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황룡사 2편] 신라 황룡사 복원, 해서는 안 되는 일ㅣ발굴왕 29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김창환-s5y
    @김창환-s5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7

    옳으신 말씀입니다. 과거 역사가 중요하지만 과거로 돌아가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말아야 합니다.

    • @아드레노크롬
      @아드레노크롬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과거로 돌아가면 대조선. 고려천하, 신라천하가 나오는데??
      역사를 모르거나 일부러 부인하는 세상이라 .....

    • @GeonsulLee
      @GeonsulLee 3 месяца назад

      댓글달려면.뭘알고달아

  • @dumbbell2472
    @dumbbell2472 Год назад +21

    역시 우리가 존경해야할 지식인이 맞으심❤❤❤최교수님 말씀이 옳습니다!

  • @박민수-b8t
    @박민수-b8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최고에요! 이런 진솔한 프로가 있어야 합니다! 제작진 여러분 화이팅 입니다!

  • @tjdtntjdtjs
    @tjdtntjdtj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선생님 말씀이 옳습니다.
    남아있는것을 잘 지키는것이 진정성이지 훼손하면서 복원하는것은 무의미.

  • @kim19680210
    @kim1968021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크레인 없던 옛사람들은 도데체 어떻게 그 큰 돌을 움직였을까요!?? 고인돌들도 그렇고 피라미드도 그렇고~

  • @jisungpark77
    @jisungpark77 4 месяца назад +10

    거북선도 제대로 만들어내지못하는데.. ㅎㅎ .그냥 터를 보존하는것만으로도 좋을꺼 같습니다.

  • @또구르
    @또구르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정말 고고학자다운. 고고한 생각이네요
    세상은 많은 사람들이 살고
    정답찾기는 어렵습니다
    지금 다시지어도 1000년 후에는
    역사적. 이정표. 가치가 됩니다
    우리가 세우려 하는게 꼭 건물복원만이 아니지요..신라인과
    민족적. 기상과 민족의 자존심도
    함께 세우는일 이라 생각합니다

  • @달호수-j8e
    @달호수-j8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7

    원래 선덕여왕 당시에 지은 황룡사9층목탑이 몽골침입때 불탄게 아니고,
    황룡사9층목탑이 지어진 이후에 벼락을 맞거나 목탑이 기울어져서 부분수리, 그리고 완천해체 했다가 다시 지은적도 있음.
    그러다가 고려시대 몽골침입때 불탐.
    황룡사9층목탑자리 밑에서 나온 찰주본기에 수리 기록이 있음.
    목재만 확보된다면 지금 복원해도 나쁘지않음. 왜냐하면 요근래 경복궁을 짓거나, 문화재 수리를 하면서
    목조기술을 많이 축적했기 때문에. 시도해볼만한 일임

    • @dlpul7870
      @dlpul787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빼쳐먹은 쥐새끼들이 넘 많음

    • @박주선-v2q
      @박주선-v2q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익산 미륵사지 동탑 서탑 사이에 중앙 목탑을 개건(복원)하면 참 좋아요.

    • @주소망-w6y
      @주소망-w6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네돈으로 네가해라

    • @KyleLee_
      @KyleLee_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나무가 없어요 금강송이

    • @호냥이-i7b
      @호냥이-i7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KyleLee_꼭 황장목으로 지을필요는없죠.그리고 신라.고려때 소나무로 지었다고 단정할수도 없고요.

  • @코스모스-s5b
    @코스모스-s5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어쩌다 보게 됨 ᆢ완전 존경스런 말씀이심ᆢ

  • @금빛별이-j7b
    @금빛별이-j7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 오늘 처음 보고, 9:17 말씀 들으면서 구독 눌렀습니다 ~ 구독자가 많아지면 광고가 붙는다고 들어서요 ~ ㅎㅎㅎ
    교수님 진짜 멋지세요 ~
    파괴된 유적지는 그 모습 대로 놓고, 우리가 역사를 대할 때 어떤 마음으로 해야 하나를 반성하게 만드는 것도 유물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날조된 남대문(숭례문)... 진짜 기가 차다는...

  • @콩까먹는형
    @콩까먹는형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일주일에 한두번 황룡사 옛터를 보면서 지나가는데
    규모가 어마어마 합니다
    실복원은 불가능에 한표.

  • @yangy9189
    @yangy9189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교수님 말씀에 찬성합니다

  • @gravity4164
    @gravity4164 4 месяца назад

    선생님 말씀이 정말 지당합니다

  • @batuu2601
    @batuu260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지금 복원하면 100년후에 후손들이
    그 때 복원했다라고
    할수있음
    후손을 위한 투자임
    일본은 600년대 절이 전국시대에 불타서
    1700년대에 복원
    현재 300년 되어서
    유서깊은 문화유산이 됨

  • @전만수-n7q
    @전만수-n7q 4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ㅡ 지당한 말씀이십니다.

  • @시크릿미라클
    @시크릿미라클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몽고 침략으로 🔥 불타 버린 황룡사 9층 목탑

  • @빛나리-r9n
    @빛나리-r9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발굴스토리 계속 해주세요~ 이런 이야기들을 어디서 듣겠습니까 발굴하셨던 분들이 나오셔서 직접 썰 풀어주시는..

  • @annodam2265
    @annodam2265 Месяц назад +1

    맞는 말이긴 한데 우리나라는 외국인이 와도 관광할 곳이 없어요 유물 발굴하고 지역 특색 살리면 지역 경제 사는건 당연한건데 좀 많이 아쉽네요 옆 나라 일본만 봐도 알텐데요

  • @bok6617
    @bok661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현재 황룡사 터는 보존하고 바로 옆에 같은 크기로 터 닦고 복원하면 될 것 같습니다.

    • @김상-d4f
      @김상-d4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 양반말로는 뭘보고 복원하냐고 애 좀 그만 먹이라는구만.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벌써 옆에 9층 목탑 모양으로 건물 만들었씀.

  • @박1944-g1u
    @박1944-g1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아 !~ 황룡사!!

  • @정영수-m5m
    @정영수-m5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참으로 옳으신 말씀이십니다.

  • @하얀구름-z5b
    @하얀구름-z5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맨날 반대~ 반대가 문화재 보호인가? 돼지도 않는 구름다리들 만들 돈으로 경주 황룡사, 익산 미륵사 복원이 왜 나쁜건가? 사찰 문화재 관광, 영상 제작.. 다양하게 활용할수 있는데... 목조 건물 대부분이 조선시대 다시 지은 것임. 숭례문도 불탄건 그냥 보존했어야지.

    • @jyp907
      @jyp90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음 옆나라 일본, 중국도 지진, 화재등의 이유로 철근 공구리로 새로 짓고 관광수입 짭짤하게 땡기는데 이나라는 빈터만 널렸음 옛 조상들도 당시의 최고 기술로 무너진거 새로짓고 하셨는데 왜 현대기술로 새로 짓는거만 안된다는걸까?

    • @최영순-n2s
      @최영순-n2s Месяц назад

      @@하얀구름-z5b 숭례문은 원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죠

  • @Bluesky-ym3kz
    @Bluesky-ym3k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9

    해야 되는 일입니다. 모든 문화재가 영원히 존재하는 것은 없습니다. 후대가 다시 짓고 이어나가는게 문화입니다.

  • @user-zxxcv123
    @user-zxxcv12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그옆에 세우면 되지? 꼭 그걸 그자리에 세울필요 있나? 그냥 복원용 맨들어 보면 되는거지.

  • @청솔-t8t
    @청솔-t8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아닙니다, 복원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불국사 , 석굴암 등도 그대로 두었다면 그게 더 옳았을까요?

    • @최영순-n2s
      @최영순-n2s Месяц назад

      @@청솔-t8t 불국사도 제대로 된 문헌이없어서 조선시대건축양식과 섞여 있다고 합니다.월정교도 복원후에 말이 많았어요 청나라 양식이라고.

  • @sympa1902
    @sympa1902 6 дней назад

    시즌2 나오나요?

  • @korea777.
    @korea77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어릴때 놀이터가 김유신장군동상 오릉 첨성대 석빙고 안압지 계림 입니다
    일체 유심조 🐢 🌹

  • @우담-i1r
    @우담-i1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목탑 복원은 이분이 생각하는것 보다 훨씬 중요한 사업이다
    목탑의 기술이 끊어져가고 있는데 ...
    이분은 작업 감독의 사고밖에 없는것 같다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적송 5-6미터되는 적송이 없다
    그러면 가장 비슷한 생태의 나무를 수입해서 하면 된다
    21c에 복원하면서 신라때의 재료를 그대로 쓰지 않으면 문화재가 아니라는 이분의 생각은 시대에 뒤떨어지는 편협한 사고다
    황룡사 복원사업은 시간이 더 가기전 해야 한다
    가장 비슷한 목탑을 복원하면 (사리함에 적혀있는 백제의 기술자 그러면 이시대 일본으로 건너가 세운
    목탑과 깉은시대 중국의 목탑에서 공포와 결구방식을 연구하면 된다)
    많은 연구와 예산이 들겠지만 복원하면 역사적인 문화재가 될것이다

  • @user-qb8jc6ql2h
    @user-qb8jc6ql2h Месяц назад +2

    그래도 황룡사 복원지어야 될듯

  • @하늘가설
    @하늘가설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황룡사는 주춧돌만 남아 있는데 훼손한다고 해야 주춧돌만 박물관으로 옮기는 건데
    그게 무슨 훼손이라고..
    그리고 현재 문화재 복원사업이 수 없이 이뤄지는 것들중에서는 왜 반대 안하고 황룡사만 반대한다는 건지요.. 경복궁 복원은 왜 반대 안하셨나요?
    일제가 철거한 경복궁복원은 원형훼손이 아니라 민족정기를 세우는 뜻있는 일이고
    몽골이 불태운 황룡사 복원은 원형훼손이고 민족정기를 세우는 일과는 무관하다?

    • @권영재-n5u
      @권영재-n5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경복궁 전각들은 당시 설계도가 남아 있는 것들도 있고 심지어 사진도 존재 합니다.
      충분히 당시 모습을 지금도 알 수 있지요. 당연히 복원 가능 입니다.
      하지만 황룡사를 비롯해서 경주 유적들은 도저히 당시 모습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복원이 불가능 합니다. 지금 손대면 그냥 현대 신축 건물이 됩니다.
      역사를 파괴하는 행위일 뿐 입니다.

    • @하늘가설
      @하늘가설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권영재-n5u 지금 우리가 황룡사를 복원한다는건 알수없는 과거의 모습 그대로를 재현한다는것이 아닙니다,, 재현할수 있다면 더 좋겠지만 지금의 부분적인 정보만으로도 현재의 상상력이 가미되어 새 황룡사를 만드는 것에도 의미가 있다는겁니다.
      우리 나라의 많은 사찰이 전쟁과 사고로 불태워진후 수백전 후에 중건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중건된 사찰들도 중건당시에는 과거와 단절된 신축건물인거죠,, 다만 중건 연대를 정확히 표기하여 후대가 중건건물임을 알게 하면 됩니다.
      황룡사는 그 존립의 의미가 큰 사찰인지라 중건해서 민족의 정기와 정신을 고양시키는 계기로 삼는게 바람직합니다

    • @jyp907
      @jyp90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user-nk8um8ko8j 근데 그 남은 사진들도 흥선대원군이 중건한 리모델링 경복궁이잖아요 임진왜란때 불타기 전의 모습대로 복원해야 올바른 복원 아니에요? 애초에 올바른 복원 따위가 어디 있습니까 죄다 "중건"이지 예전에 이루어진 중건은 올바른 중건이고 현대의 기술로 하는 "중건"은 그릇된 중건입니까?

    • @beginner6485
      @beginner648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jyp907 흥선대원군이 중건한 리모델링 경복궁이라고 해도 당시 흥성대원군 역시도 과거의 기록을 통해서 중건한 것이기 때문에 연속성이 발생합니다. 그렇기에 역사성이 존재하는 거라서 복원이라고 하는 것이죠. 근데 신라 황룡사는 복원할려고 해도 참고할 만한 것이 일본에 남아있는 백제인이 만든 사찰들 말고는 딱히 없어요. 백제의 사찰은 가람배치가 1탑 1금당이고 신라 황룡사지의 가람배치는 1탑 3금당입니다. 여기서부터 둘이 아예 양식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죠?
      그러니까 지금 지을려고 하는 황룡사는 그냥 같은 이름일 뿐인 황룡사인거라서 반대하는 겁니다. 차라리 '복원' 하겠다면 아예 다른 지역에다가 새롭게 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옛 터에다가 지어놓고 보니 새로운 증거가 나와서 아예 양식이 달랐다고 한다면 그때는 어떻게 하실 겁니까? 다시 부시고 지을 건가요?

  • @robertpark7920
    @robertpark792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크레인 동원을 할 정도의 무게를
    당시에는 무슨 장비로 심초석을 설치 했을까?
    에밀레종(선덕여왕 종) 용누도 지금은 핀(pin)을 가공해서 끼웠는데
    당시에는 무엇으로 그 무거운 종을 메달아 놓았는지?
    탄소강 파이프도 없던 시기에~ 철판을 김밥 말듯이 말았을까? 궁금하군요

  • @제임스웹-p3q
    @제임스웹-p3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발굴을 먼저해야 하는데 왜 안하지...

  • @chulido74
    @chulido7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2

    너무 고리타분한 생각이시다. 복원은 복원대로의 의미가 있는것임. 복원된것을 보고 가짜다.사기다 생각사람 없음. 그옛날 선조들의 위상과 위업을 간접체험하면 족한 것이다.관광수입도 있을것이다. 중국 일본을 봐라 원본도 있지만 목조가 대부분인(화재소실이 많음) 동아시아에서 복원사업은 필수이다.

    • @권영재-n5u
      @권영재-n5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복원이 아니고 신축 건물이 됩니다.

    • @홍영상-c9c
      @홍영상-c9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박통때 고건물 철거하고 콘크리트로 복원한 경우가 많은데 그건 유물유적 파괴다

  • @영도서-x8i
    @영도서-x8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좋은말을 들어서 기쁩니다 평소 황룡사복원에 관심이 있었는데 이제 말끔하게 잊어야겠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이현숙-c6t
    @이현숙-c6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저는 그래도 복원하는게 좋다 봅니다

    • @최영순-n2s
      @최영순-n2s Месяц назад

      @@이현숙-c6t 지금 기술로도 만들기 어렵다는 얘기 들었음

  • @sunhokim303
    @sunhokim303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복원 해야지요 경제적으로 윤택할때 이시대 열심히 살았던 우리의 노력도 남겨주어야지요

  • @jskim4447
    @jskim444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복원해야한다고 봅니다. 기존의 남아있는 것들은 따로 모아서 그 근원을 알게 하면 좋겠습니다. 최교수라는 분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고집과 아집으로 똘똘 뭉쳐진 것 같아요... 자중하시면 좋겠습니다.

  • @무대포-k5x
    @무대포-k5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그래도 복원해야합니다.
    신라천년의 유형을 찾아야 합니다.

  • @Skqenj
    @Skqen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다음 후손을 위한 유산 뭐가 있는지 지금 다 흐러져가는 사원 몇개가 다인데 너무 낡고초라해서 아무도 찾지않음 문화유산은 후손들의 자긍심인데 옛날것만 고집해서 뭐하려고 땅도 남아도는데 똑같은걸 다른데 짓던지 경주조차 조선으로 조성해놨더만
    기록을 두고도 아무것도 안하는게 옳은가 중일보니 더 멋있게 복원해놨더만

  • @김혜숙-z1b
    @김혜숙-z1b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복원의 의미가 없죠

  • @kevin60to30
    @kevin60to30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내각은 틀립니다
    세계어디가도 목건축은 오리진은 없습니다
    일본오사카성도 시멘트 엘리베이터가있죠
    그러나 신라경주의 주요문화재 중건은 찬성합니다

  • @meltingthegwipop7208
    @meltingthegwipop720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이거 너무 좋았는데.. 왜 영상 싹 내려간거에요? ㅠㅠ 다시 올려주세요~~오래기다렸어요

    • @vela8956
      @vela8956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러게요 발굴왕 유투브로 잇엇다가 이제
      신문사로 업로드되엇내여

  • @kimshanha
    @kimshanha 6 месяцев назад +7

    황룡사를 복원하면
    지진이나 벼락에 약하고
    지반침하와 화염에 약한데
    뭐하러 복원하려는 거냐는
    일리도 있지만
    모든 불교 신자들의 성지가 될께 뻔하기 때문에
    복원하지 말라는 소리로 들린다.
    목조가 아니라
    내진설계 콘크리트로
    복원 시켜도 나쁘지 않다.

  • @vela8956
    @vela8956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거 왜 다시
    업로드되엇나요??

  • @재섭김-h5k
    @재섭김-h5k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기념적으로 복원할수 있지
    도청 시청 그딴거 새로 지을 바에야
    문화유산 복원이 더 났다

  • @donyullee853
    @donyullee85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저 교수님 논리라면 경주는 무덤만 있어야 한다. 아는 서양인 지인은 무덤밖에 없는 경주에 실망한적이 있다. 경주반월성은 몇십년이 지나도 발굴단계이다. 신라시대 왕릉중에 진짜 주인은 누구인지 아무도 모른다. 매일 상상만 하는 유적을 보면 지겹다. 50년 시간 쓰고도 아직 펜스치고 있습니까? 타임머신 안생깁니다. 목조건물은 흔적없습니다. 그만 연구하고 건축학자 도움받고 뮈라도 건축함이 어떠신지?

    • @jyp907
      @jyp90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습니다

    • @Tomahawk95
      @Tomahawk95 Месяц назад

      ㅆㅇㅈ

  • @hyunlee782
    @hyunlee782 Год назад +7

    이 영상에서 가장 중요시 해야하는 내용은 크래인뜰 때
    혼자 들어가서 죽는건 상관 없으나 누군가를 강제로
    동참 시키는건 정신질환이다

    • @bluejun413
      @bluejun41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때 30세이면 대학원생일건데 ..조수이니 들어갔겠지요 지가 책임자면 들어갔겠어요

  • @커피와머신
    @커피와머신 11 дней назад

    복원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공부에 방해되니 서울대입구역을 서울대 정문에 지으면 안된다고 했던 서울대 교수님들이 생각나네요..ㅎㅎ 개인적인 취향일 뿐....

  • @bnf7255
    @bnf725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복원한다고 해도 복원이 아닌게, 그 정확한 모형을 알 수가 없음.

  • @경주아빠-v2m
    @경주아빠-v2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복원하자..그자리에..지금부터 다시 역사가 되면 뭐가 문젠가?

  • @수기치인-i6j
    @수기치인-i6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

    황룡사 재목은 못 구해도 경주인근의 시군에 재선충으로 벌목과 방제하는 산림청이 쏟아붓는 금액이면 경복궁 근정전 수천 개 짓겠다.

  • @얼짱슈렉-d5e
    @얼짱슈렉-d5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절대적으로 옳은 말씀이십니다. 그 예산 경상도주민들을 위해서 썼음 합니다. 경상도 국짐당 국회의원들 맨날 표만 쉽게 받으려 하지 말고 뭔갈 쫌 주민들을 위해서 정책좀 만들어라!! 공항을 짓던가!!

  • @KS-sw7ox
    @KS-sw7o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항저우 서호에 가면 뇌봉탑을 복원해 놨습니다. 원래 기초부분은 그대로 보존해둔 상태에서 그 위에 콘크리트로 복원했어요. 볼 만합니다. 그 걸 참고해서 복원하면 될 거에요.

  • @TV-dh9gv
    @TV-dh9g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모든 옛 고문헌을 보면 현황룡사지는 신라시대 용궁 내불당입니다. 참고하시옵소서

  • @무탈-r5d
    @무탈-r5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니기다 소나무도 굉장히 좋은 소나무다..알고나 있나요..복원은 대한민국 의 위상을 다지는 또 하나의 방편이다..

    • @KyleLee_
      @KyleLee_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금강송으로 법당은 옛날부터 지었죠

    • @무탈-r5d
      @무탈-r5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때 제일 좋은 자재가 금강송 이었죠. 시대가 바뀐 최고의 개량 품종 니기다.죠. 잘자라고 튼튼한..

  • @YoungsooStellaKim9001
    @YoungsooStellaKim900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유적 유물 좀 보존상태 그대로 놔두세요 ᆢ

  • @thu2014yeon
    @thu2014yeo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사람이 참 진정한 역사학자 이시군요.

  • @TheJinNK
    @TheJinN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자꾸 복원을 하지말라 터만 남겨라 이런 말씀을 하시는데 우리나라 전통 사찰 대부분 석조기단 빼고는 원형의 모습을 간직한곳은 없습니다

  • @jwhan2086
    @jwhan2086 Год назад +13

    황룡사복원 해서는 안된다는 말씀에 처음엔 뭔소리이신가 당연히 복원해야지, 했다가 열변을 토하시는 걸 보고 제가 다 설득당했습니다.

  • @KennysTV-k5p
    @KennysTV-k5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복원을 반대하시는 이유는 원형이 없어 왜곡을 우려하시는 거라 그동안 복원사업의 크고작은 논란을 보면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다만, 그동안의 논란으로 복원사업 결정시 원형을 최대한 실현하고자하는 것이 복원사업의 촞점이며 무엇보다도 찬란한 우리의 역사가 상상속에만 존재하기 보다는 다소의 기술적 왜곡에도 불구하고 우리국민들에게 주는 교육적인 효과와 더불어 문화적 자부심과 세계인에 대한 문화직 자긍심 등 많은 긍정적 효과가 있기에 훌륭한 문화재에 대한 복원사업은 꾸준히 추진되야 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자금만 충분히 뒷바침 된다면 수원화성 주변과 성내의 도심화된 환경을 경복궁 처럼 원형으로 복원했으면 합니다.
    아직도 일제에 의해 손실되고 파헤쳐진체 복원이 되지 않은 문화재가 많아 안타깝네요.

  • @썬샤인77
    @썬샤인77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사람들 복원 참 쉽게 생각하시네.. 설계도도 없고 어떤 모습이었는지도 모르는걸 만드는건 복원이 아니다.. 그 옆에 박물관도 있고 보문 가면 비슷하게 만들어놓은거도 있으니 제발 현장은 건들지마시길..

  • @ywc3657
    @ywc365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

  • @여행자-k1q
    @여행자-k1q 4 месяца назад

    아~그대로 보존하는것이 나을거같네요.교수님말씀이 옳습니다

  • @user-yv5zm8en7p
    @user-yv5zm8en7p Год назад +2

    맞는 말이네

  • @찢재명-h1w
    @찢재명-h1w Месяц назад

    5:42 아니 서울 5대궁궐이나 빨리 복원해.

  • @lightsout8046
    @lightsout804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9

    황룡사 9층 목탑이 있어야 경주가 관광지로 산다. 지금 경주 상태는 문화재 발굴하는 사람들의 대를 이은 평생 먹거리 보존에 이바지할 뿐이다.

  • @최영순-n2s
    @최영순-n2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정확한 문헌이나 고증도 없이 복원해야 되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그리스 신전같은것도 그 흔적만으로도 문화재잖아요.

    • @lIlIllIIlIlIlllIIlI
      @lIlIllIIlIlIlllIIl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리스 신전만큼 터가 남아있으면 그렇겠죠

    • @jyp907
      @jyp90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볼것도 없는 빈터 실컷 보세요

    • @Tomahawk95
      @Tomahawk95 Месяц назад

      그리스신전은 볼게 있잖아요 허허벌판부지로 상상해봐라 해봤자 누가보러와요 ㅋㅋ 당장 오는사람도없다는게 결과물임

    • @Tomahawk95
      @Tomahawk95 Месяц назад

      의미가 없다 하는데 복원측은 그 황룡사 복원이라는 동기로 복원안 만들고 연구하면서 나온 성과를 냈으니 그간 어차피 창작 어차피 창작 외치면서 아무것도 하지 말자고 외친 측보다는 훨씬 의미있는 결과를 낸 것같아 보임

    • @최영순-n2s
      @최영순-n2s Месяц назад

      안와봤군요.빈터라고​하는걸보니.@@jyp907

  • @Tomahawk95
    @Tomahawk95 Месяц назад

    누군가는 나름 현실적인 방안이랍시고 다른곳에 복제복원을 주장하는데 일단 그 장소말고 다른데 복원하면 이미 역사적 맥락이 날아가서 그야말로 자기들이 주장하는 테마파크 그자체가 되는건 둘째치고
    그래서 어디에 복원할거임? 경주 말고 다른데? 경주는 폐허터로 방지하고 다른데서 꿀꺽하고 와 진짜 현명한 방안이다! 그래, 아니면 경주 내에서 터 정하고 공사한다 쳐 그러다 또 유구 나오면? 또 옮기겠네? 그러면 또 시간이랑 예산 더나가겠네?
    그리고 황룡사의 가치가 황룡사만인거 아닌거 뻔히 알잖아 월성 월지 동궁 황룡사 연담화된 맥락하에 있는 문화재잖음 근데 문화재 복원터 선정하는것도 행정과정 거치는데, 다른데 옮겨복원한다는데 이 과정에서 뿔뿔히 흩어져서 부지선정될거 뻔히 보이지 않음? 그래서 그렇게 뿔뿔이 흩어져진 테마파크 몇개 생기는거 참 의미있겠다 그지? 옮겨서 복원하는거 참 대단한 전가의 보도고, 복원주장하는측은 그거 생각못하고 역사파괴나 주장하는 상업에 눈먼 인간들이네 그치?😂

  • @성민기억법영어회화
    @성민기억법영어회화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복원하는것에 찬성이다. 1500년전에도 무에서 상상과 정성으로 세계적 건축물을 이루어낸 것이다. 지금은 더 잘할 수도 있다. 수입나무가 어쨋다는 것인가?

    • @모르도프
      @모르도프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참 답답한 소리 하시네
      다른데 가서 하라는 얘기쟎아요 왜 그자리에 다 까내고 덮어씌우냐는 이야기쟎아요
      그리고 복원 말뜻이나 찾아보고 복원복원 그래요

    • @Tomahawk95
      @Tomahawk95 Месяц назад

      ​@@모르도프 암 암 그런식논리면 경복궁 종묘 창덕궁도 임란전 모습 고증못하니 다른데 지어야죠 ㅋㅋ

  • @불씨16
    @불씨1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신라 왕궁복원이 절탑보다 댓글 징징이들에게 더 매력적일듯

  • @탄이사랑-n1c
    @탄이사랑-n1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황룡사 복원! 단순하게 생각은 할 수 있지만 진짜로 복원하려는 것은 위험한 생각이지요. 황룡사는 터 자체만으로도 영감을 주고 고요하여 마음이 쉬고 그윽한 밝은 기운이 느껴지는 사찰입니다. 절대절대 다시 복원할 수도 없어요. 재료나 기술력보다 그 시대 선조들의 불심을 따라갈 수 없기때문입니다. 그러니 절대 북원하지 말아주세요.!!!!!

    • @TheJinNK
      @TheJinN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차피 우리나라 전통 사찰중에 전성기나 창건당시의 모습을 가진 사찰은 없습니다 복원이 아닌 중건이지만 해도 아무런 문제 없습니다

    • @KyleLee_
      @KyleLee_ 5 месяцев назад

      @@TheJinNK그래도 2000년대 들어 현대에 창건한 전통 사찰은 없습니다. 그리고 지금과 같은 수입 재료로 한것도 아니고요. 늦어도 90년대입니다만 그때는 다 손으로 했습죠. 금강송도 그땐 있었고요. 저는 불상과 북을 만드는 일을 잠시 배웠는데 절에서 치는 법고요. 재료가 이젠
      수입 재료에 의지해서 해야할 지경이 아니고
      국산이 이제 아예 없습니다. 근데 순수한 우리 맛이 안납니다.

    • @Tomahawk95
      @Tomahawk95 Месяц назад

      백프로 완벽한 복원? 그거 기준점이 사진이나 그림 이런것도 존나 자의적인거 아님? 예시로 맨날 의궤기록용으로 끌려나오는 수원화성, 그것도 그림만 있지 구체적인 설계도로 만든거 아님, 그렇게 따지면 치수까지 일일이 다 설계도로 기록돼서 남은 일본 목조건축쪽 복원이랑 비교하면 존나 부실하고 유치한 졸속복원 되는거 아님?

  • @darkenbear
    @darkenbear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시대에는 돌을 어떻게 들었을지?

  • @kamma-c8s
    @kamma-c8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비전문가가 생각해도 황룡사복원은 국세 낭비에 부실복원이 예상됩니다. 어설프고 비싼 놀이동산 만들지 않고 그 돈으로 반출된 해외 문화재나 사들여 왔으면 좋겠네요

    • @jyp907
      @jyp90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슨수로요?

  • @김동석-w3y3e
    @김동석-w3y3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 인신공양 했을뻔 했는데...에밀레종 전설처럼....

  • @서희수-y6c
    @서희수-y6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웃기는 논리네 반드시복원해야한다 반대하는자들은 그내면에 사촌 논사면 배아픈 심사를 가진자다 왜 경주가 주목받는게 싫은가 없어진것은 완전하게 복원이 안된다 그어떤것도 복사품일뿐 비슷하게만 해도 그나름의 가치가 있다 왜 세종대왕의 초상화는 가짜인데 안말안하나 상징성때문이다 마찬가지 곙주시민들은 도대체 뭐하냐 문화재청이나 불교계가 못하면 시민이라도 나서야지

  • @홍일선-g6t
    @홍일선-g6t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상한 사람이네
    복원하면 좋은거지

  • @bebest8298
    @bebest829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동서 화합 미륵사 황룡사 팔관회, 선화공주 시집 보내라

  • @트람푸-m6w
    @트람푸-m6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21세기 황룡사탑

  • @vipsrocket
    @vipsrocke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냥 좀 만들자 경복궁도 복원할 땐 말 많았지만 결국 지금 헤리티지로 잘 써먹고 있잖아. 미래를 위한 투자지. 왜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복원하면서 2층짜리 경희루를 1층으로 훼손하고 용기둥을 사각 돌기둥으로 만들 땐 아무 말 없었으면서 이제 와서 황룡사는 왜 반대하는지 이해가 안되네.

  • @saesounkim9412
    @saesounkim9412 4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이라도 용산에서 건축하기로 결정하면 한다.

  • @wokemen8706
    @wokemen8706 4 месяца назад

    옆에다 별도로 지으면 되지 무조건 반대만 하는 것도 아닌 둣

  • @성호-x3h
    @성호-x3h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덕여왕묘비도 중국에 있습니다

  • @심영석-q5d
    @심영석-q5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복원을 통해 신라문화를 형상화하는 것이 왜 문제인가? 황량한 황롱사 터는 그게 황롱사인가? 후대에게 그것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그것이 옛터이지 문화유적인가?

  • @Noone-xk4qy
    @Noone-xk4qy 4 дня назад

    그렇게 따지면 프랑스 노트르담 성당 불난건 왜복원하냐? 일본은 문화재 복원해서 관광자원으로 지역마다 특색있게 하는데 그럼 땅이 원래 논이면 평생 논밭으로만 둬야하냐?

  • @sansori2640
    @sansori264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저도 황룡사 복원은 절대 반대입니다.
    반월성 월정교 복원해놓은 꼬라지를 보면 한심하기 그지 없습니다.
    복원된 월정교는 주변과 전혀 어울리지 못하고 생뚱맞은 모습으로 덩그러니 있어서 흉물처럼 보일 지경입니다.
    복원 주장하는 것들은 지들 통장 잔고만 신경쓰지 복원후의 사태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음을 확신하기에 더더욱 반대합니다.

    • @양현석-e9g
      @양현석-e9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놈때문에 나라에 문화재가 없어 주뎅이는 우상 복구 수입스면 잘못되니 왜 2천년전 소나무 찾아서 복월할래 ㅋㅋㅋ

  • @문병규-p6z
    @문병규-p6z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경복궁도 세운지 이백년 남짓 그런데 이하응 대원군도 해 냈는데~

  • @arcyoon
    @arcyo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안전의식이 제로라는 얘기를 저렇게 하시는 것은 좀...;;;;;;

  • @영화-d6u
    @영화-d6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지금이라도 복원을 해야 한다.
    그래야, 300년, 500년이 지나면
    수천년의 맥을 계승한 유서깊은 문화유산이 된다.
    아무것도 없는 돌과 황량한 잡풀만 있는 현재의 황룡사 터가
    무슨 문화유산이냐?
    오히려 그 것들을 옆자리로 잘 모아서 박물관을 지으면 될 일이다.

  • @azure397
    @azure39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그럼 언제까지 그 허허벌판에 돌만 쳐다보면서 황룡사가 여기 있었네.......만 할래????? 꼭 원본하고 100% 똑같아야만 복원이냐????????? 틀딱같은 생각..........

    • @유주형-j7j
      @유주형-j7j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사람 일본사람인가?
      만드는게 의미가 있는것이지 누가 보물을 만들라는거여?

    • @권영재-n5u
      @권영재-n5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최대한 같아야 복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그냥 현대 신축 건물일 뿐 입니다.

    • @Tomahawk95
      @Tomahawk95 Месяц назад

      걍 복원 반대랑 찬성론자한테 유구 많은 도시 하나씩 줘서 가꿔보라고 하면 되겠네ㅋㅋ 백년뒤에 찾아가 보면 한쪽은 그동안 복원한 건물들로 즐비하겠지? 초기에는 고증찐빠 내기도 하고 만듦새도 미숙한 면이 있었지만 점차 나아지고 변하는 모습이 도시를 이루고 있겠지 그 도시를 복원하려고 시도했던 이야기 자체가 복원사로 하나의 역사가 되서 또 새로운 이야기거리와 가치를 창출하고 있을거고 반면 한쪽은 백년 전이랑 그대로! 토씨하나 틀림없이 그대로! 남아있는건 그래도 우리는 역사훼손 안하고 지켜냈다는 한무리의 인간들 정도? 차이가 많이 날거임 한쪽은 앞으로 만들어나갈 것도 역사가 될거라고 믿었지만 다른 쪽은 백년 전에 이미 역사는 멈췄다고 믿었을 테니까 ㅋㅋ 아 후자에는 있는데 전자는 못가지는거 하나 있긴함
      황량한 벌판위에 세워진 유네스코 문양 새겨진 돌판 하나ㅋ
      하지만 뭐 그게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거니까ㅇㅇ 볼것도 재미도 없다고 안가는 황량한 벌판에 표지판 하나 보고 그놈의 옛날모습 상상해보기 참(?) 부럽긴 하겠네ㅋㅋ

  • @Byulgirin
    @Byulgiri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아니 어차피 복원해놓으면 고증이고 뭐고 시간지나면 결국 그자체로 또 가치가있게됨 일본처럼. 이제는 좀 해라 좀. 그놈의 씹선비 고증쟁이들때문에 관광객들 다놓치고있음.

    • @재원김-y7d
      @재원김-y7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오사카성 세멘복원 입니다

    • @김선생-y2r
      @김선생-y2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보문단지 근처에 황룡사 9층 목탑 쏙 빼닮은 거 있음. 그걸로 관광객 끌면 되지. ㅋㅋㅋㅋㅋ

  • @H푸른하늘-k4s
    @H푸른하늘-k4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볼거리 관광 목적등충분히 복원 해도 조으다,

  • @배효열-o6b
    @배효열-o6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교수의 말과 용어를 못알아 듣겠습니다
    혼자만아는 용어를 남발하고 주춧돌을 빼내야 된다는 말인지 더 깍아내야 한다는 말인지 혀가짧은소리로 뭐라 하니 못알아 듣겠습니다

    • @dolgum826
      @dolgum82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깎 !!

    • @jyp907
      @jyp90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늙어서 저래요

  • @조윤래-g6s
    @조윤래-g6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y2k2000y2k
    @y2k2000y2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말은 목재.
    어떤 나무를 주목재로 했는지 또 얼마만한 크기의 나무를 구해야 하는지 굵기라든지 전체 길이라든지......
    일례로 거북선을 연구하신 분이 주요 골격을 이루는 목재의 굵기가 90cm인것을 연구 했고 충각 또한 금속판으로 둘러싼 형태이며 이 또한 길이가
    90cm 굵기에 길이도 이보다 긴것으로 연구했지만 지금 남해에 떠 있는 거북선에는 이런것들이 전혀 반영이 안되었다.
    거북선과 판옥선 그리고 왜선의 판재 비교에서 8cm 와 4cm라는 비교 연구도 있었지만 이러한 것들이 전혀 반영이 안된 것으로 안다.
    왜 돌격충돌 전법을 썼는지 전혀 이해도와 반영이 안된 것이다/.
    황륭사를 복원하겠다고 하는것도 마찬가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목재중에 소나무가 주종이고 이 소나무의 수종이 어떤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가장 하단부에서부터 상층부로 가면서
    건물의 무게를 견딜만한 나무가 우리나라에 있는지도 의문이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한반도 고대사를 부정하는 입장에 있기는 하다.)
    숭례문의 복원 과정에서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쓰여진 나무들에서 터짐 현상이 발생한건 목재건축 기초를 무시한 것에서부터
    비롯된 일이다/
    소나무를 충분히 건조 시키고 다듬고 가공해서 건물에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를 싸그리 무시했다.
    그리고 대목장이 소나무를 바꾸어서 사용한 이유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이를 범죄시한 상태 또한 심각한 문제이다.대목장의 변명을 전혀 들으려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건조하지 않은 생나무를 건물의 중요 골격제로 쓰면 어떻게 되겠나.
    문화재 복원에 아무런 지식도 없는 것들이 그저 나무를 바꿔치기 했다는 이유 만으로 그렇게 범죄시하고 몰아간 사회적 문제도 심각하다.
    언론이 제기능를 했어야만 했는데 언론도 이를 싸그리 무시했다.개쓰레기들이 날뛰면 어떻게 되는지 똑똑히 보여준 사례다.
    숭례문의 기둥과 주요 골격들을 이루는 목재들이 쩍쩍 벌어지고 터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자 이것 또한 문제를 삼고 지랄들한걸 보면 문화재 복원이라
    는 측면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그 광경이 처참할 지경이다.
    경상도 지역에서 나오면 신라유물>? 그럼 황금손잡이 칼이 발국된건 뭐라고 해야 하나?황금칼은 흉노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황룡사 9층 목탑은 이름처럼 총 9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층은 신라의 주변 나라들을 의미하는데, 1층은 일본, 2층은 중화, 3층은 오월(남중국), 4층은 탁라(탐라), 5층은 응유(백제),6층은 말갈, 7층은 거란, 8층은 여적(여진), 9층은 예맥(고구려)를 의미합니다. 신라는 당시 수많은 국가들의 침입을 극복하고 우뚝 서려는 열망을 이 황룡사 9층 목탑에 표현했던 것입니다.출처 문화재청
    이런 목적으로 황룡사를 한반도 저 구석에 있는 신라가 건축 했다고?????????
    중화?오월?탁라?말갈?거란?여적(여진)? 이들이 신라와 무슨 역사적 충돌이 있었나?
    고구려 백제 왜는 이 한반도에서 강요한 역사대로 가능하겠지만 중화?오월?탁라?말갈?거란?여적(여진)?은 어떻게 설명 가능한가?
    참 기괴한 역사 아닌가.
    탁라가 탐라이고 현재의 제주도라 치자.이 탁라가 신라에 무슨 위협이 될수가 있었겠나? 차라리 대마도라고 하지.
    우산국이 무슨 위협이 되어서 이사부가 사자(목재모형)를 이끌고 정벌을 하나?참으로 기괴한역사 아닌가.아가리로 역사라 하지말고 우산국이 실제
    보유한 사람들이 얼마였는지 군사를 동원 가능한 숫자가 얼마였는지 우산국이 국력이 얼마였는지 이 때문에 신라가 어떤 피해를 어떻게 입었는지가
    역사 아닌가.
    현재의 울릉도가 칼 창 활이 주무기였던 시기에 과연 신라에 위협이 되었는지 가늠도 해보지도 않으면서 이사부가 정벌 했다고??이게 역사라고??
    이게 실제 역사이면 이 역사는 현재의 울릉도에서 벌어질수가 없다고 생각하는게 정상이겠지.
    현재 한반도에서 자라는 소나무는 대부분 구불구불하게 자란다./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곧게 자라는 소나무 수종이 아니다./이런 수종으로 황륭사를
    지었다고?그것도 9층으로 ?>?
    건물의 규모와 총 중량에 대한것을 얼핏 본적이 있었지만 도저히 한반도의 수종으로는 지을수없다는 생각만을 가질수밖에 없었다.
    현재 남아있는 곧게 자란 소나무를 앞으로 100년을 더 키워도 황룡사를 지을만한 소나무를 확보한다는것도 장담할수가 없을 지경이라 본다.

  • @박샛별-Es
    @박샛별-E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지금이라도 역사가들이 모여
    복원이라는 기법으로 해야죠.
    그게 왜 쓸데없는 짓입니까?
    천년후에 봅시다
    그때보면 수천년 전 탑을 천년 전에 다시 세웠다라고 하면 안 늦고 괜찮은 거지요.
    백제 왕궁 복원 하는 것도 마찬 가지지요.
    왜 안됩니까?
    전라도는 되고 경상도는 안됩니까?

  • @gyobnet
    @gyobnet 4 месяца назад

    무슨 근거로 복원을 하냐는 말씀 공감합니다

  • @youngminshin4097
    @youngminshin409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원형을 파괴하는 복원은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황룡사 복원을 하지 않는 것이 정답이군요.. 발굴을 제대로 하되. 복원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 @davekim7777
      @davekim777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사카성 천수각은 관광수입은 물론, 일본축성문화, 일본전국시대문화의 꽃으로 전세계인들에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내부는 시멘트로 복원한거로 알고 있습니다.

    • @홍영상-c9c
      @홍영상-c9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복원하면 안되죠
      무슨 근거로 어떤 양식으로 복원을하려고요
      그에 대한 전문가가 있기는 한가요.

    • @davekim7777
      @davekim777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홍영상-c9c 황룡원.검색해보세요.
      이미 건축돼 있습니다.
      기술이 없어서는 아니고, 과거 그 시대 소나무 써야 원형복원이라면, 대원군이 중건한 경복궁은 그럼 헐어야겠지요.
      한국관광의 필수코스인데. 원형이 아니니 헐어야겠지요.

    • @Tomahawk95
      @Tomahawk95 Месяц назад

      왜 완벽한 복원이 아니면 상상 테마파크 창작 이딴식으로 몰아가는거임? 당대 기술수준이나 다른 지역의 건축물들, 남은 자료들을 최대한 조합해서 합리적인 추론을 통해 가장 근접한 결과물을 만들어 보는 일에 의미가 없다는거면 뭐 지금 연구하는 사람들은 다 뭐하는거임? 걍 창작물 제작자들인가?

  • @lmssoo
    @lmssoo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내가 고등학교 전부터 황룡사 복원한다고 했는데, 앞으로 4년후면 환갑이다. 여태 복원한다고 사무실만 거창하게 만들어 놓고 허허 벌판에 도대체 수십년간 뭘했는지! 오히려 경주보문에 가면 황룡사 9층탑 만들어 예식도 하는 장소가 있다. 황룡원이라고...이젠 경주 국회의원 이란 자와 시장 이란 자는 경주 왕궁복원한다고 중앙정부 지원받고 난리다.황롱사도 여지껏 복원 못해놓고 그넓디넓은 왕궁은 어떻게 복원 할런지! 차라리 경주 여고 에서 예술의전당 우회하게 하지말고 시민들이 필요한 다리나 만들어라! 한심한 인간들아! 다죽은 유물만 복원 시키지말고 현재 살고 있는 사람들이 불편 하지 않게 경주를 정비하는 것도 뭔 미래에 그것이 문화재가 되는거다. 경주에 사는 한 시민으로 답답해서 한 마디 합니다.

  • @신춘순-c4p
    @신춘순-c4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말씀 하시는것이 짜증스러운 목소리가
    아래역 말쓰이군요.

  • @구스민
    @구스민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현대 건축기술로 복원하는것도 또 다른 의미를 갖는거 아닌가 싶다
    터만 보고 무엇을 느낄 수 있다는건지..

    • @YOUNGPARK-in9py
      @YOUNGPARK-in9p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본적도 없는 건물, 상상해 건축하면서 공사비 빼먹는것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