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언어학에 저런 마스코트(?)가 있는줄은 처음 알았네요 ㅎㅎ 귀엽 ㅋㅋㅋ 그러고보니 예전에 이런 형태소분리를 깨닫기 시작한 아이들이 그걸 여기저기 다 적용해서 come을 came이 아니라 comed로 활용하는 실수를 볼 수 있다고 한 서술이 떠오릅니다. 일본어에서도 아이들이 いい를 부정할 때 よくない가 아니라 いくない라고 규칙활용을 그냥 적용해버리는 경우가 간혹 있는 것 같고요. 한국어에는 무슨 예가 있으려나?? 이런 걸 보니 문득 '예외활용'이라는 게 왜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드네요. 어쩌면 형태소 분리가 되기 이전에, 다른 활용을 다른 단어로 인식하던 의식의 잔재가 아닐까...라는 아무 근거 없는 가설을 세워봅니다 ㅋㅋㅋㅋ 근데 자주 쓰는 기초적인 단어일수록 예외활용이 많은 건 진짜 희한하다고 생각합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불규칙 활용들이 가능하려면 첫째로 자주 사용되어야 할 것입니다.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잊혀지고 그러한 불규칙이 있다는 것을 몰라서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영어의 불규칙 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1) 계르만 계통의 어휘이며 라틴 계통의 어휘가 아닙니다. 2) 기본적으로 단음절입니다. 게르만 계통의 어휘가 기본적으로 단음절에 기반하는 것 같습니다.
@@dimenerno영어 기초동사들의 시제변화가 불규칙인것은 지금그렇게 보일뿐 예전엔 그게 규칙이었었습니다 새로운 -t -d 형태가 쓰이게 되면서 일상에서 자주쓰던 생활동사들은 옛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거지요 불규칙이라고하는게 가르치는입장에서는 편하겠지만 원인을 알면 좀 이상한 설명이되는거죠 예전엔 그렇게 썼고 지금은 또 이렇게 쓰고있는거구요 문제는 왜 그렇게 쓰고 있는지를 모른채 예전 생활동사는 불규칙을 그대로 지키고있고 다른동사들은 새로운형인 -t 로 또 지금의 -d 로 변화했다는 것이죠 언어는 다 이유가 있는건데 이부분을 뛰어넘어가버린결과 삭막한 돌멩이가 되어버린건 아닌지요
촘스키는 LAD를 언급한후 이를 밝히기위해 노력한게 아니고 오히려 밝힐수 없다고 하고는 포기해버렸죠 그리고 모든 언어의 연구를 다버리고 오직 영어의 구조만을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촘스기가 언어학을 발전시킨면도 있지만 후퇴시킨면도 있는것입니다 그결과 지구언어들의 다양한 어순들이 만들어진 원인을 찾는 노력은 방기된채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사실 보편문법 이론이 촘스키가 광적으로 얄광했던 분야인데... 그 후의 학자들의 관심사가 되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인간이면 (원시 부족을 포함해서) 누구나 문법이라는 것을 가진다는 점에서는 보편적이지만 왜 이 언어에서는 이렇게 나타나고 저 언어에서는 저렇게 나타는지를 설명하지 못하므로 보편문법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이해하기를 어렵습니다.
간단한 작업하면서 보기 좋은 영상입니다.
듣기만 해도 내용이 머리로 잘 들어가고
적당히 눈으로 보면 그 느낌이 더 잘 전달되네요.
항상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영상의 질이 상당히 높네요
너무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전부 직접 촬영한 것 같은데 대단하네요 형님.. 영상 퀄리티가 미쳤습니다
오, 언어학에 저런 마스코트(?)가 있는줄은 처음 알았네요 ㅎㅎ 귀엽 ㅋㅋㅋ
그러고보니 예전에 이런 형태소분리를 깨닫기 시작한 아이들이 그걸 여기저기 다 적용해서 come을 came이 아니라 comed로 활용하는 실수를 볼 수 있다고 한 서술이 떠오릅니다. 일본어에서도 아이들이 いい를 부정할 때 よくない가 아니라 いくない라고 규칙활용을 그냥 적용해버리는 경우가 간혹 있는 것 같고요. 한국어에는 무슨 예가 있으려나??
이런 걸 보니 문득 '예외활용'이라는 게 왜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드네요. 어쩌면 형태소 분리가 되기 이전에, 다른 활용을 다른 단어로 인식하던 의식의 잔재가 아닐까...라는 아무 근거 없는 가설을 세워봅니다 ㅋㅋㅋㅋ 근데 자주 쓰는 기초적인 단어일수록 예외활용이 많은 건 진짜 희한하다고 생각합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오 맞아요! 저도 정말 신기한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인도유럽계열 언어뿐 아니라 한국어에서도 기초 어휘일수록 변칙이 많은 게 신기하더라고요. 이거도 영상으로 만들면 재밌겠는데 너무 만들 영상들이 많네요 😂
제가 어렸을때 정확한 예시는 기억안나지만 "이건 사과가 아니다"라는 표현을 할려고 했는데 "이건 안 사과야" 같은 에러를 범했던 적이 있네요 ㅋㅋ
불규칙 활용들이 가능하려면 첫째로
자주 사용되어야 할 것입니다.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잊혀지고
그러한 불규칙이 있다는 것을
몰라서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영어의 불규칙 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1) 계르만 계통의 어휘이며
라틴 계통의 어휘가 아닙니다.
2) 기본적으로 단음절입니다.
게르만 계통의 어휘가
기본적으로 단음절에 기반하는 것 같습니다.
@@hyeonsseungsseungi예전에는 다른식으로 동사시제변화를 표시했죠
지금은 -d 를 쓰고 있습니다만
그런데 왜 -d 를 쓰게되었는지는 아시나요
또 예전의 불규칙? 변화는 왜 그렇게 쓰게되었는지도요
중간에 -t 를 쓰기도 했었구요
@@dimenerno영어 기초동사들의 시제변화가 불규칙인것은
지금그렇게 보일뿐 예전엔 그게 규칙이었었습니다
새로운 -t -d 형태가 쓰이게 되면서
일상에서 자주쓰던 생활동사들은 옛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거지요
불규칙이라고하는게 가르치는입장에서는 편하겠지만
원인을 알면 좀 이상한 설명이되는거죠
예전엔 그렇게 썼고
지금은 또 이렇게 쓰고있는거구요
문제는 왜 그렇게 쓰고 있는지를 모른채
예전 생활동사는 불규칙을 그대로 지키고있고
다른동사들은 새로운형인 -t 로 또 지금의 -d 로 변화했다는 것이죠
언어는 다 이유가 있는건데
이부분을 뛰어넘어가버린결과 삭막한 돌멩이가 되어버린건 아닌지요
그림도 귀엽고 설명도 되게 잘하시네요... 구독누르고 갑니다! 많이 볼게요!
매번 유익한 영상 감사해요
오늘도 잘봤습니다~
신기한 것은 아랍어에서
단수와 복수를 다른 단어로 표현하는 경우가
꽤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여자"와 "여자들"은
전혀 다른 단어로 말한다는 것입니다.
오잉? 그거 신기하네요 ㅎㅎ
아랍어는 단수 단어와 복수 단어를 하나의 어근에서 나온 별개의 단어로 인식하고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기본 단어가 이러한 경향을 따르지만 규칙적으로 접사를 붙이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비슷한 예시로 동사의 동명사 형태도 동사마다 달라 외울 수밖에 없죠...
내가 아는 Wug는 웨이크업걸즈! 의 Wug 밖에 없다........
짹짹이 귀엽네요
파란색인가? ☑️
새인가? ☑️
맹하게 생겼는가? ☑️
귀엽다!
촘스키는 LAD를 언급한후
이를 밝히기위해 노력한게 아니고 오히려
밝힐수 없다고 하고는 포기해버렸죠
그리고 모든 언어의 연구를 다버리고
오직 영어의 구조만을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촘스기가 언어학을 발전시킨면도 있지만
후퇴시킨면도 있는것입니다
그결과 지구언어들의 다양한 어순들이 만들어진 원인을 찾는 노력은 방기된채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제가 어릴때 촘스키를 알게 되어서
학부때도 전공과 무관한 언어학 수업을
듣곤 했는데 그립군요...
20년도 더 된 이야기입니다.
헉 저도 언어학 수업 듣고 싶어요 ㅠㅠ 원하는 수업을 듣고 다니셨다니 재미있는 시절이었겠네요 ㅎㅎ
@@dimenerno대신 졸업을 무지하게 늦게 했습니다.
교수님들이
"너 내년에도 학교에서 돌아다니면
안 된다"고 하셔서
눈물을 머금고 졸업을 했습니다.
혹시 학부에서 전공 외 수업을 듣는 것을
원하시는 분들에 계시다면
저는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
언제 돌아오십니까..
형, 발칙한 수학책을 읽다가 궁금한 내용이 생겼는데, "n차원의 도형을 결정하려면 최소 n+1개의 점이 필요하다"를 증명해줄 수 있어?
거기에는 증명하는 내용이 안 나와있더라고...
슈퍼 페이퍼 마리오의 디멘
실제 생물학적으로 언어를 배우는 뇌어 어떤 부위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나요? 다른 동물에는 그 기관이 없나요?
뇌의 부위가 언어 학습을 담당한다기보다는 언어의 심층 문법이 뉴런 패턴으로서 내재(hard-wired)되어 있다는 이론인데, 영상 말미에서 암시되었듯이 보편 문법 이론은 현대에 별로 가망이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실 보편문법 이론이
촘스키가 광적으로 얄광했던 분야인데...
그 후의 학자들의 관심사가
되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인간이면 (원시 부족을 포함해서)
누구나 문법이라는 것을
가진다는 점에서는
보편적이지만
왜 이 언어에서는 이렇게 나타나고
저 언어에서는 저렇게 나타는지를
설명하지 못하므로
보편문법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이해하기를 어렵습니다.
귀엽다
1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