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오일에 연료가 조금이라도 증가하면 오일 유막이 파괴되어 실린더 스크레치 크랭크축과 저어널이 마모되어 소음증가되고 이것이 계속되면 엔진파손으로 연결 됩니다. 오일량 점검은 항상 동일조건에서 해야 하며 시동끈후 오일이 오일팬으로 완전히 내려온후 해야 하며 시동을 건후 곧바로 시동끈후 하면 엔진각부로 오일이 이동되어 오일 증가량을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위에 지금올린 내용들로 보면 오일증가를 확인하기 어렵게 시동을 건후 시동끄고 측정하멘 당연히 오일증가량을 측정하기 어렵고 오일이 각부위 실린더헤드 등에 공급된 것이 오일 팬으로 내려 오기 전이기 때문에 오일량이 적게 게이지에 찍힙니다. 엔진에 대해 지식이 없는 실수요자를 현혹하기 좋은 내용입니다.
직분사 엔진이라 실린더로 연료가 직분사 되는데 하이브리드 특성상 짧은 시내주행이 많은 경우 엔진의 온도가 매우 낮게 되고 온도가 낮으면 타지 않고 남은 연료가 실린더로 유입이 되고 유입 된 연료는 고속 주행하면 날라갈 수 있는데 주행 조건이 극히 짧은 오너들은 그런 기회가 없어서 지속적으로 연료가 유입이 되서 오일이 증가 되는거죠. 기존 직분사 엔진은 같은 조건리라도 그래도 엔진이 계속 작동되지만 하이브리드는 엔진이 꺼지기 때문에 연료유입이 더 잘되는것이고요. 혼다 직분사 터보 하이브리드도 동일 문제가 있는데 해결이 안됩니다.
21년 10월 28일출고후 지하주차장 2층에 항상주차(한겨울에도 영상 5도정도) 시동시엔 집에서 휴대폰어플로 약 2분간 먼저 시동을 걸어놓은후 엘레베이터 타고 출근합니다. 현재 약 6천키로정도 운행후 오일점검결과 시동끄고 직후 오일게이지 E와F사이 중간에 위치합니다. 시동끈후 15분뒤 찍어보면 F에서 두칸정도 아래로 찍히는것을 봐서 저는 정상인듯합니다. 일단 하이브리드특성상 예열없이 엔진이 작동되는 환경이 문제인듯한데 이는 제조사 말대로 ECU업데이트로 가능한문제라 생각됩니다. 보통 겨울철 야외에 주차하시거나, 냉간시 급출발을 많이 하시는분들에게 일어나는 문제같습니다. 물론 이런부분까지 제조사가 미리 파악하여 제어를 했으면 좋았겠지만, 사용자도 불편하겠지만 예열을 습관화 하는것도 좋은방법같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사실 명확하게 엔진오일 증가를 예견한건 아닙니다. 그저 현기 신형엔진은 항상 문제가 많은데 1.6터보를 이정도 차급에 올린다면 문제가 전혀없는 것일까? 하는 걱정이였습니다. 저는 그간의 쏘렌토에 대한 상품성과 디자인, 그리고 하이브리드라는 점을 매력으로 생각해서 구매했는데 이런 문제가 생긴 것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조속히 원인이 밝혀져 소비자들의 불안을 해결해줬으면 합니다.
@@reviver_car 원인은 있다고 해도 또 발견 한다고 해도 못고칠것 같아요 그냥 쉬쉬 하다가 넘길것 같아요 작년 10월에 쏘하 주문 했지만... 혼다 하브로 가야할것 같아요 이제는 일본차 탄다고 욕.하는.사람이.없기를... 잘못하면 한 가정의 존망이 달린.문제라...
차알못 질문드립니다.한가지 궁금한데요. 쏘렌토하브 출시 된지가 2년정도? 되었는데 최근 갑자기 오일증가 이슈가 터졌는데 그럼 그 동안은 오일증가없이 엔진이 괜찮았다는 말일까요? 갑자기 이렇게 오일증가 이슈가 몰려서 나오는게 일정기간은 오일증가 없이 엔진이 정상작동 한거인지 아니면 사용자들이 모르고 있다가 우연히 발견 한거인지 궁금합니다.
저도 갑자기 이렇게 문제가 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만... 엔진오일을 계속 확인해오시던 분들이 문제될만한 점을 최근에 찾아내신게 아닐까 합니다. 쏘렌토에 가장 먼저 확인이 된 이유도 이번 엔진이 가장 먼저 적용된 차종이기 때문이라고 보여지며, 이는 내구성 문제라고 추정됩니다.
뭐든 경쟁사보다 높은 수치여야 한다는 강박, 그것을 미끼로 무장한 상품성, 또 그걸 그대로 믿고 사주고 부추기는 국민성... 이 3박자가 현기라는 회사의 체질을 만들어왔다고 생각되네요. 오일 증가 가능성으로 인한 엔진의 완성도 저하보다 경쟁사보다 떨어지는 연비와 출력을 더욱 용서할 수 없는게 현기의 내부의사결정 방식일 겁니다. 결국 부족한 기술력으로 어떻게든 상품성 포장은 하려다보니 자꾸만 이런 무리수를 두는 것이죠.
영상 잘 만드셨네요. 저도 쏘렌토 하브 차주입니다.현재 약1만킬로 탔습니다. 어제 40킬로 정도 운행하고 엔진오일 체크 해 봤더니 오일증가는 없더라구요. 이게 몇몇 차주들만 증가 현상이 나타날수 있을거라 추측들구요. 운행자의 운전습관 그런것도 연관있을거라 생각듭니다. 일단 자극적인 유투버 인** 같은 내용은 쓸데없는 말만 포장되어 있고 신뢰가 가질 않습니다. 일단 믿고 기다려 기아측 입장을 지켜 봐야겠습니다.
저는 2월에 쏘가솔린 4륜으로 계악했는데.. 2020년부터 오일감소와 DCT미션 이슈가 있었죠.. 아직 8개월을 기다려야하니 개선되서 나오길 바랄뿐입니다.. 기름값은 전쟁이라는 특수상황으로 일시적인 현상이니 전쟁만 끝나면 어느정도 떨어질걸로 생각되고요.. 반도체 부족도 전쟁만 끝나면 그리 오래가지는 않을듯 하네요.. 러, 우크 두나라가 반도체 제작의 원료를 수출하고 있는데 저러고들 있으니.. 언론에선 전쟁이 장기화 될거라고 하지만 뭐 몇주안에 종전이나 휴전을 하겠죠..
@@khu6207 소재공학도 부족하고 기초 설계를 미쯔비시에서 사온것이라 현대가 만들고 있는 엔진이지만 엔진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엔진관련 이슈가 나오면 즉각적인 대처가 되지 않고 수개월~1년정도 연구해야 해결책이 나옵니다. 처음부터 독자적으로 만들었다면 엔진 문제를 충분히 예상 가능하기도 하고 그에 대한 대처도 빠르죠. 일본 독일 미국 프랑스 제조사들이 결함에 대한 대응이 빠른 이유입니다.
좋은 엔진을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 소재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소재공학의 현 주소는 상당히 처참합니다. 일본엔진이 튼튼한 가장 큰 이유가 기초 소재 수준이 세계 제일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국 나사에도 대부분 일본 거를 수입해 쓸 정도입니다. 같은 엔진을 만들어도 현대에서 만든 엔진과 미쯔비시에서 만든 엔진은 수명이 다릅니다. 그 소재의 질을 일본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단가가 말도 안되게 높아지기 때문에 (이는 차량 가격과도 직결됨) 어쩔수 없는 부분인듯 합니다. 현대도 분명 엔진 저렇게 만들고 싶진 않을겁니다. 그런데 기초 산업이 안되니 이게 한계인거 같습니다. 그리고 전기차 시대로 넘어간다 해도 현대는 배터리 개발도 하지 않을 뿐더러 전기차 플랫폼은 내연기관에 비해 굉장히 단순하므로 진입장벽이 낮습니다. 그렇다면 더 좋은 소재와 배터리를 가진 회사가 전기차 시장에서 살아남을텐데 전기차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엔진오일증가 공통된점은 겨울철에 이 문제가 두드러진다는것과 가솔린 엔진이 수시로 꺼져있는 즉 열을 충분히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힘든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이 문제가 나온다는것인데..엔진이 지속적으로 뜨겁게 유지되지 못하고 수시로 꺼져서 ,특히나 겨울철 차가운 기온에 바로 냉각 하이브리드 엔진의 실린더 등등의 열팽창 후 급격한 냉각에 의한 수축에 어디선가 간극이 벌어져 휴발유가 엔진오일 속으로 유입되지 않나 추측해본다.즉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차가운 겨울철에 수시로 꺼져 냉각되더라도 팽창 수축이 거의 없이 유지되는 엔진 금속재료를 써야되는데, 단가 절감때문에 그 강도를 충족하지 못하지 않나싶다..물론 단가 절감이 나쁜것만이 아니다.단가를 절감하면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서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기때문이다..현대 기아차는 열팽창과 급격한 냉각시 팽창 수축 비율을 재연구해야 하지 않을까..
저의 뇌피셜입니다.. 엔진오일 증가의 원인이 연료가 유입되는건데.. 이렇게되면 오일의 점도가 떨어져서.. 냉각기능, 방청기능, 감마기능 등 엔진오일 본연의 기능이 떨어지고 엔진 마모를 앞당기게 됩니다.. 연소실의 연료가 밸브를 타고 실린더 쪽으로 유입되어 오일팬으로 들어가서 오일이 증가하고.. 반대로 연소실 연료가 부족해지니 출력은 떨어질게 뻔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가 안맞으니 조기점화나 지연점화등 울컥거리는 현상이 발생될수도 있겠죠.. 또한 연료가 오일과 섞여서 과열로 불이 날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엔진오일을 빼주는것이 해결책이 아닙니다.. 연료의 엔진유입 원인을 찾는것이 우선인데 그걸 기아에서 안하는게(못하는지도) 문제죠..
많이섞이서 점도가 묽어져서 연소실로 타고 들어가면 급발진 하겠어요 싼타페급발진이 그랬는데 ㅠ테스트도 안하고 차를파나? 목슴걸고 타야겠네요 ㅠ리콜은꿈도 꾸지 마세요 국내는 리콜안함 무상수리지 ㅎ문제는 문제가 있는 엔진을 그대로 팔아처먹는거지 해결을 해서 팔아먹어야지 국내차 사지 마세요 돈에비해 너무 허접함 회사자체가 도덕성을 완전 상실함
이미 4년전 혼다가 동일증상결함을 겪고 미국일부지역,중국에서만 ecu업데이트 했습니다. 4년 지난후 혼다crv 엔진내구성과 안전성문제가 미국내에서 크게 나오지 않은 것 같은데 그냥 gdi엔진 특징으로 보는 것이 맞을까요 여전히 혼다crv 미국내베스트카더군요.소수유저는 혼다crv 오일증가문제로 처분하고 ..
겨울되면 엔진이 더 차가워지기 때문에 이 문제는 해를 넘기면 넘길수록 더 심각해질겁니다
그면 승용차 하이브리드는 이상 없나요?2.0엔진 이상인가 보통?
엔진오일에 연료가 조금이라도
증가하면 오일 유막이 파괴되어 실린더 스크레치 크랭크축과 저어널이 마모되어 소음증가되고 이것이 계속되면 엔진파손으로 연결 됩니다.
오일량 점검은 항상 동일조건에서 해야 하며
시동끈후 오일이 오일팬으로 완전히 내려온후 해야 하며
시동을 건후 곧바로 시동끈후 하면 엔진각부로 오일이 이동되어 오일 증가량을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위에 지금올린 내용들로 보면
오일증가를 확인하기 어렵게 시동을 건후 시동끄고 측정하멘 당연히 오일증가량을
측정하기 어렵고 오일이 각부위 실린더헤드 등에 공급된 것이 오일 팬으로
내려 오기 전이기 때문에
오일량이 적게 게이지에 찍힙니다.
엔진에 대해 지식이 없는 실수요자를 현혹하기 좋은 내용입니다.
국토브른 여전히 대기업편
냉각수나 다른게 유입이 아니라 휘발류 유입이 맞습니다.
조금만 좋다고 소문나면 무조건 찬양하고..
조금만 나쁘다면 무조건 까고보는 대책없는 유튜버들..
확실히 그들보다 더 냉철하고 중립적으로 판단하는 리바이어님이 최고네요..
수없이 많이 본 쏘렌토 리뷰들..
그 중에서 최고입니다..
칭찬 댓글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ㅠㅠ
중립적이고 냉철한분석 잘 봤습니다.
저는 적게는 하루 100km 길게는 100-150km 고속도로 운행중인데 오일증가 하네요.
비싸게 하이브리드 산 사람들 개짜증나겠다
뭐든 엔진에 대한 문제가 있고 리콜을 해야 하지만 그 문제점을 확실히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싼타페 하이브리드 운영 중인 차주 입니다. 저 같은 경우 출퇴근 왕복 70km이며 주로 자동차 전용도로 운행 하였으나...당첨 입니다. 꼭 시내주행 위주나 고속화 도로 제한이 없는거 같네요
엔진오일 증가가 1.6터보 하이브리드에서만 그런건가요? 다른 자연흡기 하이브리드는 엔진오일 증가가 없나요?
터보만요
엔진오일이 증가하든 감소하든 차 구매대기자가 줄서있는 상황에서 현대기아가 개선할지도 의문이네요...구매대기자는 취소자가 많아져야 본인출고기간이 짧아지니 좋아할데고요...현시점에서는 타던차 타다가 전기차로 넘어가는것이 가장현명한방법이죠...아니면 신차가 필요하다면 시시가 높지않고 터보모델이 아닌 아반떼나 베뉴로 가는것이 나을듯하네요...정 하이브리드로 가야된다면 코나나 니로로 가야되지만 이또한 변속기가 dct라서 잘 생각해봐야되듯...
변속기 dct 문제있나요
저는 니로 하브 계약진행중인데요
니로 하브엔진은 괜찮은거죠?
@@Dooly-ABBA dct는 미션 내구성이 안좋아서 3-4번 내린분도 있습니다. 이건 설계자체 문제라 개선도 어렵습니다
@@Dooly-ABBA 니로 까페도 오일증가로 지금 난리 시작입니다. 저도 1세대 니로 구매자인데 증가 오늘 확인했구요, 2세대 니로 계약자인데 취소 심각하게 고민중입니다..
@@chosunny2896 6개월 대기라는데요
문제가 심각할시 출고전에 취소하기로 했는데요
딱히 다른차 할게 없어서요
신차장기렌트인데 수입차라도 있으면
수입차 하고싶네요
Dct미션은 10만넘으면 바라시 들어가야 합니다~그게 돈많이 들어가는 단점이죠!
탈출은 지능 순...... 중고가가 높으니 팔고 런!!!
모카 김한용이 쏘렌토 사서 금방 팔던데
미리 알고 튄 걸까요......???
직분사 엔진이라 실린더로 연료가 직분사 되는데 하이브리드 특성상 짧은 시내주행이 많은 경우 엔진의 온도가 매우 낮게 되고 온도가 낮으면 타지 않고 남은 연료가 실린더로 유입이 되고 유입 된 연료는 고속 주행하면 날라갈 수 있는데 주행 조건이 극히 짧은 오너들은 그런 기회가 없어서 지속적으로 연료가 유입이 되서 오일이 증가 되는거죠. 기존 직분사 엔진은 같은 조건리라도 그래도 엔진이 계속 작동되지만 하이브리드는 엔진이 꺼지기 때문에 연료유입이 더 잘되는것이고요. 혼다 직분사 터보 하이브리드도 동일 문제가 있는데 해결이 안됩니다.
전 매일 왕복 80km를 운행했지만 많이증가했어요
레일리님 80키로 매일운행시에도 증상나온대요
어떻게된거죠
ruclips.net/video/LfD-h53eIZI/видео.html 혼다 엔진도 비슷해요. 장거리 주행시는 문제 없는데 80km 단거리 주행 위주로 해서 증가되는 현상 있네요.
@@세나-b8s 80km가.. 단거리에요?
80km가 어떻게 단거리냐 단거리 의미는 아는건가?
동호회사람들이 엔진오일 측정하는 방법이 제각각입니다. 누군 운행전에 재고 누군 40분있다 재고 ..
투싼nx4 하이브리드도 난리입니다.
쥑이네요 오일증가라니
딱보니, 앞에 대기자가 많아서 이슈로 몰아내고서 빨리 받으려는거 아닌가 의구심도 드네요!
ㅋㅋ 그건아님...
21년 10월 28일출고후
지하주차장 2층에 항상주차(한겨울에도 영상 5도정도)
시동시엔 집에서 휴대폰어플로 약 2분간 먼저 시동을 걸어놓은후 엘레베이터 타고 출근합니다.
현재 약 6천키로정도 운행후
오일점검결과 시동끄고 직후 오일게이지 E와F사이 중간에 위치합니다.
시동끈후 15분뒤 찍어보면 F에서 두칸정도 아래로 찍히는것을 봐서 저는 정상인듯합니다.
일단 하이브리드특성상 예열없이 엔진이 작동되는 환경이 문제인듯한데 이는 제조사 말대로 ECU업데이트로 가능한문제라 생각됩니다. 보통 겨울철 야외에 주차하시거나, 냉간시 급출발을 많이 하시는분들에게 일어나는 문제같습니다.
물론 이런부분까지 제조사가 미리 파악하여 제어를 했으면 좋았겠지만, 사용자도 불편하겠지만 예열을 습관화 하는것도 좋은방법같습니다.
저도 거의 매번 기아커넥트로 시동을 걸어놓습니다. 그 덕분에 엔진오일 증가는 없었던 것 같구요.
하이브리드가 아닌 투싼 1.6 터보 가솔린 엔진도 같은 문제가 있는지요?
하이브리드와는 다릅니다
쏘렌토 뿐만 아닙니다.가족 차 니로 하이브리드 lci 1.6도 딥스틱이 max초과 상태이고 휘발유 냄새가 진동합니다.현기 1.6 하이브리드 전체가 문제임.
엔진오일 점검은 시동끄고 15분이상 기다린후 측정하는것이 메뉴엘상 나오는건데요..넣을때도 15뷰이상 걸리기에 풀 보다 아래로 넣습니다. 기아차 기사들도 그렇게 이야기하구요..
이러면서 토요타 하이브리드기술 거의 다 따라왔다는 억까들 어딨지..
억까 x 억빠 o
가격이 따라왔겠지요
제차도 쏘렌토 하이브리드 2021년 4월 출시 3가지문제 발생 오일즈가 휘발유냄새 연비감소 고민입니다
이분 영상이 전문성을 가지고 접근하니 가장 신뢰가 가고 무엇보다 1년전에 이미 사태를 예견 했에도 본인도 해당 차량의 소유주 라는점.. 추천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사실 명확하게 엔진오일 증가를 예견한건 아닙니다. 그저 현기 신형엔진은 항상 문제가 많은데 1.6터보를 이정도 차급에 올린다면 문제가 전혀없는 것일까? 하는 걱정이였습니다.
저는 그간의 쏘렌토에 대한 상품성과 디자인, 그리고 하이브리드라는 점을 매력으로 생각해서 구매했는데 이런 문제가 생긴 것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조속히 원인이 밝혀져 소비자들의 불안을 해결해줬으면 합니다.
@@reviver_car 원인은 있다고 해도 또 발견 한다고 해도 못고칠것 같아요 그냥 쉬쉬 하다가 넘길것 같아요
작년 10월에 쏘하 주문 했지만...
혼다 하브로 가야할것 같아요
이제는 일본차 탄다고 욕.하는.사람이.없기를...
잘못하면 한 가정의 존망이 달린.문제라...
@@박재민-r6d 혼다 하브 좋습니다. 도요타를 능가하는 기술력입니다. 단점도 있으니 비교해서 구입하시면 만족하실겁니다.
햐..이걸 소비자가 걱정하니 짱나네요.
어쩌구 저쩌구 말은 많이 하지만 엔진 오일에 연료가 들어가면 안되고 잘못 만든거죠
설계 결함입니다 손해 배상하고 리콜해야죠
쏘하 열선시트도 꽝입니다.
겨울에 욕이 절로나옵니다.
써비스 쎈터 왈 다음 겨울에 다시 건의 하라네요.
시트열선 관련 차량이 엄청 많은데 현기야
빨리 리콜 해주라.
열선이 불량인가요? 아니면 덜 뜨거운 건가요?
21년 11월 하이브리드 출고입니다 엔진오일 증가했습니다 ㅎㅎㅎ
와 최근에 출고한차인데??? 출시한지 1년이나 지났는데 문제생기는건 좀 심한듯...
@@boycott_Communist 올해 2월달 출고차량도 증가함
@@boycott_Communist 최근~출고시 차들 전부다 그래요 ㅎㅎ
저도21년11출고 냄새납니다
20년8월출고 문제없습니다
흉기는 국민을 개돼지로 보는듯...
이런 사실을 알고도 계약파기 안하는 사람들도 있다는거 ㅎㅎㅎㅎ
왜 ....1.6 하이브리드만 문제인가요 ?? 2.0 하이브리드도 문제가 되야 되는것 아닌가요??1.6하이브만 오일증가된다면...엔진 결함이 아닐까요 ??
이번에 문제된 1.6은 터보잖아요
저는 투싼 nx4 가솔린 운영중입니다
하브 모델이 아닌데도 엔진오일이 증가 하고 있습니다 물론 엔진오일에서 강한 휘발유 냄새가 나고 있고요 사업소 입고 예약후 기다리는 입장에서 무슨 답변을 받을지 벌써 걱정이 됩니다!!
결론 : 뭔 앰뱅을 떨어도 엔진오일은 늘면 안된다
현기차는 ECU 업데이트로만 해결하려고 할 것입니다.
자연흡기 2.5 엔진 오일 감소 문제 이후 최대의 이슈!
이따위로 엔진 만들면서 차를 팔아먹으려고 하니 참!
ecu업데이트로 개선이된다고한들 연비가 떨어지면 친환경차 범위에서 벗어날텐데 그래도 국토부는 나몰라하겠지
궁금하네요 ㅋ
냄새가 어느정도 나야 이상이 있다 말할 수 있나요? 확실히 주유소 냄새가 나는 느낌인데 기준점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아이에 안나나요 원래는?? 오일 교체한지 5천키로에 f는 넘어있고 냄새 조금 납니다
엄연히 오일과, 휘발유의 냄새는 완전 달라요! 휘발성 냄새가 난다하면, 엔진유입 맞다고 보시면 됩니다.
차알못 질문드립니다.한가지 궁금한데요. 쏘렌토하브 출시 된지가 2년정도? 되었는데 최근 갑자기 오일증가 이슈가 터졌는데 그럼 그 동안은 오일증가없이 엔진이 괜찮았다는 말일까요?
갑자기 이렇게 오일증가 이슈가 몰려서 나오는게 일정기간은 오일증가 없이 엔진이 정상작동 한거인지 아니면 사용자들이 모르고 있다가 우연히 발견 한거인지 궁금합니다.
저도 갑자기 이렇게 문제가 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만... 엔진오일을 계속 확인해오시던 분들이 문제될만한 점을 최근에 찾아내신게 아닐까 합니다. 쏘렌토에 가장 먼저 확인이 된 이유도 이번 엔진이 가장 먼저 적용된 차종이기 때문이라고 보여지며, 이는 내구성 문제라고 추정됩니다.
@@reviver_car 답변 감사드립니다!
뭐든 경쟁사보다 높은 수치여야 한다는 강박, 그것을 미끼로 무장한 상품성, 또 그걸 그대로 믿고 사주고 부추기는 국민성... 이 3박자가 현기라는 회사의 체질을 만들어왔다고 생각되네요.
오일 증가 가능성으로 인한 엔진의 완성도 저하보다 경쟁사보다 떨어지는 연비와 출력을 더욱 용서할 수 없는게 현기의 내부의사결정 방식일 겁니다.
결국 부족한 기술력으로 어떻게든 상품성 포장은 하려다보니 자꾸만 이런 무리수를 두는 것이죠.
이와중에도 기아놈들은 입을 쳐 닫고 있다 ㄷㄷ 영업사원은 전화하니 그건 일부차량 아입니까 라고.. 빌어먹을 쌍욕 할라다 참았네요 영업사원 땔치아라
왜 영맨 한테 그러심? 영맨이 개발했음?
본사나 오토큐에 문의 하삼ㅉㅉ
인싸케이,박병일명장님,노보스인더스트리에서도 영상보고왔습니다. 이건 현대,기아차의 하이브리드엔진 전체문제라고 이야기하더군여.특히 스마트스트림 1.6터보 하이브리드라고들었습니다.
하이브리드차량타려면 도요타,렉서스,혼다를 추천합니다.
그래서 렉서스 타고 있죠
5년차 되었는데 1년에
1번 오일교환 이외 돈들어간거
없어요
그냥 연비 따지지말고 가솔린 타야겠다..
2.5가솔린은 반대로 줄어요 ㅋ
엔진오일감소+dct ㅈ망 또이또이
하...그러기엔 요즘 기름값이 너무 올랐죠..ㅠㅠ
엔진 평생보증 해주려나...
오일증가를 달고사네 현기엔진은. 어차피 신차내서 역대급이라 언플하면 한국에선 금방잊음
하이브리드는 아직까지는 일본인가....
3천키로에 엔진오일 교환하고 4천키로 주행 엔지오일.F게이지 위 체크... 휘발유 냄새 동반 하는데, 기아오토큐 왈: 오일교환시 F게이지 살짝 넘게 주입 한다 정상시다 엔진오일 소모가 안듼거다. 휘발유 냄새는 연소되면서 냄새가 엔지 오일에 냄새가 밴거다. 걱정되면 직영오토큐나 서비스센터 가서 엔진 점검 받아라 ㅜㅜ
여러 차를 타봤지만 엔진오일 증감있는 엔진은 현기밖에 없었음. 센터에서 기사가 그런말했으면 저같음 싸다구 올림
@@worrior. 그..외제차는 안타보셨나요..?
@@오상식-c9b 슈퍼카들은 조금씩 감소했지만 저정도는 아니고 일반 차량들은 증감 없었습니다. 외제차만 탔구요. 엔진오일 감소량도 정도가 있는겁니다. 님이 안타보신거같은데요? 어디 쓰레기 엔진달린 차들만 타보셨나
리바이버님 엔진오일 이슈 말씀드려었는데 영상 감사합니다
Gdi도 제대로 해결안하고 있는데..현기차에 지디아이 엔진이90퍼인데 아직까지도 몇몇 기종빼고 리콜 안해주는데...과연 해줄까요?..
영상 잘 만드셨네요. 저도 쏘렌토 하브 차주입니다.현재 약1만킬로 탔습니다. 어제 40킬로 정도 운행하고 엔진오일 체크 해 봤더니 오일증가는 없더라구요. 이게 몇몇 차주들만 증가 현상이 나타날수 있을거라 추측들구요. 운행자의 운전습관 그런것도 연관있을거라 생각듭니다. 일단 자극적인 유투버 인** 같은 내용은 쓸데없는 말만 포장되어 있고 신뢰가 가질 않습니다. 일단 믿고 기다려 기아측 입장을 지켜 봐야겠습니다.
현재의 상황에 대해 자극적인 것 보다는 냉정하게 바라보고 제조사의 책임감 있는 대처를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에 대해 전반적으로 공감합니다.
이야 기름 한방울 안나는 나라에서
자동차 엔진에서 오일이 나오네
우리도 이제 산유국이네요
비유가 전혀 안맞는데
비꼰거 그냥 알아들어줘요. 그걸 또 갠세이 빠시고 ㅎㅎㅎ
저는 쏘렌토 하브 차주는 아니지만 같은 엔진을 쓰는 투싼 하브 예비차주입니다. 저는 다음주면 출고 예정인데 갑자기 이러니깐 급 멘붕오네요. 당장 차가 필요해서 이제와서 무르기도 그렇고~ 금방 나올거 같으면 취소했다가 잠잠해지면 다시 계약할텐데 요즘은 쏘렌토나 투싼이나 대기기간이 1년이상이여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총체적 난국이네요~
저는 2월에 쏘가솔린 4륜으로 계악했는데..
2020년부터 오일감소와 DCT미션 이슈가 있었죠..
아직 8개월을 기다려야하니 개선되서 나오길 바랄뿐입니다..
기름값은 전쟁이라는 특수상황으로 일시적인 현상이니 전쟁만 끝나면 어느정도 떨어질걸로 생각되고요..
반도체 부족도 전쟁만 끝나면 그리 오래가지는 않을듯 하네요..
러, 우크 두나라가 반도체 제작의 원료를 수출하고 있는데 저러고들 있으니..
언론에선 전쟁이 장기화 될거라고 하지만 뭐 몇주안에 종전이나 휴전을 하겠죠..
차를 사면 최소 10년은 탄다고 보면...차를 탈때마다 스트레스 받느니
취소가 맞을듯~!!.
정씨 아저씨 실력 안되면 사서 끼워라
이게 말이되나?? 4~5천 차량을 구매했는데..오일증가라..그리고 엔진오일도 점도가 없어...이거 심각한 문제임
역시 리바이님.^^
일본에서 결함때문에 버린 엔진을 가져와서 팔아대니 문제가 안생기면 그게 이상한거지 ㅉㅉ.
아직도 이런소리하네..
직분사 방식이 현기에서만 쓰는 엔진인가?
다른 메이커 회사에도 쓰고 있고
말을 제대로 하면은 그냥 기술이 딸리는거
@@khu6207 소재공학도 부족하고 기초 설계를 미쯔비시에서 사온것이라 현대가 만들고 있는 엔진이지만 엔진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엔진관련 이슈가 나오면 즉각적인 대처가 되지 않고 수개월~1년정도 연구해야 해결책이 나옵니다. 처음부터 독자적으로 만들었다면 엔진 문제를 충분히 예상 가능하기도 하고 그에 대한 대처도 빠르죠. 일본 독일 미국 프랑스 제조사들이 결함에 대한 대응이 빠른 이유입니다.
멀쩡한 엔진이 없어 현대엔진은 도대체 ㅋㅋ
ㅋㅋ 그냥 껍질만 바꾸고 파는거임ㅋ
와 ECU 업뎃후 연비감소하면 당연보상해줘야되는거 아닌가? 대국민사기네
현기차 차 만들었는 기간 상당 할텐데...
일본차 같이 신뢰가 가는 엔진 제작은 정작 꿈 일지?
이젠 엔진을 안만든다고 선언했어요.
@@벨붕이아재 언제 엔진다운 엔진 만든적이라도 있는지 그냥 일본 gdi들고와서 개선만 계속했을뿐
애네들은 그냥 장사꾼임 이익률 극대화 시키면서 내연기관차 종료 시키고 어영부영 전기차로 넘어가는게 목표임
그 도요타 수프라 엔진 마쯔다 로터리엔진 혼다 브이텍 스바루 박서엔진… 현대는 일반적인 엔진도 못만드는
근데 여기 흉빠들보면 세계제일 회사에요
좋은 엔진을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 소재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소재공학의 현 주소는 상당히 처참합니다. 일본엔진이 튼튼한 가장 큰 이유가 기초 소재 수준이 세계 제일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국 나사에도 대부분 일본 거를 수입해 쓸 정도입니다. 같은 엔진을 만들어도 현대에서 만든 엔진과 미쯔비시에서 만든 엔진은 수명이 다릅니다. 그 소재의 질을 일본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단가가 말도 안되게 높아지기 때문에 (이는 차량 가격과도 직결됨) 어쩔수 없는 부분인듯 합니다. 현대도 분명 엔진 저렇게 만들고 싶진 않을겁니다. 그런데 기초 산업이 안되니 이게 한계인거 같습니다. 그리고 전기차 시대로 넘어간다 해도 현대는 배터리 개발도 하지 않을 뿐더러 전기차 플랫폼은 내연기관에 비해 굉장히 단순하므로 진입장벽이 낮습니다. 그렇다면 더 좋은 소재와 배터리를 가진 회사가 전기차 시장에서 살아남을텐데 전기차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작년 11월 인수받아 4800Km정도 운행했는데, 방금 찍어보니 F선 살짝 위로 찍히네요... 냄새도 휘발유 냄새랑 비슷한거 같구요... 걱정이네요...ㅠㅠ
화재 및 급발진 시동꺼짐이 발생가능하다네요
저랑같은달에 인수받앗네요 전이천키로 탓는데 많이타네요 저도휘발유냄새나요
힘내세요ㅠ
큰일이네요
대기기간 줄어들겠네..
엔진오일증가 공통된점은 겨울철에 이 문제가 두드러진다는것과 가솔린 엔진이 수시로 꺼져있는 즉 열을 충분히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힘든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이 문제가 나온다는것인데..엔진이 지속적으로 뜨겁게 유지되지 못하고 수시로 꺼져서 ,특히나 겨울철 차가운 기온에 바로 냉각 하이브리드 엔진의 실린더 등등의 열팽창 후 급격한 냉각에 의한 수축에 어디선가 간극이 벌어져 휴발유가 엔진오일 속으로 유입되지 않나 추측해본다.즉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차가운 겨울철에 수시로 꺼져 냉각되더라도 팽창 수축이 거의 없이 유지되는 엔진 금속재료를 써야되는데, 단가 절감때문에 그 강도를 충족하지 못하지 않나싶다..물론 단가 절감이 나쁜것만이 아니다.단가를 절감하면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서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기때문이다..현대 기아차는 열팽창과 급격한 냉각시 팽창 수축 비율을 재연구해야 하지 않을까..
조립중 유튜브 시청이 원인인듯
궁금한것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아반떼에 들어가는 1.6스마트스트림엔진도 오일증가와 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반떼 하브는 터보가 아니구 예전부터 사용하던 일반1.6엔진이라 상관없을거에요
K8도그래요 휘발유냄새 F보다높고
내 투싼도 걱정이네. 현대 GDI엔진은 원래 문제가 많았는데 지금 GDI-T는 개선버전인데도 이꼬라지라니..
T까지는 괜찮은데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처음 들어가서 문제생긴듯.
투싼도 마찬가지로 입니다 제차에서 발견됨
@@nii2239 1.6 T 엔진들 지금 노킹때문에 고급유 넣고 다니는분들 꽤 있습니다.
@@user-zu7ug4dd3q 고급유 넣고 해결된다면 이전에 일반유 넣은 주유소 휘발유 품질이 안좋은 겁니다~
GDI엔진 특성상 옥탄가 높은 휘발유 사용해야 합니다.
현.기차 신형 엔진 차량은 최소 몇년 검증 후 구매해야. 작년에 주변인들 K8 1.6하이브리드로 신형이고 1.6엔진 세금도 저렴하다고 추천했지만 나온지 얼마안되 불안해서 사골엔진 이지만 검증된 2.4MPI엔진 그랜저하이브리드로 갔지요.
지금 생각해보니 판단 잘 했네요.
내차도 풀이네...휘발유 냄새도 많이 남
국산차 다음엔 다신 안산다 ㅆㅃ ,,,,
2022,2월생산된
하이브리도도 해당되는지요?
문제 대상 차량의 생산기간은 제조사에서 나중에 공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점검해보시면 해당될겁니다!년월식이 문제가 아니라, 하이브리드 엔지자체가 문제인것 같으니...
현기의 대응이 궁금해지네
하브계약했는데 취소해야돼나요? 가솔린2.5는DCT미션때문에못밎고. 하브는또엔진오일때문에못밎고. 면년후에또배터리땜에신경쓰야돼며. ㅋㅋ. 어이없네
그냥 모닝이나 편하게 타자구요
일단 차주로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있을까요? 수시로 엔진오일 양을 점검 하면서 풀 이상으로 넘어가면 계속 빼주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넘어갈 때마다 새 엔진오일로 갈아줘야할까요?
그러게요 저도 궁금하네요 k8하브 엔진오일이 F위로 한참 넘어서 오토큐가서 일단 좀 빼긴했는데 증가했다는것은 휘발유가 섞였을 가능성이 있는것이고 그럼 점도가 약해졌을것이며 엔진손상을 충분히 야기할수있다는 ㅜ
휘발유가 첨가되니 오일이 변질됩니다.
뺀다고 답이 아님.
천키로에 한번씩 오일을 갈면 괜찮긴하겠네
오일 갈아주는게 대안이 될수가 없을거에요 양이적든많든 계속 엔진에 휘발유가 유입되는거라고 봐야합니다
아직까지는 딱히 방법이 없는 것 같고 기아에서 어떻게 나올지 지켜봐야할듯요
엔진오일을 500키로 주기로 교체하는게 깔끔해 보입니다. (돈 많으시다면)
저의 뇌피셜입니다..
엔진오일 증가의 원인이 연료가 유입되는건데..
이렇게되면 오일의 점도가 떨어져서..
냉각기능, 방청기능, 감마기능 등 엔진오일 본연의 기능이 떨어지고 엔진 마모를 앞당기게 됩니다..
연소실의 연료가 밸브를 타고 실린더 쪽으로 유입되어 오일팬으로 들어가서 오일이 증가하고..
반대로 연소실 연료가 부족해지니 출력은 떨어질게 뻔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가 안맞으니 조기점화나 지연점화등 울컥거리는 현상이 발생될수도 있겠죠..
또한 연료가 오일과 섞여서 과열로 불이 날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엔진오일을 빼주는것이 해결책이 아닙니다..
연료의 엔진유입 원인을 찾는것이 우선인데 그걸 기아에서 안하는게(못하는지도) 문제죠..
아니 엔진을 못만들면 그냥 수입해서 쓰지 왜 만들어서 사람 죽이려 그래ㅉㅉㅉ
최고 원가절감의 부품
엔진오일 증가가 하이브리드 겸용에서만 나타나는것이 아니고 일반가솔린에서도 나타난다는건가요.
하이브리드만요
@@reviver_car 혼다crv 일반모델에서도 나타났지 않았나요
@@GNG45 인터넷에 검색해도 그런 내용은 없네요
@@reviver_car ruclips.net/video/t9eGrrQoQN0/видео.html
왜..증가할까...디젤처럼 후적분사 하는것두아닌대..
후적 분사라서 풀 넘게찍히는거구나 디젤 풀넘게찍히네요
ecu 업데이트한다네요;; 연비 하락 하지싶습니다
어디에서 나온이야기입니까?
기아에서 나온 말인가요?
@@코알라-c1t 광주 사업소에서 공문받았답니다
ecu업뎃하면, 하이브 살필요없어요!
연비 개쓰레기된다네요
무슨 오일 증가가 정상이야?? 뿌락지네..
영상 잘 봤습니다. 엔진오일 증가가 없다고 하셨는데
엔진오일 냄새 맡아보셨는지요?
제일 정확한건 오일성분 분석해봐야함
저따구로 만들어 놓고 엔진이름은 스마트스트림이랜다... 어휴... 이번 이슈도 중국처럼 ECU업데이트로 끝내고 또 연비 떨어져도 배째! 하고 말겠네요
더뉴디젤은 예전부터 꾸준히 증가했어요. 하브만의 문제가 아니에요 ㅎㅎㅎ
휘발유 냄새는 쏘하가 아닌 다른차종도 냄새가 나더군요. 집에 스파크도 그렇고.. 오일량은 첨에 정확하게 측정 데이터가 없으니..좀 더 두고 볼려구요..
리바이버분은 차량이 언제 인수된건가요?
2020년 10월 입니다
뭐 겨울에는 스포츠모드로 다녀야 하는건가요 하...
나도 방금 스포티지 계약했는데 어쩌지 참~~
@@화88후 나오기전 개선 되길
발음 쥑이네~ ㅋ 일부러 이러제? ㅋ
들켰나요 😅
아 차15년타서 바꿔야해서 쏘렌토가 내.외부 디자인 너무좋아
구매하려는데 이런결함있었네
포기해야하나
현다이..실내와 외관은
세계최강 인정하나
파워트레인이 늘 문제죠 ㅜㅜ
3년뒤에 고생할것 갇아서
내일 중고차에 팝니다
많이섞이서 점도가 묽어져서 연소실로 타고 들어가면 급발진 하겠어요 싼타페급발진이
그랬는데 ㅠ테스트도 안하고 차를파나?
목슴걸고 타야겠네요 ㅠ리콜은꿈도 꾸지 마세요 국내는 리콜안함 무상수리지 ㅎ문제는
문제가 있는 엔진을 그대로 팔아처먹는거지
해결을 해서 팔아먹어야지 국내차 사지 마세요 돈에비해 너무 허접함 회사자체가 도덕성을 완전 상실함
2.5t 가솔린도 해당되는 이야기인가요??
하브만요
가솔린은 누유현상문제
2.5는 미션문제 잇던데용.ㅠ
리바이버님.. 휘발유 유입에 의한 엔진데미지 부분은 어떻게보시나요?
차주가 계속 앉고 갈수 있을 정도인가요?
엔진오일에 연료가 유입되면 오일점도가 떨어져 엔진그냥 망가지는거죠 급발진우려도있구요.그밖에 여러가지 심각한 문제들이 많습니다.
진짜 엔진 쪽 문제라면 절대로 구입 하면 안됩니다 .
계속 안고갈 수 없는 문제라고 봅니다. 어떻게든 제조사차원의 해결방안이 나와야 합니다. 당장에는 크지 않더라도 다른 액체가 혼입되어 엔진오일의 윤활성능이 떨어지면 그에 따른 데미지가 전혀 없다곤 할 수 없습니다.
신 차 나오기 전에 충분한 테스트 를 하지 않고 , 계속 신 차만 나오니 당연한 결과.
투싼 하브 1년 2개월 18,000km.
엔진오일 증가 휘발유 냄새.
불안합니다.
빠른 조치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나오는 3500cc엔진은 괜찮을려나 애네는 젤 중요한 엔진이 항상 문제네
타우엔진 빼고는 다 한소리씩 나오는거 아이오닉도 미국에서 리콜하고 잇고 참
아무이상 없는사람들은 머죠? 아직증상이 나타나지 않은것인지 아님 멀까요....
운전 코스의 특성(고속도로 장거리, 시내위주 단거리), 지역적 특성(외부 기온 등) 차이일수도 있고
그게 아니라면 특정부품의 문제라고 봅니다. 어딘가 샌다던가...아니면 특정부품의 생산일에 따라 불량이 있다던가...
변수는 여러가지 입니다.
이런 문제점이 어제 오늘일도 아닌데 계속 사는거 보면 한숨만 나온다 현명한 소비자가 돼야 할텐데.. 그 가격에 그만한차 없다? 결국엔 그 가격에 그만한 품질이 안되는것..
니로 계약했는데 자연흡기 엔진은 괜찬은거죠 ㅜㅜ
니로는 기존엔진에 개선만 한거고 터보는 아니니 안심하셔도 될듯 합니다.
엔진블럭 소재의 내구성이 제일 큰 원인인듯 알루미늄 합금 소재 이전의 예전 스틸 엔진에서는 드문 현상
이미 4년전 혼다가 동일증상결함을 겪고 미국일부지역,중국에서만 ecu업데이트 했습니다. 4년 지난후 혼다crv 엔진내구성과 안전성문제가 미국내에서 크게 나오지 않은 것 같은데 그냥 gdi엔진 특징으로 보는 것이 맞을까요 여전히 혼다crv 미국내베스트카더군요.소수유저는 혼다crv 오일증가문제로 처분하고 ..
결국 쏘렌토도 k7프리미어랑 비슷한 양상을 이루겠네요. 인정 안하고 해결책은 없고 두고 보겠습니다.
오일 온도가 높아져 부피가 커진건 아닌지
GDI특성상 온도관리가 잘안되서 오일온도가 높아 부피가 커진건 아닐까요?
제가 회사에서 기계설비들 오일 과열되면 오일 부피가 2배이상 되더라구요
휴발유 냄새나고 휴발유맞음 열받는데 이런글은 지우세요 욕먹어요
오호
욕먹기 딱 조은글이다
오일 부피가 두배가 되다니 캬 명언이네
부피늘어나면 휘발냄새 나는구나~ㅋㅋ무슨논리?
블로바이가스가 휘발유 냄세와 동일한가요? 궁금해서요..그냥 휘발유 냄세납니다. 방금 시동끄자마자 확인했는데 게이지끝까지 나옵니다. 교환한지 1,000km 주행했습니다. 35,000 뛴차입니다. 2cm 정도 오버되었는데 1만키로 교환이면 그 양은... ev모드시 미연소된 휘발류가 내려갔다는것이 더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의견궁금합니다.
주위에 터보차량 있으시면 냄새 비교해 보심도 좋을듯 합니다
시동 끄자마자 확인이면 부정확합니다...
@@sugunboy 시동끄자마자 측정하면 더 낮게 나와야 정상아닌가요? 이미8시간 지난후 측정해도 f선훌쩍 넘어요 ㅎㅎ
@@코알라-c1t 제가 댓글 뜻을 잘못 이해했네요. ㅈㅅ
저는 중고차에 팔러 갑니다
걱정이네요.5월 출고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