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재발견] 유교문화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도시! '뿌리 깊은 정신문화의 보고 안동’ (KBS 20111119 방송)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7 апр 2022
  • 한국 재발견 '뿌리 깊은 정신문화의 보고 안동'
    600여년의 조선 문화 전통이 가장 잘 보존 되어 있고 유교문화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한 추로지향(鄒魯之鄕)의 도시 안동.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도시! 이곳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40개의 서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서원에서 학문을 닦던 선비정신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수백 년의 역사와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기와집에는 조상들의 정신을 물려받은 후손들이 여전히 살고 있다.
    빼어난 비경을 자랑하는 안동 8경을 중심으로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안동의 모습을 담아보았다.
    1. 한 폭의 수채화 '하회마을'
    낙동강이 S자로 굽어 흐르며 마을을 감싸고 있어 하회(河回)라는 지명이 붙은 하회마을. 500년이 넘는 세월을 살아온 풍산류씨의 동성마을로 멋스러운 고가에는 조상들의 정신을 이어받은 자손들이 여전히 살고 있다. 하회마을이 한눈에 보이는 부용대에 올라 한 폭의 수채화를 연상케 하는 아름다운 경치 둘러보고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제가면인 '하회탈' 명장이 들려주는 흥미로운 하회탈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본다.
    2. 제사가 많은 안동, 간고등어는 필수!
    주변에 바다가 없는 내륙지방인 안동이 어떻게 해서 간고등어가 유명할까? 소금을 치는 것이 쉬워보여도 다 깊은 뜻과 방법이 있다는데... 60년 평생 간잽이를 해온 김병창씨가 들려주는 간고등어의 유래기.
    3. 독립운동의 산실 안동
    우리나라 독립운동 발상지로서 상해 임시정부 국무령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종택 임청각. 낙동강과 영양청송에서 내려오는 반변천이 만나는 자리에 자리 잡은 이곳은 최상류층 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종택을 팔아 만주 독립운동본부에 자금을 댈 정도로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상징이였다. 이 외에도 일제강점기 시대 일본에 대한 저항정신을 강력하게 표출해낸 퇴계이황의 14대손인 이육사. 현재 생존해 있는 이육사의 유일한 혈육 이옥비 여사를 만나 과거를 따라가 본다.
    4. 정신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안동에는 의(義), 예(禮)를 중시하며 꼿꼿한 절개로 학문과 풍류를 즐겼던 옛 선비들의 생활과 정신이 배어있다. 동방의 주자로 불릴 정도의 대학자였던 퇴계 이황(李滉) 종택과 퇴계이황의 친족이 대를 이어 살고 있는 600년 고택. 그리고 종택의 역사와 함께 살아온 천연기념물 뚝향나무의 우아한 자태. 기품 있는 향나무와 함께 너그럽게 베풀며 살아가라 일렀던 퇴계의 가르침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데...
    5. 예술인들을 위한 '지례예술촌'
    안동댐과 임하댐은 낙동강 하류 지역에 풍부한 물을 제공하고 홍수피해를 줄여주었지만 댐을 만들면서 그 안에 살고 있던 수많은 씨족들은 수백 년 대를 이어 살아오던 터를 잃었다. 하지만 그중 지례종택은 수몰되기 직전 아흔아홉칸 종택을 고스란히 옮겨와 새로운 예술촌으로 탄생시켰는데. 예술인들의 사랑방으로 거듭난 600년 고택의 새로운 변신을 만나본다.
    #한국재발견 #안동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도시
  • РазвлеченияРазвлечения

Комментарии • 43

  • @user-ys4pl7yt6k
    @user-ys4pl7yt6k 2 года назад +29

    전국민을 상대로 하는 방송이 큰 오류를 하고 있어 답답한 마음에 댓글을 올립니다. 낙동강은 태백 황지 연못에서 시작한 낙강과 영양 일월산 에서 발원한 반변천 즉 동강이 안동에서 합쳐저 이루어 집니다. 낙강과 동강을 서로 바꾸어 방송 되었네요. 이것을 본 시청자들이 잘 못 지리 지식을 잘 못 알까봐 걱정스럽습니다.

    • @user-mj2bx3gp4c
      @user-mj2bx3gp4c 2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방송이 엉터리 해설을 할 리는 없고 나도 나이 먹어서 내 기억이 이상해졌나 잠시 생각했었습니다,ㅋㅋㅋ

    • @user-dv3hr1rg2m
      @user-dv3hr1rg2m Год назад +3

      낙강 ㅡ황지 근원
      동강ㅡ일월산 반변천
      안동에서 합쳐서 낙동강이 되네요..

    • @jakyeongkim1528
      @jakyeongkim1528 Год назад +2

      그렇군요

  • @user-dv3hr1rg2m
    @user-dv3hr1rg2m Год назад +7

    제고향은 1976년 수몰된 월곡면 미질리입니다.
    안동에서 어렸을 때 자라고
    학교는 국민학교 때부터 서울에서
    했습니다 만..
    방학때는 항상 고향 월곡에 가서
    친척들과 같이 뛰어놀고 하던 옛추억이 있답니다.
    제집사람도 안동사람이라
    자주 안동에 들른답니다.
    안동!
    사랑합니다!

  • @dianelim1655
    @dianelim1655 2 года назад +16

    반세기전 안동중앙국민학교, 안동여중을 를 다녔는데 긴세월이 지나 미국에서 영상으로 보는 안동… 그립습니다

    • @user-sy2vl6hv3l
      @user-sy2vl6hv3l 2 года назад +2

      헐 선배님이네요. 안동중앙국민학교 67회. 안동여중 43회....

  • @turtle9101
    @turtle9101 2 года назад +14

    안동… 가장 한국적인 풍경을 만끽할 수 있는 곳

  • @ckdtn122
    @ckdtn122 2 года назад +10

    2011년때 안동...안동사람으로써
    지금 2022년이랑 많이 달라졌고 발전되었네요
    너무 반갑네요!

  • @user-ye4ut2vx5i
    @user-ye4ut2vx5i 2 года назад +7

    조상의 얼이 서려있는 마을 ~~ 감사합니다

  • @user-wh4ui2pg7j
    @user-wh4ui2pg7j Год назад +2

    영상 으로 만나게 해주셔서kbs다큐 고맙습니다 ^^

  • @anastasiachang5956
    @anastasiachang5956 Год назад +2

    "+ 찬미예수님.!"
    저의 성씨가 장씨인데, 저의 호적에는 Origin 이(본)"안동" 이라고 시청 호적에 올리어져 있더군요. 그 이유로 저는 "안동: 장" 씨로 지금까지 알고 있지만, 안동은 한번도 다녀가 본적이 없었는데, 이영상을 보면서 처음으로 안동 을 알아가고 있음을 편집자 여러분께 감사합니다. 모든 여러분 주님과 함께하시고 건강하시기를.....

  • @user-dz7cr1by8q
    @user-dz7cr1by8q 2 года назад +5

    아버지의 고향

  •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2 года назад +3

    어릴때4,5살정도에 안동가봤는데 안동김씨 본가는 지금도 있을까?

  • @user-lv7iw1ys2k
    @user-lv7iw1ys2k Год назад +1

    우리외갓집안동외할머니가어릴적
    두손녀데리고안동곳곳다니던곳이네요.

  • @user-mj2bx3gp4c
    @user-mj2bx3gp4c 2 года назад +6

    잘 보고 가니더, 내 고향이 안동일시더😆

  • @user-xh8he8vq8o
    @user-xh8he8vq8o 2 года назад +5

    강원도(X) 영양군 일월면 문산의 하천 --> 경상북도(O) 영양군 일월면 문산의 하천

  • @user-ur7ri7vv2w
    @user-ur7ri7vv2w 4 месяца назад

    내고향안동 ~

  • @user-ig8dm9ps6d
    @user-ig8dm9ps6d Год назад +1

    15:00 화면은 안동이 아닙니다. 다른 지역의 영상이네요. 우측 산 앞은 간판이 동방호텔 같고요. 중앙 다리 건너에 촉성루가 아닌가요. 즉 진주남강 풍경인데요'

    • @2ryan16
      @2ryan16 Год назад +2

      그러게요. 저도 안동에 저런 곳이 어디 있지하고 갸우뚱했었어요.

    • @kyosoonlee4072
      @kyosoonlee4072 Год назад

      그렇네요 안동하고 비슷하네요 안동토박이만 발견할수 있는 화면 ㅎ

  • @elizabethlee5633
    @elizabethlee5633 2 года назад +1

    안동 ‘도산서원’ 은 어디로 갔나요?

  • @jalee9828
    @jalee9828 2 года назад +5

    안동땜으로 인하여 마을자체가 없어지고 일부만 부근산밑으로 옮겨놓아 지금은 옛모습자체를 볼수옶어 아쉽다,

  • @user-yt8lv9um8x
    @user-yt8lv9um8x 3 месяца назад

    독립 운동하신 분들이 재일 많은곳 안동 입니다

  • @user-nu6ez6fh3n
    @user-nu6ez6fh3n Год назад

    고산 구곡 이율곡 도산십이곡 퇴계 이황

  • @user-ei6dn5vy2n
    @user-ei6dn5vy2n 2 года назад +1

    안동볼것없디더

  • @user-wk5kz5yz3o
    @user-wk5kz5yz3o 2 года назад

    ???

  • @user-ei7dl2iy8g
    @user-ei7dl2iy8g Год назад

    .

  • @jonghyunkim1485
    @jonghyunkim1485 Год назад

    남남이 만나서 지금은 쉽게 갈라서는것이 여사로 생각하지요,//////////////////////////

  • @user-it4eu1tg2w
    @user-it4eu1tg2w 2 года назад +2

    윤석렬을 사랑한 안동

  • @James-pv6wy
    @James-pv6wy 2 года назад +1

    국짐당

    • @user-yz7dm8db6i
      @user-yz7dm8db6i 2 года назад

      더불어외노당

    • @user-yz7dm8db6i
      @user-yz7dm8db6i 2 года назад

      민주당에도을아오적박제순후손박영선있는데ㅡㅡ

    •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2 года назад

      @@user-yz7dm8db6i 을사오적 아닌가요?

  • @user-km9hx5ty6f
    @user-km9hx5ty6f 2 года назад +5

    저 동네가 사실... 독립운동가ㅡ그 중에서도 좌익의 온상이었다오!

  • @albuja80kg
    @albuja80kg 2 года назад +6

    14:53 안동 아닙니다 ;;; 다큐 맞나요 ? ㅡㅡ
    일자리 없음
    15만 인구수도 곧 붕괴될듯
    실체도 없는 유교정신문화 그만하고
    기업들 투자 유치가 안동을 살리는 길

  • @user-uz5eg6cf7o
    @user-uz5eg6cf7o 2 года назад +2

    안동 삽니다.
    절대 오지 마시길.
    볼게 없어요

    • @user-mj2bx3gp4c
      @user-mj2bx3gp4c 2 года назад +7

      지 고향을 깎아내리는 터구같은 게 어디 있노?
      뭐 다른 데 놀러 가보면 별거 있는 줄 아나?
      그래도 우리 고향 안동 갔다온 사람들 치고 다 좋다카지 후회하거나 욕하는 사람들 없더라, 이 뭔? 어예됐던 정신 차리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