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공학 13강 (68~71p) 근궤적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4

  • @dosungpark
    @dosungpark Год назад

    2:40 특성근의 근궤적에서 0~무한대 변화시키는 상수K의 의미
    12:00 근궤적의 작성법
    14:15 근궤적의 출발과 종점= 극점(K=0)에서 출발하여 영점(K=무한대)으로 수렴한다.
    16:55 근궤적의 수
    45:33 분지점의 결정

  • @하태용-l8x
    @하태용-l8x Год назад

    보기드문 매우 훌륭한 강의입니다. 감탄입니다

    • @dasan_lee
      @dasan_lee  Год назад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

  • @옹서임-x6i
    @옹서임-x6i 2 года назад +2

    즐거운 연휴 보내세요 :) 감사합니다 이재현 원장님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2

      고맙습니다. ^^

  • @김영철-w3u
    @김영철-w3u 28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 @dasan_lee
      @dasan_lee  27 дней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JJ-dw3ri
    @JJ-dw3ri Год назад

    책봐도 모르겠어서 검색하다가 보게되었는데 너무 쉽게 설명해주셔서 바로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dasan_lee
      @dasan_lee  Год назад

      영상이 도움되시기를 기원합니다. 화이팅~! ^^

  • @폴리코사놀5
    @폴리코사놀5 2 года назад +2

    35:21 루드표에서 1열에 0이 있으면 임계안정인가요?
    아니면 한 행이 전부 다 0이면 임계안정인가요?
    그러니까 1열에 0이 있는데 그 행이 전부 다 0이 아니라면 그건 임계안정인가요? 아닌가요?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1

      루스판별표의 제 1열에 0이 포함되면 임계안정 상태라 합니다.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 @김건우-k2s1u
    @김건우-k2s1u 4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 @dasan_lee
      @dasan_lee  3 месяца назад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TV-kn9hl
    @TV-kn9hl Год назад

    43:45 정정

  • @taelee8792
    @taelee8792 2 года назад

    43:45 정정 안내? 칠판하고 똑같은거 같은데요. =0 을 미분할 때 붙여야 한다는 말씀이신가요?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2

      k 항에 정리하게 되면 칠판에서의 =0 이 제외가 되어야 합니다.
      판서의 오류로 자막의 정정안내가 된 것입니다.

  • @_96blackjack50
    @_96blackjack50 Год назад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혹시 근궤적의 허수축과의 교차점을 구하는 과정에서
    임계안정인 K값을 구하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되었는데, 이때 허수축 교차점인 s를 찾기 위해서 보조방정식을 왜 이용하여야 하고, 이 보조방정식이란 것이 어떨 때 사용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dasan_lee
      @dasan_lee  Год назад

      루스판별표에서 안정/불안정 여부를 판단 할 경우
      1. 안정조건
      1) 모든 차수의 계수가 존재 할 것
      2) 모든 차수의 계수 부호가 일치할 것
      3) 루스표의 제 1열 원소의 부호가 변화하지 않을 것
      2. 특수한 경우
      1) 루스표의 어느 한 행의 제1열 원소가 0이고, 나머지는 0이 아닌 경우
      2) 루스표의 어느 한 행의 모든 원소가 0인 경우
      보조방정식의 경우 2-2)의 경우에 사용을 합니다.
      보조방정식의 자세한 내용은 서면상 설명하기 쉽지 않습니다.
      관련내용의 경우 전공도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헤헤-k2t2s
    @헤헤-k2t2s 2 года назад +3

    영점갯수+극점갯수가 짝수라면 근궤적의 범위는 어떻게되는건가요??

    • @이동규-h1g
      @이동규-h1g 2 года назад

      해결했나요? 저도 같은 질문인데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근궤적이라 부르는 것은 이득에 따른 폐루프 극점의 경로 표현을 의미합니다.
      즉, K 상수값을 0에서 무한대 까지 변화시켰을 때 특성근의 경로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실수축 상에서 근궤적이 존재하는 영역
      K>0 일 때,
      실수축 상에 그 점 오른쪽에 있는 개루프 시스템의 유한 극점과 영점을 합한 수가 홀수면 그 점은 근궤적상에 있게 됩니다.
      ex)
      -4, -3, -2, -1 이라는 영점과 극점이 있을 때,
      실수축 상에 근궤적이 존재하는 구간은 (-4)~(-3) 그리고 (-2)~(-1) 구간이 됩니다.
      즉, 짝수구간의 실수축상에 근궤적이 존재합니다.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 @Tfddghgvttdst
      @Tfddghgvttdst 2 года назад

      @@dasan_lee 극점갯수 + 영점갯수가 짝수라면 짝수구간에 근궤적이 존재한다는건가요???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Tfddghgvttdst
      짝수구간에만 존재할 수도 있고, 홀수짝수 구간에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글을 잘 이해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서면작성이라 자세한 설명이 어려울수 있습니다. 이점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실수축 상에서 근궤적이 존재하는 영역
      K>0 일 때,
      실수축 상에 그 점 오른쪽에 있는 개루프 시스템의 유한 극점과 영점을 합한 수가 홀수면 그 점은 근궤적상에 있게 됩니다.

  • @카빕
    @카빕 2 года назад

    이탈점 분지점 과정에서 dk/ds 식이 근의 공식에 적용이 안 되면 어떠한 방법으로 해야되나요? 4ac의 값이 b보다 커서 적용이 안 되네요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분지점, 이탈점이라고 하는 것은 실수축에서 복수평면으로 나가는 지점이므로 해당 값은 항상 실수 입니다.
      2차 방정식 이상의 고차방정식에서는 컴퓨터를 통하여 구하여야 하겠습니다.

  • @고북선-i1f
    @고북선-i1f 2 года назад

    보조방정식응 어떻게 세우는건가요 루드표에서 K값이 다른곳에 위치한다면 어떻게해야할지모르겟네요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2

      1. 보조방정식은 루스판별표 제1열에서 s^2차 항의 라인이 보조방정식이 되며, s^1항은 0이 됩니다.
      2. K는 개루프전달함수의 상수값으로 항상 관련문제의 K값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합니다.

  • @박학용-z5c
    @박학용-z5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7:11 F(s)=S3+9S2+20S+k=0인 것으로 봤을때 GH식을 혹 잘 못 옮겨 적으신 것은 아니신가요?

    • @dasan_lee
      @dasan_le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특성방정식은 F(s)=1+GH(S)=0 입니다.
      위의 식을 전개하여 분자=0이 되게 하면 판서의 식과 같이 됩니다.
      영상의 내용에는 잘못된 부분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 @Yoonjiha61
    @Yoonjiha61 2 года назад +1

    들을 때는 이해했다가.... 며칠 지나면 기억이 안나고....ㅠㅠ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4

      공부하시는 모든 분이 격는 일인듯 합니다.
      이론과정을 들어보시고, 기출문제를 풀면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다시 찾아서 보시면 더욱 잘 기억이 됩니다.
      힘든과정이지만 잘 이겨내시고, 꼭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기원합니다. ^^

  • @caliberex5138
    @caliberex5138 2 года назад

    극점은 특성방정식을 0(=폐루프전달함수값 무한대)이 되게하는 s값이고, 영점은 폐루프전달함수를 0이 되게 하는 s값인데, 근궤적법을 이야기할때는 개루프전달함수 GH를 0이 되게 하는 것이 영점, 무한대가 되게하는 것이 극점으로 설명되는지 궁금합니다. 이 부분이 이해가 안되서 다른 부분도 이해가 안됩니다..

    • @dasan_lee
      @dasan_lee  2 года назад

      구분하여 이해하시면 됩니다.
      개루프전달함수에서의 영점, 극점
      폐루프전달함수에서의 영점, 극점
      두 전달함수에서 영점과 극점은 서로 다른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