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세 보증금 그냥 돌려주지 마세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62

  • @애지중지-o1x
    @애지중지-o1x 2 месяца назад

    고급정보 감사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역전세 되있는집을 매수하려는데
    상황은 비슷하겠네요
    세입자가 대출이 있는경우
    매수자는 세입자 대출은해에 돈을줘야하겠죠.
    그런데
    오래되서 집주인도 채권양도 통지서를 받았는지 기억을 못하면 어떻게 세입자가 대출받았는지 알수 있나요?

  • @yeonjeongcho6383
    @yeonjeongcho6383 Год назад +5

    와. 중요한 내용 새롭게 알게되었습니다.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어반2025
    @어반2025 Год назад +4

    오늘 중요한 사항을 한가지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wendykim5624
    @wendykim5624 Год назад +4

    와 정말 아찔한 상황이네요 조심하고 신경 써야겠어요 고맙습니다~

  • @a450225
    @a450225 Год назад +4

    근래 본 동영상 중 가장 갈끔하고 좋았습니다^^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힘이 되는 댓글 감사합니다.

  • @로지-n3d
    @로지-n3d Год назад +4

    중요한내용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조블랙-c4t
    @조블랙-c4t Год назад +2

    중요한 내용이네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 @놀부-g5s
    @놀부-g5s Год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임대할 때 꼭 살펴보겠습니다.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네. 임대할 그날 응원하겠습니다

  • @barkeelee
    @barkeelee Год назад +20

    참 재미있는게 전세가가 떨어지면 임대인은 힘들어도 상관없고, 전세가가 오르면 최대 5%까지만 올릴 수 있고 임차인은 계약갱신청구권까지 쓸 수 있다는거....

    • @비올레타-y3f
      @비올레타-y3f Год назад +3

      맞슴다 저도 요즘 역전세 때문에 죽을맛이네여 ㅠㅠ

    • @MingMing-bn6kn
      @MingMing-bn6kn Год назад +1

      아무래도 소유권을 갖은 사람 갖지않은 사람의 차이겠죠... 그리고 법이 약자를 보호하는거라서....어쩔수없죠머

    • @우왕그
      @우왕그 Год назад +2

      꼬우면 넘에돈으로 갭투자하지말고 능력껏 하시면됩니다

  • @insukim938
    @insukim938 Год назад +1

    전혀생각도못했던 내용이네요. 또하나배워갑니다.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좋네요!

  • @한강온도계
    @한강온도계 Год назад +1

    결국 세입자말고, 은행에 보증금을 돌려주라는 말이잖아요.
    그러면 세입자가 부담하는 이자도 낮아집니다.
    은행에 돌려주건 세입자에게 돌려주건 어쨌든 세입자한테는 이득입니다.

    • @tiwhshdh
      @tiwhshdh Год назад

      은행돈2억 임차인돈1억해서 3억이고 감액해서 2억이면 굳이 은행에 1억줄필요는 없죠 영수증만 받아놓으면

  • @방식신-x6d
    @방식신-x6d Год назад

    제가 가계약시
    작성한 계약서를
    잔금 치룰때 계약서 수정이 가능한지요
    가계약 당시 집을 매매를 하지 않기로 했는데
    중간에 집을 매매할 수도 있어서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1 가계약(계약금 일부)만 하신 상태인지
      2ㅡ 지금 가계약서를 쓰고 서명 날인한 건지
      3. 집을 팔지 않는다고 구체적인 내용을 쓰셨는지.
      알려주시겠어요?

  • @Horiloli
    @Horiloli Год назад +1

    임대인이 한번 낮춘 전세가는 다시 올리려면 5%만 올릴수 있어서 대출 그대로 유지하고 이자 지원해주겠다고 하는데 이럴때 이자 계산을 전세가 전체로 해야하는지 대출금액만 해야지 하는지 궁금하네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칼자루 있는 사람한테 유리하게 협상하시되.
      전세금 전체x
      대출금액 전체x
      유지하는 대출금-시세로 낮췄을때 대출금
      의 차이만큼 이자 받는 게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 @비올레타-y3f
    @비올레타-y3f Год назад +2

    구독 눌럿습니다~역전세 맞아서 세입자한테 역월세로 주기로 햇어요 ㅠㅠ 힘듭니다 ㅠㅠ

  • @정진-h4n
    @정진-h4n Год назад

    진짜 많이 알아야하네요 안당하고 살려면

  • @유은영-r8t
    @유은영-r8t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 @genga1
    @genga1 Год назад

    채권양도통지서는 질권이라는 말씀이신가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네. 그렇게 생각하심 됩니다

  • @hongsoonkim571
    @hongsoonkim571 Год назад +3

    흠...

  • @miumau667
    @miumau667 Год назад +9

    임차인이 어떤 대출 받았는 지 그게 진짜 중요하네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정답!! 맞습니다. 임차인분과 미리 꼭 말씀나눠보세요

  • @JH-fb7pw
    @JH-fb7pw Год назад

    전세대출 보증금은 은행에 갚잖아 임차인이 아니라

  • @elijoe0505
    @elijoe0505 Год назад

    핵심은 채권양도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채권양도!! 질권 설정도 비슷합니다.

  • @kby-1970
    @kby-1970 Год назад +1

    말도 안되는 법

  • @hayabusa5933
    @hayabusa5933 Год назад

    3억전세에 3억전세대출 안됩니다.
    2억7천도 안됩니다. ^^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허그안심전세대출이란 건 90% 가능.
      중기청대출은 100% 가능한 것도 있어요

  • @김동배d9Wldsw
    @김동배d9Wldsw Год назад

    이런걸 아무도 안알려주네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도움이 된 것 같아. 저도 좋네요!!

  • @xusheng-hj1rc
    @xusheng-hj1rc Год назад

    너무 이상해요ᆢ
    대출은 본인 명의로 받는건데
    대출을 안갚고 도망갈수가있는건가요?

    • @hyun____
      @hyun____ Год назад

      3억전세 ->임차인 2억7천 전세자금대출 ->은행에서 임대인에게 질권설정(세입자에게 전세금 주면 안되고 은행에 줘야함, 그렇지 않고 문제 생겼을 시 임대인 집은 은행에 넘어갈수 있음) -> 역전세 상황 보증금 세입자에게 돌려줘야할 금액이 1억이라면 세입자는 7000의 차액이 생김 -> 안갚으면 임대인이 처리해야함 -> 따라서 재계약 하기전 은행에 물어보고 세입자에게 물어보고 부동산에 물어보고 진행하라는 말

  • @건강과행복-y5l
    @건강과행복-y5l Год назад

    세입자가 어떤 은행에 대출받았는지를 어떻게 알죠?

  • @user-yh9wj1ng8f
    @user-yh9wj1ng8f Год назад +2

    갭투자도 안해보고 전세살아보지도 않아서 잘몰겠지만 전세대출의 채권자는 빌려준은행이고 채무자는 세입자일텐데 대출계약의 당사자엔 집주인은 없을텐데, 전세가격낮춘만큼 집주인이 돈돌려주고 세입자가 돈받고 도망가면 그건 채권채무관계인 은행 세입자끼리의 일 아닌가요? 집주인이 왜 세입자가 도망갈경우 책임질일이 생기는건가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2

      채권양도라는 게 '보증금 임차인 말고 은행으로 직접 돌려줘야 합니다'란 거예요. 대부분 전세대출이 그렇습니다. 그래서 보증금 반환 전에 임차인.은행에 먼저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 @mosesl3105
    @mosesl3105 Год назад +3

    채권 양도 통지서라는게 삼자가 은행이 계약하고 통지서만 보내면 끝인가요? 허점이 많아보이는데요? 전세 대출한 집주인이 집을 팔아서 집을 산 주인은 채권 양도의 유무를 알수 있나요? 전주인도 속이고 세입자도 전세 대출이 없다고 속이면 집을 양도 받은 새주인은 눈뜨고 당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채권양도의 유무를 등기에 기입하도록 만들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1. 임차인 전세 대출 받으면 2. 상당수 은행이 채권양도를 합니다 3. 임대인 동의 필요없는데 4. 은행에서 임대인한테 여러번 연락이 가고 5. 등기우편으로 통지서가 갑니다. 6. 통지를 못 받는 경우는 없을 거예요.

  • @귀곡산장-u3e
    @귀곡산장-u3e Год назад

    전세 보증금은 세입자가 짐을 뺐을때 집 상태보고 주는 거지요? ( 집에 수리할거 보고 보증금에서 공제 하고 보증금 주는거지요? )

  • @sheldonyoon1123
    @sheldonyoon1123 Год назад +1

    임차인이 어디로 도망을 가지?
    있을 수 있는 일인가 모르겠네요. 은행이 빙다리핫바지가 아닌 이상...

    • @tiwhshdh
      @tiwhshdh Год назад

      생각은 해볼수있음 임차인 입장에서슨 2억7천대출이 있었는데 뜻하지않게 집주인론으로 7천더땡긴상황 강랜가서 한탕하고 파산해뿌면 질권설정된 전세집에서 은행이 1순위로 2.7 다받아 챙겨가니 집주인은 눈뜨고 7천 손해보는 일이 생김

    • @tiwhshdh
      @tiwhshdh Год назад

      그러니 결론은 세입자가 3억집에 본인돈1억이고 나머지가 대출이라면 아무문제는 없는상황임 그래서 대출얼마나 땡겼나 확인하라네요~

  • @음치커치
    @음치커치 Год назад +3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에 전세 계약 만료가 7월 말이라 연장안하기로 문자는 남겨놨습니다 . 그런데 제가 걱정하는것은 제가 들어온 전세가가 3억1천만원인데 지금 전세가가 떨어져 2억 초반때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제돈이 들어간것은 6천 정도이고 나머지는 허그대출(전세자금대출)진행 하였습니다 . 계약 만료시 집주인이 돈은 안돌려준다하면 어떠한 방법을 취해야 할까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3

      아이고. 불안한 마음이시겠네요.
      1. 집주인이 어정쩡하게 답을 미룬다면, 만기전 내용증명(나갈테니 돈 돌려달라)
      2-1. 계약만료가 되도 못 받으면 허그에 신청.
      2-2. 만료 1개월 지나야 될 거예요. 관련 조항이 있을 겁니다.
      3-1 돈 받기 전에 주소 이전하심 안 되고
      3-2이사가야한다면 임차권 등기 명령
      하셔야 합니다

    • @음치커치
      @음치커치 Год назад

      @@부티인 집주인분 문자 답장은 좋게 와서 한편으로는 안심인데 제가 계약 만료후 다른곳 매매 특례보금론을 신청하려 합니다 5월 말쯤에 신청해서 심사를 봐야한다는데 신청승인이 났는데 잔금날 돈을 못돌려받으면 어떠한 상황이 생길까요?

    • @부티인
      @부티인  Год назад

      @@음치커치 음.. 돈을 못 받으면
      이사갈 집 잔금을 못 내서 -계약파기+계약금 떼이는 게 제일 큰 위험일 것 같습니다.

    • @귀곡산장-u3e
      @귀곡산장-u3e Год назад

      전세대출 이자는 얼마예요?

    • @trudy2023
      @trudy2023 Год назад

      @@음치커치 무조건 전세금 다받기 전까지 집계약하지마세요 요즘 마지막에 전세금못받는경우가생겨요 ㅠㅠ 전세 들어 온다는 사람한테 계약금받을때까지 기다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