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실제 경기에서는 브레이크 어웨이 그룹에서 달아나기 위해서 또 브레이크 어웨이 그룹은 따라 잡기 위해서 추격 그룹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등)각시탈님 이번에 저 충주그란폰도가는데 오실수있나요?
메인 그룹에서는 선수들이 너무 많이 겹쳐있어서 저런 로테이션이 애초에 수월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떨어져있는 그룹에서 사용하나보네요!
난 오히려 집중력 소모시켜서 더 빡쎄게 타려고 하는건줄 알았는데…ㅋㅋㅋ 실전에서도 쓰이는 기술이라니…
일반 로테에비해서 채인갱의 단점은 맨뒤에서 로테안끼고 붙어가는게 불가능해 흐르기 쉽다는거죠
쏠라만 하는데 가끔 대회나가서 드래프팅받으면 진짜 신기함ㅋㅋㅋ
보통 선두에서 달리는 사람은 바람저항을 100% 받아서 힘이 많이드는데 저렇게 사이클돌리면서 달리면 체력보존을 하면서 달릴 수 있을거 같다는게 확연하게 보이네요
저렇게 빨리 도는게 더 체력소모할 것 같은데...
슬립스트림 같은 효과 인가요?
개 멋있다.
우리때는 회전교대라 했는데
체인갱이요 ? 이름이 귀엽다 체인갱이 체인갱이
품격있으십니다~
앞사람은 약30프로가 더 힘들다고하죠... 그래서 돌리는거
예전에 한번 해봤는데 개꿀잼이긴함 ㅋㅋㅋ 재미에 비례해서 체력소모도 빡셈 ㅋㅋㅋ
네. 좋은 기술이네요.다만 둔치 자전거도로나 통제되지 않은 일반도로에서는 사용을 자제해야 할 것 같습니다.
1줄인 팩이 2줄 팩으로 되는데, 유리한거 맞나요? 전체적으로 2배의 공기저항 받는거 같은데
1줄인 팩이면 선두에서 피로가 훨씬 많이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교대를 하는건데 이 교대하는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함으로 체력을 분배시키는 느낌으로 가는거죠
2줄이지만 2열맨 앞선수는 계속 뒤로 쳐지면서 교대하러 가기 때문에 최전방 1열선수만 풀파워로 타고 있게 됩니다
빠르게 회전하기 위한 것 같고요. 가깝게 옆에 붙어서 가는거면 측면으로 늘어도 효과는 있습니다. 어차피 뒤에 사람들은 득을 보게 되어 있고 바람은 측면에서도 오니까요. 고부하를 장시간 하는 것보다 중부하로 단시간이 아무래도 소모가 더 적지 않을까 합니다. 인터벌도 한계까지 쥐어짜는게 힘들듯이 시간을 단축하면 부하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단시간 리듬을 맞추기 위해서 팀워크가 중요하다는 말인 것 같습니다.
선두주행 후 뒤로 빠지면서 파워를 빼기 때문에 어느정도 휴식이 가능하고, 인터벌 방식 주행이 가능해서 훈련상황에서 좋은것 같습니다.
기러기들이 쐐기 대형으로 날아가는거 생각해보면 이해가 갈듯, 실제경기에선 그런 대형으로 주행할 수는 없으니까요
간다!!! 드래프트!!!
와
예전에는 미개통 도로에서 이 방식으로 자주 탔었는데.. 미개통 도로 들이 다 개통이 되버리면서 최근에는 기회가 없네요 ㅎㅎ
체인갱
ㅎㅎ 일반인은 그냥 두번째 잘타는 사람이 선두젤 잘타는 사람이 꽁지서 중간에 후미 챙겨주는 게 정석인데요즘 애들은 그걸 안해서 많이 흐르더라 ㅎㅎ좀 챙겨주며타라구
실제 경기에서는 브레이크 어웨이 그룹에서 달아나기 위해서 또 브레이크 어웨이 그룹은 따라 잡기 위해서 추격 그룹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등)각시탈님 이번에 저 충주그란폰도
가는데 오실수있나요?
메인 그룹에서는 선수들이 너무 많이 겹쳐있어서 저런 로테이션이 애초에 수월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떨어져있는 그룹에서 사용하나보네요!
난 오히려 집중력 소모시켜서 더 빡쎄게 타려고 하는건줄 알았는데…ㅋㅋㅋ 실전에서도 쓰이는 기술이라니…
일반 로테에비해서 채인갱의 단점은 맨뒤에서 로테안끼고 붙어가는게 불가능해 흐르기 쉽다는거죠
쏠라만 하는데 가끔 대회나가서 드래프팅받으면 진짜 신기함ㅋㅋㅋ
보통 선두에서 달리는 사람은 바람저항을 100% 받아서 힘이 많이드는데 저렇게 사이클돌리면서 달리면 체력보존을 하면서 달릴 수 있을거 같다는게 확연하게 보이네요
저렇게 빨리 도는게 더 체력소모할 것 같은데...
슬립스트림 같은 효과 인가요?
개 멋있다.
우리때는 회전교대라 했는데
체인갱이요 ? 이름이 귀엽다 체인갱이 체인갱이
품격있으십니다~
앞사람은 약30프로가 더 힘들다고하죠... 그래서 돌리는거
예전에 한번 해봤는데 개꿀잼이긴함 ㅋㅋㅋ 재미에 비례해서 체력소모도 빡셈 ㅋㅋㅋ
네. 좋은 기술이네요.
다만 둔치 자전거도로나 통제되지 않은 일반도로에서는 사용을 자제해야 할 것 같습니다.
1줄인 팩이
2줄 팩으로 되는데, 유리한거 맞나요?
전체적으로 2배의 공기저항 받는거 같은데
1줄인 팩이면 선두에서 피로가 훨씬 많이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교대를 하는건데 이 교대하는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함으로 체력을 분배시키는 느낌으로 가는거죠
2줄이지만 2열맨 앞선수는 계속 뒤로 쳐지면서 교대하러 가기 때문에 최전방 1열선수만 풀파워로 타고 있게 됩니다
빠르게 회전하기 위한 것 같고요. 가깝게 옆에 붙어서 가는거면 측면으로 늘어도 효과는 있습니다. 어차피 뒤에 사람들은 득을 보게 되어 있고 바람은 측면에서도 오니까요. 고부하를 장시간 하는 것보다 중부하로 단시간이 아무래도 소모가 더 적지 않을까 합니다. 인터벌도 한계까지 쥐어짜는게 힘들듯이 시간을 단축하면 부하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단시간 리듬을 맞추기 위해서 팀워크가 중요하다는 말인 것 같습니다.
선두주행 후 뒤로 빠지면서 파워를 빼기 때문에 어느정도 휴식이 가능하고, 인터벌 방식 주행이 가능해서 훈련상황에서 좋은것 같습니다.
기러기들이 쐐기 대형으로 날아가는거 생각해보면 이해가 갈듯, 실제경기에선 그런 대형으로 주행할 수는 없으니까요
간다!!! 드래프트!!!
와
예전에는 미개통 도로에서 이 방식으로 자주 탔었는데.. 미개통 도로 들이 다 개통이 되버리면서 최근에는 기회가 없네요 ㅎㅎ
체인갱
ㅎㅎ 일반인은 그냥 두번째 잘타는 사람이 선두
젤 잘타는 사람이 꽁지서 중간에 후미 챙겨주는 게 정석인데
요즘 애들은 그걸 안해서 많이 흐르더라 ㅎㅎ
좀 챙겨주며타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