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하에서만 발견되는 이상한 구조가 있다?! | 암흑 물질을 부정하는 오래된 난제, 결말은? 🤔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3 янв 2023
  • 👍 #우리은하 #암흑물질 #은하 #우주 #galaxy #milkyway #darkmatter #시뮬레이션 #simulation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www.aanda.org/articles/aa/ful...
    academic.oup.com/mnras/articl...
    academic.oup.com/mnras/articl...
    academic.oup.com/mnras/articl...
    www.worldscientific.com/doi/a...
    www.nature.com/articles/s4155...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379

  • @user-mb6kk9kh6z
    @user-mb6kk9kh6z Год назад +54

    명왕성이 발견되고, 행성으로 분류되고, 퇴출되고 또 17년이 지난 지금에 이르기까지 명왕성은 태양을 채 반바퀴도 돌지 않았다는 사실..

  • @alsid_
    @alsid_ Год назад +540

    인류를 착각에 빠트린 가장 큰 천문학적 우연은 지구에서 봤을때 태양과 달의 시직경 각도가 거의 같다는 것이었죠.

    • @Euryaleferox
      @Euryaleferox Год назад +76

      그리고 달이랑 해가 육안으로는 크게 차이 안나는 것도 큰 영향이 있는거 같아요.
      자꾸 덧글 달려서 수정해요. 크기 이야기 아니고 모양 이야기예요. 포보스 같은 감자 모양 위성이었으면 달랐을거 같아서요. 그랬으면 크기도 달랐겠지만.

    • @user-fk4ev3sv5d
      @user-fk4ev3sv5d Год назад +145

      @@Euryaleferox 그게 그얘기에요..

    • @alsid_
      @alsid_ Год назад +6

      @@Euryaleferox 달 표면에서 육안으로 보면 무척 큰 차이가 납니다만…

    • @user-lw4kq8yj3p
      @user-lw4kq8yj3p Год назад +80

      @@나는JH 이걸 꼽주는거로 받아들이면 세상은 어케 사세요?

    • @taeseong3416
      @taeseong3416 Год назад +10

      @@user-fk4ev3sv5d 수평면위치가 비슷한거랑 겉보기크기가 비슷한거랑 같다고 이해한거? 초딩아니면 중딩인듯한데…

  • @tjdnjsqja
    @tjdnjsqja Год назад +5

    영상 감사히 잘보고 가요~항상 응원합니다

  • @user-tt5bk5bb9r
    @user-tt5bk5bb9r Год назад +119

    우주는 길게 이어지는 동영상인데, 인류가 찰나를 사는 바람에 사진으로 보였네요
    어째 우주는 연구할수록 연구할게 더 늘어나는것 같아요
    그래서 더 신기하고 재밌습니다
    재밌는 영상 고맙습니다 :)

  • @abcdefu_
    @abcdefu_ Год назад +9

    항상 잘챙겨보고 있습니다 필승!

  • @thenopybora
    @thenopybora Год назад +72

    우리가 보는 우주는 찰나에 불과하죠. 상상할 수 없는 크기의 우주의 순간들을 퍼즐처럼 끼워 맞추는 노력들이 언젠가는 빛을 볼것이라 믿습니다. 좋은 소식들만 가득하면 좋겠네요. 어려운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 주셨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qq9rp7uj2d
    @user-qq9rp7uj2d Год назад +4

    오!! 잘 봤습니다ㅎㅎ

  • @igniz2002
    @igniz2002 Год назад +24

    허허 그러니까 열화상 카메라로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을 찍고 있었는데 11명이 동시에 방귀를 뀐 것 같은 우연의 일치였군요

  • @gomdorij3213
    @gomdorij3213 Год назад +6

    고맙습니다^^*

  • @nuguza
    @nuguza Год назад +7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ㅎㅎ

  • @user-churrrrr
    @user-churrrrr Год назад +18

    난 이런게 과학의 매력이라고 생각함.
    우리의 관측 시기를 벗어난 추론이 가능하다는거.

  • @jrodgrey51
    @jrodgrey51 Год назад +63

    문명이 지금 발생하는 것이 너무 늦게 탄생해서 우주 팽창이 가속화되지 않고 국부 은하군, 심하면 우리은하 제외하고 관측할 수 없는 시기에 문명이 발생하는 것 보다는 훨씬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마 너무 늦게 탄생한 문명은 O, A형 항성의 존재를 모를수도 있고, 우주에 (국부 은하군이 다 합쳐저 타원은하가 되어버린) 우리은하만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죠

  •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Год назад +1

    영상을 보기 전 제 짐작이 맞았어요!! '특별한 이유 없이 그냥 그런거다' 항상 사람들은 자기 혹은 자기가 속한 집단이 특별하다는 착각에 잘 빠지게 되는 것 같네요

  • @luishan897
    @luishan897 Год назад +2

    영상 잘 보고 가요

  • @yefamily
    @yefamily Год назад

    재밌게 봤습니다^^*

  • @미드킹린가두
    @미드킹린가두 Год назад +10

    우리은하가 응애은하 11개나 가지고있는지도 처음알았네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Год назад +45

    우주의 시간을 의식하게 해주는 천문학이야말로 인간에게 최고의 윤리학이 아닌가...

  • @user-iq4me6pv6f
    @user-iq4me6pv6f Год назад +10

    와! 주인장님 연구소에서 일하시는분이셨군요
    몰랐어요 ㅎㅎ

  • @theknifemartialarts.9053
    @theknifemartialarts.9053 Год назад +5

    신비롭고 아름다운 우주의 모습 감사합니다

  • @user-fm9zz9co8j
    @user-fm9zz9co8j Год назад +1

    좋은영상과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neo9286
    @neo9286 Год назад +23

    틀린게 아니라 다른거다. 우리은하 화이팅

    • @junolimmm
      @junolimmm Год назад +8

      이게 진짜 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parkg1999
    @parkg1999 Год назад +1

    우연이라는 말에 결론이 허무하다 싶었는데 너무 멋있는 결론이네요!

  • @user-jz1yj3qn1d
    @user-jz1yj3qn1d Год назад +2

    재미 많음!

  • @user-lv8ep9ub7s
    @user-lv8ep9ub7s Год назад +1

    마지막 멘트가 가장 뇌리에 박히네요..
    과연 내 인생은 적절한 환경에 시작하게 된 것일까란 생각도 해봅니다 ㅎㅎ..

  • @gabriella7758
    @gabriella7758 Год назад +4

    필라멘트가 굉장히 뇌 시냅스를 닮았네요 😮....

  • @Celsius_03
    @Celsius_03 Год назад +2

    무엇이 되었든, 특별한 것은 항상 존재 합니다
    그저, 어느 부분이 어느 때에 특별한지가 다를 뿐
    지금 이 시기가 특별해 보일 수 있어도,
    다른 시기에는 또 다른 특별한 무언가가 있지요

  • @user-bf3ge5mc9f
    @user-bf3ge5mc9f Год назад +26

    최근에 스칼라 퍼지 암흑물질(FDM) 모델로 이러한 문제를 설명하는 논문이 JCAP 저널에 기재되었습니다. ([2207.07192]를 검색해보세요) FDM은 그 입자의 질량이 10^-22eV/c^2 정도로 매우 가벼운데, 그 덕분에 드브로이 파장이 은하 scale에 달합니다. 또한, FDM으로 만들어진 halo의 밀도 분포는 Schrodinger-Poisson system을 따르는 파동함수로서 기술되는데, 이 때문에 두 halo가 상호작용할 시 암흑물질이 새로운 안정한 상태를 찾을 때까지 운동에너지를 갖고 일부가 탈출하게 됩니다. 이를 gravitational cooling이라 하죠.
    이 모델이 CDM 시뮬레이션이 설명하지 못하는 여러 사실들을 설명하는데(missing satellite problem, cuspy halo problem), 최근에 나온 논문 또한 위성은하의 planar system을 잘 설명함을 밝혀냈습니다. 이 FDM에 관해서도 언젠가 한번 유튜브에서 다뤄주셨으면 합니다.

    • @hayoun3
      @hayoun3 Год назад +1

      이 가설이 타당하다면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암흑물질을 찾으려 시도했던 노력들이 상당수 물거품이 되는걸까요...

    • @user-bf3ge5mc9f
      @user-bf3ge5mc9f Год назад

      @@hayoun3 한가지 먼저 짚고 넘어가죠. 여러 후보들 중 하나가 맞다고 다른 후보들이 물거품이 된다는 생각은 학계에서 "절대 가지면 안되는" 금기시된 생각입니다. 그 어떤 가설 제시도 물거품이 되지 않고, 다른 이론을 develop시키는데 좋은 직관을 심어주기 마련입니다.
      FDM도 SIDM, WDM 등 수많은 암흑물질 후보들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타당한지 아닌지는 아직 더 많은 관측결과가 필요합니다. 사실 각 모델이 제각기 다른 관측 결과들을 잘 설명하기 때문에, 모두가 큰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후에 반드시 서로가 서로를 develop시켜줄 명분은 넘칩니다.
      다만 MOND(수정중력이론)를 주장하는 세종대 채규현 교수님과, 2011년 노벨상 수상자인 Adam Riess의 관측결과의 타당성에 반박한 연세대 이영욱 교수님의 주장 모두 매스컴과 달리 학계에서는 크게 집중받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제가 할말은 김박사넷에 잘 나와있을지도..?) 기존 이론이 워낙 solid하게 입증되어 있다 보니, 제대로 된 관측결과가 충분치 않다면 당연한 수순이긴 합니다. 일단 저는 좀더 지켜보는 입장입니다.

    • @hersheyz5743
      @hersheyz5743 Год назад +1

      이렇게 모르는 말 천지인 수준의 학문에서도 정체를 알수 없는 암흑물질 ㅎ 우주란게 참

    • @user-oo7ie3iq2y
      @user-oo7ie3iq2y Год назад +1

      @@hersheyz5743 저도요 ㅋㅋ 뭔 말임?

  • @wkomw5395
    @wkomw5395 Год назад +3

    참고로 우주규모의 스케일에서 1%는 아주 흔하다는말입니다. 한국에서의 시청률1%와 중국에서의 시청률 1%가 갖는 의미가 다르듯이 우주의 1%와 지구의 1%는 당연히 갖는 의미가 다르며, '어렵다'는 용어는 불가능하지는 않다는 뜻이죠. 난제인 이유는 입증하지 못해서이지 나온 가설들 또한 모두 가능성 있는 가설일겁니다.
    생각해 보세요 여러분은 게임에서마저 1%미만의 확률을 뚫고 가챠를 하신적이 많지 않습니까? 우주에 은하가 몇갠데 충분히 가능한 확률이라 생각되지 않나요ㅋㅋㅋ

  • @vbs-venusbiblestudy8517
    @vbs-venusbiblestudy8517 Год назад +1

    참 어려운 것을 이해하기 쉽고 군더더기 없이 심플하게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들으면서 든 느낌은 까불지 말고 겸손해야겠다는 생각이네요. 😂

  • @user-zv1fx3rc4b
    @user-zv1fx3rc4b Год назад +1

    형 보다타고 와서 구독하고 갑니다

  • @user-qo4np7tz5k
    @user-qo4np7tz5k Год назад +38

    와 지금 이 순간이 그렇게 특이한 경우라는 것도 아주 신비롭고 놀랍네요. 우주 역사의 측면에서도 아주 희귀한 상황이란 거잖아요.

  • @waldokim7757
    @waldokim7757 Год назад +7

    역시 외계인 선생님들이 배열한듯

  • @therock79983
    @therock79983 Год назад +3

    즐감

  • @ksl2179
    @ksl2179 Год назад +2

    그냥 응 우연이야~ 엔딩일 수도 있다는 게 우주의 스케일을 보여주는 것 같네요 인류가 관측한 우주는 찰나에 불과하기에 어쩔 수 없지만...

  • @KangShinMin
    @KangShinMin Год назад +32

    어느 임계점을 지나면 우주 팽창 때문에 우리 은하 외에 다른 은하가 있다는 사실은 모르게 된다던데요.
    그럼 현 인류는 그런 어떠한 임계점을 이미 지나서 뭔가 영원히 알 수 없는 사실을 놓치고 있는건 없을까요?

    • @cerebrat2
      @cerebrat2 Год назад +18

      그게 우리가 우주의끝으로 알고있는 관측가능 우주임

    • @deltax9471
      @deltax9471 Год назад +19

      윗분 말대로 이미 관측가능한 우주밖은 무슨짓을 해도 알 수가없음

    •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Год назад +2

      팽창하더라도 6개 정도는 엮여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네요.

    • @cerebrat2
      @cerebrat2 Год назад +3

      @@user-eu2wd2fk7s 맞아요 먼은하들은 더멀어지고 있지만 우리가있는 국부은하군은 중력때문에 오히려 가까워지고 있죠 안드로메다랑은 합체할 예정이고

    • @user-iq6gi8dx1j
      @user-iq6gi8dx1j Год назад

      한쪽예선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가 중력때문에 서로 끌려서 가까워지고 있다고 하고 다른편예선 우주가 팽창해서 은하들끼리 멀어지고 있다고 하고.. 이것에 설명된 자료 없나요?

  • @story-kim
    @story-kim Год назад +2

    저도 제 채널에 우주에 관해서 영상을 올려봤는데 영상 너무 재밌게 잘봤습니다.

  • @L_OVESOME
    @L_OVESOME Год назад +5

    다양하게 다채롭고 재미있는 우주는 누가 만들었을까?

  • @bokkumbob
    @bokkumbob Год назад +5

    시뮬레이션으로 거의 나올수없는 은하가 우리 은하여서 특별한 은하라고 판단되었지만 주변 은하가 모두 우리 은하와 똑같은 형태라 평범한 은하가 되었다.

  • @still_still_stellar
    @still_still_stellar Год назад +2

    지구가 우리은하에 포함되있어서 우리은하를 찍는건 어렵대요
    보통 우리은하 사진은 안드로메다를 바탕으로 상상해서 그린거래요

  • @ygvddgjiyds
    @ygvddgjiyds Год назад

    우리 존재 화이팅°°°😊

  • @user-dq9xk6rc3s
    @user-dq9xk6rc3s Год назад +4

    이래나 저래나....우리은하가 어떻게 생긴지는 아무도 모른다는거....

  • @skyfaraway
    @skyfaraway Год назад +2

    그랜드 크로스... 별들이 제자리를 찾는 시점이 지금이었구나... 크툴루가 부른다~~~

  • @user-le5iz3lj7s
    @user-le5iz3lj7s Год назад

    잘보고갑니다

  • @user-do1fc8jk1o
    @user-do1fc8jk1o Год назад +1

    4:41 가능성이 0.1%라서 어색하다는 말이 어색하네요. 이 거대한 우주에서 0.1%면 엄청나게 높은 확률 아닌가요? 생명체가 있는 행성은 0.1%라도 되나요?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그건 어색하거나 문제가 있는게 아니죠.

  • @디붕
    @디붕 Год назад

    2분전은 못참지

  • @RUOO
    @RUOO Год назад +5

    1%라고하니 엄청 낮아보이는데 요즘 모바일겜 가챠확률을 생각해보니 그렇게 낮은 확률은 또 아닌거같다ㅋㅋ

  • @user-sk5ch8kb5s
    @user-sk5ch8kb5s Год назад +2

    죄송합니다 제가 만들다가 하필 그날 재채기를 하는바람에.... 다 저의 잘못입니다.

  • @user-yf6uv7kj7e
    @user-yf6uv7kj7e Год назад +8

    전에 sky tv에서 방송했던 내용을 보면 대마젤란은하도 세번째 가설처럼 우리 은하를 가로지르는 은하라 하더군요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가 아니라는거죠

  • @pool71026
    @pool71026 Год назад +5

    안드로메다와 충돌하는 시점을 살았다면 참 장관이었을텐데

  • @woolmuk
    @woolmuk Год назад +5

    위성은하 평면문제라는 말이 정확히 어떤건지 시뮬레이션 봐두 잘 몰게따ㅜㅜ

  • @erwinkim7125
    @erwinkim7125 Год назад +10

    우주가 탄생한지 139억년,
    약 44경초(440,000,000,000,000,000 sec)가 지난 현재..
    지금의 우리가 살고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더더욱 1초 동안의 우주에서 오는 빛을 보고 우주 전체를 상상해버리면 안되겠죠 ;)
    천문학은 시간과의 싸움인듯해요
    우린 항상 여유가 필요해요

    • @mashingang
      @mashingang Год назад +1

      ㄹㅇ 100년 너무 적다

    • @user-xs9ip7di2c
      @user-xs9ip7di2c Год назад

      1000년은 살아야. 아 우주는...지구는...이럴텐데...

  • @james_Choi_starseeker
    @james_Choi_starseeker Год назад +3

    1%는 매우 희박할 확률입니다. 그런데 전 우주적으로 보 면 1%면 어마무시할정도이ㅡ 숫자에요. 개인 개체로 보면서 1%를 생각하면 안되요.,

  • @jaeholee3816
    @jaeholee3816 Год назад +1

    수많은 대형 망원경들이 뭘하고 있나 했더니, 이런 연구들을 쉴틈없이 하고있는거군요

  • @ongs5526
    @ongs5526 Год назад +1

    와우.....

  • @Music-qo6pn
    @Music-qo6pn Год назад +2

    즐감..

  • @simonzoe5206
    @simonzoe5206 Год назад +3

    우주단위에서 평면 위성은하가 1%면 엄청나게 많이 있다는거 아닌가요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Год назад +2

    우주라는 공간과 안 겹치는.... 서로를 인지 못하는 차원의 공간이 따로 있나요?

  • @jsa89888
    @jsa89888 Год назад +12

    마젤란 은하에서 우리은하가 어떻게 보일지 궁금해지네요 마젤란 은하속 행성의 밤하늘을 어떻게 장식하고 있을지

    • @kyusa4090
      @kyusa4090 Год назад +7

      그러게요...
      마젤란은하에 사는 누군가가 우리 은하 모습을 찍어서 우리쪽으로 전파를 쏴 줬으면 좋겠습니다.
      아마 지구에서 보이는 안드로메다 은하보다 더 크고 자세히 보일 것이므로
      마젤란 은하 속 행성의 밤하늘에 가장 아름다운 보석으로 빛나고 있을 것 같습니다.
      이름도 아주 멋지고 아름다운 뜻을 담아 불리우고 있을 것이구요.

    • @Wenatos
      @Wenatos Год назад

      진짜 궁금하긴 함. 우리은하 사진도 지구에서 관측한걸 바탕으로 만든거다 보니 밖에서 보면 다르게 보일수도

  • @TV-ct3oi
    @TV-ct3oi Год назад +2

    우주먼지가. 우주에 대해. 알아가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jerrykw3839
    @jerrykw3839 Год назад

    우리가 은하가 특별하게 평평해 보인게 착각이라니...😅 정말 우주는 광대하게 넓군요. 130억년 동안 보이는 모습이 느리게 흘러가는듯한 착각😅 만약 우리 은하가 정말로 계속 평평하다면 뭔가 특별한 이유가 있는듯했네요.
    예를 들어 우리 은하 중심부에서 매우 강한 에너지 발사가 되는게 마치 우주에서 핵폭발난것처럼 강한 에너지 발사? 영화에서 핵이 폭발하면 평평하게 퍼지는게 묘사되던데..그런 원리이지 않을까 생각해봤음.또는 우리 은하가 비정상적으로 다른 은하보다 빠르게 회전해서 납작해보이는게 아닐까 하는 상상도 해봄..
    어쨌거나 우리 은하는 평평한게 아니라 그냥 잠시 관측오류에 착각이었다니 재미있네요😅

  • @milankundera5431
    @milankundera5431 Год назад +5

    우주가 무한하다면 충분히 가능할 확률입니다

  • @sunggyushin7993
    @sunggyushin7993 Год назад +1

    그야말로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이었네요.

  • @tvb.s1426
    @tvb.s1426 Год назад +2

    내가 맨날 생각하는 행성이 자전하고 태양계는 은하안에 있고 은하는 은하를 돌고 그 은하를 은하계로 부르고 은하계는 우주의 일부고 우주는 더큰 우주에서 돌고 있다라는 상상중 1/2이 현실이 돼었구만요

  • @user-cu1fs1hx1l
    @user-cu1fs1hx1l Год назад +1

    신비스럽게 살아있는
    우리은하....
    또~다른 은하와다른점은
    우리은하주변에서만
    도는 "11개위성은하"
    좀~이상하지만...
    좀더 정확하게 더
    좋은망원경으로 아니면 더 시간과 세월이 걸리더라도 정확하게 자세히
    그게 11개가맞는지?
    아님 더 있는지를...
    조사할같이가 있다라
    고 보아집니다
    앞으로 더 ~ 관찰해야될것같습니다

    • @user-cu1fs1hx1l
      @user-cu1fs1hx1l Год назад +1

      그동안 신비스런우주
      우리은하게 비밀이
      많이도 밝혀졌지요
      앞으로 10년정도면
      90%이상~
      거의 다 밝혀질것 같습니다..
      제아무리 광활한우주
      라지만 주님(신의은총
      으로)은혜로 머지않아
      다 밝혀지리라 믿습니다
      더~ 기대해보죠~♡♡

  • @user-gg6xr7ln8h
    @user-gg6xr7ln8h Год назад +3

    10의수십승분의 1의 확률도 수두룩하게 일어나는게 우주인데 0.1%~1%는 졸라 흔한거아님??관측가능한 우주에 은하가 2조개라니 0.1%~1%면 20억~2백억개인데??ㅎㅎ

  • @ninthsun
    @ninthsun Год назад +6

    근데 1%도 우주 전체의 규모에서는 상당히 큰 수치라는 생각이 드는데 이걸 이상하다고 그래서 더 일반화시키려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물리법칙을 거슬러 올라가 하나의 이론으로 통합(?) 하려는 시도가 있다는 것은 얼핏 들어본거 같지만, 그 법칙들에 의해 생기는 현상은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처럼 훨씬 다양한게 더 자연스럽지 않나 해서요

    • @saedaegari
      @saedaegari Год назад +3

      우주 전체에 202개 있는데 그중 2개라구요. 202개면 그다지 많은 수는 아니죠.

    • @user-gg6xr7ln8h
      @user-gg6xr7ln8h Год назад +1

      관측가능한 우주에 은하의수가 2조개가량 있다니까 0.1~1%면 20억~ 200억개의 은하가 해당되는데 그럼 ㅈㄹ흔해빠진건데?? 10의 수십승분의 1의 확률의 것도 수두룩하게 일어나는게 우주아님?이런식으로 억지로 특별하다고 분류하면 우주에 특별하지않은게 없죠‥

    • @saedaegari
      @saedaegari Год назад +1

      @@user-gg6xr7ln8h 20~200억개가 아니라 202개라구요. 영상 똑바로 보세요.

    • @minjae92
      @minjae92 Год назад +1

      ​@@user-gg6xr7ln8h 그 2조개중의 202개, 그 중 1퍼

  • @kwangje
    @kwangje Год назад +4

    물질이 중력을 만드는 걸까요? 아니면 공간자체가 마치 종이를 찌그러 트렸다 펼칠때처럼 찌그러져 있고 그 주름들이 중력을 만드는 것은 아닐까요? 암흑물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공간자체가 찌그려져 그 찌그러진 주름들로 물질들이 모이는 것이라면 암흑물질이 없어도 그리고 빅뱅이후 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중력이 생겨 물질들이 모이게 된 것도 설명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Год назад

      중력은 디멘션 개념의 4차원에서 3차원에 간섭을 일으키는 힘이라는 가설이 있네요. 원래는 전자기력 만큼 강력한 힘인데 직접적인 힘이 아니라 간섭이라 약하게 영향을 미치는 거라고...

    • @kwangje
      @kwangje Год назад +1

      @@user-eu2wd2fk7s 3차원상에서 물질이 가속운동하면 관성력이 발생하지요. 이를 4차원 시공간상의 시간축으로 물질이 가속운동하는 것이 우리가 사는 물리세계라 가정한다면 왜 3차원 공간상에 중력이 발생하는지, 시간의 역행이 왜 안되는지, 먼 우주의 별들이 빛보다 빠르게 멀어지는 것처럼 보이는지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요? 물질이 잡아당기는게 아니라 공간이 접힌 곳에 중력이 생겨 물질이 모이는 것이고 전체 우주공간은 시간을 축으로 3차원 공간이 가속운동하여 팽창하므로 공간은 빛보다 빠르게 팽창하는것 처럼 보이는 현상. 종이를 꾸겨 접었다가 모서리를 잡고 늘리면 그 중심에서 멀수록 이동거리가 멀어지죠. 그것이 빠르게 멀어지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가 아닐까요? 즉, 암흑 어쩌구 저쩌구는 착시일 뿐이라는 것. 중력은 물질이 만드는것이 아니라 시공간이 만드는 것이란 거죠.

    • @kwangje
      @kwangje Год назад

      제 생각이 맞다면 지구에서 멀어질수록 지구에서 보는 먼 우주의 빛의 속도는 더 빨라질겁니다. 측정할 방법이 없을 뿐이지만요.

    • @minjae92
      @minjae92 Год назад

      ​@@kwangje 그게 암흑에너지의 작용인데요

  • @SEcond.IMpact
    @SEcond.IMpact Год назад +2

    처음 봤을 때 그냥 우연아냐? 이랬는데...설마 진짜일줄은 ㅋㅋㅋ

  • @goldenkingta
    @goldenkingta Год назад

    존잼

  • @lkj6
    @lkj6 Год назад +1

    중력의 의해 빠르게 회전한다면 ㅡㅡ다른 은하는 회전력이 약하다면 ㅡㅡㅡ원심력이 적용 될려나? 중력회전력 이랄까

  • @dokdokgolf
    @dokdokgolf Год назад +1

    스틸컷보고 영화다본것처럼 착각한거네요.

  • @munasikisora
    @munasikisora Год назад +1

    은하 내부에서 위성은하가 생길 가능성은 없을까요?

  • @IdeaTimeService
    @IdeaTimeService Год назад +3

    시기의 문제가 아니라 기술부족의 문제였군요...

    • @eiliosice
      @eiliosice Год назад

      같은 말이지만 "데이터가 부족했다"가 더 정확해 보이네요.
      기술이 발전하며 더 좋은 데이터를 더 많이 확보 가능해지면서 해결되는 문제도 있죠.

  • @rakjin
    @rakjin Год назад +5

    10:06 왜소은하 이름이 어떻게 Sextans ㅋㅋㅋㅋ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Год назад +2

      접사 sex는 숫자 6과 관련있는 hexa와 똑같은 용법으로 쓰입니다.

  • @에라이씌브럴
    @에라이씌브럴 Год назад +3

    착각 이라는 것 중에 제일 짜증나는 것은 아마도 종교적 착각이 아닐까~?
    걸핏하면 종말이 가까이 왔네~ 하는 모양새를 보면~
    인류의 근대 역사가 증기긱한을 통한 산업혁명 때부터 라고는 해도 그 이전에 저들이 저지른 죄악의 역사를 반성하지도 않고 여전히 그런 착각을 반복하고 강요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고 있노라면~
    정작 저사람들도 과학의 힘을 바탕으로 살아가고 있을텐데 어째서 과학으로 개선된 세상을 부정하고 주여주여 하고 있는지.....
    정말로 지옥이나 천국이~
    눈에 보이거나 손에 잡히지도 않는 그런 판타지를 쫓고 있는건 아닌지.....
    나는 저런 사람들 몰라~ 하고 넘어가고 싶으니까 말좀 그만 걸어라.....
    ※ 요즘 -신천지-들 또 점점 많이 보이드만.....

  • @seeds9990
    @seeds9990 Год назад +1

    우리 우주 우리 은하 우리 항성계 우리 행성이기 때문에 우리 생태계와 우리 문명이 있는 것.

  • @user-bl3sy3gk4y
    @user-bl3sy3gk4y Год назад +4

    분명히 이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것이다. 우리 은하는 전혀 특이하지 않은 은하라는 결론으로. 과학의 발전은 항상 인간의 특이성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100% 확신한다.

  • @user-wy6ff7gx9g
    @user-wy6ff7gx9g Год назад +1

    우리우주는 시뮬레이션이죠. 그래서 매우 드문 현상이 다른 은하에도 똑같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컴퓨터가 일을 실질적으로 안하고 대충하는 것입니다.

  • @user-jf5ko3xd9b
    @user-jf5ko3xd9b Год назад +2

    2분 7초 CMD가 아니라 CDM 아닌가요??아님 CMD도 맞는 표현인가요…?

    • @wz_mz
      @wz_mz  Год назад +2

      오타입니다! 논문 화면에 있는 것처럼 람다CDM이 맞습니다!

  • @nemoprunus3042
    @nemoprunus3042 Год назад +1

    CG 자막에는 2027개로 나타나 있는데 202개로 말씀하셔서 잠깐 헷갈렸습니다. 7과 '개'의 'ㄱ'이 같게 쓰이네요. ㅎㅎ

  • @EnspireClips33
    @EnspireClips33 Год назад +20

    난 다른건 모르겠고 개기일식 현상이 가장 신기함 어떻게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 과 태양의 크기가 비슷한지

    • @user-ls4cg8eq9l
      @user-ls4cg8eq9l Год назад

      나도

    • @JH-ek5bn
      @JH-ek5bn Год назад +1

      대충 수억년 전 공룡살때도 비슷했고 최대 10억년 뒤까지 개기일식 가능함

    • @EnspireClips33
      @EnspireClips33 Год назад

      @@JH-ek5bn 이런걸 보면 달이 인공위성이 아닐까 하는 ㅁㅊ생각도 가끔함ㅋㅋ

    • @dfdsjfkjlksd
      @dfdsjfkjlksd Год назад +1

      하나님의 설계입니다 아멘

    • @insoos
      @insoos Год назад

      태양 크기가 달 400배인데 태양이 지구와 달까지 거리보다 400배 멀리 떨어져 있어서 같은 크기로 보인다고 우주먼지님 영상에서 봤습니다. ㅎㅎㅎ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Год назад

    우주보다 더 큰 외곽이 있나요? 우주를 벗어났더니 실외로 나가게 되더라....

  • @koppee1093
    @koppee1093 Год назад +1

    그 위성은하의 항성계에 있는 행성에 가보고 싶네. 갔더니 구석기 시대면 좀 깝깝 하겠지만.

  • @che99wi
    @che99w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은하 귀여워

  • @DOG-rm8cr
    @DOG-rm8cr Год назад +1

    내가 이런거 공부하고싶어서 물리학과를 갔는데.... 이런걸 공부할 수 있었다면 석사까지 했었을까요....

  • @user-zw9mz5zt5b
    @user-zw9mz5zt5b Год назад +17

    우주 스케일에서 1%면 엄청 흔한 확률 아닌가요?

    • @trecime
      @trecime Год назад +1

      확률은 확률일 뿐입니다. 모수가 몇 개인 것과 상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우주에 1조개의 은하가 있다고 할때 1%면 100억개가 되겠지만 확률은 역시 1%입니다. 이 1%를 보고 누구는 흔하다고 할 수도 있고, 누구는 드물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수학의 영역이 아니라 언어와 문화의 영역입니다. 일상적으로 볼 때 1%면 흔하지 않은 것이 맞겠죠. 그래서 '상위 1%' 등의 표현이 나온 걸테니까요.

    • @user-zw9mz5zt5b
      @user-zw9mz5zt5b Год назад +1

      @@trecime 확률이 모수랑 관계 없이 확률 그 자체라는건 당연히 알고 있습니다. 인류 이외의 생명이 존재할 확률을 믿고 탐사하는 우주 스케일에서 1%면 흔한 확률이죠. 초대질량블랙홀이 형성될 확률에 비하면 1%는 흔한 확률이구요. '우주에서는 1%보다 낮은 확률로 발생하는 현상이 많은데 1% 정도가 무슨 뜻밖의 확률이라는 말이냐' 라는 의미입니다.

    • @dddds194
      @dddds194 Год назад

      @@trecime 그니까 우주관점에선 1프로가 흔한거잖아 빡대갈아

  • @user-gd9oh2xe1h
    @user-gd9oh2xe1h Год назад

    모든 우주가 하나되어 동시에 맞춰진다. 라 오오

  • @user-eg3up7cx9n
    @user-eg3up7cx9n Год назад +1

    바다의 모래알보다 은하가 많다는데 저런 우연쯤은 당연한게 아닐가

  • @user-bm3zr6ws1o
    @user-bm3zr6ws1o Год назад +2

    우주 단위에서 1%면.... 엄청 높은 확률 아닌가...?

  • @user-zv2lk3ns4x
    @user-zv2lk3ns4x Год назад

    와 수면제

  • @happinessg1062
    @happinessg1062 Год назад

    우주평면설,평평한 우주,초거대존재시야에서는 우주가2차원인가?그들 초거대존재들의 평면모니터상의 시뮬레이션?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Год назад +1

    현자타임즈 은하 재밌어요

  • @user-sh3su9ov8g
    @user-sh3su9ov8g Год назад +1

    그냥 일식이나 월식의 결과와 비슷한거군^^

  • @k-seungho
    @k-seungho Год назад +1

    듣자마자 3번 가설을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닐 수 있다니... 작년 말에 우리나라 연구팀이 퀘이사를 연구하면서 제기한 암흑물질이 없을 수 있다는 가설이 생각나네요

  • @user-qy1pc3mo4l
    @user-qy1pc3mo4l Год назад

    완벽하다며 ㅎ 진화됐데 ㅎ

  • @doroshi99
    @doroshi99 4 месяца назад

    우주의 크기를 생각하면 존재하는게 확인이 된다면 그것은 단하나일거라는 생각은 접는게 맞다고 생각함. 이 우주에 유일무이한건 없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

  • @dpfmfflgl
    @dpfmfflgl Год назад +1

    아.. 스텔라리스 땡기네

  • @ooinlee6527
    @ooinlee6527 Год назад +1

    응? 1프로? 너무 많은데
    근데 영상 결론 우리 은하도 특별하지 않다.
    넘모 편안~ 게비스콘 느낌

  • @오구오구
    @오구오구 Год назад +6

    하필이면 왜 태양계 인류는 은하들의 그랜드 크로스같은 절묘한 시기에 나타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