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의 樂 ep.17-1] 건축구조의 소소한 이해|구조기술사와 함께... | 건축사 X 전직 시공사| 최정만 + 정광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1 авг 2024
  • 구조기술사 인터뷰 1/3 (인터뷰를 쉽게 풀이한 해설 영상을 별도로 올릴 예정입니다.)
    소규모 건축물의 구조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구조기술사와 인터뷰 영상을 찍어 보았습니다.
    인터뷰 영상은 총 세 편이며, 조금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더라도, 해설편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건강한 건물을 짓고 싶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영상
    한국패시브건축협회 : www.phiko.kr
    #시공​​ #건축​​ #건강한집

Комментарии • 147

  • @user-wi5fi4jd7z
    @user-wi5fi4jd7z 3 года назад +7

    구조기술사 등장! 본격 건축 수업~~ 너무 좋아요!!

  • @user-cm1vp2fn3y
    @user-cm1vp2fn3y 3 года назад +4

    정보는 둘째치고 너무 재미가 있어서 2편이 기대되네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기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nokhyun
    @nokhyun 3 года назад +5

    서로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하는 것이 해결의 첫걸음이겠지요. 참 좋은 채널입니다!

  • @user-nh2jb4go1y
    @user-nh2jb4go1y 3 года назад +1

    정말 잘보고있습니다 업로드 빨리해주세요~^^

  • @user-zp8cq2fh4s
    @user-zp8cq2fh4s 3 года назад +6

    외국에서 건축 일을 하다왔는데... 깜짝깜짝 놀라는 일이 아주 많네요...

  • @user-of9dk5xm5l
    @user-of9dk5xm5l 3 года назад +3

    저는 필로티 다가구 주택에 22mm 100간격으로 배근하라고 설계한 구조사분도 봤습니다. 그럼 배근사이가 75mm정도 남는데요. 골재가 엉켜서 걸리거나, 바이브도 잘 안들어갈 정도죠. 너무 답답해서 건의도 드렷지만 결국 그대로 시공한 기억있네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그게.. 아마도 구조설계비와 직결된 문제같아요..
      한번 나간 도면에 대한 수정을 하기가 너무 어려운 구조인 것 같습니다. 사이에 낀 현장 분들만 개고생.. ㅠㅠ

  • @user-lb1ze9kf9x
    @user-lb1ze9kf9x 2 года назад +1

    기술사 면접 앞두고 있는 수업생입니다. 면접 준비하다가 서치 통해서 왔는데 너무 재미있네요. 모든동영상 정독해봐야겠어요 ㅎㅎ

    • @phikonet343
      @phikonet343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합격 기원하겠습니다.!!

  • @junyeong8918
    @junyeong8918 3 года назад +8

    본격 건축예능

  • @user-fp7es2oz2j
    @user-fp7es2oz2j 3 года назад +3

    타운하우스 지하 벙커 주차장 수십개 들어가는데 어느 한 필지만 모양새가 유독 안나와서 어쩔수 없이 건축물을 위로 올린 단지가 있었는데
    지하 벙커 주차장 전체가 보 철근 덩어리가 되서 돌아온적이.... ㅠㅠ;;;;;
    결국 구두로 협의하고 뺏다고 하더라고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ㅋㅋ. 철근덩어리.. 상상이 됩니다. ㅎㅎ

  • @LetItBe250
    @LetItBe250 3 года назад +1

    고맙습니다~ 잼이게 잘 보았습니당~ ^^

  • @muksi2002
    @muksi2002 3 года назад +3

    이건 조선분야 이야긴데요. 설계팀에서 이만큼 넣어랄고 한 자재를 현장에 내려가보면 실무자들이 무시하면서 줄여버리는 일이 발생하자, 나온 방법이 원래 들어가는 자재 X2 를 설계하는것,
    현장실무자가 줄여도 원래 설계대로 하는것이라,,, 머리좋은 사람은 다름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ㅋㅋ.. 조선 분야도 비슷하군요.. ^^

  • @alclee1004
    @alclee1004 3 года назад +1

    구조에 이해하기 좋은정보 입니다
    블로그에 링크 공유 하겠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alclee1004
      @alclee1004 3 года назад +1

      @@phikonet343
      영상 블로그에 링크 공유해도 되는지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네 그럼요.
      공개된 영상이므로 링크하셔도 괜찮습니다.

    • @alclee1004
      @alclee1004 3 года назад +1

      @@phikonet343
      네 고맙습니다
      그럼 맘편히 링크 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 @davidkim7506
    @davidkim7506 3 года назад

    오늘도 재미난 시간이였습니다. ^^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즐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 @heejun.
    @heejun. Год назад

    호주 구조엔지니어 입니다. 여기는 SOG 같은 경우 메쉬 한장으로 shrinkage control 과 soil heaving 대비해서 SL72 에서 92 사용합니다. 영상 재밋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Год назад

      시스템이 부럽습니다. 여기는 아직 SOG 개념도 아직 정립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ㅠ
      재밌게 봐주셔서 또 고맙습니다.

  • @mhoooo.
    @mhoooo. 3 года назад +2

    너무 잘봤습니다 다음편도 너무 기대됩니다 ㅎㅎ!
    혹시 전기/기계 설비편도 계획하고 계실까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네.. 그럼요.. 한참 후이긴 하나.. 다룰 예정입니다.^^

  • @user-ze8qf8bn7z
    @user-ze8qf8bn7z 3 года назад +1

    8:15 현실을 직시하시는 한분과 그렇지 않은 두분의 대화를 잘봤어요.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 중요성이 무시되는 상황이 현실에 반영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 @HONG_Teacher
    @HONG_Teacher 3 года назад +2

    정광호님 만나고 싶습니다!!

    • @user-hx2gw5lo3j
      @user-hx2gw5lo3j 3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메일로 연락처 부탁드립니다. jabjaje@gmail.com입니다.

  • @comocho6691
    @comocho6691 3 года назад +3

    단층 목조 주택의 기초 철근이 해외에 비해 많이 들어 간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런 이유가 있었군요. 잘 보고 갑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네.. 맞습니다. 해설편이 좀 더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그 때도 잘 봐주셔요~^
      감사합니다.~~

  • @junyeong8918
    @junyeong8918 3 года назад +10

    그래서 제가 빼는거에여 ㅋㅋㅋㅋㅋㅋㅋ

  • @user-eo4hi7xf3o
    @user-eo4hi7xf3o 3 года назад

    오늘은 조금 어려웠네요
    잘 봤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죄송합니다. ㅠㅠ
      3편까지 끝난 후에, 내용에 대한 해설편 영상이 따로 올라갈 예정이어요.
      그 때 보시면 좀 더 나으실 듯 싶습니다.

  • @hc3172
    @hc3172 2 года назад

    품질관리가 된다면야... 100% 설계를 해도 문제가 없겠지만... 강도설계법 채택후에 불확식성에 대한, 실무자들의 공포가 더 커졌다고 하면... 좀 맞을까요 ..

    • @phikonet343
      @phikonet343  2 года назад

      내부의 사정까지 저희가 알 수는 없겠지만, 모든 분야가 그렇듯이 구조기술사도 레벨의 차이가 분명히 있는 것 같습니다.

  • @elmo8098
    @elmo8098 3 года назад +1

    영상 감사히 봤습니다~ 평소 궁금한게 있었는데요~ 외벽에 각파이프를 하지로 석재를 설치한다면 그 하지틀이 안전한지 아닌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하지재의 간격 또는 접합 방식 등) 여기저기 알아봐도 이 부분에 대해서 명확하게 답변을 주시는 분들이 없더라구요. 구조에 물어보면 비구조요소는 설계 단계에서 하는게 아니라 시공 단계에서 석재 시공 업체에서 구조사무실에 따로 의뢰를 해서 받기도 한다는데 큰 공사의 감리자들은 그런 부분들까지 확인을 하나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1. 석재의 경우 바탕틀으 구성은 현장에서 석재회사가 제출을 하고, 감리가 승인을 하는 형식입니다.
      2. 소규모현장의 경우 그런 절차를 거치지는 않고 있고, 석재하시는 분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비록 설계자를 위한 책은 아니지만.. 최근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메뉴얼"처럼 여기에 대한 기준이 차근 차근 마련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eskillia
      @eskillia 3 года назад +1

      큰 관급공사나 대규모 아파트단지 현장 수준이면 일반적으로 하지철물 및 고정철물에 대한 구조검토를 진행합니다. 일반적으로 해당 공종 전문건설업체에서 구조사무소에 외주를 주는 형태입니다. 해당 구조 검토서는 보통 감리단 및 시공사 본사 구조팀 등에서 계산이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검토합니다.

    • @elmo8098
      @elmo8098 3 года назад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 @user-nj2ml1ek9x
    @user-nj2ml1ek9x 3 года назад +1

    개꿀잼이네 일반인도 알아듣겠는데 이분들이 실제 현장노가리랑 섞어서 수업하면 건축공학 책으로 배우는 사람들이 대학교에서 이해안되던거 다 이해할듯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쓰신 글도 개꿀잼이세요... ㅎ
      감사합니다.~~

  • @thecontentful
    @thecontentful 3 года назад +1

    일반인인 저는 50% 정도 이해 밖에 안되네요 용어가 어려워서요 그냥 느낌적인 느낌으로 대충 받아드려봅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죄송합니다. ㅠㅠ
      3편이 끝난 후에, 별도의 해설편을 올릴 예정입니다. 그 때는 좀 더 나으실거여요. ^^

  • @wskwon9703
    @wskwon9703 3 года назад

    해당철근이 부족해서 조금 얇은철근이지만... 면적만 확보된다면 사용할 수 있군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네. 단면적이 중요하므로.. 그렇습니다.!!

  • @naver-stop
    @naver-stop Год назад

    나의 아저씨 에서 불법 건축물 원상복귀 해야 되서 넌 잣 된거야 라는데 얼마나 스페셜 한 직업인지 궁금 해지네요

  • @hyeongsukim6835
    @hyeongsukim6835 3 года назад

    오늘은 세분이 나오셔서 재미가 세배... 내진이 큰 팩터군요. 필로티 기둥은 철근많이... 정도 잘 배웟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다음 편도 기대 주세요~~
      감사합니다.~^

  • @jasonla3127
    @jasonla3127 Год назад

    철근배근량 많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일본 건설사에서 근무 15년차인데 10미리에 300은 거의 본적이 없네요 13미리에 150,200이 일반적이였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Год назад

      네.. 맞습니다. 그게 정상인데.. 건축사와 구조기술사 간에 아무 협의없이 진행되는 현장 들이 많아지면서.. 주택에 16미리에 150 까지 깔리게 도면이 그려진 경우가 있어서요..
      10미리에 300은 현장에서 "옛날엔 그랬다..."라는 이야기를 전해 드린 거였습니다.
      내진구조가 의무화된 지금은 당연히 안되는 설계가 맞습니다.

    • @jasonla3127
      @jasonla3127 Год назад

      @@phikonet343 그렇군요 ㅎㅎ 죄송합니다 너무 영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한국 아파트는 화장실과 샤워가 같이 있는 습식이던데 아직도 그런가요? 관습화되어진건지 니즈가 그런것인지 갑자기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닷 . . .

    • @phikonet343
      @phikonet343  Год назад

      @@jasonla3127 별말씀을요. 잘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한국의 아파트 습식 화장실은 관습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랜 세월만큼의 노동인력도 많고, 익숙해 졌다고나 할까요...
      그리고 이게 조금 과정이 섞인 이야기지만, 구조체의 품질오차가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해서 일본과 모듈식 같은 건식 시스템을 도입하기 어렵다고 듣기도 했습니다.

  • @user-td6ql1wc8e
    @user-td6ql1wc8e 3 года назад

    재밌는 일화 하나 풀면 다가구주택 내벽100인데 13미리 따블로 해놔서...서로 다툼이 있었던적이 있었네요..ㅋ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헐... 그건 심한 듯.. ㅎ

  • @user-nn9qy7xz5b
    @user-nn9qy7xz5b 3 года назад

    경사진도로를이용해서 낮은쪽을이용해서 벙커추차장만들고 그위에이층집을짖고 벙커주차장위 철콘위에 흙을채우고 정원을만들계획임니다 방수와 배수는 어떻게시공해야하나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글만으로는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고, 디테일이 따라 주어야 하므로.. 계약하신 담당 건축사의 설계를 따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jung3848
    @jung3848 3 года назад +1

    느낌으루 정한다 허허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기초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고 하는 부분에서 저도 조금 놀랐었습니다.
      아무래도 안전과 관련된 부분이라서 그런 선입견이 생긴 것 같았습니다.
      해설편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zi8dq1sm7q
    @user-zi8dq1sm7q 3 года назад +1

    건축사무소에서 소규모는 마이다스 돌릴때가 있는데 구조에서 쓰는 마이다스랑 얼마나 다른건지 궁금해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2

      같습니다.^^

    • @eskillia
      @eskillia 3 года назад +1

      건축사무소에서 쓰는 프로그램은 마이다스 e-gen 이라는 프로그램이고 구조사무소에서 쓰는 프로그램은 마이다스 gen 입니다. 서로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연장으로 굳이 비교하면 구조사무소에 쓰는 프로그램은 전문가용, 건축사무소에서 쓰는건 가정용으로 보시면 이해가 쉬울수 있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eskillia 감사합니다.~~

    • @jasonjun7344
      @jasonjun7344 3 года назад

      @@eskillia 구조기술사님이시죠? 구조기술 자문 좀 구하고 싶은데요 연락처가 없어서 여기서 문의드려요 dok23@naver.com 으로 연락좀 부탁드릴게요

  • @user-td6ql1wc8e
    @user-td6ql1wc8e 3 года назад +1

    문제를 삼으면 문제가 되는거고 문제를 문제로 안삼으면 문제가 안되는거겠죠..ㅎ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네.. 구조는 .. 그런 측면이 강한 듯 합니다.

  • @hemispheren350
    @hemispheren350 3 года назад +3

    Sog가 뭔지 설명해주셔야 더 이해가 쉬울것 같습니다^^

    • @user-05494
      @user-05494 3 года назад +6

      Slab on Grade, 지면에 타설되는 바닥 슬라브입니다

    • @hemispheren350
      @hemispheren350 3 года назад +1

      @@user-05494 오 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daorio3319
      @daorio3319 3 года назад +1

      생긴건 매트기초하고 비슷하나 개념은 다릅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모든 층의 하중을 전반적으로 받으면 매트기초입니다.
      하지만 각층의 슬래브처럼 SOG에 해당하는 층의 하중만 슬래브에 전달시키고
      전체하중은 지중보와 독립기초에 받게 하는게 SOG 입니다.

  • @user-ej1xb4pg7o
    @user-ej1xb4pg7o 3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채널 감사히보고있습니다. 혹시 전열교환기 외산 비뷰계획은 없나요? 그거보고 교체하려 기다리고 있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있었는데요.. 유럽의 코로나 상황이 심각해서.. 제품을 개별로 사는 것이 불가능해서 멈춰져 있습니다.
      지금은 아래 사이트에서 보시는 것이 가성비로 최선 같습니다.
      www.jabjaje.com/

  • @melon4152
    @melon4152 2 года назад

    소장님좋으신분

  • @NEKOSTAY
    @NEKOSTAY 3 года назад +1

    원칙 대로만 하면 문제가 안생길탠대 ㅠ

  • @paloma184
    @paloma184 3 года назад

    갑자기 궁금한게, 내진으로 하면 철근이 더 많이 들어가게 되는걸로 이해했습니다만, 기본전제가 면진구조로 가면 구조설계할때 내진대비 철근양이 더 줄어드는 이유가 될수 있나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네 그럴 수 있습니다. 상부로 횡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면진이므로.. 상대적으로 구조체의 철근량은 줄어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면진을 위한 기초 구성에 너무 큰 비용이 들어가서 적용은 쉽지 않다고 하더라구요.

    • @eskillia
      @eskillia 3 года назад +1

      면진으로 하면 철근량은 줄겠지만. 면진 장치가 어마마하게 비쌉니다. 그래서 일반 중소규모 건축물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토목 교량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paloma184
      @paloma184 3 года назад +2

      @@phikonet343 일반적인 건축물의 구조설계는 지진이나 화재시 대피시간에 촛점이 맞춰져 있는데, 면진설계는.. 지진이 나도 건물을 온전하게 재사용할수 있다는 장점을 고려하면.. 어느정도의 비용은 투자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극히 개인적인 사견입니다.^^ 개인적으로 알아본 바로는.. 추가비용이 상상만큼.. 어마무시할 정도는 아니더군요. 주택이라도 평당가가 높은 고급주택의 경우엔.. 가능한 수준인듯 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paloma184 오호.. 그렇군요.. 저도 그저 많다고만 알고 있었어요.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ssakssuly-demolishman
    @ssakssuly-demolishman 3 года назад

    잘 보고 있습니다.ㅋㅋ
    봄도 되었는데, 옷도 좀 신경 써 주세요 -.,-
    코디가 필요 할듯요~~~~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ㅎㅎ.. 코디.. .. 앞으로 세 편 모두 같은 옷인데.. ㅠㅠ
      좋게 봐 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 @user-sl6js4qo5x
    @user-sl6js4qo5x Год назад

    참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좋은 내용에, 장난스레 들리는 웃음소리가 조금 불편합니다. 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Год назад

      계속 잘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xg5tw9ue5k
    @user-xg5tw9ue5k 3 года назад

    아 3편까지 있나보네요 ㅎ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ㅎ.. 네.. 3편+해설편 까지 해서 총 4편이 될 것 같습니다.^^

  • @Chang-zm9sx
    @Chang-zm9sx 3 года назад

    재밌다 ㅋㅋ

  • @hwanjin27
    @hwanjin27 3 года назад

    기둥 짤라서 똥통 배관 들어가고 전기 콘센트 들어가는걸 살계사가 알아야함.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공포의 배관매립 편에서 다루긴 했습니다만... 앞으로 나아지겠죠...

  • @user-ge5yr2hg7
    @user-ge5yr2hg7 Год назад

    궁금한게 건축사는 왜 건축구조 건축시공 기술사를 취득하지않으려고하나여?

    • @phikonet343
      @phikonet343  Год назад

      우리나라 시험이 다 그렇겠지만, 건축사 하나만으로도 인생이 너무 고달프거든요..
      합격율이 3% 라서... 지옥같은 시험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그걸 합격하면 아무 생각이 나지 않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구조와 시공기술사는 건축사시험(3년)처럼 현장경험이 있어야 합니다. 즉 설계사무소만 다니는 것으로는 아예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이유로 취득이 어렵다고 보시면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이는 구조기술사가 건축사를 따지 못하는 것과 거의 유사합니다.

    • @user-ge5yr2hg7
      @user-ge5yr2hg7 Год назад

      @@phikonet343 답변을 들으니 무례한 질문이였네요.전 건축사 합격률이 그정도일꺼라고 생각못했어요.건축사가 건축학과나와서 건축사보 3년거치고 응시자격생기기때문에 이 3년동안 경험과 공부를 통해서 건축사시험을보면 무난하게(?) 붙게될줄알았어요.마치 공학학부나온 학생이 기사시험정도 치는느낌예상했습니다.반대로 구조기술사는 건축학부아니면 건축사시험볼 자격이안되기때문이라고 생각했구요.다만 그럼에도 건축사가 구조기술사까지 있는 케이스는 없나요??그런분있으면 왠지 돈 엄청 버실꺼같은데

    • @phikonet343
      @phikonet343  Год назад

      @@user-ge5yr2hg7 별말씀을요. 의사고시처럼 생각하시는 분들 많이 계셔요.^^
      건축사면서 구조기술사인 분이 몇 분 있긴 합니다.
      다만 건축사는 겸업금지 조항이 있습니다. 엄밀히는 건축사 업무를 하는 동안 다른 업무를 하면 계약 위반에 해당되어요.
      지키는 분은 거의 없지만... 그래도 이름을 걸고 하시는 분들은 다 지키는 편이라서요.
      두 개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도,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물론 자기 자신의 일을 할 때는 건축사면서 구조기술사 일 수는 있지만, 그 것도 일정 규모를 넘어가면 할 수는 없습니다.

    • @user-ge5yr2hg7
      @user-ge5yr2hg7 Год назад

      @@phikonet343 답변 너무나 감사합니다.전부터 궁금하던건데 기술사의 경우보면 2개이상의 기술사보유는 적지않게(?) 볼수있었지만 이상하게 건축사이면서 건축구조 건축시공 기술사인 케이스는 보기 힘들어서 의문점이 있었습니다.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 @user-cs5ww5bv2e
    @user-cs5ww5bv2e 3 года назад

    근생 창고형공자우짓는데
    요즘 기초 매트를 19mm 200피치 따블로 그려오는 미친곳들도 많아요

  • @jeromemoon9675
    @jeromemoon9675 3 года назад +1

    철근 과도하게 들어가면 콘크리트 타설이 제대로 안되서 더 위험한건 생각 안하는건지...사무실에만 계산하고 실제 타설을 안해보니깐 타설이 어떻게 되는지 생각안하고ㅜㅠ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콘크리트 품질에서 타설과 관련된 영상을 따로 준비 중에 있습니다. 그 때 현장의 목소리를 담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user-wn8il1mn6z
      @user-wn8il1mn6z 3 года назад +1

      몰라서 그런게 아니라 구조계산상 ok나와야 하니 난 어쩔수 없다. 설계사무소에서 구조체 사이즈를 작게 만든걸 어떡하라고라는 식이죠.
      좀 더 노력.검토하기 싫은거죠
      시간&노력=돈이니까요

  • @gmuk101
    @gmuk101 3 года назад

    설계사와 구조기술사가 나뉘어있는것이 좀 의아합니다.

    • @junyeong8918
      @junyeong8918 3 года назад

      엄마와 아빠가 있듯. 엄마가 다 키우는것 같지만 아빠가 있어야 하듯.

    • @junyeong8918
      @junyeong8918 3 года назад

      @@gunzzuk 아빠가 씨뿌리는것 같지만. 사실 엄마가 낳고 엄마가 배아파 낳았지만. 아빠 돈으러 키우고 엄마는 본인 청춘을 희생해 돌보조. 구조는 필요한 만큼 생기고 허가는 허가 필요한 만큼 생기고 자기 밥벌이 하는거고 누가 더 중요할 필요가 있을까요. 본분에 충실하고 아빠 엄마도 똑바른 부모가 되어야 하듯

    • @junyeong8918
      @junyeong8918 3 года назад

      @@gunzzuk 크게 인정받을 필요가.. 계속 의문 가지고 사세요

  • @MayYoo-ug4xu
    @MayYoo-ug4xu 3 года назад

    규정은 모호하고 참여자들은 안일하고 건축문화는 과연 나아질 수 있을까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그 속도를 어찌 짐작할 수 있겠습니까마는... 나아져야죠.. ㅠㅠ

  • @Plan_Breaker
    @Plan_Breaker 3 года назад +3

    1빠

  • @widongrog
    @widongrog 3 года назад +1

    고지식한 사람들은 안 봤으면 ㅎㅎ

  • @user-we3gv3lw6f
    @user-we3gv3lw6f 3 года назад +1

    3빠

    • @user-we3gv3lw6f
      @user-we3gv3lw6f 3 года назад +1

      느낌으로 하는거에요 ㅎㅎㅎ
      느낌 아니까~~~ㅋ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ㅋㅋ. 글게요. 그렇더라구요..

  • @user-ib6pl6iy7z
    @user-ib6pl6iy7z 3 года назад

    필로티내진은 국민들이 파괴된걸 경험해서 어쩔수 없지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 @ddoobb77
    @ddoobb77 3 года назад

    철근빼고 대내무로 철근 대체한 중국놈들은 아주 쑈킹했씀.. .그것도 아파트를....

  • @user-wu4tu8ol9x
    @user-wu4tu8ol9x Год назад

    그따위로 구조계산하냐...
    서민이 집한채지을려면 얼마나피와땀을 흘려야되는데..
    그따위로하지마라..

    • @phikonet343
      @phikonet343  Год назад

      시리즈가 이어지니... 쭉 보셔요

  • @user-xl9lo4vm7o
    @user-xl9lo4vm7o 3 года назад +1

    2빠

  • @NegligibleRainfall57
    @NegligibleRainfall57 3 года назад +2

    학자는 1+1은 2다. 기술사는 1+1은 지들 맘대로다.
    바둑도 AI, 건축토목 구조도 midas가 다하고 있다.
    모든게 도장값일 뿐이지.
    판사나 계산분야는 모두 AI로 바꿔야 된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года назад +1

      언젠가는 다 그렇게 되겠죠?

  • @yoonchansoo1771
    @yoonchansoo1771 3 года назад +1

    아~ 다 좋은데, 가운데사람 웃는모습과 소리를 들으면 자동으로 나가게된다.

  • @user-zp8rp7ys9i
    @user-zp8rp7ys9i Год назад +2

    건축사들이 저가수주.저질 건축사..우리나라에서 없어져야할 법이.건축사법이야!

  • @user-cg4fw3vd2o
    @user-cg4fw3vd2o 3 года назад +1

    5빠

  • @jayzeejk8075
    @jayzeejk8075 3 года назад +1

    4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