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거... 크리스티스 VS 호미니언 경기 영상 보면 별의 별 컨트롤 다 있었습니다. 크리스티스 기본 지상유닛(화이어)과. 공중유닛(크로우)는 봄거라는 폭탄을 장착시킬 수 있었는데... 봄거 한방에 호미니언 기본유닛 그대로 터지니깐 공격측은 봄거 잡은 유닛 안죽고 꼴박하려고 컨트롤 하고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산개한 상태로 최대한 빨리 봄거를 들고 있는 화이어만 일점사 하는 식으로... 그런 경기가 많았어요. 크로우는 소형 지상유닛은 전부다 집어들 수 있어서 기습적으로 상대방 일꾼 납치해오거나... 대열에서 이탈한 소형유닛을 피해없이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스타2의 불사조 중력광선 생각하면 되는데... 그걸 소형유닛만 가능한 대신 노코스트로 한다고 생각하면 되요.) 그거 말고도 뮤탈 치고 빠지기는 호넷이나 호미니언 에어로 파이터로 많이 하긴 했어요;;;; 에어로 파이터 같은 경우는 가성비는 좀 어중간하긴 한데... 멀티를 가스채취건물만 지어놓고 퉁치는 이게임 특성상... 맵 전체에 흩어져 있는 멀티를 견제할 때 제일 좋은 유닛이 에어로 화이터 였습니다;;;;; 물론 정면 전투에서는 이기기 힘든데... 기본 이동속도가 빠르고 에프터버너 덕분에 기동성 하나는 끝판왕이라 적당히 견제하다가 방어하러 오면 에프터버너 키고 한 화면 밖으로 도망가버리면 추격할 방법이 없었어요;;;; 그러다가 낙오된 유닛 발견하면 바로 끊어먹고 튀고... 물론 이것도 무사히 초중반을 넘기고 테크트리 올린 다음의 이야기이긴 했지만.... 물론 크리스티스의 호넷의 경우 은신 풀리면 좀 위험해서 자제하긴 했지만요...(레이쓰랑 다르게 몸빵은 좀 됩니다.. 문제는 가격이 애매하게 높아서 뮤탈처럼 올인해서 쓰다가 죽으면 타격이 큼;;;)
둘이 그냥 1:1로 했으면 모를건데 관전자를 넣어놓으니 네트워크 문제 때문에 버벅거리네요;;;; 이게임이 리플레이 기능을 정말 빨리 도입했는데 그 리플레이라는게 자신의 게임플레이만 볼 수 있게 되있어서 전체적인 경기흐름 파악하기 힘들었죠.(대신 마우스 움직임 까지 다 볼 수 있어서 훈수두기는 정말 좋음)
스타크래프트 베타테스트 보다 출시가 빨랐을 뿐이지... 애초에 스타가 처음 개발해서 워크3 그대로 답습했다고 욕먹었던 시기에걸 참고한 만큼 명백한 표절은 맞습니다. 만약 충분한 개발기간이 주어졌다면 종족 4개로 하고 조금 독창적인 게임이 될 수 있었겠지만... 먹고 버리려고 작정하고 쥐어짜내서 스토리도 산으로 가버린 이상 어쩔 수 없었지요...
학교앞에서 데모씨디나눠주던거 생각나네요ㅋㅋ
해설이 요점만 잡아주시고 설명도 해주셔서 아주 재밌거 봤습니다.
칭찬 감사합니다 더 노력할게요! ㅋ
어렸을때 해본 기억이 있는데 정말 그래픽 좋았군요!
그당시에는 못느끼는걸 서네떡님 영상을 보면서 많이 느낍니다.
후기 감사합니다. 더 노력하겠습니다.ㅋ
이런류의 게임의 문제는 밸런스보다도
컨트롤하기에 유닛들이 너무 굼뜸
엔진이 구려서 그런가
뮤탈 치고빠지기나 마린 산개등 그런컨트롤 절대 못한다고 봄
그거... 크리스티스 VS 호미니언 경기 영상 보면 별의 별 컨트롤 다 있었습니다.
크리스티스 기본 지상유닛(화이어)과. 공중유닛(크로우)는 봄거라는 폭탄을 장착시킬 수 있었는데...
봄거 한방에 호미니언 기본유닛 그대로 터지니깐 공격측은 봄거 잡은 유닛 안죽고 꼴박하려고 컨트롤 하고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산개한 상태로 최대한 빨리 봄거를 들고 있는 화이어만 일점사 하는 식으로...
그런 경기가 많았어요.
크로우는 소형 지상유닛은 전부다 집어들 수 있어서 기습적으로 상대방 일꾼 납치해오거나... 대열에서 이탈한 소형유닛을 피해없이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스타2의 불사조 중력광선 생각하면 되는데... 그걸 소형유닛만 가능한 대신 노코스트로 한다고 생각하면 되요.)
그거 말고도 뮤탈 치고 빠지기는 호넷이나 호미니언 에어로 파이터로 많이 하긴 했어요;;;;
에어로 파이터 같은 경우는 가성비는 좀 어중간하긴 한데... 멀티를 가스채취건물만 지어놓고 퉁치는 이게임 특성상... 맵 전체에 흩어져 있는 멀티를 견제할 때 제일 좋은 유닛이 에어로 화이터 였습니다;;;;;
물론 정면 전투에서는 이기기 힘든데... 기본 이동속도가 빠르고 에프터버너 덕분에 기동성 하나는 끝판왕이라 적당히 견제하다가 방어하러 오면 에프터버너 키고 한 화면 밖으로 도망가버리면 추격할 방법이 없었어요;;;; 그러다가 낙오된 유닛 발견하면 바로 끊어먹고 튀고...
물론 이것도 무사히 초중반을 넘기고 테크트리 올린 다음의 이야기이긴 했지만....
물론 크리스티스의 호넷의 경우 은신 풀리면 좀 위험해서 자제하긴 했지만요...(레이쓰랑 다르게 몸빵은 좀 됩니다.. 문제는 가격이 애매하게 높아서 뮤탈처럼 올인해서 쓰다가 죽으면 타격이 큼;;;)
아 초딩때 본거 같은데 온겜넷인가 대회한거 같은데
진짜 오랜만이네요 잊고있었음 ㅋㅋ
완성도는 굉장히 높았던게임이죠.
스타만 너무 비슷하게만 안만들었으면 좋았죠.
이 게임 제작 기획 자체가 '스타크래프트를 베끼자' 에요
좋네요
저도 예전에 국산전략 좋아해서 영상 즐겨보고있습니다.
나중에 가능하시면 거울전쟁도 하면 좋을것 같아요
그리고 참여자분들 보시면 이전부터 보이시는 분들이 계신데 다 지인분들이신가요? 카페라던지 모임회원분들이신가요?
RTS 좋아하시는 카페 회원분들이랑 하고 있는중입니다 ㅋ
ㄱㅊ 스타도 처음 나왔을 땐 워헤머 아류로 취급받았음
이제 게임을 구할순 없나요? ㅠㅡㅜ 추억..
네이버 카페에 아트록스를 검색하셔서 들어가시면 받으실수 있어요~
리마스터를 보며 아트록스도 그러길 기대했는데 완전 삭제했다니 허허.. 아깝다..
서버아직도있나요?전에하다가 사람없어서 접었는데..
올 맹글러는 헤탱을 못이기는데 조합의 아쉬움이ㅜ..
둘이 그냥 1:1로 했으면 모를건데 관전자를 넣어놓으니 네트워크 문제 때문에 버벅거리네요;;;;
이게임이 리플레이 기능을 정말 빨리 도입했는데 그 리플레이라는게 자신의 게임플레이만 볼 수 있게 되있어서 전체적인 경기흐름 파악하기 힘들었죠.(대신 마우스 움직임 까지 다 볼 수 있어서 훈수두기는 정말 좋음)
썸네일에 괄호안에 T나 Z, P이런게 없고 H, I 이런게 있어서 당황했다ㄷㄷ
무깡이는 커프도하고 쥬라기원시전2도하고 아트록스도하고 전천후 올라운드파이터임??
이거 정말 재밌게했어요 ㅠㅠ 아직 씨띠 집에있음 ㅋㅋㅋ
이제KUF안하시나요??
아니요 다만 다양하게 하려고합니다.ㅋ
커프영상이 안올라와서 그러신가요?
네ㅠㅠㅎㅎ 커프 많이 해주세요!!!!
아트록스ㅜ 이거 스타1때문에 묻혀서망했죠
당시 스타를 따라했다고해서 망했나
이거오랜만에보네
멀티가되는게 신기하다
김병관 net은 망했지만 하마치 등 상대방 ip등으로 멀티가 가능합니다
배틀넷은 망한듯 ㅜ
아트록스 진짜 재밌었죠
개발은 스타보다 빨랐지만 출시가 늦어서 망한 게임...
아랑 그거 헛소문임 스타가 1996년에 개발시작 했고 아트록스는 1998년에 개발시작 했어요.
스타크래프트 베타테스트 보다 출시가 빨랐을 뿐이지... 애초에 스타가 처음 개발해서 워크3 그대로 답습했다고 욕먹었던 시기에걸 참고한 만큼 명백한 표절은 맞습니다.
만약 충분한 개발기간이 주어졌다면 종족 4개로 하고 조금 독창적인 게임이 될 수 있었겠지만...
먹고 버리려고 작정하고 쥐어짜내서 스토리도 산으로 가버린 이상 어쩔 수 없었지요...
이거 하려고 다운받았는데 마우스랑 키보드 스크롤 속도가 넘빨라요. 서네님처럼 조금 느리게 못하나요?
스타짝퉁
스타표절?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