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으로 고교수준을 알 수 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4

  • @cnnbizmym3511
    @cnnbizmym3511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일부 특목고 쉬운문제 배점 10점, 어려운 문제 배점 1.X점, 평균은 무지하게 오르고 표준편차는 무지하게 낮아집니다.

  • @user-b7tjk8hi
    @user-b7tjk8hi Год назад +1

    전국 고등학교 수준이 다 다른데 이걸 어찌 점수화 하는지 궁금하긴 했습니다

  • @유승민-f7h
    @유승민-f7h 3 года назад +6

    아니 공부 못하는 고등학교도 시험 난이도를 쉽게 내면 평균도 올라가고 표준편차는 적어지는데 어떻게 구별하는거죠? 단지 평균과 표준편차만으로 수준을 가를 수 있다? 말도 안되는 소리 같습니다.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3 года назад +1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일부 고등학교에서 시험난이도를 쉽게 내면 평균도 올라가고 표준편차도 적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일반고의 많은 학교에서 시험 난이도가 쉬워지는 것은 쉽게 출제되어도 평균이 높아지지 않는 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말씀드린 내용은 학종에서 브라인드 서류평가를 한다해도 학교 성적을 통해 어떤 특성의 학교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한 가지의 경우임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그런 점을 참고해서 무조건 내신을 위해서 쉬운 과목에만 집중하지 말 것과 고교선택시 내신을 위해 학교를 선택하는 것은 고려해야 할 점이라는 것을 말씀드리기 위함임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산책왕
      @산책왕 3 года назад +1

      @@홍동호입시톡 공감합니다. 내신 따기 쉬운 학교치고, 대입실적이 좋은 학교는 없습니다.

    • @초월-n2z
      @초월-n2z Год назад

      아뇨 공부 못하는 일반고는 평균 올리려 쉽게 내면 만점자 미어터져서 1, 2등급이 사라집니다. 학생 실력차이가 너무 커서요. 잘하는 고교일수록 실력차이가 적기에 평균은 높아도 등급컷은 잡히는겁니다.

    • @EMIN3M
      @EMIN3M Год назад

      모르면 조용히 좀 하고있지 말도 안되는건 느그 성적임

  • @김선희-m9s
    @김선희-m9s 2 года назад +2

    방송 잘 들었습니다 고교 선택 때문에 표준편차와 성취도분포비율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저희 지역은 일반고 지역 인데요 근데 학교알리미에서 보다 보니 두 학교가 거의 표준편차는 20이 넘는데 성취도분포비율에서 E 가 한 학교는 거의 50이 넘었고 또 다른 학교는 E비율이 30 정도 였다면 이건 어떤 의미일까요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2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먼저 성취도 E는 성취율 60% 미만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이를 결정하는 '기준 성취율에 따른 분할점수'는 학교별로 정합니다. 따라서 두 학교의 성취도분포비율이 다른 것은 두 학교가 "기준 성취율에 따른 분할점수를 과목별로" 다르게 설정하였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E비율이 30%인 학교와 50%인 학교에 대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것은 없습니다.
      (추신)답변이 늦어진 점 양지바라며, 고교 선택에서 늦지 않았기를 바랍니다.

  • @ahs593
    @ahs593 3 года назад +1

    그럼 학생부교과전형 중 z점수로 선발하는 대학(시립대..)의 경우도 표준편차가 높은 일반고교가 불리한 면이 있지 않나요 ?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만 불리하다 하신거 같은대 확실히 알고싶어서요..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3 года назад +2

      수시모집 학생부교과전형에서는 대부분의 대학이 석차등급과 진로선택과목에서 부분적으로 성취도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연세대의 경우는 석차등급과 Z점수를 함께 반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에서 표준편차의 높고 낮음으로 인한 불이익은 없습니다. 또한 Z점수는 표준편차만의 문제가 아니라 원점수와 평균과 함께 연관된 점수입니다. 표준편차만 높다고 해서 무조건 불리한 것은 아닙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ahs593
      @ahs593 3 года назад

      @@홍동호입시톡 도움말씀 감사합니다 잘 이해했어요

    • @춘식이는고구마를-i4i
      @춘식이는고구마를-i4i 2 года назад

      @@홍동호입시톡 학생부 교과 전형은 원점수랑 표준편차 등등 잘 안보나요(=교과는 등급만 보나요) ..?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2 года назад +1

      ​@@춘식이는고구마를-i4i 연세대를 지원하신다면 "원점수와 표준편차"에 신경써야합니다만, 이외의 대학에서는 석차등급만 관리하면 됩니다. 덧붙여 참고로, 대부분의 성적에서 석차등급과 Z점수(원점수와 표준편차)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 @주희-t5m
    @주희-t5m 2 года назад

    저희 학교는 지방 일반고인데 저희 학년 인원이 100명 남짓이라서 1등급 4명, 2등급 11명까지입니다
    요즘들어 드는 생각이 조금 빡세더라도 인원수 많은 타지 학교로 가는 게 나았으려나 하는 생각이 자꾸만 듭니다ㅠㅠ
    학생부 볼 때 학교 총인원도 고려해주나요?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2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학생부를 고민하시는 것으로 보아 수시모집 중 학생부(종합, 교과) 관련 지원을 고려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답변을 드리면, 저의 경험상, 학생부전형에서 학교의 총인원을 고려한다는 것입니다. 학생부교과전형에서는 과목별 학생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본인이 성취한 성적에 대해 별도 산정하는 대학들이 있습니다. 단, 대학마다 산정기준을 다르게 책정하므로 지원하려는 대학의 전형요강을 꼼꼼히 살피기 바랍니다. 그리고 학생부종합에서도 고려합니다. 인원수가 적음에도일정정도의 성취도를 받았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점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 @diselking
    @diselking 2 года назад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제가 현재 다니는 학교가 국영수+모든 선택과목은 모두 평균이 80점대 후반이고 표준편차가 9~11정도인데 딱 한과목만이 평균 60점대에 표준편차가 20으로 나옵니다. 이런경우에는 대학교에서 어떤식으로 평가를 할까용 ㅠㅠ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2 года назад

      먼저 대학에서는 "평균이 높고 표준편차가 작다"는 것만으로 평가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외에도 학생들의 활동 등 다양한 요소들과 함께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평균이 높고 표준편차가 작다"는 것은 그만큼 학업적 역량이 우수한 학생들이 몰려있는 경우일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우수한 학생들이 몰려있는 학교에서 "평균이 낮고 표준편차가 큰" 과목에서 좋은 점수를 가지는 학생이라면, 그 과목의 학업역량과 함께 그 과목과 관련이 있는 분야에서 우수한 학생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입니다.

  • @키안티-m8j
    @키안티-m8j Год назад

    학종으로갈때 z점수는 모든학교가 쓰는건가요??아니면 특정대학만 쓰는건가용??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Год назад +1

      Z점수는 학생부교과성적을 산출하는 기준입니다. 현재로는 연세대를 위주로 학생부교과 전형에서 반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Z점수는 학종전형이 아닌 교과전형에서 점수화하여 사용합니다. 그러나 Z점수가 학생의 학교내에서의 학업우수성을 판별할 수 있는 만큼 학종에서 2.3, 1.2 등과 같이 점수를 산출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교내에서 어느 정도의 성적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산책왕
    @산책왕 3 года назад

    학종에서 Z 점수를 가장 많이 반영하는 대학은 어디인가요? 자녀가 자사고 재학 중인에 표준편차가 7~10사이 입니다.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3 года назад

      내신성적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학생부교과와 달리, 학종은 내신성적의 정성적 평가를 통해 신입생을 선발합니다. 정성적 평가에서는 석차등급 50% + Z점수 50%와 같이 성적을 반영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원하는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추어 학기별, 학년별 이수과목의 종류, 이수단위,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평가합니다.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203김예지
    @2203김예지 3 года назад

    내신 z점수가 뭔가용..?

    • @홍동호입시톡
      @홍동호입시톡  3 года назад

      z점수란 내신 뿐만 아니라 수능에서도 활용됩니다.
      z점수를 산출하는 식은 {(원점수-평균)/표준편차}입니다. 계산하면 대체적으로 +3.0 ~ -3.0으로 산출됩니다. 평균을 중심으로 학생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대학에서는 이를 석차백분율 환산표에 적용하여 학생의 석차백분율 산정하는데 활요하기도 합니다. 수능에서는 국어, 수학, 탐구 영역에서 제공하는 표준점수가 z점수를 기반으로 산정된 점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