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6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열성경련은 정상 아이도 3-4% 경험한다
    열성경련에 대해서 경련하기 전에 미리 알아두자
    열성경련 시 제일 주의할 것
    당황하지 말자
    경련 그 자체는 위험하지 않다
    당황하면 위험해질 수 있다
    열성경련의 발생
    정상인 아이들에게서 생긴다
    6개월-5세 사이 발생
    38.9도에서 잘 생기지만 더 낮아도 생긴다
    처음 열 올라갈 때 잘생긴다
    열성경련을 해도 나중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열성경련의 증상
    의식 없어지고 눈 올라가고 손발 떨고 온몸이 뻣뻣
    1-2분내 멎고 5분 넘기는 경우 드물다
    15분 이상 지속되지 않고
    24시간 내 재발하지 않는다
    5분 이상 지속되면 응급실로 간다
    단순 열성 경련 아닐 수도
    15분 이상 지속
    24시간 내 2번 이상 발생
    경련이 비대칭
    열 없이 경련한 경우
    열성 경련과 의사 진료
    멎으면 소아과 진료 받자
    첫 번째 열성 경련은 수초만 해도 바로 소아과로 가자
    열성 경련 의심되지만 응급실로 가야하는 경우
    5분 이상 경련
    경련이 반복되거나
    좌우 비대칭 경련
    경련하면서 토하거나 목이 뻣뻣
    숨 잘 못쉬거나 너무 졸려할 때
    경련할 때 부모가 주의할 점
    당황하지 말고 안전하고 평편한 곳에 눕히자
    머리 돌려서 눕히고 숨막히지 않게 하자
    입에 물건 넣지 말자
    해열제 먹이지 말자
    방 시원하게 하고 옷벗기고 물로 닦을 수도
    아이를 잘 관찰하자
    경련 양상과 지속시간은 꼭 확인하자
    이게 중요한 정보
    단순 열성경련과 심각한 경련성 질환 구분에 중요
    5분이상 경련하면 119부르자
    열성경련의 빈도
    정상아이들의 1-5%정도
    재발의 빈도
    처음 경련 30% 재발
    두 번 경련 50% 재발
    1세 미만 처음 경련 50% 재발
    열성경련과 경련성 질환
    다른 경련성 질환과 연관없다
    다만 다른 경련성 질환이 있으면
    열성경련할 수도 있다
    5세가 되면 확 줄어든다
    열성경련 시 좌약 사용
    당장에 열성경련 멈추는데는 별 효과 없다
    경련하는데 그거 찾아서 넣을 생각하지 말자
    열성경련한 아이 해열제 더 열심히 먹일까?
    그럴 필요 없다
    그냥 열나면 먹인다 이정도면 충분
    열심히 먹여도 열성경련 더 예방은 힘들다
    열성경련하면 소아과 진료 받자
    여러번 할 수도 주의하자
    첫 경련은 반드시 소아과 바로 가자
    열성경련 재발 잘하는 경우
    1세 미만이거나
    열난지 하루이내 경련
    낮은 열에서 경련한 경우
    가족력 있거나
    15분이상 경련하거나
    24시간내 2번이상한 경우
    경련 멎추는 약 함부로 먹이지 말자
    경련 멈추는 약은 반드시 처방에 의해서만 먹이자
    잘못하면 진단 늦어질 수도
    열성경련 때문에 경련성 질환되는 거 아니다
    미리 알고 대비해두면 좋다
    #육아 #삐뽀삐뽀119소아과 #열성경련 #해열제 #열 #고열 #경련성질환
    배경음악은 Bensound로부터 Standard Licence를 구입하여 사용 허가를 받은 음악입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39

  • @silver_Sunshine
    @silver_Sunshine 4 месяца назад +27

    선생님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저희아이들은 그러고보면 경련없이 잘큰거 같아요
    그래도 열심히 시청했어요
    여러가지 위급한상황이나 애들이 아플때 선생님의 영상보고
    진짜큰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너무너무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명절잘보내셨나 모르겠어요
    아이키우시는 부모님들 모두 아이들과함께 건강하구 행복한 가정되시구
    하정훈 선생님도 건강하시구 앞으로도 좋은나날 되셨음 좋겠습니다

  • @강영숙-s8g
    @강영숙-s8g 4 месяца назад +8

    유익한 방송 감사드립니다.

  • @samllpencilchoi5737
    @samllpencilchoi5737 4 месяца назад +26

    지난 토요일 14일 오후에 저희집 아이가 갑작스레 열성경련에 걸려 집안이 발칵 뒤집어졌었습니다.. 다문화 가정이고, 집에는 아기와 한국어를 모르는 장모님만 계서서 더더욱 문제가 심각했었죠,, 아기 엄마를 통해서 빨리 집안 현관문만 열어놓으라고 전달하고 119에 전화해서 집안 사정을 이야기 하고 집까지 가는 데 한시간 정도 걸리니 출동해서 아기 상태 확인과 초기 대처만 해주면 좋겠다고 도움을 요청해서 대학병원 응급실까지 연결을 받았네요.. 일찍 들었으면 좋았겠지만, 지금이라도 알아두니 든든합니다.. 감사합니다.

  • @nightbird9853
    @nightbird9853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여동생이 오은영이야기하다가 진짜 전문가시래서 들어와 봤습니다 대단하시네요

  • @네정-e7t
    @네정-e7t 4 месяца назад +16

    아기 돌지나자마자 열성경련 왔는데 진짜 머리가 새까매지고 손발이 덜덜 떨리더라구요.. 저는 간호사라 어느정도 알았지만 이게 내 자식이니 또 다르더라구요..
    바로 동영상을 찍었는데 저희 엄마는 애잘못된다고 저 엄청 뭐라했네요^^; 애는 사지늘어뜨리고 덜덜 떠는데 폰부터 켜니 할머니는 황당했겠죠..
    그때 119타고 병원 못구해서? 1시간반 넘게 걸려 응급실갔는데 그동안 정신다돌아오고 괜히 응급실갔다 싶었어요. 가서 별검사도 안하고 피검사 소변검사만하고 정상 이래서 왔는데 집와서 다음날 또 고열나서 집근처 소아과갔더니 코로나더라구요. 그 응급실에선 왜 코로나검사조차 안했는지.. 23년1월이라 코로나 끝물이긴 했지만.. 암튼 애기 바로 입원시키고 겨우 나았어요.. 그때 2주넘게 입원했고 그뒤로 38.5도만 넘어도 무서워서 입원시키게되더라구요. 열성경련은 진짜 부모가 트라우마생기는것 같아요ㅜㅜ

  • @백두누나yj
    @백두누나yj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 @whcmscms
    @whcmscms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지난 추석 연휴 때 6개월 아기 첫 열성 경련으로 소아응급실 다녀왔었어요ㅠㅠ 교수님이 가족력을 물어보셔서 의아해했는데 유의미한 요인이었군요

  • @lliiiliill
    @lliiiliill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수족구로 열성경련왔는데
    눈이 뒤집히고 숨 꺽꺽 거리면서 못쉬고
    눈도 흰자 뒤집어져서
    119 불렀는데....
    응급실 의료 파업으로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서
    대처도 못하고 계속 대기만 하다
    엠뷸런스에서 또 경련와서 숨못쉬고 눈돌아가고....
    수도권 사는데도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서 타지역 인천까지 갔어요...
    진짜 의료 파업 제발 끝나면 좋겠습니다
    병원에서 어느쪽 눈동자가 돌아갔는지도 물어보니까 꼭 체크하세요 ㅠㅠ

  • @김재헌-y3g6d
    @김재헌-y3g6d 4 месяца назад +13

    첫 애기 두돌까지 9번열성경련 했어요 처음엔 119 전화했을 때 주소도 까먹어서 말이 안나오더라구요
    15분 좀 안되게 했는데 여러 횟수 지나가면서 갈수록 하는 시간도 줄고 경련 정도도 줄더라구요
    열 날 때마다 비상이긴 하지만 처음때보단 진정하고 침착하게 대처 합니다 아기 낳기전에 하정훈 선샌님 강의를 잘 챙겨봤는데 여러모로 도움이 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

  • @lee-gr9mt
    @lee-gr9mt 4 месяца назад +3

    2번째 열성경련멈추고 소아과로 갔는데, 소아과의사는 왜 응급실을 안갔냐면서 화를 내더군요 지금 생각해도 어이 없어요 완전 뇌전증 아이취급하는 그 분위기가 아주 싫었어요 .. 하정훈 선생님 적어놓으신 증상 그대로 이구요 뇌파검사도 받아보라 그러더군요 결과는 정상이었어요 첫번째는 물론 종합병원 응급실 갔었어요 별이상은 없다고 하셨어요 41개월 이후로는열성경련 없었네요 열도 39도이상 넘어 가지 않구요 커야 괜찮은거 같습니다

    • @mono12780
      @mono12780 4 месяца назад

      의사가 아기를 생각하니까 화를 내는거예요.. 열정이 없으면 화를 내지도 않습니다 화를 낸게 잘했다는게 아니라 우리동네엔 그런 의사선생님이 안계시니 부러울 정도네요

  • @aliciakim1216
    @aliciakim1216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와.. 제 아이들이 다니는 소아과 선생님이 해주신 말씀이랑 똑같아요!

    • @min_omin
      @min_omin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음... 당연하죠 소아과 의사시니까요

    • @aliciakim1216
      @aliciakim1216 4 месяца назад +2

      @@min_omin 그런 의미가 아니라, 저렇게까지 상세하고 친절하게 잘 설명해주시는 걸 보니 우리 아이들은 참 좋은 의사선생님을 만났구나 생각이 들었는데, 하정훈쌤이랑 똑같이 설명해주시니 더더욱 신뢰가 간다는 의미로 한 이야기예요

    • @aliciakim1216
      @aliciakim1216 4 месяца назад +2

      @@min_omin 안그런 의사들도 많아요. 여전히 태열 이야기하고, 4개월부터 쩝쩝 거리면 이유식 시작하라하고 이런 의사들이요

  • @mjkim9492
    @mjkim9492 4 месяца назад +28

    단순 열성경련은 만5세 지나면 자연 소멸합니다..!
    물론 그걸 보는 엄마는 정말 괴롭지요. 특히 처음 경련하는 걸 보면, 아이 죽는것 같아 엄마가 숨 넘어갑니다😢
    저도 첫째 열성경련으로 구급차 무수히 탔던 엄마인데요, 다 지나가더라구요.
    엄마들 힘내세요..!👍

  • @yjbang1944
    @yjbang1944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늘 감사합니다. 아이 팔 탈골이 종종있는데 그것도 다뤄주실 수 있을까요? 매번 응급실가다 이젠 집에서도 뚝 껴주기는 하는데 정확하게 알고싶습니다.

    • @jyk561
      @jyk561 4 месяца назад

      맨날 외할머니가 빠진팔껴주셨는데ㅠㅠ

  • @jeonghokim-h3d
    @jeonghokim-h3d Месяц назад

    아이가 자고 있는데 깨워서 39도일때 깨워서 해열제를 먹여야할까요? 감사합니다.

  • @김화영-p2n
    @김화영-p2n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 안녕하세요~
    어제 저희아이 12개월차 폐구균과 뇌수막염 예방접종을 했는데요. 접종 후 미열(36.7~37.2 정도)이 있는 상태였지만 컨디션은 좋아보여서 해열제를 먹이진 않았습니다. 그런데 몇분 사이 갑자기 몸이 뻣뻣해지고 얼굴이 퍼래지며 경련을 하여 119를 불러 소아과를 가면서 열을 재니 40도까지 열이 올랐었고요... 현재 소아과에 입원하여 해열제와 수액을 맞고 안정을 찾은 상태인데요. 지금까지 예방접종을 하면서 한번도 이랬던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예방접종 후 접종열로 인해 경련까지 온 것 같아 예방접종을 하기가 무섭습니다. 열경련이 재발할 가능성이 있더라도 예방접종을 하는게 맞는거겠죠?

  • @Blackswanize
    @Blackswanize 4 месяца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선생님 세돌 다되가는 아이가 일년이 조금 넘는 기간동안 열성경련을 5번 했더니 신경과에서 항경련제 투약을 선택하라 하셨는데요 부작용도 많고 한번 먹으면 오랜기간 끊지도 못한다 들어서 일단 6개월만 더 지켜보자 하고 있는데 열성경련이 뇌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약 안먹여도 괜찮은걸까요 ㅜㅜ?
    비슷한 경우 먹으라는 얘기 못들었다는 분들도 계신거 같아서요
    대학병원에서는 바쁘신건지 아무리 물어도 설명을 안해주셔서 답답합니다 다른곳들 가봐도 마찬가지셨구요 ㅜㅜ
    넘어지며 다친다던가 하는 2차적인 부상 문제는 지금까지도 고열일때 쳐지면서 누워있다가 했기때문에 없었고 애가 아직 어려 항상 옆에 있기 때문에 크게 문제될것 같지는 않습니다

    • @julie310
      @julie310 4 месяца назад +7

      저희 큰아이가 만5세인데요 작년까지 한달에 한번씩 열성경련을 하고, 하루에 두번한적도 있고 때때로 열없는 경련도 있어서 서울에 3대병원중 1곳과 다른 대학병원에서 뇌파, mri 다 했는데 이상이 없다고 해서 열나면 선택적으로 경련을 하지 않게 하는 약을 먹어보자고 권유받았는데요. 결과적으로는 효과가 없었구요. 만5세가 된 올해 생일 쯔음부터 한번도 안하기 시작했어요
      참고로 신촌ㅅㅂㄹㅅ 에서는 약먹을 필요가 없다고 하셨어요. 제가 뭔가 답을 들일수는 없지만 제 경험이 참고가 되시길 바래요!

    • @Blackswanize
      @Blackswanize 4 месяца назад

      @@julie310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저희는 s대 병원이랑 k대 병원에 갔었는데 일년에 5번이면 이 자체로도 케프라 복용 권유한다 하시고 첫 뇌파는 깨끗했고 두번째 뇌파검사에서 애매하게?(s대는 설명 거부하셨고 k대 소견으론 그냥 경련했었다?정도 알수 있는 수준?단순열성경련일수도 있다고 하심) 나왔다고 하시면서 단순열성경련도 뇌에 안좋다고 얘기하셨는데(근데 그 전에는 항상 아무 문제 없다 하심;;;) 얘기가 자꾸 달라지시니 더 혼란스럽더라구요
      다른병원은 일시적으로 먹는 디아제팜 처방도 한다고 들었는데 s대 병원에서는 중독성이 강하고 부작용이 커서 처방 못해준다 하시고 k대 병원은 또 해주신다 하시고 ㅜㅜ

    • @Blackswanize
      @Blackswanize 4 месяца назад

      뇌전증 약물치료의 발작 조절률이 46%밖에 안된다 하고 여러약 쓰면 부작용은 너무 커지는 부분도 너무 걱정이구요 아이가 좋아졌다니 너무 다행입니다 저희 아이도 다른 모든 아이들도 얼른 좋아지길 간절히 기원합니다 🙏

    • @엄마튼트니
      @엄마튼트니 4 месяц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혹시 아이 유전자검사 해보셨는지요 4:37

    • @Blackswanize
      @Blackswanize 4 месяца назад

      @@엄마튼트니 s대병원에서 못하게 몇번이나 적극적으로 말리셨어요 아직 어려서 채혈자체도 위험하 해봤자 달라지는거 없다시면서요 ㅜㅜ

  • @hmtr8712
    @hmtr8712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선생님 ! 선생님의 유튜브와 책을 통하여 육아를 배우고 있는 78일차 아기 엄마입니다 !
    영상과 관련 없는 질문이지만 궁금한것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7-8시에 일정하게 잠자리에 들어가는게 좋다고 하셨는데, 잠자리 들어가기전 막수를 먹어야하는데 그때 수유텀이 짧거나 배고파하는 신호가 없을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신호가 없고 텀이 짧더라도 조금 먹이고 밤잠에 들어갈수 있도록 맞추면 될까요?
    또 예를 들어 어떤날은 4시에 수유를 할때가 있는데 5시에 잠이 들어 그 뒤로 깨지않고 쭉 자게 될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ㅠㅠㅠㅠㅠ도움 부탁드립니다😭

    • @네정-e7t
      @네정-e7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안깨고 잘자면 깨워서 먹일 필요 없을것 같아요ㅎㅎ 지나가는 23개월 맘 입니다!

    • @hmtr8712
      @hmtr8712 4 месяца назад

      @@네정-e7t 답글 주셔서 감사합니다^^혹시 예를들어 7시에 잠자리 들어가고자 6시쯤 막수를 원하는데, 5시쯤 먹게 되어 텀이 어정쩡하게 될때는 혹시 어떻게 하시나요?

    • @네정-e7t
      @네정-e7t 4 месяца назад

      @@hmtr8712 아직 3개월도 안되서 꿈수해주는게 좋지않을까요?ㅜ 저는 10시나 11시쯤 꿈수해줬었어요.

  • @다밍-e9f
    @다밍-e9f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선생님,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유익한 정보들 늘 감사하게 챙겨보고 있습니다
    질문은 처음 드리는 것 같은데요 실례가 안된다면 답변 부탁드려요 6개월 아기이고 곧 6개월 접종을 할 예정입니다 그런데 오늘 낮에 인플루엔자 1차 접종 시기라는 문자를 받았어요 독감 주사 같은데..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접종 영상을 찾아보니 엄마가 B형간염 보유자가 아니라면 3차를 독감2차에 같이 맞고 디피티 폐구균 로타 독감1차를 한번에 먼저 맞으라고 되어있더라고요 근데 3년전 영상이라.. 변함 없이 현재도 권장하시는 부분일까요? 접종때마다 열이 나던 아기라 폐구균과 독감을 같이 맞았을 때 괜찮을지 걱정이 됩니다..

  • @뚝딱이맘쭌이쭌
    @뚝딱이맘쭌이쭌 4 месяца назад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29개월차 아이의 엄마입니다.
    선생님의 조언을 듣고 싶어 댓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저희 아이는 97일차에 가와사키를 겪었고, 8개월차(코로나), 17개월차(구내염), 24개월차(수족구, 24시간 내에 2번)에 열성경련을 했습니다.
    현재까지도 열이 나는 상황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가정보육을 하고 있는데 세 돌에 어린이집에 보내는건 아무래도 무리가 있을까요?
    결국 선택은 제가 하게 되겠지만 전문가 선생님의 말씀을 참고하고 싶습니다.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mjkim9492
      @mjkim9492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전 만세살때 보냈다가 아무래도 감기 등 바이러스질환 자주 걸리게되니, 등원일이 반도 안됐어요.
      그래도 주변에 도와줄 분 안 계셔서 일단 등록하고 적응한 뒤에 결석반/출석반 각오하고 보냈었습니다.
      만5세까지 횟수는 줄어도 경련을 했었기에 유치원도 결석일이 많네요😂

    • @네정-e7t
      @네정-e7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어린이집가면 감기 달고 살아요! 저희 아기 13개월부터 보냈는데 그때부터 한달에 절반은 입원해있었던것 같아요ㅎ 두돌다되가니 횟수가 줄어서 두달에 한번 감기 걸리는것 같아요ㅎ 어린이집은 감안하고 보내셔야되요ㅜㅜ

    • @Blackswanize
      @Blackswanize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뚝딱이맘쭌이쭌 저희는 환경을 제한하는게(요즘은 세돌이 아니라 그전부터 보내야한다고 강조하시더라구요 근거는 물어보니 화만 내셨고 ㅎㅎ) 아이 발달에 더 악영향을 줄수있다고 권고하셔서 (s대병원) 26개월부터 보냈는데 진짜 자주 아파요 ㅜㅜ

    • @뚝딱이맘쭌이쭌
      @뚝딱이맘쭌이쭌 4 месяца назад

      ​@@mjkim9492 답변 너무 감사드려요~
      아이를 48개월, 길면 60개월까지 가정 보육을 하려고 마음먹었다가도 저로 인해 잃는 것(또래와의 관계, 다양한 경험)들이 너무 많아지는건 아닌지 자꾸 걱정이 되더라구요~
      아이가 5세인 지금도 경련이 있다고 하니 늘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 @mjkim9492
      @mjkim9492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뚝딱이맘쭌이쭌 48개월까지, 또는 그 이상 집에서 지낸다고 아이의 다양한 기회를 뺏는다곤 생각 안되네요. 저는 뒤로 동생들이 터울 적게 태어난데다 주변에 도움받을 사람이 없어 일찍 보낸거고, 제가 역량만 되면 더 데리고 있고 싶었어요.
      특히 36개월 전은.. 다양한 경험보다 훠어어어얼씬 중요한 게 엄마와의 관계, 정서 안정이잖아요. 다양항 경험으로 인한 발달 부분은, 놀이터, 주변 자연이 있는 곳 산책(많이 구르고 만져보고 느껴보게 해주면 좋아요)등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하다 봅니다. 발달에 필요한 자극은 자연 속에서 가장 많이 자극된다고 알고있어요. 넘 걱정마시고 주관대로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