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선생님의 영상을 보면서 철근배근에 많은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철근 공부 하던 중 다른 유튜버가 올린 영상내용중에 궁금증이 있어 선생님께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내용인 즉 슬레브 하부철근 배근시, 보 상부철근 밑으로 배근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던데, 선생님 의견을 알고 싶습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철근공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현재 일하고 있는 현장 전실슬래브가 T자형태 입니다. 길이로 본다면 ㅡ ㅣ 두방향 모두 1방향 슬래브 입니다. 가운데 보가 없어서 주근을 한방향으로 통일해서 배근하고 있는데 중간 부분을 끊어서 따로 배근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보통 이런경우 한방으로 배근해오고 있었는데 감리분과 마찰이 있어서 궁금합니다. 추가로 장단변 길이가 30전정도 차이나는 2뱡향 슬래브 주근 부근 정말 의미가 있는 건가요? 답답합니다.
첫번째 질문을 제가 이해한 바로는 모든 슬래브가 일방향슬래브인데 슬래브의 주근 방향이 다른 슬래브도 있는 케이스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일방향 슬래브는 하중의 대부분이 한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귀찮으시더라도 방향에 맞게 주근을 배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방향슬래브는 길이가 짧은 쪽으로 더 많은 하중이 전달됩니다. 길이 차이가 작더라도 주근이 바깥쪽에 위치해야 더 단변방향으로 큰 힘을 받을 수 있겠죠. 시공성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제 입장에서도 원칙을 우선 말씀드릴 수 밖에 없습니다. 최근 큰 사고가 몇 개 발생하면서 감리분들도 조금 더 깐깐해지신 것 같습니다.
어떤 철근 배근 이론 보다 어떤 형상 보다 기술적으로 시청각 교육이 확실히 되는
건축 구조 원리 시공 원리 최고의 방송입니다. 현직 건축현장 감리단장으로 늘 감사하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이 방송이 많은 건축실무자와 건축학도가 이용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와~우 선생님 즉시 올려주셨네요...
선생님 덕분에 저의 철근지식이 디테일하게 일취월장하고 있습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최근 몇년동안 써보질못하다가 최근에 다시 시공하게 되어서
혹시나 시공방법이 있나 했더니 이렇게나 있네요.^^
잘보고 갑니다~
할 수 있는게 좋아요 밖에 없다니 감사합니다
요즘 선생님의 영상을 보면서 철근배근에 많은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철근 공부 하던 중 다른 유튜버가 올린 영상내용중에 궁금증이 있어 선생님께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내용인 즉
슬레브 하부철근 배근시, 보 상부철근 밑으로 배근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던데, 선생님 의견을 알고 싶습니다.
수고하세요.
보 철근 밑으로 가면 그만큼 상부근 위치가 내려가서 내력이 감소합니다. 피복 20mm를 지켜야 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단변방향주열대상부근과 장변방향벤트근의 시공 순서를 바꾸는 것은 어떨지 질문드립니다.
슬래브가 1방향일 때와 2방향일 때 다를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조언해 주시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장변방향 벤트근이 단변방향 주열대 상부근보다 더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즉 중립축에서 더 멀리 배치하면 구조 내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1방향 슬래브는 2방향 슬래브와 비교할 때 주열대 폭을 정하는 기준 등이 달라집니다. 배근 순서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C타입의 기본 배근시 맞배근이 맞다 엇배근도 가능하다 . 뭐갖맞을까요? 어떤 규정 기준이 있을까요, 0:32
정해진 기준이 없어서 둘 다 상관없습니다. 다만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등을 고려하면 엇배근이 더 나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장변 방향 주열대 상부근을 이음할때 이음길이 적용과 장변방향 주열대 하부근을 이음할때 이음길이 적용은 인장이형철근 압축이형철근 어떤것을 적용하는지요
이음은 모두 인장 이음으로 합니다. 압축이 발생하는 구간에 정확히 맞추어서 철근을 이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철근공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현재 일하고 있는 현장 전실슬래브가 T자형태 입니다.
길이로 본다면 ㅡ ㅣ 두방향 모두 1방향 슬래브 입니다.
가운데 보가 없어서 주근을 한방향으로 통일해서 배근하고 있는데 중간 부분을 끊어서 따로 배근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보통 이런경우 한방으로 배근해오고 있었는데 감리분과 마찰이 있어서 궁금합니다.
추가로 장단변 길이가 30전정도 차이나는 2뱡향 슬래브 주근 부근 정말 의미가 있는 건가요? 답답합니다.
첫번째 질문을 제가 이해한 바로는 모든 슬래브가 일방향슬래브인데 슬래브의 주근 방향이 다른 슬래브도 있는 케이스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일방향 슬래브는 하중의 대부분이 한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귀찮으시더라도 방향에 맞게 주근을 배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방향슬래브는 길이가 짧은 쪽으로 더 많은 하중이 전달됩니다. 길이 차이가 작더라도 주근이 바깥쪽에 위치해야 더 단변방향으로 큰 힘을 받을 수 있겠죠. 시공성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제 입장에서도 원칙을 우선 말씀드릴 수 밖에 없습니다. 최근 큰 사고가 몇 개 발생하면서 감리분들도 조금 더 깐깐해지신 것 같습니다.
상황에 따른 예외규정도 있나했습니다. 감사합니다.@@rebar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