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rts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3

  • @woodkim_osan
    @woodkim_osan  2 года назад

    PL50 구매링크
    smartstore.naver.com/osanwood/products/5117181443

  • @서평원-k7m
    @서평원-k7m Год назад +7

    좋은정보 감사요
    업자놈들 돈 받고 떠나면 끝^^공감

  • @poohk7628
    @poohk7628 2 года назад +7

    장판시공시 가장자리 모두 본드를 넣어 시공하지는 않지만 문틀앞이나 돌출모서리(코너기둥) 장판 겹쳐지는 이음매는 반드시 본드시공이 들어가야 합니다.겨울철 시공이나 장판 롤중 마지막 심지쪽에 말려진부분 시공시에 저런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그러나 벽지본드를 사용해서 시공하면 해결이 되는건데 시공 품질이 아쉽네요.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위와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장판 절개후 벽지본드가 있다면 30cm철자에 묻혀 이쪽 저쪽 양방향으로 묻혀서 붙여줘도 됩니다.본드 뭉치지않게 고르게 펴서 바르고 묻은거 물걸레로 닦아주면 완성됩니다.

  • @Fork1203
    @Fork1203 2 года назад +1

    "하여간 업자놈들은"에 공감 ㅎㅎㅎ

  • @아싸오징어
    @아싸오징어 2 года назад +3

    이런게진짜 꿀팁이죠

  • @상록수-e9r
    @상록수-e9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업자놈들 돈받으면 땡. 격하게 동감.
    공사후 돈은 바로주지 말고 며칠후에
    나눠서 주면 좋구요

  • @조신한녀자
    @조신한녀자 Год назад +1

    꿀팁감사합니당😂

  • @orand4605
    @orand4605 Год назад +2

    집에 이런 작업할 방이 3인데, 일단 실험적으로 가장 만만한 방을 본 동영상 보며작업해 보았습니다. 방금 디자인선 30cm 절개하고 시공해 보았습니다. 이런거 큰 소질이 없는 순 아마추어라 절반의 성공만 한 듯 합니다. 원래는 디자인선 절개 선 중심으로 위쪽 아랫쪽(38선 경계 남과 북) 다 PL50 도포를 하려고 했으나...절개 후에도 장판이 타이트하여 장판 벌어지는 틈이 좁아서 당황했습니다. 실리콘 건에 삽입한 PL50 카트릿지 배출 고깔(?)을 틈새에 넣고 PL50을 정밀 점사하는 것에 애로가 있다보니 기껏 구매한 대형 헤라로 PL50을 고루 도포하는 것도 놓쳤고, 또 전면전(?)을 벌이기가 두려워서 절개선 38선 이남에 PL50도포하는 것을 포기하였습니다.
    ** 지금부터가 질문인데요. 많네요...감사합니다.
    1. PL 50이 생각보다 덜 유동체라서(thick하여) PL 점사 지점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튀어 나온 것 같습니다. 하드커버 책으로 누르고 밀고 밟고 하여 나름 평탄화 작업을 했습니다만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 이상적인 도포 처리 방법이 있을까요?
    2. 절개선을 중심으로 38선 남북처럼 양쪽에 대해서 도포를 할 시간적 여유가 있을까요? ( 여유잡는 사이에 PL50 점사 부분을 중심으로 이미 융기되어 굳어 버릴까봐)
    3. 이번 작업에서 놓친바 PL50후 바로 헤라로 넓게 펴서 바르는 것이 꼭 필요한지요? 대충 장판 아래 시멘트 바닥을 보니 접착 자국이 없어서 도대체 얼마나 넓은 부위에 PL 50을 도포할지 막막했습니다.
    4. (아마츄어 DIY 상황)이런 작업에 PL50이 더 적당할까요? 아니면 오공 같은 데서 나오는 비닐안에 들어있는 장판본드(?)가 더 좋을까요?

    • @orand4605
      @orand4605 Год назад +2

      제 경우는 일단 실패 로 결론 내립니다.
      단, 장판 들뜸의 현상과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다른 케이스라면 이 방법이 최선책일 수도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제 경우로 설명합니다.
      1. PL 50. 기본적으로 목재 접착제 입니다. 적어도 제 장판문제의 경우는 적합하지 않은 용제로 판단합니다. 이것을 장판 아래 방바닥에 바르니 접착 후 장판 위로 접작제 자리 융기가 뚜렷이 남습니다. 시행착오로 학습하며 다른 방에서는 아주 조금씩 고르게 바르고 아무리 단내 나도록 온갖 도구로 장판 위로 평탄화를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2. 풍선효과 입니다. PL 50바른 자리는 견고하게 잘 붙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 주변으로 더 큰 주름이 생깁니다. 시멘트 바닥위에 덮은 장판, 그 공간에서 풍선효과가 일어난다? 참 희한하지만 많은 블로그 유튜브에서 "바닥 크랙 사이로 난방 열이 뿜어 올라서 장판이 들뜨므로"를 강조하는 것을 보면 풍선효과를 무시하기가 어렵습니다.
      자, 이제 방 코너에서 장판을 떼어내서 아예 전문 장판 본드(훨씬 무른 성질의 하얀 풀일 듯)로 좀 큰 보수를 할 지도 모릅니다. 이게 꺼려서, 즉 벼룩잡느라 초가삼간 태우기 삻어서, 본 동영상 대로 한 것인데...
      아무튼 본 동영상이 최선의 보수인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각자 자신의 장판 문제를 진단하고 최선책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쓰고 남은 다량의 PL 50은 집의 다른 목재 부위 보수에 써야겠습니다. 강력한 접착력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지라

  • @지나김-w9f
    @지나김-w9f 4 месяца назад

    헉 저희집도 그래요
    진짜 감사합니다

  • @kkessie
    @kkessie Год назад +1

    한번 쓸때 다 써야 하나요? 아니면 필요할때다 조금씩 써도 되는 건가요?

  • @긍정마인드-t8i
    @긍정마인드-t8i 2 года назад +3

    업자 놈들은 돈 주면 땡이에요~~^^

  • @꾸미-h9x
    @꾸미-h9x 2 года назад +2

    👍👏👏👏

  • @김광국-z2u
    @김광국-z2u Год назад

    이본드는 보일러돌려도 유해하지는 않은가요??

  • @cloud_00819
    @cloud_00819 Год назад

    셋방에서 저렇게 보수를 해도 괜찮을까요…?

  • @개토-z5t
    @개토-z5t 2 года назад +1

    저희집 강마루 1개가 밟으면 살짝 내려앉는데 이거처럼 하면 될까요?

  • @myung3368
    @myung3368 Год назад

    붕뜬곳은 보수해도 또 뜨더라구요

  • @handmidas1134
    @handmidas1134 2 года назад +5

    저건 아닌듯 ㅡㅡ 저런다고 붕뜬게 다 잡힐리도 없고 저정도 본드넣을정도 뜬거면 눈에 띠지도 않을듯

    • @woodkim_osan
      @woodkim_osan  2 года назад +4

      업자들이 애초에 잘 부착해놓고 가면 이런거 할일도 없죠 ...바닥 본드를 아끼는건지 거의 붙어 있는게 없고 끝부분 몰딩으로 그냥 눌러놓은 느낌... 겁나 잘되는데 해보고 말씀하시기를 ...

    • @handmidas1134
      @handmidas1134 2 года назад +1

      @@woodkim_osan 업자가 잘하면 당연히 이럴일없죠 ㅡ.ㅡ그말하는게 아니고 말씀하신대로면 요꼬결은 많이 떳따는거같은데 저부분만 해서 큰 의미긴 있을까 얘기하는겁니다 실리콘 접착력 겁나 잘되는것도 알고요 ㅡ.ㅡ 여튼영삼잘보고 배워가는 입장에서 태클처럼 되서 ㅡ.ㅡ

    • @woodkim_osan
      @woodkim_osan  2 года назад

      @@handmidas1134 저도 이것저것 다 해봤는데 저 방법이 제일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