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와, 감사합니다. 문제 풀다가 '점근선이 실수축과 이루는 각' 문제를 만났는데, 풀이를 봐도 60°, 180°, 300°, 이렇게만 나와있고 끝나있어서 '이게 뭐지?' 싶었는데, 그 중에 고르는 것이었군요.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0:33 극점 P 0:55 영점 Z = 0된다 = 분자가01:15 근궤적은 항상 실수축 대칭이다.1:27 점근선과 실수축 교차점 (교차로에 피자피자) 1:53 점근선 각도 (2k+1)pi/(p-z) 이카쁠원 2:10 분지점, 이탈점 K=정리후 dk/ds로 정리 후 s값2:28 출발점 도착점 출발각 도착각 2:50 근궤적 허수축 교차점 (루스-홀비치)3:00 근궤적 기초문제 근궤적 개수4:11 교차점 문제5:45 출발각6:43 점근선 교차각 교차점8:20 G(s)H(s) 근궤적 특성방정식에 대한 이해11:21 분지점 또는 이탈점15:47 마무리
ㅋㅋㅋㅋㅋㅋㅋㅋ07:03 계산하기 귀찮네요 . 이런 소소한 개그 너무 취저입니다. 이해도 쏙쏙되고 재미도있으니 앞으로 동일낱권 전권 강의 부탁드리고 싶을 정도입니다. 최고최고👍
핵심을 팍팍 찍어주시니 감사합니다
6:54 에서 1+G(s)H(s)=0에 대한 것을 찾아야하기 때문에 계산한것은 G(s)H(s)=0에 대한 것이고 따라서 교차점은 실수축 +1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 답 아닌가요?? 각도는 동일할테구요.
이해가 너무 잘 됩니다 ㅠㅠㅠㅠ 너무 감사합니다
다 봤음 감사합니다!
6:31초 근의 벡터각의 합이란게 이해가안되는데 -2에서 -1+j까지 간거45도 그리고 -2에서 -1-j로 안가고 -1+j에서 -1-j로 가는이유가 있나요 ㅠㅠ 전린이입니다
문제를 잘 읽어보세요!
@@electricnewbie 아 -1+j에서 시작이니까 -2와 -1-j로가는 벡터각의 합이라고 보면되겠죠?
유용한 팁 감사합니다. 문제풀이때 보여주시는 책은 어떤건지 알 수 있을까요?
14:00 문제에서 분지점을 구할때 k에 미분을 시킨값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오래된 영상이긴 하지만 허수축 jw랑 교차하는 점 구할 때, Routh 쓰지 않고도 그냥 특성방정식에 jw 대입하면 바로 나옵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특성방정식에 jw 대입하면 -jw^3-9w^2+20jw+K=0 인데 어떻게 바로 나오나요?
8:18초에 2k+1은 어떻게 나오는건가요?(2k+1)파이는 공식인가요?
네 공식입니다
뉴비님 5:45 출발각 문제에서 90도가 되는 원리를 잘 모르겠네요 ㅜㅜ 90도는 -1-j에서 -1+j 까지의 각도가 아니라 -j에서 -1+j까지의 각도가 아닌지 하는 의문이 듭니다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12:50 극점과 영점의 합이 짝수면 짝수구간에만 근궤적이 생기는 것인가요?
아닙니다
@@electricnewbie 홀수만 기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ㅠㅠ
9:35 에서 s^0 에 왜 K가 오는 것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다른 강의에서도 K가 온다고 하는데 왜 그런지 설명이 없네요...
S^0에는 항상 무조건 특성방정식의 상수부분이 오게 되있습니다. 이것은 정해져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항상 변하지 않고 따라서 s1에서 계산을 통해 검산하는 용도로 쓰시면 좋습니다.
문제들 하나하나 다보니 루시 판별법의 s0 자리에는 항상 상수가 있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너무감사합니다 진짜큰도움이 ㅠㅠㅠ
응원합니다
무쳤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답찾는데 상관은 없지만 9:37 루스훌비쯔 전개가 잘못된거같아요ㅎㅎ 근궤적 혼자 공부하기 어려웠는데 도움많이됬어요! 감사합니다!
앗 그러네요 180-k인데 k-180으로 실수했네요 행렬판별식 반대로해야되는데 가끔실수합니다ㅠ ㅠ 도움이 됐다니 기분이 좋네요^^
@@electricnewbie 저...행렬식 곱셈은 맞지않나요? 왜 반대로 해서 180-k로 해야만하나요??
@@LoFi-esta 행렬식이 아니라...자세한건 제어공학 책 참조..방식이 다릅니다...
뉴비횽님 감사합니다.
10:40 에서 개루프라 +1 씩 한다거 하셧는데 +1은 폐루프 식에서만 하는거 아닌가요??이부분을 잘 모르겟어요
slidesplayer.org/slide/16457088/96/images/82/%EA%B0%9C%EB%A3%A8%ED%94%84+%EC%A0%84%EB%8B%AC+%ED%95%A8%EC%88%98%EC%99%80+%ED%8F%90%EB%A3%A8%ED%94%84+%EC%A0%84%EB%8B%AC+%ED%95%A8%EC%88%98%EC%9D%98+%EA%B4%80%EA%B3%84+%EB%8B%A8%EC%9C%84+%ED%94%BC%EB%93%9C%EB%B0%B1+%EC%8B%9C%EC%8A%A4%ED%85%9C.jpg
8:26에서 설명하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제가 개루프 전달함수를 착각하고 있었어요
와 분지점 덕분에 이해 했습니다. ㅠ
근궤적 점근선 각도구할때 영점갯수와 극점갯수가 같으면 어떻게해야하나요?
문제풀 때 그런 경우는 없겠지만 어떻게되는지 잘 모르고 저도 궁금하네요 찾아봐야겠습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교재 정보 알 수 있을까요?
동일출판사 제어공학
선생님 9-24번에서 극점의 합이 -2 -8로 짝수인데 홀수로 푸셨는데 상관없나요...?
음 극점의 합이 아니고 극점의 개수가 홀수개라서 가능합니다.
전기뉴비 극점의 개수의 합이군요. 감사합니다😄😄
와, 감사합니다. 문제 풀다가 '점근선이 실수축과 이루는 각' 문제를 만났는데, 풀이를 봐도 60°, 180°, 300°, 이렇게만 나와있고 끝나있어서 '이게 뭐지?' 싶었는데, 그 중에 고르는 것이었군요.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0:33 극점 P
0:55 영점 Z = 0된다 = 분자가0
1:15 근궤적은 항상 실수축 대칭이다.
1:27 점근선과 실수축 교차점 (교차로에 피자피자)
1:53 점근선 각도 (2k+1)pi/(p-z) 이카쁠원
2:10 분지점, 이탈점 K=정리후 dk/ds로 정리 후 s값
2:28 출발점 도착점 출발각 도착각
2:50 근궤적 허수축 교차점 (루스-홀비치)
3:00 근궤적 기초문제 근궤적 개수
4:11 교차점 문제
5:45 출발각
6:43 점근선 교차각 교차점
8:20 G(s)H(s) 근궤적 특성방정식에 대한 이해
11:21 분지점 또는 이탈점
15:47 마무리
ㅋㅋㅋㅋㅋㅋㅋㅋ07:03 계산하기 귀찮네요 . 이런 소소한 개그 너무 취저입니다. 이해도 쏙쏙되고 재미도있으니 앞으로 동일낱권 전권 강의 부탁드리고 싶을 정도입니다. 최고최고👍
핵심을 팍팍 찍어주시니 감사합니다
6:54 에서 1+G(s)H(s)=0에 대한 것을 찾아야하기 때문에 계산한것은 G(s)H(s)=0에 대한 것이고 따라서 교차점은 실수축 +1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 답 아닌가요?? 각도는 동일할테구요.
이해가 너무 잘 됩니다 ㅠㅠㅠㅠ 너무 감사합니다
다 봤음 감사합니다!
6:31초 근의 벡터각의 합이란게 이해가안되는데 -2에서 -1+j까지 간거45도
그리고 -2에서 -1-j로 안가고 -1+j에서 -1-j로 가는이유가 있나요 ㅠㅠ 전린이입니다
문제를 잘 읽어보세요!
@@electricnewbie 아 -1+j에서 시작이니까 -2와 -1-j로가는 벡터각의 합이라고 보면되겠죠?
유용한 팁 감사합니다. 문제풀이때 보여주시는 책은 어떤건지 알 수 있을까요?
14:00 문제에서 분지점을 구할때 k에 미분을 시킨값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오래된 영상이긴 하지만 허수축 jw랑 교차하는 점 구할 때, Routh 쓰지 않고도 그냥 특성방정식에 jw 대입하면 바로 나옵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특성방정식에 jw 대입하면 -jw^3-9w^2+20jw+K=0 인데 어떻게 바로 나오나요?
8:18초에 2k+1은 어떻게 나오는건가요?(2k+1)파이는 공식인가요?
네 공식입니다
뉴비님 5:45 출발각 문제에서 90도가 되는 원리를 잘 모르겠네요 ㅜㅜ 90도는 -1-j에서 -1+j 까지의 각도가 아니라 -j에서 -1+j까지의 각도가 아닌지 하는 의문이 듭니다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12:50 극점과 영점의 합이 짝수면 짝수구간에만 근궤적이 생기는 것인가요?
아닙니다
@@electricnewbie 홀수만 기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ㅠㅠ
9:35 에서 s^0 에 왜 K가 오는 것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다른 강의에서도 K가 온다고 하는데 왜 그런지 설명이 없네요...
S^0에는 항상 무조건 특성방정식의 상수부분이 오게 되있습니다. 이것은 정해져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항상 변하지 않고 따라서 s1에서 계산을 통해 검산하는 용도로 쓰시면 좋습니다.
문제들 하나하나 다보니 루시 판별법의 s0 자리에는 항상 상수가 있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너무감사합니다 진짜큰도움이 ㅠㅠㅠ
응원합니다
무쳤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답찾는데 상관은 없지만 9:37 루스훌비쯔 전개가 잘못된거같아요ㅎㅎ 근궤적 혼자 공부하기 어려웠는데 도움많이됬어요! 감사합니다!
앗 그러네요 180-k인데 k-180으로 실수했네요 행렬판별식 반대로해야되는데 가끔실수합니다ㅠ ㅠ 도움이 됐다니 기분이 좋네요^^
@@electricnewbie 저...행렬식 곱셈은 맞지않나요? 왜 반대로 해서 180-k로 해야만하나요??
@@LoFi-esta 행렬식이 아니라...자세한건 제어공학 책 참조..방식이 다릅니다...
뉴비횽님 감사합니다.
10:40
에서 개루프라 +1 씩 한다거 하셧는데
+1은 폐루프 식에서만 하는거 아닌가요??
이부분을 잘 모르겟어요
slidesplayer.org/slide/16457088/96/images/82/%EA%B0%9C%EB%A3%A8%ED%94%84+%EC%A0%84%EB%8B%AC+%ED%95%A8%EC%88%98%EC%99%80+%ED%8F%90%EB%A3%A8%ED%94%84+%EC%A0%84%EB%8B%AC+%ED%95%A8%EC%88%98%EC%9D%98+%EA%B4%80%EA%B3%84+%EB%8B%A8%EC%9C%84+%ED%94%BC%EB%93%9C%EB%B0%B1+%EC%8B%9C%EC%8A%A4%ED%85%9C.jpg
8:26에서 설명하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개루프 전달함수를 착각하고 있었어요
와 분지점 덕분에 이해 했습니다. ㅠ
근궤적 점근선 각도구할때 영점갯수와 극점갯수가 같으면 어떻게해야하나요?
문제풀 때 그런 경우는 없겠지만 어떻게되는지 잘 모르고 저도 궁금하네요 찾아봐야겠습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교재 정보 알 수 있을까요?
동일출판사 제어공학
선생님 9-24번에서 극점의 합이 -2 -8로 짝수인데 홀수로 푸셨는데 상관없나요...?
음 극점의 합이 아니고 극점의 개수가 홀수개라서 가능합니다.
전기뉴비 극점의 개수의 합이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