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을 읽는 남자] 수소차와 백금(Platinum)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수소차와 백금(Platinum)
    최근 수소차 관련주들의 주가가 크게 움직였음.
    시장에서 해석하기로는 메르세데스 벤츠가 수소차 시장에 뛰어들었다면서 급등하긴 했지만,
    진짜 이유는 아무도 모름.
    왜냐하면 아직 수소차 시장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난 것은 아니기 때문.
    여전히 수소차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높음. 그 중 하나가 백금.
    수소차의 풀네임은 수소연료전지차
    수소차가 굴러가는 구조는 이렇다.
    수소를 충전한다(마치 주유소에서 기름 넣듯이)
    수소가 산소를 만난다
    그러면 전기가 발생한다
    전기를 이용해 모터를 돌린다. - 남은 전기는 배터리에 저장한다.
    바퀴가 돌아간다
    수소연료전지차(FCEV) 구동 원리
    (출처: www.seriouswheels.com)
    그래서 수소차는 수소를 충전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전기차와 기본 구조는 비슷하다.
    하지만
    1. 주유소에서 기름 넣듯이 수소를 넣으면 되기 때문에
    몇 시간 충전해야 하는 전기차보다 빠르다
    2. 수소를 이용해 자동차 내에서 전기를 만들기 때문에
    배터리가 전기차 만큼 많이 필요하지 않다.
    (도로에 충전 시설을 까네, 배터리를 교체하네, 이런 고민이 필요 없음)
    3. 수소와 산소를 만나게 할 때, 깨끗한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수소차는 운행만으로도 공기 정화 기능을 한다.
    (디젤차 1km 주행시 미세먼지10mg 발생
    반면 수소차 1km 주행시 미세먼지 20mg 정화_출처: 현대차)
    4. 화석연료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진짜 궁극의 청정 자동차
    수소차의 장점
    1. 주유하듯 수소 충전
    2. 배터리 용량 작아도 무관
    3. 움직이는 공기청정기
    4. 궁극의 청정 자동차
    이런 수소차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KPMG인터내셔널이 전 세계 42개국 1000여 명의 자동차 산업 경영진들과
    2400여 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해 보니
    78%가 “향후 수소연료전지차(FCEV)가 전기차 충전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할 것”이라고 응답
    KPMG인터내셔널 설문조사
    (작은글씨)세계 42개국 1000여 명 자동차 경영진과 2400여 명 소비자 대상
    78%의 응답자
    “향후 수소연료전지차(FCEV)가
    전기차 배터리`충전 문제 궁극적 해결”
    그런데 왜 수소차를 안 만들고, 전기차를 만드는가?
    수소와 산소가 만나서 전기를 만드는데,
    그렇게 전기가 쉽게 만들어지면 이걸로 발전소 만들었겠지
    그렇게 하지 못했던 이유는
    수소와 산소가 만나서 전기를 만드는 속도가 너무 느렸기 때문
    이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것이 촉매제. 그리고 그 촉매제는 백금
    “백금의 성능이 수소차의 성능”
    수소차와 백금
    수소와 산소 만나 전기 만드는 속도 느려
    빠르게 해 주는 물질이 촉매제 ‘백금!’
    “백금의 성능이 수소차의 성능”
    여기서 말하는 백금은 화이트골드와 다름
    화이트골드는 노란 빛을 띄는 금(Gold)을 하얗게 만든 것.
    백금은 원자번호 78번의 Pt라고 표시되는 태생이 백금(금과 전혀 다른 존재)
    영어로 Platinum(프리미엄 신용카드 이름으로 ‘플래티넘 카드’라는 이름 붙은 것 본 적 있을 것)
    그만큼 금(gold)보다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금속
    백금 (Platinum)
    화이트골드
    금(Gold)에 화학처리 후 하얗게 만든 것
    백금(Platinum)
    원자번호 78번 원소기호 Pt
    그런데 백금은 가격이 너무 비싸고 가격 변동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음
    왜냐하면, 백금은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금속 가운데 하나
    매년 생산량 은 약 5억 4700만 온스
    금 약 8200만 온스
    백금 약 500만 온스
    가격 변동성 크고 비싼 백금(Platinum)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금속 중 하나
    매년 생산량 은 약 5억 4700만 온스
    금 약 8200만 온스
    백금 약 500만 온스
    게다가 백금 가루를 촉매제로 사용하다보면
    자꾸 가루가 뭉쳐서 덩어리가 되는 현상이 발생(조대화)
    그러니까 백금의 촉매 효율이 떨어짐
    점차 떨어지는 촉매 효율
    그래서 지금 연구되고 있는 분야는
    백금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백금처럼 사용한다고 효율이 떨어지지 않고
    백금처럼 희귀하지 않은 대체 물질을 연구 개발하고 있음
    작년에 탄소 대체 물질을 ‘울산과학기술대’에서 개발했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 기술이 수소차에 탑재됐다는 것은 확인되지 않고 있음.
    그렇다면 수소차 촉매 기술에 아직 변화가 없다는 것이므로
    최근 수소차 관련주의 변동성은
    뚜렷한 이유가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최근 백금 ‘대체 촉매제’ 연구
    2016년 UNIST 연구진 ‘탄소 촉매’ 합성법 개발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수소차와 백금
    수소와 산소 만나 전기 만드는 속도 느려
    빠르게 해 주는 물질이 촉매제 ‘백금!’
    “백금의 성능이 수소차의 성능”
    최근 백금 ‘대체 촉매제’ 연구
    2016년 UNIST 연구진 ‘탄소 촉매’ 합성법 개발
    (울산과학기술대학교)

Комментарии • 9

  • @케이형아
    @케이형아 5 лет назад

    유익한정보감사요

  • @김성철-t7s5m
    @김성철-t7s5m 5 лет назад

    수소시대를 맞아 새로운 발걸음
    힘내요.대한민국 화이팅
    ✊✊✊✊⚘🇰🇷🇰🇷🇰🇷🇰🇷🇰🇷⚘

  • @gogetitha1317
    @gogetitha1317 6 лет назад

    한가지더, 수소연료에서 나온 전기로 바로 모터를 구동하는 동력으로 사용못합니다 저장후 고압변환하여 모터에 공급함

  • @철도광
    @철도광 6 лет назад +3

    지금백금시세는 폭락중 이럴때 매수해서 비쌀때 팔자

  • @장혜린-p6v
    @장혜린-p6v 5 лет назад +1

    1:56

  • @왕사귀
    @왕사귀 5 лет назад +1

    얼마전 백금대신 구리를 사용 연구 성공한 뉴스 나옴

  • @scotiase
    @scotiase 6 лет назад

    소비자 조사에서 수천명이?
    그들이 모두 과학자?

  • @realk-estate6668
    @realk-estate6668 6 лет назад

    백금은 촉매라 사라지지는 않아요

    • @scotiase
      @scotiase 6 лет назад

      무한정 작용하는 촉매 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