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역학 적용된 게임으로 실제 달 착륙 미션 성공할 수 있을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469

  • @ognplus
    @ognplus  Год назад +186

    게임을 통해서 우주과학 콘텐츠를 만들어주시는
    엘랑 작가님의 [ 엘랑의 우주정복 ] 유튜브
    채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버용인
    @버용인 Год назад +572

    참고로 KSP를 플레이 하기위해서는 기초적인 궤도역학을 이해해야합니다 공기중에서 비행할 때는 항력에 의한 방해를 받게 되며, 로켓을 튼튼하게 만들지 않으면 발사 도중 연결부가 붕괴합니다 고고도까지 올라갈수록 공기가 적어져 항력 역시 적어지지만, 반대로 흡입할 수 있는 공기가 적어져 제트엔진을 쓸 수가 없습니다
    앞선 궤도를 도는 우주선과 만나려면 앞으로 가속을 하는 것이 아니라 뒤로 가속해 궤도반지름을 줄여야 하며 다른 궤도로 옮겨가기 위해서는 호만전이궤도를 만들어야합니다..... 나사의 제트추진연구소의 연구원 절반 이상이 플레이 중이라고 인증도 했고 스페이스X 창업자인 일론머스크도 언급한적 있는 게임입니다 ㅋㅋㅋ

    • @surprisefamily516
      @surprisefamily516 Год назад +220

      고인물들은 이미 화성,목성 까지 다 정복하고 로켓 부품으로 만들라는 로켓은 안만들고 우주 전함, 트랜스포머, 날아다니는 꽈추만드는 게임

    • @LCY0514
      @LCY0514 Год назад +47

      @@surprisefamily516 허니셀렉트만큼 하라는거안하고 이상한거 잘하는게임 ㅋㅋㅋㅋㅋㅋ

    • @booming6509
      @booming6509 Год назад +47

      @@surprisefamily516 사실 ksp에서 우주 전함 만들수 있으면 실제로도 제작가능한거 아닌가 ㅋㅋㅋ

    • @캐루룽
      @캐루룽 Год назад +20

      @@surprisefamily516 날아다니는 꽈추는 ㅅㅂㅋㅋㅋㅋㅋㅋ 사람 사는거 다 똑같군요

    • @angpangjonmat
      @angpangjonmat Год назад +49

      @@booming6509 만들 수는 있죠.... 돈이 없어서 그렇지 저 영상에 나온 세턴V도 60년전 기술로 만든 로켓인데 엄청 비싸서 못 만드는 거에요

  • @lsslcn7615
    @lsslcn7615 Год назад +651

    지금에야 슈퍼 컴퓨터로 다 계산하지만 50~60년대에 손코딩으로, 손으로 미분방적식 하나하나 풀어서 인간을 달까지 올린 과학자들이 진짜 존경스럽다

    • @레화-j9m
      @레화-j9m Год назад +115

      그 시대에도 미분이나 적분 계산 해주는 계산기들은 있었죠, 보통 일반적인 작업은 컴퓨터로 핬지만 50,60년대에는 우주에 인공체를 올렸던 경험이 없었기땨문에 존재하지 않던 방정식들과 걔산 방식을 개발하는 일이었죠 새로운 수학에 도전하는.

    • @조상현-d9j
      @조상현-d9j Год назад +80

      ​@@레화-j9m 맞슴다
      40년대 50년대에도 로켓, 레이더 (마이크로파), 헬리콥터가 있었다고 말해주면 굉장히 놀라는 사람들이 많죠

    • @Cptcat.
      @Cptcat. Год назад +7

      컴퓨터 있었어요...

    • @Banddy2573
      @Banddy2573 Год назад +18

      그당시 컴퓨터는 계산용이였어요

    • @유다-b8b
      @유다-b8b Год назад +32

      더 대단한건 그 컴퓨터에 속도를 암산으로 따라잡은 폰 노이만

  • @tohosuika9473
    @tohosuika9473 Год назад +7

    3:28 쉽게 알려주는구나 했는데 '정상입니다' 정말 단호하시네요 ㅋㅋ

  • @musekimdohyeon
    @musekimdohyeon Год назад +111

    와 어릴 때 달에 가는걸 대략 설명한 만화책을 보긴 했지만 이런 단계들을 움직이는 모션으로 보기는 처음이라 신선하네요. 잘 봤습니다!

    • @ognplus
      @ognplus  Год назад +5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hlee9617
    @shlee9617 Год назад +55

    13:05 개빵터졌네 ㅋㅋㅋ

  • @Martin-ur7mc
    @Martin-ur7mc Год назад +69

    KSP 플탐 6000시간정도 되는 입장에서,
    많은분들이 궤도역학이라 하면 엄청 어려운 수식을 써야할것 같고 여러 물리법칙들이 난립하는 그런걸 떠올리지만 실제로 플레이 해보신다면 익숙함의 문제란걸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자동차 운전이나 하다못해 걸음마 정도만 하더라도 경험으로써 하는게 아닌 알고리즘을 이용한 역학적 모델링을 만드려면 엄청나게 복잡한 수식이 필요하고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잖아요? 우주선 조종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우주 궤도상에서 전진 방향으로 가속하면 궤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어떤 천체의 영향권을 벗어나기 위해선 어떤 방향으로 추진해야 하는지 우리에겐 낯설다보니 수식에 의존하고 물리법칙에 의존하는것 뿐이에요.
    작정하고 우주비행만 1000시간정도 하다보면 그냥 궤도상 우주선 조종이 걸음마나 두발자전거처럼 몸이 기억하게 되서 익숙해지고, 심지어는 졸면서 졸음운전 하다가 어이쿠 하고 우주선 몇개씩 날려먹는것도 일상입니다 ㅋㅋ
    +실제로 KSP 내에서 여러가지 모터 부품들을 이용해 이족보행 로봇을 만들수 있는데 우주선 조종'따위'보단 이쪽이 훨씬 더 어려운 고인물 컨텐츠로 취급되곤 해요 ㅋㅋ

    • @yc27
      @yc27 Год назад

      게임이니까 우주선조종따위겠지 ㅋㅋ 에휴진짜이런애들보면 그냥 ㅋㅋ

    • @Martin-ur7mc
      @Martin-ur7mc Год назад +3

      @@yc27 게임 영상에 와서 게임얘기하는데 왜 이분은 혼자 딴얘기하심;;

    • @sjs849
      @sjs849 Год назад +1

      ​@@yc27ksp 내에서 라는 말은 개무시하고 보고 싶은 것만 보네 ㅋㅋㅋ

    • @flex_ru295
      @flex_ru295 Год назад

      @@yc27문장 다읽고 나데라 병신아

  • @okr1993
    @okr1993 Год назад +340

    KSP 10년차 유저지만 젭, 빌, 밥과 함께 처음 Mun에 착륙하던 그 순간을 지금도 잊을 수 없습니다. 우주비행사가 되서 우주왕복선을 타고 싶었던 제게 큰 감동과 기쁨을 주었고 지금도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KSP2가 생각보다 미비하게 출시되었지만 그래도 KSP1처럼 멋진 게임으로 진화하리라 기대합니다.

    • @user-ej5kj6de1y
      @user-ej5kj6de1y Год назад

      문재앙임? Mun은 뭐노

    • @세바스찬-z5u
      @세바스찬-z5u Год назад +45

      저랑 비슷하네요ㅋㅋㅋㅋㅋ
      어렸을때 로바즈 보고 샀는데ㅋㅋㅋ
      그게 벌써 8년전 이네요ㅋㅋㅋㅋ

    • @golden2420
      @golden2420 Год назад +12

      전 3080사고 그래픽모드 다깔아서 rss로 궤도 갔을때가 제일 기억에 남아요… 궤도 만들 로켓 만들기도 힘들었지만 지구가 정말 이쁘더라고요

    • @robinhi8589
      @robinhi8589 Год назад +25

      ​@@세바스찬-z5u 로바즈의 스페이스 볼보 ㅋㅋㅋㅋㅋㅋㅋㅋ

    • @seagullman123
      @seagullman123 Год назад +12

      로바스히얼~ 암 플레잉 커벌 슾ㅔ이스ㅍ러그뤰~

  • @PingGoo2931
    @PingGoo2931 Год назад +84

    이 영상은 커빈이라는 가상 항성계라 실제 태양계의 데이터와 수치가 많이 다르고 축소돼있어서 충분히 연습하면 할 수 있습니다. 실제 태양계와 똑같은 수치와 그래픽을 만들어주는 모드가 있는데 이걸 사용하면 달에 가는건 불가능할 정도로 난이도가 급상승합니다. 하지만 인류가 70년전에 게임처럼 ui도없고,로켓이 직접적으로 보이지도 않고, 직접 사람을 태우고 실전연습도 없이 단 한번에 성공했다는게 경이롭네요

    • @GAM5T
      @GAM5T Год назад +3

      천조국 클라스

    • @I_Hate_HandIe
      @I_Hate_HandIe Год назад +9

      ​@@GAM5T천조국 + 베르너 폰 브라운

    • @Antimatter-jt8dn
      @Antimatter-jt8dn Год назад +19

      엥... 아폴로 11호가 11호인 이유는 그앞에 작전이 더 있었기 때문... 심지어 아폴로 1호는 세명이 전원 사망 했습니다. 한번에 하는건 말도안되는거고요. 실제로는 아폴로 8호부터 달 궤도까지 오는데 성공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f6tw4f6f3rcy7
      @f6tw4f6f3rcy7 Год назад

      성공한건 아폴로 11호

    • @Eich_koru
      @Eich_koru Год назад +8

      ​실제발사는 4호부터입니다.
      1호는 지상테스트중 화재로 전원 사망이구요... 아폴로는 2호와 3호는 없습니다...

  • @sogh9
    @sogh9 Год назад +267

    이 겜이 익숙해진 입장에서 여러번의 스윙바이로 날려보내는 실제 우주선의 궤도를 보면 저걸 어떻게 계산한 건지 진짜 감탄사 밖에 안 나오더군요. 게다가 이 겜은 가장 영향이 큰 천체 단 하나의 중력만 적용받아서 훨씬 쉬운 건데 현실은 온갖 행성들의 영향이 다 조금씩 있으니

    • @hj-ku1bd
      @hj-ku1bd Год назад +22

      실제 그런 궤도결정엔 온갖 박사급 연구원들이 달라붙어서 만들죠

    • @BooomJooon0109
      @BooomJooon0109 Год назад +10

      근데 계산의 난이도만으로 따지면 대기상보다는 우주가 더 편하긴 해요.
      실제로는 유체쪽 계산이 변수가 많고 더 빡세서... 물론 우주쪽은 고려해야 하는 variable 수 자체가 엄청 많긴 하죠...

    • @davedave8540
      @davedave8540 Год назад

      뭘 어케 계산해 여럿 데리고 계산시키면 되지

    • @LEEkyouho
      @LEEkyouho Год назад +2

      계산식 자체는 단순해요. 변수(중력원)의 수가 많고 가용에너지가 한정적이라 옵션이 적다보니 선택과 포기가 어려운 것뿐. 그리고 계산자체는 컴퓨터가 해줍니다... 아폴로 계획때는 컴퓨터가 사람이었던게 차이라면 차이..😂

    • @imanalfarizi6214
      @imanalfarizi6214 22 дня назад

      If you want to play with n-body gravity simulation, you can download Principia mod.

  • @ivivi740
    @ivivi740 Год назад +9

    처음에는 그냥 무작정 크게 만들면 장땡 아닌가부터 시작해서 겜을 해나갈수록 페이로드 1톤을 더 올리기 위해선 엄청난 스펙차이의 로켓이 필요하다는걸 알게됨
    목적지까지 직선으로 때려박으면 되는게 아닌 전이궤도를 통해 가야 연료를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는 것도 알게되고
    그런점에서 KSP는 보는사람마다 한번쯤은 추천하지만... 이젠 겜이 오래되기도 했고 진입장벽도 높아서 효과는 별로...
    현재 KSP2가 나온상태지만 아직은 좀 더 묵혀둬야될걸로 보임

  • @siberiangasky
    @siberiangasky Год назад +59

    저런 류의 게임들이 다 그렇지만......커벌 슾 역시 결국 최종컨텐츠는 기괴한거 만들어서 날려보내게 됩니다 ㅋㅋㅋㅋ어느 게임이던간에 고인물의 한계는 없습니다.

  • @edwardseo7468
    @edwardseo7468 Год назад +119

    KSP는 궤도역학과 로켓공학의 기본을 감으로 익히게 해줘서 이런 학문에 입문하기에 정말 좋은 것 같아요
    현실은 중력장의 개념이 있어서 사실은 달에서 멀어지더라도 중력이 계속해서 작용하고, 태양과 다른 행성들의 중력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라그랑주 지점 같은 게 생기기도 하고, 대기권을 돌파해도 물질이 없진 않기 때문에 궤도가 조금씩 줄어드는 등 계산이 훨씬 복잡해집니다
    KSP는 그 정도 까지는 구현하지 않고 일정 거리 내로 들어서면 그 행성의 중력에만 영향을 받게하거나, 대기권을 지나면 항력을 0으로 만드는 등 현실성과 게임성 및 최적화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은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까지도 간간히 플레이하게 되는 것 같네요ㅎ 정말 갓겜입니다

    • @Gravitin
      @Gravitin Год назад +34

      물론 그 마저도 모더들은 현실과 동일하게 작동하게 픽스하는 모드를...

    • @SJ-ry6br
      @SJ-ry6br Год назад

      RSS/RO/RP-1/Principia 입문을 추천드립니다

  • @lordsoju
    @lordsoju Год назад +8

    1. 단지 게임일 뿐이고 무수한 몹이 쏟아지고 막강한 네임드가 쫓아오는것도 아니라 그냥 조종할 뿐인데 이렇게 보는것만으로도 사람 쫄리게 만드는 게임이라니
    2. 우주탐사 데이터가 쌓이기 전 단지 계산만으로 이 모든걸 가능케 했던 나사 과학자들, 그리고 그들을 믿고 아폴로 11호를 타고 돌발상황에도 침착하게 대처한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마이클 콜린스는 제다이 뉴타입 기타등등보다 위대하다.
    3. 달착륙 음모론은 개소리다
    4. 이정도면 44층 지하던전의 화려한 부활이로다

  • @장은수-q5o
    @장은수-q5o Год назад +34

    랑데뷰하는 거 보면 감탄밖에 안 나오네요 게임에서야 실수하면 되돌리면 되지만 현실에서 이걸 했다고....?? 진짜 과학자들 기술자들 너무 대단한 거 같습니다...

  • @신파도라
    @신파도라 Год назад +20

    KSP 1 리뷰 중
    '어찌됐건 나사도 첫 로켓은 터뜨려먹었겠지'

  • @ljs950210
    @ljs950210 Год назад +14

    KSP 하기 전 : 우주왕복선 쩐다..
    KSP 1000시간 : 우주왕복선 개 쩐다...

  • @1998hsh
    @1998hsh Год назад +8

    엌ㅋㅋ 우주쓰레기 하나로 달 음모론 잠재우면서 쓰레기문제 바로 실감하게 만드넼ㅋㅋㅋ

  • @10281.
    @10281. Год назад +3

    KSP 8년차 유저인데요 내공 쌓이다 보면 수직 이착륙 우주전함+모빌슈트+행성간 우주정거장+잠수함+탱크+워프게이트 정거장+SF스타일의 전투기+우주 엘리베이터+ 목성 공중거주구까지 모두 제작가능합니다 물론 반중력 반물질 염수 열핵엔진 오리온 핵추진까지 전부가능하죠

  • @wandering_user
    @wandering_user Год назад +7

    ksp는 전문적인, 학문적인 지식을 알면 좋지만, 몰라도 플레이가 불가능 하지는 않습니다. 목표와 만나는 궤도의 경우 게임내에서 목표와 가까워지는, 만나는 지점이 생기면 표시해 줍니다. 게다가 이 게임은 어디까지나 게임이기에 그냥 국밥 먹듯이 든든하게 화력빨로 밀어붙이면 억지로라도 올라가긴 합니다. 그러니 이 게임 많이들 해주십쇼! 튜토리얼도 있는 갓겜입니다요ㅠㅠ

  • @def_0123
    @def_0123 Год назад +52

    오 세상에 이런 전문성이 넘치는 게임플레이라니 ㅋㅋㅋㅋ

    • @golice
      @golice Год назад +6

      이런 디테일을 과연 달착륙 안하고 어떻게 얻었다는건지 음모론자들 참 웃김 ㅋㅋㅋ

  • @enoeht9629
    @enoeht9629 Год назад +16

    현재 최신 로켓은 스페이스X의 펠컨9이죠
    그 다음버전이 펠컨9을 3개 이어붙인듯한 펠컨 헤비인데 테스트로 자동차를 날려보내고 실제 상용발사는 겨우 4번 밖에 못한 극최신형입니다.
    그리고 불과 얼마전 테스트 발사 시도하다 연기된 스타십이 펠컨 헤비보다 거의 2배 가까이 크고, 아직 완성조차 안된 미래의 로켓인데도
    여기 나온 새턴5가 스타십보다 더 큽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니까 2023년 기술로도 아직 완성 못시킨 로켓보다 더 큰놈을 1960년대에 성공한 거죠 ㅋㅋㅋㅋㅋㅋㅋ
    그야말로 당시의 부족한 기술력을 국가 예산을 동원해 돈을 때려부어 해결해 버린 겁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달에 한번 갔다 올 때 마다 니미츠급 항공모함 2대씩이 '교통비'로 갈려나갔다고 합니다.
    그니까 달만 안 갔어도 니미츠급 항공모함을 열몇대 더 굴릴수 있었다는 거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팩-f5t
      @팩-f5t Год назад +3

      무언가가 안된다면 돈이 부족한게 아닐까의 마인드였네요😮

    • @아새
      @아새 Год назад +2

      새턴V 스타십보다 작습니다

    • @magical0205
      @magical0205 Год назад

      역시 이것이 자본의 힘인가 ㅎㄷㄷ

    • @GMNYU
      @GMNYU Год назад +2

      냉전시대임 감안하고 우주 탐사가 소련과 미국의 이념우월증명전양상을 띄었다는걸 생각하면 항공모함 열몇개 값으로 전세계가 불탈 전쟁을 막았다고 볼 수 있네요.

  • @kangyohea1182
    @kangyohea1182 Год назад +56

    KSP는 궤도역학을 이해하는데 좋은 도구지만, 현실과는 많이 다릅니다. 게임적 허용이 크죠. 물론 각종 우주게임(이브 온라인, 스타시티즌 같은)에 비하면 진짜 물리학이 적용된 게임이긴 합니다.
    다만, 현실에 비교한다면 엔지니어링에서 비현실적인 부분이 많습니다. 현실 로켓은 재점화 횟수가 한정되어있고, 연료 분사에는 모터가 필요하며, 연료가 쏠리는 현상, 관성 유지만 가능한 리액션휠이 사실상 자세변경에도 쓰이는 등 현실의 우주개발과는 조금 다르죠.
    그래도 KSP로 커빈(본행성)의 위성(뮌, 민무스로 2개)에 착륙을 해본 것과 안해본 것 사이에는 수 백 배의 이해 차이가 있을겁니다. 추천 드려요. 대신, 이 게임으로 궤도역학이나 우주비행 역학을 깨닫고 나면 다른 우주 게임들이 너무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 @Inarka
      @Inarka Год назад +5

      당장 중력 영향권 개념도 삼체문제 계산이 어려우니 어쩔수 없는 게임적 허용이죠

    • @이승진-e2z
      @이승진-e2z Год назад +1

      @이비 간단하게 라그랑주 점만 생각해봐도 2체 문제와 그 이상일 때 차이는 생각보다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 @DogBarkingAtMoon
      @DogBarkingAtMoon Год назад +1

      스팀에 사놓고 안하고있었는데 함 돌려봐야겠네

    • @put_your_d_away
      @put_your_d_away Год назад +2

      그럴땐 르스스를 씌우시면 됩니다!

    • @kangyohea1182
      @kangyohea1182 Год назад +3

      @@put_your_d_away 저야 즐기고 있지만 생초보가 RSS 깔고 하면 안그래도 SAS가 뭔지 RCS가 뭔지도 모르는데 게임 터져요 ㅋㅋ

  • @티바트여행자
    @티바트여행자 Год назад +12

    아---아아---
    지하던전 44층 재오픈했습니다.
    이제 웃으면서 봅시다!

  • @sabonkim
    @sabonkim Год назад +30

    KSP 플레이 하고 나면(혹은 궤도역학에 대해 안다면), 우주 SF 영화에서 행성으로 진입하는 비행선들이 '행성을 향해서' 추진하는 걸 볼 때마다 가벼운 울화통이 찾아오곤 하죠 ㅎㅎㅎ 비행체의 행성에 대한 공전 방향으로 추진하거나 역추진(Prograde or retrograde)해서 가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스크린에서는 얘가 행성을 피해가는 것 처럼 비춰지니까... 어쩔 수 없지만 언젠가 이정도 지식이 상식에 가까워 지면서 스크린에서도 실제의 궤도 천이를 자연스럽게 여기고 보게 됐으면 합니다.

    • @golice
      @golice Год назад +8

      정말 원시적인 기술력이네요 저희 행성의 우주선을 쓰시면 그런 문제가 해결됩니다 반중력 엔진에 의해 가속되므로 궤도역학 따위는 가소롭지요 엄청난 가속력으로 대기저항을 뚫어버리고 곧바로 대기권으로 진입한뒤 보호막을 풀면 다시 기체는 원상회복 됩니다 여기에 클래식한 원반 모양의 구조를 체택하여 승무원들의 안락함을 최대한 잃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단돈 2조 달러 단돈 2조 달러에 최첨단 비행접시를 얻을수 있는 단하나의 찬스! 절대 놓치지 마세요!

    • @jt-mx7wp
      @jt-mx7wp Год назад +18

      @@golice 우주비행사를 시켰는데 젤리가 왔어요. 별점 0.5점.

    • @계란말이장인
      @계란말이장인 Год назад +6

      ​@@golice 플랑크 질량은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 @LKLAAADPLIOI
      @LKLAAADPLIOI Год назад +2

      ​@@계란말이장인 다른 우주의 물리법칙을 여기에 적용해서 가능한 기술이었대요

  • @KHAN_1380
    @KHAN_1380 Год назад +3

    내가 원한것: 달 표면탐사용 왕복 우주선
    내가 처음 만든것: 대륙간 탄도 미사일
    내가 나중에 만든것: 달 표면탐사용 "편도" 우주선
    20번째 제베디아는 아직 그곳에 있다...(복귀 연료가 없음)

  • @Stillmalfunction
    @Stillmalfunction Год назад +3

    나사 로켓 공학자이자, KSP 플레이어인 분이 이야기한 자신의 로켓공학지식 변천사
    초,중,고 교육 과정 : ↑
    로켓공학 전공과정 : ↑↑↑
    NASA 근무 중의 경험: ↑↑↑↑↑
    KSP를 플레이한 이후 : ↑↑↑↑↑↑↑↑↑↑↑↑↑↑↑↑↑↑↑↑↑↑↑↑↑↑↑↑↑↑↑↑↑↑↑↑↑↑↑↑

  • @Aircooled911
    @Aircooled911 Год назад +51

    궤도역학을 알아야하는 KSP를 궤도좌에게 시켜보는 컨텐츠 있으면 좋겠다 ㅋㅋ

  • @榊原曄
    @榊原曄 Год назад +416

    ksp 붐은.. 온다...

    • @TAKAMINE73
      @TAKAMINE73 Год назад +19

      Easy boom.....

    • @일마-h7h
      @일마-h7h Год назад +9

      너무어려운데

    • @두부장사
      @두부장사 Год назад +4

      점프샷 되나요?

    • @DogBarkingAtMoon
      @DogBarkingAtMoon Год назад +1

      보인다… 보여!!!

    • @TV-hw4xm
      @TV-hw4xm Год назад +6

      근데 ksp 옛날에 많이 하던 때 있지 않나요 그 이상으로 뉴비가 더 생기진 않을 것 같은,..ㅋㅋㅋ

  • @yoyo-vf1by
    @yoyo-vf1b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데 궁금한 게 있는데 아폴로계획 당시의 기술하고 현재 추진 중인 아르테미스계획의 기술은 서로 그 차이가 정확히 구체적으로 무엇이죠?
    최근 아르테미스 3호의 발사를 연기하기도 해서요.

  • @peterchoi4660
    @peterchoi4660 Год назад +5

    02:31 사실상 게임의 핵심 ㅋㅋㅋㅋㅋㅋㅋ 수많은 비행사들이 터지고 죽었기에 ㅋㅋㅋ

  • @losi1086
    @losi1086 Год назад +6

    10년 전에 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에서 조교로 학부생들에게 저 게임을 시켰습죠ㅋㅋㅋ 다시 봐도 참 대단한 게임이네요

  • @LCY0514
    @LCY0514 Год назад +3

    13:06 이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t-mx7wp
      @jt-mx7wp Год назад +1

      그 조금 기다리는걸 못 참아서 시간 가속 풀 타이밍 놓치는게 ㄹㅇ 공감되네 ㅋㅋㅋㅋㅋ

    • @kwj_nekko_6320
      @kwj_nekko_6320 Год назад

      "어?" 가 너무 리얼함 ㅋㅋㅋㅋㅋ

  • @김광석씨를기리며
    @김광석씨를기리며 Год назад +1

    뭔가 나긋나긋하니 잠이 잘오는 영상이네요

  • @PUG-222
    @PUG-222 Год назад +1

    재밌습니다 ㅎㅎ.
    합리적인 남은추진력과 소요시간과의 적절한 균형을 발사전 단계에서 확정짓고 구현한다는건 시간과 노력이 몇제곱은 더 들어가는 것 같아요.
    신중함속에 확신을 논리로 풀어가며 다같이 좀더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아가며, 실패무더기속 성공을 하나 찾았는데도 희생자가 한명없는 결과는 정말 재밌습니다.

  • @user-do9xf1pq5t
    @user-do9xf1pq5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중간에 사령선에 꼬라박는거 진짜 개웃기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최강시티
    @최강시티 Год назад +1

    어릴적 꿈 생각하면서 행복하게 잘 봤습니다..😊 설레네요

  • @user-of9fy2zo2n
    @user-of9fy2zo2n Год назад +2

    목소리 브금 키보드소리 삼위일체다 진짜 마음이 안정되고 자고 싶다......

  • @illumina2883
    @illumina2883 Год назад +9

    참 새삼 놀랍네요 게임으로만 봐도 지구에서 달까지 다녀온다는게 얼마나 멀고 긴 여정인지 느껴지는데 저 과정을 모두 거쳐 달에 발자국을 찍고 돌아온 사람들이 있다는게

  • @mhgim3092
    @mhgim3092 Год назад +10

    아폴로 달착륙은 거짓이다 다큐도 보고 이거저거 보고 그랬는데, 덕후님의 해석을 들으면서 진행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모습을 보니까 와 당시 달착륙했을 인류의 도약이 다시금 대단해보인다

  • @hyunkyu1234
    @hyunkyu1234 Год назад +2

    13:05 어...

  • @noobman-mk.1
    @noobman-mk.1 Год назад +10

    게임 플레이를 보면서 신비롭고 새롭다라는 느낌이 드는건 처음입니다 ㅋㅋㅋㅋ

    • @put_your_d_away
      @put_your_d_away Год назад

      새롭긴 한데 나온지 10년 가까이 됨 ㅋㅋ

  • @범고래-h7f
    @범고래-h7f Год назад +3

    경이롭다.. 달로 떠난 3인은 얼마나 무섭고 동시에 또 벅찼을까

  • @Eich_koru
    @Eich_koru Год назад +4

    엘랑의 우주정복 ㄷㄷ 엘랑머스크는 오늘도 일합니다.

  • @wind4u609
    @wind4u609 Год назад +1

    미래에 SF에서 등장할듯한 우주선이 개발되면
    적어도 중력권 탈출 정도는 그냥 대충 날라가도 가능한 시대가 오려나요?

  • @worldmad2145
    @worldmad2145 Год назад +1

    13:06 휴스턴, 문제가 생겼다.

  • @freak2god
    @freak2god Год назад +4

    내가 본 가장 완벽한 KSP 설명 플레이.

  • @user-vw2tb9xq5o
    @user-vw2tb9xq5o Год назад +3

    게임야화도 재밌었는데 현실로그아웃도 재밌네영

  • @yjg0522
    @yjg0522 Год назад +11

    잘려고 봤는데....와. 이게 지식이구나

  • @melonaaah
    @melonaaah Год назад +2

    일반 게임이라고 생각하고 몇시간 해보고 껐었는데 이렇게 깔끔하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쉽네요 와우!

  • @Warkytocky
    @Warkytocky Год назад +1

    확실히 영역이존재하는구나. 난 3분도 못하고 끌것같은데 몹시 재밌게 하시는것 같아요

  • @dayday746
    @dayday746 Год назад +1

    굉장하다 큰 관심 없었는데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네요

  • @LE_SSERAFIM
    @LE_SSERAFIM Год назад +7

    Kerbal Space Program
    스팀 라이브러리에는 있지만 한번도 제대로 플레이 안해봤는데 이런 심오하고 현실적인 시물레이션 게임이었다니;;;
    정말 대단하네요.

  • @비나-w8i
    @비나-w8i Год назад +2

    막연하게 우주가 위험하다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이거 보니까 진짜 매순간이 중요하구나 싶더라

  • @lightyearela1823
    @lightyearela1823 Год назад

    말씀하시는게 편안해서 재밌어요 ㅎㅎ

  • @playboikimchi
    @playboikimchi Год назад +2

    진짜 경이롭다…. 말도 안된다.. 이걸 어캐 했지 70년전에….?

  • @gigantul
    @gigantul Год назад

    달착륙선과 사령선 분리할때 사령선 궤도를 꼭 원형으로 해야 하나요? 타원형으로 놓으면 감속 에너지를 더 적게 쓸거같은데

  • @회전하는혼돈
    @회전하는혼돈 Год назад +6

    도킹미스로 가차없이 착륙선 보내버리기 ㄷㄷㄷ
    (도르마무)
    아무 일도..없었다!

  • @정종원-u3g
    @정종원-u3g Год назад +4

    와 우주선은 그냥 앞으로가고있는데 중력때문에 공간이 휘어서 저런 궤도를 돌고있다는게 참 신기합니다.

  • @neykol2
    @neykol2 Год назад

    13:03 "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왕주-l3l
    @이왕주-l3l Год назад

    오오... 하다가 랑데뷰때 시밤쾅 하는거보고 물 뿜었네요

  • @aquarius8676
    @aquarius8676 Год назад +4

    우주덕의 우주덕에 의한 우주덕을 위한 게임...

  • @스트버티
    @스트버티 Год назад +4

    자기전 아주 좋은 보약

  • @kyw159357
    @kyw159357 Год назад +7

    이걸 성공하는걸 처음 본거같습니다 ㅋㅋㅋㅋ

  • @ssoryaz
    @ssoryaz Год назад +2

    처음으로 랑데뷰해서 도킹 성공의 쾌감...오랫만에 다시해봐야 겠네요

  • @결-t5b
    @결-t5b Год назад +1

    13:05 ㅋㅋㅋㄱㄱㅋㄱㅋㅋㅋ

  • @keepspeed
    @keepspeed Год назад +2

    시뮬레이터로 외주 받았다가 완성후 납품후 게임으로 재탄생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투기 조정이 큰 사례이다.

  • @bramcohen545
    @bramcohen545 Год назад +3

    하긴 달이 지구 중력의 영향을 받으니 ㅎㅎ 달 중력권만 벗어나면 바로 지구 중력권 ㅎㅎㅎ 와~~~~ 출근길에 이걸 다 보고 있네 ㅎㅎㅎ

  • @user-wandererRed
    @user-wandererRed Год назад

    13:01 잘 보다가 '100m 앞까지 왔습니다' 에서 '여기서 100m면 엄청 가까운 거리 아ㄴ...' 까지 생각하자마자 시밤쾅☆

  • @이정현-i8x9k
    @이정현-i8x9k Год назад

    6:22 우주미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정원석-k2r
    @정원석-k2r Год назад

    와 정말 편하게 잘 봤습니다... 목소리도 너무 좋으시고...
    우주랑 너무 잘 어울리는 느낌이네요.

  • @SHchu-yc5qj
    @SHchu-yc5qj 3 месяца назад

    우주선이 달에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이 굉장히 감동적이고 아름답기 느껴집니다. 아마 많은 위험을 뚫어 냈기 때문이겠지요.

  • @감자바위-f9s
    @감자바위-f9s Год назад

    아앗 이분이 엘랑.. 탑건 다크스타 시험비행 재밋게 봣어요!!

  • @박진수-d5u1b
    @박진수-d5u1b Год назад +3

    아주 오랫동안 플심 하다가 몇년전 부터 커벌하는데 처음접했을때 부터 너무 어려워서 접을까 하다 지금까지 하고 있음 ㅋㅋ 뭐 플심도 그랬으니까 .,.,.,..,.

  • @hansamkang1028
    @hansamkang1028 Год назад

    와 먼데 이렇게 집중하고 보게 되지. 잼있었습니다.

  • @lawlietl2504
    @lawlietl2504 Год назад +2

    이거 시계 유튜버랑 콜라보해서
    문워치 타키미터로 계산 하는거 올리면 재밌겠네요
    사령선 도킹문제로 실제로도 썼던 역사가 있으니

    • @ognplus
      @ognplus  Год назад +1

      너무 좋은데요? ( 오메가 PPL 환영합니다)

    • @lawlietl2504
      @lawlietl2504 Год назад

      @@ognplus 역시 배우신분….

  • @Boksoon_
    @Boksoon_ Год назад +1

    잠이 안와서 배회 중이었는데 오늘 제 잠자리는 여기군요.,잠이 솔소ㄹ,..

  • @갱생-f9u
    @갱생-f9u Год назад

    도킹할때 거꾸로 돌아서 하시던데 이때 착륙선이나 앞부분이나 속도누 초속 얼마씩 가고 있지 않나요? 그냥 저런분사로 도킹이되나...

    • @kgh158
      @kgh158 Год назад +1

      착륙선이 아무리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고 해도 사령선또한 같은 속도로 이동해 상대속도가 0.1m/s 수준이기 때문에 아무 문제 없습니다. 우주공간이 지구 대기권처럼 대류가 있는 것도 아니구요

  • @참기름도둑
    @참기름도둑 Год назад +2

    DCS 로 매버릭을 재현해주는 엄청난 분을 섭외하여 컨텐츠로 제작해도 인기 많을것같아요

  • @박민수-f7u9y
    @박민수-f7u9y Год назад +1

    와 나는 저 게임 그냥 터트리고 날려버리는 것만 했는데.... 제대로 즐기시네

  • @tongdoo112
    @tongdoo112 Год назад

    교수님이라 그런가 힐링되네요

  • @estimate921
    @estimate921 Год назад +1

    전문적인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잘 봤어요.

  • @Rain_grass
    @Rain_grass Год назад +2

    선생님 : 계산은 쉬워. 머릿속에 구현은 되는데 // 나 : 일단 큰 연료랑 큰 엔진을 달자! 그리고 쏘자!

    • @스기야지금이맻시고
      @스기야지금이맻시고 Год назад +1

      교수님: 자 이제 모의로켓을 쏘기전에 먼저 설정한 궤도를 점검하고..
      나: 핫하 발싸! 히히

  • @p-ppa
    @p-ppa Год назад

    옹 나도 모르게 집중해서 보게 된다 되게 멋있당

  • @REDSTONE_71789
    @REDSTONE_71789 Год назад

    키보드 소리가 좋아서 그러는데 무슨 키보드인가요?

  • @nodadaga4264
    @nodadaga4264 Год назад +1

    중력의 힘을 줄여주는 입자가 생긴다면 우주여행이 휠씬 보편화되겠네요.

  • @김시르
    @김시르 Год назад

    흥미롭다…. 넋놓고 봄

  • @lakjo9558
    @lakjo955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실제 역사를 시뮬레이션 하는것도 재밌네요 ㅋㅋ

  • @melonaaah
    @melonaaah Год назад +4

    궤도형이 하는 것도 보고 싶다..

  • @irastsina
    @irastsina Год назад +2

    궤도역학 모르지만 몸으로 익혀서 여행했습니다 궤도역학을 몸으로 배울때면 제가 우주선이 아니라 타임머신을 탄 것을 깨달았읍니다

  • @asukasio
    @asukasio Год назад

    인트로만 봤는데 엄청 기대되넼ㅋㅋ

  • @쿠크다스존맛탱
    @쿠크다스존맛탱 Год назад +1

    샤코 풀캠프 도는 방법 보면 몇분 몇초에 박스 깔라고 하는데...
    이건 차원이 다르네 ㅋㅋ

  • @엘마-n7f
    @엘마-n7f Год назад

    2D 폰게임으로 비슷한 Spaceflight Simulator 앱이 있습니다. 2D라서 훨씬 쉽고 재밌으니 관심 있는분들은 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것같네요

  • @prop111
    @prop111 Год назад

    귀한영상이네요...감사합니다

  • @jb4600049a
    @jb4600049a Год назад

    착륙선 사령선 연결부분은 어디로 열리나요. 뾰족한데?

  • @sjy7382
    @sjy7382 Год назад +1

    만들다가 결국 대륙간... 에서 행성간 탄도미사일을 만들게 되는 게임...

  • @Kn3xa
    @Kn3xa Год назад +2

    1시간 동안 시동키는거 시도하다가 어찌어찌해서 켰는데 연료 터짐 그래서 삭제함
    유튜브 봤는데 고인물 변태들이 1분안에 시동키고 날라가는거 보고 걍 맘 접음

  • @P2ngu1n_
    @P2ngu1n_ Год назад

    저거 진짜 재미있죠... 사소한 중량 1kg 하나가 모든것을 결정하는 그리고 BGM도 좋은

  • @BLUESTEEL-o4z
    @BLUESTEEL-o4z Год назад

    13:05 '문제가생겼다 휴스턴'

  • @quuu213
    @quuu213 Год назад

    KSP1 오랜만에 보네욤ㅋㅋㅋㅋ
    옛날에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해서 공부 엄청하면서 했었는데
    처음 시작하면 상하좌우 없는 360' 비행조차 너무 어렵게 느껴졌었는데 하다보면 되긴 하더라구요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