon Tal, (2018). "Addressing Desalination’s Carbon Footprint: The Israeli Experience."
    - Edward Jones et al., (2019). "The state of desalination and brine production: A global outlook."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성된 농축수의 환경적 영향."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음악]
    (1)Sunriver - Restless
    (2)Wild Side
    (3)The 5th Season
    (4)Can you make it
    (5)Howling at the moon
    (6)Once and for All

Комментарии • 1,2 тыс.

  • @none54379
    @none54379 Год назад +157

    농축수는 그냥 방류하지 않습니다. Recirculation analysis(RA)를 통해 온도, 염도 등이 인근 해양생태계에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처리한 후에 방류합니다(완벽한 처리는 불가). 계획단계에서 RA가 불합격되면 프로젝트 추진 불가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환경기준이 상향되어서 농축수처리 또한 엄격하게 계획 관리 되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홍해쪽에 산호군락이 많은데 담수플랜트로 인해 산호군락이 피해를 입을 경우 거의 회사 망할 정도로 벌금 때립니다. 농축수 관리를 철저하게 안할 수가 없죠

    • @user-wx8oy6fp1q
      @user-wx8oy6fp1q Год назад +10

      맞습니다. 에너지자원 역시 화석연료는 사용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Brine 배출규제는 엄격한데 잘못된 정보네요..

    • @fkdltm0814
      @fkdltm0814 Год назад +1

      했던말이잖아

    •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Год назад +9

      @@fkdltm0814 그냥 자기 지식 뽑내고 싶어서 그런거지나 이해해

    • @killerWhale-is5zu
      @killerWhale-is5zu Год назад +5

      그것도 선진국 이야기 아닌가요?

    • @user-tc9ot5is6n
      @user-tc9ot5is6n Год назад

      완벽한 농축.수 처리. 불가 가. .답인듯.,
      중금속..등등..

  • @JL-qm8lu
    @JL-qm8lu Год назад +5

    지구상 해수가 약 145경톤정도 존재한다고 하는데 현재 일일기준 담수화 시설 전체에서 처리하는 해수의 양이 9천5백만톤 (약 1억톤) 정도라고 합니다. 이는 연간 담수화 시설이 가동되었을시 바닷물의 0.0000025%를 처리한다는것과 같고 지구상 바닷물의 고작 1%를 처리하는데에 4만년이 소요됩니다.
    담수시설은 대다수의 인류가 직면한 생존의 문제입니다. 국지적인 생태계에 유의미한 환경변화는 걱정스러울수도 있으나 이문제로 담수화시설에 브레이크가 걸린다면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담근다는 말과 같습니다

  • @iroppong
    @iroppong Год назад +213

    국가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농축수(Brine) 배출 규제는 생각보다 엄격합니다. 담수화 플랜트가 보통 발전소 옆에 지어지므로 발전소 냉각수와 섞어서 희석하기도 하고, 바닷물과 잘 섞이도록 배출 파이프 끝 부분에 확산장치를 달기도 하고요. 배출구 주변 해양 생태계도 많은 경우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크게 문제가 된 경우는 없는 것으로 압니다. 환경규제가 엄격한 호주에서조차도요.
    역시 가장 큰 문제는 에너지 사용량입니다. 바닷물보다는 석유를 짜내서 물을 만들어내는 느낌이죠.

    • @hawk8873
      @hawk8873 Год назад +2

      핵융합 일반화되어도 발전에서 나오는 폐열이 온난화에 영향을 계속 줄듯 합니다. 현재도 전체 열량의 40%가 발전 열이라고 하던데요.

    • @user-uj5sb7ow7z
      @user-uj5sb7ow7z Год назад +5

      @@hawk8873 전체열량이라는게 무슨 말이죠? 태양열 말고 지구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열량을 말하는건가요?

    • @user-ku9kv1nr7u
      @user-ku9kv1nr7u Год назад +8

      '~인 걸로 압니다'는 식의 불확실한 주장만 있고 객관적인 근거가 없네요. 확실한 근거가 있어서 하는 말인가요?

    • @hanwkahak8653
      @hanwkahak8653 Год назад

      @@user-ku9kv1nr7u 이런 좆문가들한테 그런게 있을리가없지

    • @SJ-bg7xo
      @SJ-bg7xo Год назад +1

      @@hawk8873 원래 모든 발전 공정은 우주의 엔트로피가 증가합니다 얻을수있는 실질적인 일과 시간 사이에서 타협을 보는거죠.

  • @user-cu3yc9tk3f
    @user-cu3yc9tk3f Год назад +288

    와 오늘 영상은 '신기하다!'에서 멈추지않고 과학기술을 바라보는 제대로된 시선을 알려주네요... 과학기술인으로서 좋아요를 아보가드로 수만큼 박고 가겠습니다

    • @user-rc6ph6bd5f
      @user-rc6ph6bd5f Год назад +17

      아직 누르고있죠?

    •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Год назад +5

      @@user-rc6ph6bd5f 한 10년 뒤에 다시 한 번 물어보면 될…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oSsGirLNo.1
      @ToSsGirLNo.1 Год назад

      저는 메비우스의띠 만큼 누르고 있음..

    • @user-bx1xl7gl5b
      @user-bx1xl7gl5b Год назад

      @@ToSsGirLNo.1 뫼비우스의 띠가 왜.....?

    • @DH-cx6wy
      @DH-cx6wy Год назад +11

      @@ToSsGirLNo.1 뭔 개소리여..

  • @user-qt8hs3du7n
    @user-qt8hs3du7n Год назад +175

    와 씨 열역학 법칙의 위력을 새삼 다시 느끼게 된다 공짜는 없다 ㄹㅇ

    • @user-rn8xm9ou8o
      @user-rn8xm9ou8o 2 месяца назад +2

      퉁퉁마디 세덤(함초)을 샀다 5포트에 12500원... 소금끼를 머금고 있는 해안식물... 나는 염분공해로 병들어가는 바다가 너무 고통스러워보여서, 화장실에서 오줌싸는 것에 포함된 염분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게 좀 거시기해서... 대야에 오줌싼 물 받아서 키울려고 함초를 샀다 조금이라도 바다가 인간의 똥오줌으로 병들지 않았으면...
      사우디도 담수화하면서 해안가에 염분투성이라던데 퉁퉁마디 세덤이나 대량으로 해안가에 키우면서 염분이나 좀 줄이고 공기를 새좁쌀만큼이라도 더 개끗하게 만들었으면.. 중동전체가 담수화문제로 병신화되어간다던데.... 퉁퉁마디세덤(함초) 를 바닷가에서 키우면 해안가 공기질이 약간이나마 좋아질 듯...

    • @user-f_ck_you
      @user-f_ck_you 21 день назад

      열역학법칙이 왜나오는건지 모르겠지만 공짜는 없죠

  • @user-qx5vg6vi5x
    @user-qx5vg6vi5x Год назад +39

    농축수를 염전으로 보내는 방법도 필요하겠네요. 이미 수분이 많이 빠진 물이라 같은 양의 물에서 더 많은 소금을 더 빠르게 얻을 수 있잖아요

    • @user-xm2ky7lk7l
      @user-xm2ky7lk7l Год назад +6

      효율이 너무 안좋고, 중금속까지 있어 답이없음.

    • @suhyeonkim3069
      @suhyeonkim3069 Год назад +3

      농축수가 소금만 많은 바닷물이 아니라 불가능함. 농축수로 만든 소금은 먹다간 골로감

    • @Fortuna-Aesculapius
      @Fortuna-Aesculapius Год назад +3

      리튬, 마그네슘 맛있게 드실?

    • @Critiqu.e
      @Critiqu.e 26 дней назад +10

      @@suhyeonkim3069 원래 지금도 천일염은 그걸 먹고 있는것 아닌가요?

    • @user-us5lw2dh8s
      @user-us5lw2dh8s 20 дней назад +3

      왜 다들 1차원적으로 생각하지 ㅋㅋ 운송비가 소금생산단가보다 훨씬 비싼대 ㅋㅋ 널린게 해수인걸 잊지마세요.

  • @theduck3311
    @theduck3311 Год назад +94

    담수화 시설 주변에 대규모 염전을 만들어서 소금 생산뒤 남은 물을 버리는 것도 한 방법이겠네요 어쨌든 소금은 늘 필요하고 농도가 짙은 물은 더 빨리 소금으로 변할테니까요

    • @findaway4315
      @findaway4315 Год назад +21

      저도 보자마자 염전을 하면 더 효율적이겠는데 라고 생각했어요.

    •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Год назад +60

      염전도 소금 농도가 적당해야 합니다. 그리고 염전은 깨끗한 바닷물로 생산해야 하는데 담수화 시설에서 생산된 물은 중금속이 가득해서 산업용으로도 식용으로도 못 쓰는 폐기물이에요 그냥

    • @theduck3311
      @theduck3311 Год назад +10

      아 그렇군요.. 그럼 중금속 가득 담긴 물이 바다로 갔다가 우리 몸으로 다시 들어오는 꼴이 되는거군요 지금 ㅠ

    • @bluestonejim2500
      @bluestonejim2500 Год назад +3

      니 머리는 액세사리냐?
      연구를 해서 중금속 분리하면되지?

    • @user-ze4qj4mx9k
      @user-ze4qj4mx9k Год назад +62

      @@bluestonejim2500 효율.. 비용.. 항상 생각하자 잼민아

  • @user-yh3ls1bj4n
    @user-yh3ls1bj4n 23 дня назад +20

    해결 방법의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우선 농축수를 마저 증발시켜 소금을 얻거나 농축수에 고농도로 있는 이온 결합 물질인 나트륨을 이용해 배터리 기술로 전기를 전달하는 수용체로 이용하던가 강우량에 따라 일정 주기에만 농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법을 만들면 돼요.하지만 태양열 발전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도 열을 흡수한 열이 주변에 발열반응으로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는지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Someone111ify
      @Someone111ify 10 дней назад +1

      이과인은 똘똘하네요.

  •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 Год назад +265

    사회가 단점까지 포함해서 받아들여야 한다는망이 너무 와닿네요. 오늘도 좋은 과학지식 감사합니다!

    • @mna833
      @mna833 Год назад +2

      담수화 -사막의 열대화-이산화탄소 흡수- 기후변화 - 담수설비가동 중지 이게 궁국목표임 그냥 쓰고버린다는 단순한생각은 환경을지킵시다 플라스틱쓰지마요 이런 1차원적인생각

    • @user-pn9sc1kh7q
      @user-pn9sc1kh7q Год назад

  • @YEPPIE_canary
    @YEPPIE_canary Год назад +346

    와… 농축수 생각은 전혀 못 했네요… 빨리 좋은 해결책이 나오기를…!

    • @user-si7lx4xw8x
      @user-si7lx4xw8x Год назад +19

      대충 바다로 흘려보내면 알아서 희석되는줄 알았는데 아니었네

    • @user-jeondongmin
      @user-jeondongmin Год назад +2

      @Joannie Mayert 신고함 ㅅㄱ

    • @sep5072
      @sep5072 Год назад +55

      @@user-si7lx4xw8x 희석됨. 그냥 영상이 존나과장한거임.

    • @iilililiiillliililillilili
      @iilililiiillliililillilili Год назад +19

      @@sep5072 ㄹㅇ 바다가 알아서 희석함. 이거 영상이 그냥 경각심 강조차 과장함 ㅋㅋ

    • @Good_together
      @Good_together Год назад

      @@sep5072 쯧..

  • @user-js4wn3eo7w
    @user-js4wn3eo7w Год назад +105

    정말 감사합니다. 유튜브 지식중에는 정말 달의 뒷면은 쏙 빼고, 전달 되는경우가 많은거 같습니다. 최근에 해수담수화 관련 영상을 봤을때는 굉장히 좋은 친환경인줄만 알았는데...

    • @hanbyeongyeob
      @hanbyeongyeob 29 дней назад +2

      경남에 해수담수화 설비를 건설하고 물 공급 준비할 때 도민들이 총궐기하여 후쿠시마 원전수가 더 안전하다, 담수화 물 공급 결사 반대한 결과
      국내 추가 설비 건설이 불가해졌습니다., 후쿠시마 원전수가 더 안전한 물이라고 데모질 하는 나라가 대한민국입니다

    • @tiuz949x0xock
      @tiuz949x0xock 29 дней назад +1

      문제없으니까 그런거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마셈

  • @user-tv2oh2qy5i
    @user-tv2oh2qy5i Год назад +157

    해군생활할때 배에서도 담수 사용했었는데 마시면 마신거같지도 않고 씻으면 미끌미끌거려서 굉장히 엿같았던 기억이

    • @NfK
      @NfK Год назад +25

      속초 민박에서도 담수 사용하는지 미끌미끌하고 비릿하더라고요
      그거 마시면 진짜 기분 엿같음;;

    • @josephus8868
      @josephus8868 Год назад +46

      글에서 말씀하시는 담수는 물론 담수화된 해수겠죠? 담수는 바닷물에서 추출된 담수 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민물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즉, 수도물, 판매하는 생수, 우물물, 강물 등 바닷물 같은 짠물이 아니면 그냥 다 담수입니다. 😂

    • @user-nv3fi5pl2z
      @user-nv3fi5pl2z Год назад +44

      @@josephus8868 대충 좀 알아먹어라 그렇게 똑똑하신 인간이 그거하나 못알아먹냐

    • @josephus8868
      @josephus8868 Год назад +62

      @@user-nv3fi5pl2z 왜 남의 일에 급발진?틀린 건 틀렸다고 해야지.

    • @stainway
      @stainway Год назад +3

      담수화해서 사용했었는데 라고 하셔야죠 ㅋㅋㅋㅋㅋ

  •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Год назад +14

    해수담수화 기술을 들었을 때 담수화하고 남은 함수는 어떻게 하는 걸까 신경 쓰였는데 역시나 문제가 있었군요. 지구 온난화 때문에 여러 모로 난제가 많네요. 뭘 해도 딜레마에 빠지니....

  • @user-nd6om1zr6s
    @user-nd6om1zr6s Год назад +70

    검색해보니 농축폐수에서 마그네슘 추출, 전기공정을 통한 염화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염화 칼륨 등을 제거해 식염제조도 가능하네요.
    기술의 미비보다는 규제의 미비로 그냥 방류하고 있는것이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 @찐타
      @찐타 Год назад +16

      돈이 안돼서 그런거임
      돈만 되면 업자들 정부에 로비 존나해서 어떻게든 해냄

    •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Год назад +10

      기술의 미비가 맞습니다. 제조가 '가능'한 것과 그것을 상용화하는 것은 엄청난 차이입니다. 달 탐사가 가능한 것과 그걸 대중들에게 상용화시키는 것은 어마어마한 차이이듯이 말입니다

    • @ako_o
      @ako_o Год назад +5

      @@찐타 맞죠 사업성이 있을 정도로 상용화가 가능한 자원회수기술이 개발됐으면 좋겠네요

    • @JJ-qo9ik
      @JJ-qo9ik Год назад +3

      소금 만들고 중금속 추출 해서 팔아 돈이 안되나봄. 걍 버리는게 오히려 싸게 먹혀서 그런듯. 기술이 더 발전해서 비용이 절감되고 수익 구조가 생기면 버리는것 없이 유용하게 쓸듯

    • @user-nd6om1zr6s
      @user-nd6om1zr6s Год назад +5

      @@ksuwshshysuoeldn 농축폐수 처리 문제에 있어 처리가능한 방법이 있음에도 경제성을 이유로 기술의 미비를 핑계로 방류한다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접근 방법이 틀렸습니다.
      생활 패수, 공장 패수, 자동차 매연, 공장 매연 등등등 재처리, 집진 등의 처리 장치를 안하는 것이 훨씬 경제성이 있지요.. 처리시설을 안하는 것보다 경제성 있어서 설치 하는 아닙니다.
      그래서 규제의 미비라는 것입니다. 방류보단 그 비용을 감수하고 재처리후 방류해야되는 것이 맞지요... 예로 든 달탐사, 달 자원 사용과는 다른 케이스입니다.

  • @ji-hyunghan3948
    @ji-hyunghan3948 Год назад +5

    역삼투압 모듈 처리문제도 있습니다. 사용된 모듈은 일반적으로 소각, 매립됩니다.

  • @ReadyOrNot_HereICome
    @ReadyOrNot_HereICome Год назад +2

    하나를 해결하면 또다른 하나의 문제가 생기는 식이군요...비가 필요이상으로 퍼붓는 지역의 물을 어떻게 농축물 희석에 쓰던가 아니면 물부족한 곳에 줄 수 있는 그런 방안도 똑똑한 과학자분들이 고안해낼거라 믿어요.
    인간은 예전 생활방식으로 돌아가지 못하고...해결도 못한다면...결국 멸망하겠지요...어릴적부터 듣던 지구온난화와 현재의 기후변화들을 보고 느끼니 인류종말이 그렇게 허황된 얘기는 아닌 거 같아 씁쓸하네요..

  • @electronicdrugmaster4066
    @electronicdrugmaster4066 Год назад +19

    농축수를 식용이 아닌 산업용으로 쓰면 참 좋을듯 합니다. 일단 생각나는건 제설제 정도 밖에 없지만 산업에서 활용하면 좋겠네요

    • @haveaniceday5448
      @haveaniceday5448 Год назад +1

      ㅇㅎ!

    • @user-ys7jq2wd1g
      @user-ys7jq2wd1g Год назад +8

      눈이오는 나라는 담수 많아요...

    • @ttqwwstq
      @ttqwwst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애초에 제설제가 필요할정도로 눈이 오는나라는 농축수를 만들면서까지 담수화를 할 필요가 없음

  • @vnfma7
    @vnfma7 Год назад +2

    해수담수화로 만들어지는 농축수는 바닷물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할테고 지구전체의 물 총량은 같고 결국 사람이 늘어서 쓰는물이 늘어나고 담수화로 농축수가 늘어난다고 해도 바다로 다시 돌아가서 희석되면 영향은 없을텐데
    문제는 희석되는 속도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특정지역에 염분농도가 갑자기 높아져서 국지적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수있는게 문제겠네요

    •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Год назад

      사실 당장에 담수시설이 필요할 정도로 생존환경자체가 열악한 지역이라면
      농축수 따위가 중요한 상황이 아니죠. 어차피 반경 몇KM수준의 매우매우 국지적인 사막화인데
      당장 인간의 생존이 걸린 문제에 몇KM 환경 살리겠다고 난리치는게 말이 안됨

  • @edkjoung5564
    @edkjoung5564 Год назад +3

    맨날 과학지식 유튜버들 어그로 끌기 바쁘고 이면에 있는 단점은 지적하지 않는데 너무 좋네요

  • @mj6user488
    @mj6user488 Год назад +4

    해수 담수화도 좋지만 가장 비용적으로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드는게 사막에 태양광 발전소를 짓고 송수관을 통해 사하라 사막 한가운데에 바닷물을 끌어와서 호수를 만들면 그 물이 증발해서 비가 내리게 되고 작물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user-on2en5nj3q
      @user-on2en5nj3q Год назад +1

      그게 왜 비용적으로 효율이 좋아요?

    • @이원희임
      @이원희임 Год назад

      ​@@user-on2en5nj3q자연 증발

  • @jaegeunpark1006
    @jaegeunpark1006 Год назад +3

    녹농수는 폐기하는 깊이만 규재하면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원래 자연에서도 극지망 특히 북극지방에서 해상 빙산이 생길때 담수만 얼고 농축수는 바다밑에 가라않아서 별도의 심층해류를
    이룬다고 알고 있습니다.

  • @cryingbug134
    @cryingbug134 Год назад +2

    바로 사용가능한 담수가 전체 물 총량의 0.34%라던데 그중에서도 극소량인 농축수의 양은 거대한 해양수에 비해 너무너무 작은거 아닌가요?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Год назад +1

      그 작은 농축수가 배출되는 좁은지역을 초토화 시킬수 있으니까요.
      산불도 지구전체로 보면 별거아니지만 주변에 사는분들은 재앙인것 처럼요.

    • @cryingbug134
      @cryingbug134 Год назад

      @@user-ri73bdis88h7 토출구만 잘 정리해서 심해 쪽으로 ... 하면 되겠네요

  • @honeybreadjo8512
    @honeybreadjo8512 Год назад +4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최근 초전도체 상용화로 뜨거운데 초전도체 상용화로 핵융합 상용화에 이어지며 에너지 비용의 매우 큰 감소로 해수담수화에 들어가는 비용과 발생하는 탄소가 줄어들지 그렇지 못할지에 대해서 한번 해주시면 아주 재미있고 좋을 것 같습니다. 항상 고생 많으십니다.

  • @user_bk8w9d5pbj0otz.h6
    @user_bk8w9d5pbj0otz.h6 Год назад +1

    해수 담수화 플랜트 운용 측면에서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입장이 많이 다른 듯. 연간 강수량이 거의 없는 사우디아라비아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로부터 생산한 담수를 판매할 수 있는 안정적 수요가 존재하지만 한국에서는 충분한 강수량이 확보되는 경우 엄청난 투자금액으로 건설한 담수화 플랜트로부터 생산한 담수를 판매할 수 없어 장기간 유휴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유지 관리비용만 축내는 애물단지가 될 가능성이 큰 듯. 따라서 4대강 사업과 같은 빗물 관리 시스템이야말로 가장 저렴하고 신뢰성있는 수자원관리 방법이 될 듯.

  • @user-co2qw1wr7p
    @user-co2qw1wr7p Год назад +9

    난 100프로 다 담수로 만들고 농축수 안에 있는 소금도 우리가 소비하는줄알았는데.. 역시 무지가 이렇게 무섭습니다..ㅎㄷㄷ

  • @user-go5gb2tq6j
    @user-go5gb2tq6j Год назад +2

    농축수에 그렇게 문제가 있는지는 이해하기 힘드네요.. 물론 고농도의 농축수를 한번에 방류한다면 큰 문제겠지만 애초에 버닷물이 증발하고 비로 내리는건 자연의 흐름인데 그 바닷물을 태양열로 담수화한 농축수가 문제가 있다라?...

  • @bummertyler6395
    @bummertyler6395 Год назад +9

    기술의 단점을 알고 받아들일지라…앞으로 엄청난 기술이 쏟아질텐데 단점을 잘 알아보려는 자세가 필요하겠네요. 울림이 있는 말이네요ㅋㅋ

  • @lol-di3tf
    @lol-di3t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현재로선 해수 전지를 대규모로 만드는게 유일한 해답일듯 하네요. 말그대로 해수를 배터리로 쓰는건데 직접 보시면 알겠지만 전기를 생산하면서도 물을 샬균까지 해주는 대단한 기술입니다. 즉, 전기와 물을 확보할 수 있다는 1석2조가 있죠. 이미 개발한지도 5년 이상된 상태인데 아직까진 대규모로 만든적은 없더군요. 결국 에너지 문제가 가장 큰데 이건 해결이 어렵습니다. 핵융합은 아직 불가능할뿐더러 수십년이 지나도 상용화가 될련지 의문인데 여전히 화력 및 원자력이 주력이죠. 고로 해수 전지가 현재로선 제일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 @stayy5
    @stayy5 Год назад +10

    농축수를 염전과 연계해서 소금 생산에 쓰는 방법을 연구해 보면 어떨까 싶네요.

    • @KKK72842
      @KKK72842 Год назад

    • @wansukim3689
      @wansukim3689 Год назад +1

      염전과 연계할 필요 없이 이미 한주소금이라는 브랜드가 있습니다

    • @asyouknowlee1358
      @asyouknowlee1358 Год назад

      안 그래도 저거 보면서 "농축수로 천일염 만들면 되는 거 아닌가" 생각했는데

  • @user-xm6nf2ib8f
    @user-xm6nf2ib8f 4 дня назад

    과학드림님의 영상과 내용의 퀄러티가 정말 좋습니다. 늘 감사하게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 @aka-qc3iw
    @aka-qc3iw Год назад +7

    0:12 ......이게... 정말....

  • @dlfmatjd9940
    @dlfmatjd9940 Год назад +1

    역삼투식 담수화로 생기는 농축수는 증발식 담수화로 수분을 다 빼서 소금이나 광물 자원으로 활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온난화로 빙하가 녹기 때문에 바다의 염도를 유지하는 데 농축수를 이용할 수도 있겠고요.

  • @user-db8nj3bm8c
    @user-db8nj3bm8c Год назад +5

    안녕하세요. 해수담수화 플랜트의 농축수 배출과 관련 업무 경험이 있는 현직자입니다. 농축수 배출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어느정도 규제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해수담수화 플랜트가 많은 중동에서는 국가별로 이러한 기준이 있고요. 그리고 대부분의 플랜트와 마찬가지로 해수담수화 플랜트도 플랜트 사업 초기에 해당 국가 환경청의 승인을 받기위해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하게 되고, 통과한 플랜트에 한 해 실제 사업이 추진됩니다. 물론 그 규제치 이하로 농축수를 배출하면 환경에 영향이 없다라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본 영상에서는 농축수 배출 규제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다라는 오해를 발생할 수 있을듯하여 댓글 남깁니다.

  • @jerrykw3839
    @jerrykw3839 Год назад +1

    그렇군요.바닷물을 담수화해서 마실수있게 되어 훌륭하다고만 생각했는데 ... 그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시켜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키고 또 담수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짜디짠 2배 바닷물을 처치곤란이라 그냥 바다에 버려 바다 생물에게 위협이라니...골치아프네요.
    다람쥐 챗바퀴같은 난제인데
    이거 해결이 쉽지 않을것 같고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듯합니다

  • @user-rj3rj4bu8p
    @user-rj3rj4bu8p Год назад +3

    해수담수화기술 궁금햇던건데 재밋게 봣습니다. 더운나라는 태양에너지로 하면 되지아늘까 정도는 생각햇는데...농축수에 대한 부분이 참...하나 해결되면 다른문제는 꼭 발생하는군여...짧은 생각으로는 비올때 조금씩 방류하면 어떨까하는...일차원적인 생각을 햇네요 ㅎ

  • @user-rh8qv8pm8s
    @user-rh8qv8pm8s Год назад +2

    염전에서 증발하는 수증기을 이용하는 기술이 가장 현명할것 같습니다. 실제로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는 우리나라 같은 물부족 국가에서도 열대식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즉 비닐하우스의 염전을 생성하고 비닐하우스 천장에 있는 물을 식수로 사용하면 이득일것 같습니다. 뿐만 아니라 소금물이라 할지라도 냉각을 시키면 가운데에 빙하가 생성됩니다. 방법은 무궁합니다. 또한 이 물을 땅에 뿌려 식물을 키우면 알아서 저장되어 지하수로 됩니다.
    만약 저라면 해양도시 근처에 땅을 판후 낙수효과를 이용하여 필터를 설치하여 정화를 하고 식수및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하고 남은 소금 및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안해볼 생각입니다.

  • @nahyeonan4889
    @nahyeonan4889 Год назад +3

    화공 전공자로써 덧붙이자면 농축수(desalination waste water) 에 포함된 다량의 무기 염류를 활용해 flue gas 내의 SOx, NOx, CO2 를 제거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있어요! 물론 역시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어느정도 경제성은 가지고있다고 전망되고있답니다!

  • @mikeryu61
    @mikeryu61 10 дней назад

    기온이 1 도 상승하면 강수량은 7% 증가합니다. 비가 오는 곳은 더 많이 오고 안 오는 곳은 더 건조해진다고 누가 그러던가요? 전체적으로 알 수는 없지만 사막은 더 줄고, 열대 우림은 더 많아지는 것은 맞습니다. 추가로 동토 지방이 초원처럼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다는 것. 딱 한가지만 말할게요. 빙하시대 (기온이 낮은 시대)를 홍적세라고도 하는데 홍적세라는 말 뜻 자체가 건조한 사막이 많다는 뜻이에요.

  • @masterjun4371
    @masterjun4371 Год назад +33

    퀄리티 있는 내용 항상 고맙습니다. 나중에 핵융합기술 관련내용도 한번 다뤄 줬으면 좋겠습니다.

  • @dutong-N.ssadaegi
    @dutong-N.ssadaegi Год назад +2

    담수화 장비라는 이름만 알았는데 농축수는 첨 알았네요
    모든 현상에는 양면성이 있다는 코미디대사가 우스게 소리만은 아니었네요
    헐 영상 편집 너무 제 스탈입니다^^ ㅋ ㅋ

  • @고리액션
    @고리액션 Год назад +9

    해수담수화는 비용측면에서 장벽이 알고있었는데 환경적 측면에서는 처음들어보는 문제를 알게해주셨어요.. 감사합니다.

  • @mikekeyloh
    @mikekeyloh Год назад +1

    농축수는 역삼투압 방식에서만 생기는거 아닌가요 그럼 솔라돔 프로젝트는 이산화탄소나 농축수 둘다 문제 없는 방식이겠네요

  • @user-uz6od9qs2y
    @user-uz6od9qs2y Год назад +9

    농축수 이온 교환의 자발적 반응으로 전기를 만드는 연구가 있다는게 정말 희망적이네요

  • @user-bo8ct5eb4z
    @user-bo8ct5eb4z Год назад +1

    농축수에서 리튬 뽑아내는 기술도 개발중이라던데 빨리 상용화되면 좋겠음
    이걸로 농축수 문제는 해결되지 않겠지만 그래도 하나씩 개발되면 상용화도 됨

  • @user-vi6vy8pj2t
    @user-vi6vy8pj2t Год назад +25

    참..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줘야하고.. 어려운문제네요 ㅠ 환경을 지키면서 발전을 같이하는거 너무 힘든일 ㅠㅜ

  • @SJH_CHR_1127
    @SJH_CHR_1127 Год назад +2

    과학드림님 최고😭👍🏻👍🏻👍🏻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TV-bw4lh
    @TV-bw4lh Год назад +8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말이 인간 사회에만 적용되는 말이 아니었군요. 자연에서도 공짜라는 건 없었습니다.

  • @SKCCP
    @SKCCP Год назад

    농축수 문제가 시각하기는 했는데, 두가지 방안이 있습니다. 아예 확실히 물을 증발시켜서 바다소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안이 하나. 두번째는 농축수에서 광물을 추출하는 방법. 지구 온난화로 북국해, 남극해 주변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물 부피가 늘어나는 만큼, 농축수 문제는 자연스레 해결될수도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을 감안하면 해수를 많이 쓰는게 좋은일.

  • @hskim618
    @hskim618 Год назад +7

    바닷물량에 비하면 담수화량은 매우 작고, 사용된 담수는 다시 바다로 돌아가기 때문에 농축수가 큰 문제라고는 생각이 안 드는데요.
    농축수가 실제로 문제가 되고 있다는 자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 @user-ef6uw4cg2z
    @user-ef6uw4cg2z Год назад +1

    고농축수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야겠네요 한가지더해 염도가 높으니 소금채취에 더 유리한게 아닐까요?

  • @user-yc1wg7mo8o
    @user-yc1wg7mo8o Год назад +11

    바다 관련 환경 문제라서 생각났는데 언젠가 태평양 거대 쓰레기섬에 대한 주제로도 영상 제작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Год назад

    음... 이렇게 하면 괞찮을 듯... 돌려막기지만...
    1. 역삼투방식으로 50%의 담수를 얻고 50%의 고농도 농축수를 얻는다.
    2. 1번의 과정으로 얻은 고농도 농축수는 증발식으로 90% ~ 98%의 담수를 얻고 나머지 10% ~ 2%의 농축수는 염전용으로 보내 광물이나 소금등을 채집한다.
    1). 사막이 있거나 사막 기후인 동네엔 사막에 이 염전을 설치한다.
    3. 1번의 에너지는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한다.
    4. 2번의 에너지는 원자력 에너지원으로 한다.
    5. 후에 핵융합이 가능해지면 이걸로 대체한다.
    6. 원전 가동용으로 쓰고 버리는 삼중수소등이 섞인 버리는 해수도 해수담수화용으로 정해해서 쓴다.
    7. 화석연료용 발전기용은 최대한 배재한다. 급할때나 꼭 필요한 부득이한 경우에만 화석연료형 발전기 가동.

  • @user-ti4cm1pn6r
    @user-ti4cm1pn6r Год назад +7

    네 맞습니다. 대부분의 기술에는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장점만을 보여주려고 하는게 문제이겠죠. 단점도 알고 그래도 사용해야한다면 어쩔수 없이 사용해야겠지만 장점만을 보고 사용한 후 문제가 발생하면 이땐 늦은 감이 있습니다.
    오늘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 @user-su5cg7pi4q
    @user-su5cg7pi4q Год назад +1

    농축수를 가져다가 염전을 만드면 되지 않나? 에너지를 쓰지도 않고 일을 좀 힘들지만 나름 고용효과도 있고…

  • @smallsmithh
    @smallsmithh Год назад +10

    해수담수화라는 키워드에 대해 깊이 생각해본 적 없었는데 덕분에 새로운 지식 알아가요!

  • @dhk6600
    @dhk6600 Год назад

    담수화설비를 설계 했던 사람입니다.
    농축수 문제는 작은 문제 입니다.
    문제는 해수를 RO프랜트에 넣으려면 깨끗하게 정화를 해야합니다. 그과정에서 막대한 화학약품을 사용합니다. RO모듈도 주기적으로 역세를 해야하고 이때도 약품이 투입됩니다. 증발법을 더 심하지요. 내부에 관석이 발생하지 때문에 화학약품이 투입되지요.

  • @leechanghyun
    @leechanghyun Год назад +22

    오오 과드님 이번 주제는 해수담수화군요 ㅎㅎㅎㅎ 최근에 뉴스로 보고 더 찾아봤던 내용인데 오늘도 재밌게 봤어요 ㅎㅎㅎ

  • @user-ss5jr5lx2b
    @user-ss5jr5lx2b Год назад

    1. 천일염은 농축수보다 훨씬 높은 농도가 된다.
    2. 농축수 농도 겨우 두배.
    사해 농도에 비하면?
    3.바닷물의 몇%나 될까?
    지금 농축수가 방류되는 바다가 사해처럼 됐을까?

  • @jun____young
    @jun____young Год назад +12

    와 해수 담수화에 대해 너무 잘 이해됩니다!!

  • @user-cd2mw5wq2w
    @user-cd2mw5wq2w Год назад

    농축수 문제 뿐만 아니죠. 역삼투 반투막 자체가 소모품이고 이는 모두 유기화합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제조시 발생하는 폐기물도 만만치 않죠. 태양광 패널도 제조시 폐기물이 많이 발생할겁니다. 연료전지 수소 에너지도 제조시 발생하는 폐기물이나 에너지 소비에 대해 함구하고 있는 실정이죠. 전기차의 배터리 제조시에도 마찬가지죠. 불리하고 더러운 것들은 뒤에서 가려지고 있고 앞에서는 그 실적만 부풀리고 있는부분도 크죠..

  • @user-xd3qv9mh8d
    @user-xd3qv9mh8d Год назад +5

    그렇지않아도 요즘 해수담수화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hammering_tech
    @hammering_tech Год назад +1

    농축수에 비례할 정도의 남/북극의 빙하가 녹고 이상기온으로 인한 국지적 홍수로 물이 고스란히 바다로 흘러 들어가 크게 걱정이 될 정도는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오히려 바닷물 염도가 낮아지는게 걱정이 된다는 뉴스도 봤었죠~

  • @user-umop23erty
    @user-umop23erty Год назад +7

    대부분 문제는 전력 생산 방식만 해결되면 함께 해결되는 것 같네요

  • @JenielShin
    @JenielShin Год назад +1

    음... 그 농축수 더 농축시키면 소금 되는거 아닌가...? 그냥 소금 생산시설로도 쓰면...?

  • @chrn738
    @chrn738 Год назад +3

    매번 볼때마다 느끼는데 연출 되게잘하시네요 목소리도 지루하지 않구요
    재밌게 봤어요!

  • @gwonlee236
    @gwonlee236 Год назад +1

    농축수가 있다는것은 전혀 생각지도 못 했습니다 많은걸 배웠습니다다 농축수는 필연적 결과물이
    공감입니다. 물부족해결은 역시 대장정의 고난의 길입니다.

  • @user-hm8qq5gt8u
    @user-hm8qq5gt8u Год назад +3

    오늘따라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 이라는 말이 너무 와닿네요. 그저 좋은 기술로만 알았는데 감사합니다

  • @gyu-wankim4703
    @gyu-wankim470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농축수가 문제가 있는 것은 맞지만 반대로 담수처리된 물도 거의 90% 이상이 그대로 다시 방류됩니다.
    우리가 가정에서 수도를 쓰면 대부분이 약간의 오염물질과 함께 하수관으로 흘러가죠.

  • @blue_foot
    @blue_foot Год назад +12

    사용하고 남은 농축된 담수를 그냥 바다에 흘러보내는건 상상도 못했는데 난해하네요😢 다른 생물들은 전혀 신경쓰지 않고 오롯이 인간만을 위한 행동 같아서 마음이 편치않아요..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g7tu3sj6u
      @user-ug7tu3sj6u Год назад +4

      이런 멍청한소리좀 그만하면 좋겠음 그렇게 따지면 아무것도 못함

    • @user-ew8vb6lw7r
      @user-ew8vb6lw7r Год назад +10

      원댓이 아무것도 하지말자는게 아닌데 왜 혼자 빡친거임? ㅋㅋ 영상에서도 사람이, 사회가 기술의 이면을 알고 모르고의 차이를 언급했듯이, 평소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이면을 생각하게 해줘서 고맙다는건데, 여기서 대체 뭐가 멍청한 소리라는거? 대체 누가 멍청한 소리를 하고있는건지 .. ㅉㅉㅋ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Год назад +1

      고작 소금물 방출하는데도 이렇게 고민거리가 많은데, 일본은 후쿠시마 핵연료 씻은 오염수 방출은 얼마나 중요한 문제겠음. 그런데 우리 정부는 항의 한번 안하고 뭘 하고 있는지

    • @user-on2en5nj3q
      @user-on2en5nj3q Год назад

      담수는 안버리는데요

  • @maatpon
    @maatpon Год назад

    해수담수화를 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사용하고 그게 통상적인 취수 방법보다 많으니까 문제다, 라는 부분은 생각을 깊게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해수담수화를 가장 많이 하는 나라는 영상에 언급된 대로 사우디입니다. 사우디는 전체 수돗물에서 절반 정도를 해수담수로 해결하는데, 그럼 나머진 어디서 보충할까요? 보통은 수백km씩 떨어진 지하수원을 퍼다가 그걸 정화해서 수돗물을 만듭니다. 문제는 지하수조차 귀한 나라다 보니 많게는 수천미터까지 땅을 파해쳐야 물이 나오는데 그 깊은 곳에서 물을 뽑고 다시 정화를 하고 대도시로 공급하고.. 여기에 꽤 많은 에너지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래서 이 문제는 우리나라처럼 담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환경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곤란합니다. 에너지가 많이 들어가는 해양담수화 vs 못지 않게 에너지가 많이 들어가는 수돗물 취수법 이렇게 비교를 해야 사우디가 왜 해양담수화에 무게를 싣는지를 이해할 수 있죠. 사우디의 지하수원은 아주 빠른 속도로 고갈되고 있으니까, 차라리 빨리 해양담수화로 전면 전환하는게 오히려 사용 에너지를 줄여서 지구를 더 보호하는 길이 될 수도 있습니다.

  • @user-ct4tc4ho3p
    @user-ct4tc4ho3p Год назад +9

    농축수 배출이 주변 해역 염도에 얼마나 끼치는지 궁금하네요. 농축수 배출량을 몰라도 해수 담수화 비율을 생각하면 어느정도 추측 가능할 것 같은데, 예를들면 1리터의 담수에 1리터의 4% 농축수를 배출하면 함께 2%가 되어 엄청 큰 상승률이 있는데, 바닷물이 1000L당 농축수 2L면 결국 해역 자체에는 영향이 크게 있나..? 라는 생각과 배출하는 곳 바로 앞만 좀 생태계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긴 하네여..

    • @featurestroke1330
      @featurestroke1330 Год назад +6

      단순하게 생각해. 1000L당 농축수 2L가 배출되면 그 2L를 다시 희석시키는데에 1000L의 바닷물이 필요하다는 거잖아. 농축수의 비율이 중요한게 아니라 농축수를 방류하지 않고 처리하는게 중요하다는거지. 특히 농축률이 높을수록 바다로 방류했을 때의 해역 피해는 더욱 커짐. 희석이 덜 된 고농축 해수에서 생존할 수 있는 생물이 극히 드문데 이게 해류를 따라 흘러가면서 충분히 희석되기 전까지 지나간 자리의 생물을 전부 죽여버릴테니까. 괜히 농축을 덜하는게 아님

    • @wansukim3689
      @wansukim3689 Год назад +3

      농축수 배출해서 연안 염도가 높아지면 담수플랜트는 지들이 배출한 농축수 때문에 더 찐해진 해수로 담수 만드느라 개고생 하겠네. ㅋㅋㅋㅋㅋ 해수 담수화가 아주 클린한 물 생산 수단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솔직히 이건 진짜 억까라는 말 외에는 할 말이 없다

    • @shellmini553
      @shellmini553 Год назад +2

      @@wansukim3689 ㅇㅇ 억까임 ㅋㅋ 해수담수화 플랜트 바닷물끌어다 바닷물 배출하는게 생태계 파괴할정도로 영향력있었으면 폐수랑 쓰레기 버리는 황해낀 서해바다는 지금 물고기 멸종했어야지 ㅋㅋ

    •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Год назад +6

      @@wansukim3689 애초에 작은 면적이라도 그 앞 바다 생태계가 초토화되면 어민들은 어케 살라는건지..^^ 괜히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배출수 규제하는게 아닙니다. 지금 한국도 폐수 무단 방출, 양식장 무단 방출로 그 주변 바다나 강이 오염되어 지역사회가 고통받는다는 소식이 많은데 이게 바다로 적용되면 얼마나 타격이 크겠습니까? 아무런 타격이 없다면 규제가 왜 생겼겠나요?

    •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Год назад

      @@shellmini553 서해도 오염으로 인해 지금 어류 종 양이 줄었다느니, 산호초가 사라진다느니 난리인데요? 더군다나 님이 말씀하신 서해는 '염분 농도의 차이로 인한 생태계 타격'을 잘 보여주는 곳입니다. 실제로 태풍이나 호우로 인해 황하 지역에 홍수가 발생하면 서해 또한 염분 농도가 낮아져서 어획량이 줄어듭니다. 그나마 자연적인 현상으로도 이 정도인데, 인위적으로 고염도의 물을 지속적으로 방류하면 당연히 생태계에 영향을 주겠죠. 그렇게 따지면 방사능 오염수나 폐수 또한 어차피 바다는 넓으니까 흘러가니 상관없단 결론도 나옵니다..

  •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현재 역삼투 공법을 이용한 방법으로 바닷물을 육지로 끌어 들이지 않고 바닷속에 커다란 물탱크에 역삼투막을 설치하고 바닷밑 수압에 의해서 생기는 담수를 탱크에 담아서 펌프로 육지에 옮기면 바닷물의 수입과 탱크의 압력차이로 항상 역삼투 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있습니다. 파이롯 검사를 해 본 결과 통상 역삼투보다 필요한 에너지가 40% 정도 소요된다고 하네요. (우리가 지하수를 끌어 올리는 정도). 투과막을 미세입자등이나 미생물들이 막아서 (Fouling) 되는 것을 헤소하는 문제는 주기적으로 끌어 올려서 산(염산)과 알카리(가성소다)를 이용해서를 청소하면 되고요 이때에 발생하는 산, ㅇ알카리성에 의해서 생기는 염 (소금)은 무한대에가까운 부피 때문에 바닷물에 희석 육지에서처럼 고농도 염류를 공해 물질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제가 생각했던 공정과 일치하는 실험이 다른 사람들이 특허를 내고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 @Teemo_Buff
    @Teemo_Buff Год назад +5

    농축수를 바로 버리지말고 농축수끼리 계속모아서 역삼투압을 계속하면 농도는 계속짙어지는데 이걸 광물 추출하는데 쓰면 더 효율적일거 같네요.

    • @user-co6wr1te1m
      @user-co6wr1te1m Год назад +7

      농도계속짙어지면 그만큼뻑뻑해지고 투압시키려면 에너지는 기하급수적으로올라가야댐

  • @ymca2002
    @ymca2002 Год назад +1

    지하수도 많이 사용해서 바닷물양이 늘엇다는 문제도 잇는데. 결국 바닷물을 식수로 전환하는기술이 크게 발전해야하네요

  • @user-qn2kx1hz1b
    @user-qn2kx1hz1b Год назад +3

    중동지역에 전쟁만 없었다면 원전으로 탄소배출을 상당히 줄일수 있을텐데..
    진짜 mit에서 말한대로 우주거품을 쏘아올리는걸 진지하게 고민해야될거 같아요 ㅠㅠ

  • @도루미
    @도루미 Год назад +1

    물을 끓일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드는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기압을 낮춰서 물의 끓는 점을 줄인다음 가열하면 굉장히 적은 양의 에너지로도 물을 증발시킬수 있죠. 지금도 그렇게 사용중입니다.
    그래도 에너지 문제가 큰가요?

    • @tmslzlwl
      @tmslzlwl Год назад

      역삼투 할때 압력을 가하는거도 에너지 마찬가지로 압력을 빼는것도 에너지

  • @jeffeking6440
    @jeffeking6440 Год назад +4

    유용한 영상입니다
    현재 기술력은 R/O membrane이 많이 설치되어 있지만 농축수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F/O membrane와
    전력 생산을 위한 PRO membrane 을 합친 HYBRIDE 시스템이 있어요

  • @jaycho7146
    @jaycho7146 Год назад

    애초에 농축수가 되기 전 바다에서 끌어온 물이기 때문에 바다에 염분을 추가로 덤핑하는건 아니죠.
    충분히 희석시켜서 주변에 너무 큰 농도차이만 발생시키지 않으면 됩니다.

  • @user-jb6xt2sn7f
    @user-jb6xt2sn7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영상 보다가 화나서 댓글 남깁니다. 과학이 환경을 해친다? 맞는 말이죠 근데 아무것도 안하면서 불평불만하는것보다는 뭐라도 하는게 더 낫지 않을까요? 인류는 지금까지 발전하기 위해서 노력해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환경이 파괴된 것 또한 맞습니다. 하지만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의 삶의 질이 더욱 풍요로워지고 윤택해지고 있는데 과학의 이면을 비난한다? 그럼 다른 대안이 있습니까? 원시인들마냥 하늘에 비 내려달라고 기도라도 하시게요? 과학은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희생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인류문명이 시작되고 수천년의 역사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시도로 인해서 발전해온 그 과정을 단점 때문에 비난하지는 맙시다.

    • @user-fp5pk9xm2k
      @user-fp5pk9xm2k 4 месяца назад

      불편해?불편하면 자세를 고쳐앉아~장단점 다 말해줘도 단점말했다고 지랄이네 ㅋㅋ

    • @danaka123.
      @danaka123. 3 месяца назад

      ㅂㅅ

  • @user-hb9dw3gp5i
    @user-hb9dw3gp5i Год назад +1

    과학드림 영상재미있어서 책까지 샀는데 책도 영상처럼 재미있네요!

  • @DD43459
    @DD43459 Год назад +16

    역시나 단점이 있었네요. 세상 참 쉬운 게 없다는 걸 느낍니다..

  • @user-mv7hx3bp6s
    @user-mv7hx3bp6s Год назад +1

    그러네요...
    그 이면의 문제도 인식해야 한다.
    와닿습니다.

  • @Optimzing
    @Optimzing Год назад +5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과학드림님 영상을 최근에 접하게 되면서 최근 진화와 생물계통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요근래 한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진화라는 것은 본래 하나의 생물군에서 유전학전으로 변이가 일어나 다른 생물군으로 갈라지게 되는 현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유전학적으로 변이가 일어나는 한 개체에서 어떻게 군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가 너무 궁금합니다. 하나의 개체에서 변이가 일어나게 된다면 그 개체만 진화가 일어나는 것일텐데, 여러 개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유사한 변이가 일어나지 않는한 군의 진화로까지 확장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개체의 변이가 생물군의 진화로까지 이어지는 과정에 대한 과학드림님의 영상을 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orka2766
      @orka2766 Год назад +2

      그 변이가 생존에 유리하다면, 변이가 발생한 생물의 후손 중 변이를 더 많이 가진 후손들이 더 많이 살아남게 되니까 이것이 누적되면서 종이 갈라지는 것 아닐까요

    • @Optimzing
      @Optimzing Год назад

      @@orka2766 아뇨 그런 맥락이 아니라 변이가 일어난다면 그 개체군 하나에서만 일어나는 것일 겁니다. 만약 변이가 일어난 개체군이 염색체수가 같다면 번식이 가능한데 염색체 수가 다른 경우에는 어떻게 군으로 번식과 확장이 가능한지가 궁금합니다.

    • @baechu2719
      @baechu2719 Год назад +1

      진화는 인간 시간의 관점으로 봤을때 정말 매우 느린 과정입니다. 변이가 생겼다고 해서 "갑자기" 큰 형질이 나타나는게 아니라, 작게는 염기쌍 몇개, 크게는 단백 코딩부위 몇개 정도일겁니다. 이렇게 변이가 일어난 개체는 일반적으로 다른 개체와 차이가 미미한 정도라 교배가 가능할겁니다. 이런 변화가 수많은 세대를 거쳐야 비로소 인간눈에 띄는 차이가 생기고, 어느 시점부터는 다른 종이 되어 원래의 조상과는 교배가 이루어지지 않겠죠. 염색체 한개 정도의 차이가 한 개체군에서 갑자기 생기진 않습니다. 만약 생기더라도 거의 사산되거나, 교배가 되지않기때문에 후손을 못남기겠죠.

  • @wywon
    @wywon Год назад

    농축수 같은 경우는 배출수의 염도의 기준만 만들면 됩니다. 예를 들면 2리터의 해수에서 1리터의 담수를 생산하지 말고, 0.1리터의 담수만 생산하게 하면 배출수의 염도는 2배가 아니라 1.05배정도 밖에 안되니 이정도면 주변 환경에 영향이 없을수도 있죠. 그러나 이렇게 되면 돈이 더 많이 드니 고민하는 겁니다. 이런 경우에는 국가에서 규제를 해서 2리터의 해수에서 1리터의 담수를 생산하는게 더 수지타산이 않맞게 만들어 줘야 하는 거죠. 연구방향은 배출수의 허용 염도가 되어야 겠네요.

  • @j.s.a4873
    @j.s.a4873 Год назад +16

    1차적으로 생각하면 농축수를 천일염 생산에 쓸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렇게 하지 않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하네용!!

    • @user-cr8xf7ob9k
      @user-cr8xf7ob9k Год назад +5

      소금 생산에 필요한 바닷물은 바로 옆에서 떠오는게 더 가성비가 좋기 때문 아닐까요..
      굳이 운반해서 염전으로 가는 것 보다요 ㅎㅎ

    • @j.s.a4873
      @j.s.a4873 Год назад +4

      @@user-cr8xf7ob9k 그 비용의 갭이 농축수 처리비용보다만 적으면 효용가치가 있을것 같은데... 실질적으로는 그딴거 생각안하고 무단 방류를 해버리니까 문제이겠지요......ㅠㅠ

    • @user-lr1kz1ky2b
      @user-lr1kz1ky2b Год назад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 농축수도 일단 바닷물이기도 하고 꼭 바닷가에서만 소금을 만들지 않아도 될테니까 농축수로 육지에서 소금을 만든다는 방법이 정말 좋을거같은데 그리 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요 재활용도 되고 좋을텐데

    • @duritom
      @duritom Год назад +12

      소금만들기엔 각종 오염물과 중금속성분등이 같이 농축되어 있어 식용소금 생산은 위험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있는 천일염도 중금속등 오염물이 많아 정제염을 쓰시는게 더욱 안전합니다.

    • @user-bu3pg8ll7m
      @user-bu3pg8ll7m Год назад +2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농축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제거에 큰비용이 들어갈거고, 천일염 처럼 사용하려면 넓은부지가 필요할거임 그렇게 고비용으로 생산된 소금이 시중에 바닷물을 전기분해해서 나오는 대량생산된 소금이랑 가격 경쟁이 절대로 안될거같고 그러한 문제 때문에 그냥 바다로 보내는게 훨씬 싸게 먹혀서 그러는듯

  •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Год назад

    해수담수화가 지금은 문제가 되겠지만 핵융합발전소가 개발되고 상용화되는 순간
    사실상 단점이 없는 기술이 됩니다.
    핵융합발전에서는 환경적 부작용이 거의없는채로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뽑아낼수있고
    그 에너지가 해수담수화를 집중커버한다고 치면 물은 넘쳐날겁니다.
    게다가 농축수 자체도 이중 삼중으로 거르다보면 더 많은 담수를 얻는것은 물론 농축수가 아닌
    소금같은 결정만 남는 방식까지 걸러내면 거기서 필요한 성분만 따로 또 골라 원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 @생물공원
    @생물공원 Год назад +3

    오늘도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isaaclee6719
    @isaaclee6719 Год назад +1

    1. 농축수가 핵심문제였구나. 그래 담수를 만들고 나면 그게 염분은 그대로인채 물양이 주니까
    염분이 높은 농축수가 되는 거였어. 짠 농축수가 문제였어.
    2. 온실가스 배출도 문제였구나. 해수를 끓여야 되니까 엄청난 공해가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이게 다시 오존층을 파괴해 사막화를 더 가속화시키는구나. 그런데 이건
    3. 농축수에 비하면 약과라는 거다. 심각한 부작용이구나.
    4. 마치 전기차를 보는 것 같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망간을 캐기위해 후진국에서 일어나는 어린이 노동착취와
    오염물을 생각하면 이건 선진국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후진국을 더 더럽히는 꼴이었던 것이다.
    5. 그마나 해수담수화는 지들이 싼 물을 지들이 다시 담수화 시키는 거니까 어찌보면 전기차보단
    6. 심각성이 적은 것 같다.
    7. 왜냐면 언젠가 지들이 답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22.12.14(수)

  • @sdgsgsgs6192
    @sdgsgsgs6192 Год назад +12

    이번 편은 지식만이 아니라 생각할 거리도 주셨네

  • @user-ke4gr9gc9f
    @user-ke4gr9gc9f Год назад +1

    농축수로 염전을 만들면 소금 생산 효율이 높아지겠네요.

  • @user-js1tj4ee7d
    @user-js1tj4ee7d Год назад +5

    공해 없이 싸게 맹물을 최대한 많이 뽑을 수 있는 기술이 발견되면 좋겠습니다....

  • @joebrown9998
    @joebrown9998 Год назад

    물을 불린다.. 물 증대 기술... 복사 붙쳐넣기 하면 됩니다.. 작은 양의 물을 가지고 더 많이 만드는 것이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라면 면 처럼 불리면 되는 겁니다.

  • @user-me6ij4kn6e
    @user-me6ij4kn6e Год назад +3

    농축수라... 확실히 해양담수화라는 기술에게 있어 무조건적으로 걸고 넘어지게 만드는 문제점이네요. 과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ygjw9624
    @ygjw9624 Год назад

    아쉬운게 뭐냐면 대부분 중동에서 해수담수화 하는데 아쉬운게 끓여서 수증기로 만드는 부준과 필터로 걸러서 한다. 만약 수증기로 한다면 중동은 태양열이나 광이 남아도는 지역일 것 이다. 그 부분을 잘 살리면 좋지 않을까 한다

  • @user-rw3oi8nn8h
    @user-rw3oi8nn8h Год назад +4

    와 객관적으로 잘 만든 영상이네요. 아주 좋네요. 공학의 발달은 반드시 폐기물을 만듭니다. 농축된 해수 역시 폐기물의 형태겠죠. 지구가 더워지든 추워지든 언제나 반복되어 왔고, 그로 인한 멸종이되면 다시 새로운 종이 생겨나길 수억년동안 반복했죠. 지금의 우리는 그럭저럭 좋은 환경에서 살고 있겠지만, 내 자식이 살아야 할 그리고 손주들이 살아갈 환경에 빚을 지고 있다는걸 잊지 말아야 할 것 같아요.

  • @user-fx2dq9df49
    @user-fx2dq9df49 Год назад +2

    해수담수화 좋다고만 생각했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군요

  • @Kirize
    @Kirize Год назад +3

    역삼투압식은 필터도 자주 바꿔줘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세상에 무료는 없으나 더큰 책임은 있는 법이군요

    • @user-wn4ou2wp8w
      @user-wn4ou2wp8w Год назад

      한국에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크니 당연히 비효율이 이지만 중동같은 경우는 이야기가 다르니 저렇게라도 해야겠죠.

  • @duritom
    @duritom Год назад +1

    생산과정이 비싸다. 그리고 담수화의 핵심인 역삼투압맴브레인 필터는 정기적 교환과 폐기처리해야한다.염도가 높아진 농축수는 음식물 농축 폐수와 비슷한 오염도의 ppm수치이다.

  • @poinjo6473
    @poinjo6473 Год назад +5

    영상 잘 보았습니다. 농축수를 이스라엘 사해에 갖다 버리는 방법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ㅎㅎ 어차피 염도가 높은 바다이고, 그래서 생물도 별로 살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바닷물을 끌어들이는 탓에 해수면이 많이 줄어든다고 들었네요..ㅎㅎ 물론 사해까지 이동시킬 때 에너지가 또 많이 필요하겠지만요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Год назад

      사해는 이스라엘의 내해가 아닙니다.

  • @user-by4uw3bk3i
    @user-by4uw3bk3i Год назад +2

    옆에 소금공장지어서 농축수에서 정제염 뽑아내면 경제적이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