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공학 근궤적 문제풀이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6

  • @SweetSpider
    @SweetSpider 2 дня назад

    와, 감사합니다. 문제 풀다가 '점근선이 실수축과 이루는 각' 문제를 만났는데, 풀이를 봐도 60°, 180°, 300°, 이렇게만 나와있고 끝나있어서 '이게 뭐지?' 싶었는데, 그 중에 고르는 것이었군요.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4 года назад +3

    0:33 극점 P
    0:55 영점 Z = 0된다 = 분자가0
    1:15 근궤적은 항상 실수축 대칭이다.
    1:27 점근선과 실수축 교차점 (교차로에 피자피자)
    1:53 점근선 각도 (2k+1)pi/(p-z) 이카쁠원
    2:10 분지점, 이탈점 K=정리후 dk/ds로 정리 후 s값
    2:28 출발점 도착점 출발각 도착각
    2:50 근궤적 허수축 교차점 (루스-홀비치)
    3:00 근궤적 기초문제 근궤적 개수
    4:11 교차점 문제
    5:45 출발각
    6:43 점근선 교차각 교차점
    8:20 G(s)H(s) 근궤적 특성방정식에 대한 이해
    11:21 분지점 또는 이탈점
    15:47 마무리

  • @이이-w6m5t
    @이이-w6m5t 4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ㅋ07:03 계산하기 귀찮네요 . 이런 소소한 개그 너무 취저입니다. 이해도 쏙쏙되고 재미도있으니 앞으로 동일낱권 전권 강의 부탁드리고 싶을 정도입니다. 최고최고👍

  • @사동혁장기
    @사동혁장기 3 года назад

    핵심을 팍팍 찍어주시니 감사합니다

  • @ghj1151
    @ghj1151 2 года назад

    6:54 에서 1+G(s)H(s)=0에 대한 것을 찾아야하기 때문에 계산한것은 G(s)H(s)=0에 대한 것이고 따라서 교차점은 실수축 +1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 답 아닌가요?? 각도는 동일할테구요.

  • @stridaivory5913
    @stridaivory5913 2 года назад +1

    이해가 너무 잘 됩니다 ㅠㅠㅠㅠ 너무 감사합니다

  • @김지훈-f3k
    @김지훈-f3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 봤음 감사합니다!

  • @user-yw3tc4ix5n
    @user-yw3tc4ix5n 4 года назад

    6:31초 근의 벡터각의 합이란게 이해가안되는데 -2에서 -1+j까지 간거45도
    그리고 -2에서 -1-j로 안가고 -1+j에서 -1-j로 가는이유가 있나요 ㅠㅠ 전린이입니다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4 года назад

      문제를 잘 읽어보세요!

    • @user-yw3tc4ix5n
      @user-yw3tc4ix5n 4 года назад

      @@electricnewbie 아 -1+j에서 시작이니까 -2와 -1-j로가는 벡터각의 합이라고 보면되겠죠?

  • @anjwado
    @anjwad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용한 팁 감사합니다. 문제풀이때 보여주시는 책은 어떤건지 알 수 있을까요?

  • @gmlssns5859
    @gmlssns5859 3 года назад

    14:00 문제에서 분지점을 구할때 k에 미분을 시킨값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김민국-e1i
    @김민국-e1i 3 года назад +1

    오래된 영상이긴 하지만 허수축 jw랑 교차하는 점 구할 때, Routh 쓰지 않고도 그냥 특성방정식에 jw 대입하면 바로 나옵니다

    • @꺠로롱
      @꺠로롱 2 года назад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특성방정식에 jw 대입하면 -jw^3-9w^2+20jw+K=0 인데 어떻게 바로 나오나요?

  • @seseseseme7336
    @seseseseme7336 4 года назад

    8:18초에 2k+1은 어떻게 나오는건가요?(2k+1)파이는 공식인가요?

  • @김성호-t4o
    @김성호-t4o 3 года назад

    뉴비님 5:45 출발각 문제에서 90도가 되는 원리를 잘 모르겠네요 ㅜㅜ 90도는 -1-j에서 -1+j 까지의 각도가 아니라 -j에서 -1+j까지의 각도가 아닌지 하는 의문이 듭니다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3 года назад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 @still378
    @still378 2 года назад +1

    12:50 극점과 영점의 합이 짝수면 짝수구간에만 근궤적이 생기는 것인가요?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2 года назад

      아닙니다

    • @still378
      @still378 2 года назад

      @@electricnewbie 홀수만 기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공돌이-z1y
    @공돌이-z1y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ㅠㅠ

  • @1n9yu
    @1n9yu 4 года назад +1

    9:35 에서 s^0 에 왜 K가 오는 것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다른 강의에서도 K가 온다고 하는데 왜 그런지 설명이 없네요...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4 года назад

      S^0에는 항상 무조건 특성방정식의 상수부분이 오게 되있습니다. 이것은 정해져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항상 변하지 않고 따라서 s1에서 계산을 통해 검산하는 용도로 쓰시면 좋습니다.

    • @1n9yu
      @1n9yu 4 года назад

      문제들 하나하나 다보니 루시 판별법의 s0 자리에는 항상 상수가 있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이재신-v8t
    @이재신-v8t 3 года назад

    너무감사합니다 진짜큰도움이 ㅠㅠㅠ

  • @수우ooo
    @수우ooo 2 года назад

    응원합니다

  • @shc6316
    @shc6316 3 года назад

    무쳤다.

  • @zeeeyzo
    @zeeeyzo 4 года назад +1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charming
    @user-charming 4 года назад +2

    답찾는데 상관은 없지만 9:37 루스훌비쯔 전개가 잘못된거같아요ㅎㅎ 근궤적 혼자 공부하기 어려웠는데 도움많이됬어요! 감사합니다!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4 года назад +1

      앗 그러네요 180-k인데 k-180으로 실수했네요 행렬판별식 반대로해야되는데 가끔실수합니다ㅠ ㅠ 도움이 됐다니 기분이 좋네요^^

    • @LoFi-esta
      @LoFi-esta 4 года назад

      @@electricnewbie 저...행렬식 곱셈은 맞지않나요? 왜 반대로 해서 180-k로 해야만하나요??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4 года назад

      @@LoFi-esta 행렬식이 아니라...자세한건 제어공학 책 참조..방식이 다릅니다...

  • @뿌리-d3k
    @뿌리-d3k 3 года назад

    뉴비횽님 감사합니다.

  • @11아이폰-c9s
    @11아이폰-c9s 3 года назад

    10:40
    에서 개루프라 +1 씩 한다거 하셧는데
    +1은 폐루프 식에서만 하는거 아닌가요??
    이부분을 잘 모르겟어요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3 года назад +1

      slidesplayer.org/slide/16457088/96/images/82/%EA%B0%9C%EB%A3%A8%ED%94%84+%EC%A0%84%EB%8B%AC+%ED%95%A8%EC%88%98%EC%99%80+%ED%8F%90%EB%A3%A8%ED%94%84+%EC%A0%84%EB%8B%AC+%ED%95%A8%EC%88%98%EC%9D%98+%EA%B4%80%EA%B3%84+%EB%8B%A8%EC%9C%84+%ED%94%BC%EB%93%9C%EB%B0%B1+%EC%8B%9C%EC%8A%A4%ED%85%9C.jpg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3 года назад +1

      8:26에서 설명하네요

    • @11아이폰-c9s
      @11아이폰-c9s 3 года назад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개루프 전달함수를 착각하고 있었어요

  • @wayall5109
    @wayall5109 4 года назад

    와 분지점 덕분에 이해 했습니다. ㅠ

  • @언띵킹
    @언띵킹 4 года назад

    근궤적 점근선 각도구할때 영점갯수와 극점갯수가 같으면 어떻게해야하나요?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4 года назад

      문제풀 때 그런 경우는 없겠지만 어떻게되는지 잘 모르고 저도 궁금하네요 찾아봐야겠습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 @뿌시깄
    @뿌시깄 3 года назад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교재 정보 알 수 있을까요?

  • @Bangxx
    @Bangxx 4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9-24번에서 극점의 합이 -2 -8로 짝수인데 홀수로 푸셨는데 상관없나요...?

    • @electricnewbie
      @electricnewbie  4 года назад +1

      음 극점의 합이 아니고 극점의 개수가 홀수개라서 가능합니다.

    • @Bangxx
      @Bangxx 4 года назад

      전기뉴비 극점의 개수의 합이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