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보면 평생 후회)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 현재시제를 왜 쓸까? 현재시제_시간 부사절_조건 부사절_014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이번 영상에서는 시간 부사절과 조건 부사절에 내포된 현재시제의 절대적인 미래를 이해합니다.
    ※ 영상 업로드 요일: 화, 목, 토
    ※ 영상 대본 및 차례: 네이버 "생각문법" 블로그
    ※ 판매처: 교보, 영풍, 알라딘, 예스24, 인터파크
    #현재시제 #미래시제 #생각문법

Комментарии • 25

  • @sweetsch59
    @sweetsch5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생각을 정리하기위해 일부러 다른 체널의 강의도 두루 보았습니다. 돌아와 다시보고 한번 더보니 will을 한번 잘못 받아들이면 얼마나
    힘든일이 벌어지는지 제대로 배웠습니다.
    정말 잘 배웠습니다.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확신도가 매우 높은 예측을 나타냄" - will을 이렇게 배워야 will을 서법 조동사로 배우는 것입니다. 미래를 운운하는 것은 서법과 동떨어진 잘못된 문법이고요. 이렇게 서법이라는 동사문법을 제대로 인식해야 다른 서법 조동사도 제대로 알게 됩니다. 덧붙여, "과거형 서법 조동사"가 나타내는 서법도 확실히 하시고요. 꾸준히 끝까지 하셔서 원하시는 좋은 결과가 나오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꿈동산-v4o
    @꿈동산-v4o Год назад +1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이 영상 내용중 11-15] I'm going to study English while I'm on vacation.에서 am going to가 어색하게 느껴지네요...자발적인 느낌이라서 "will"이 좋을 것 같아요..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Год назад +1

      will을 써도 되고, be going to를 써도 됩니다. 둘 다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차이점은 해당 영상을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꿈동산-v4o
      @꿈동산-v4o Год назад +1

      네 알겠습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 @서희진-k6h
    @서희진-k6h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
    그러면 when I will have to study, I drink water도 안되나요?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Месяц назад

      when I will have to study, ...
      (언젠가) 공부를 해야 할 때, ...
      말이 좀 이상한데요?
      * When I study, I drink water.
      나는 (평소) 공부할 때 물을 마신다.
      감사합니다.

  • @jhchoi8771
    @jhchoi8771 2 года назад +1

    You're not watching TV until you've finished it. 2권 77페이지. 질문. 뒷절에서 왜 현재완료를 써야하는지요? 제게는 뒤절은 미래의 느낌만 들뿐입니다. 영작할때 저런경우 도저히 현재완료를 못 쓰겠던데요..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2 года назад

      jh choi님, 안녕하세요? 현재완료는 두 사건의 순서가 중요한 상황에서 쓰입니다. 이 경우는 순서를 강조하려고 현재완료로 나타낸 것이고요. 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jck2570
    @jck2570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Год назад

      네,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해 주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Jk-xf2rq
    @Jk-xf2rq 2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절대적인 전제조건으로서 부사절의 일이 일어나야만 주절의 일이 일어나기때문에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현재시제를 쓴다는 로직은 이해했는데요.. 영상에서 나오는 시간의 부사절 예문 before 은 이해가 안가네요
    Think about it carefully before you decide
    다른 시간이나 조건의 부사절은 선후 관계가 부사절이 선, 주절이 후 라서 납득이 됫는데 before 는 먼저일어나야만 하는 절대적인것이 아닌것같아서 햇갈리네요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2 года назад

      'before you decide'도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일이죠? 또한, 반드시 일어난다는 것을 전제로 말하고 있죠? 절대적인 미래의 일입니다.
      고맙습니다.

    • @Jk-xf2rq
      @Jk-xf2rq 2 года назад +2

      @@thinkinggrammar 아 이해했습니다 시간 선후에 관계없이 선이든 후든 절대적 미래에 일어난다는 전제!! 감사합니다!!!

  • @김소희-b7g4e
    @김소희-b7g4e Год назад +3

    If it rains tomorrow I will not go there에서 반드시 일어나야만 하는 조건으로 주절이 일어나므로 절대적 조건이라는 것이 절대적인 의미가 불변성을 가지고 있고,
    사전을 보면 아무런 제약 비교할 만한 대상이 없는등등으로 나오는데요.
    반드시 일어나지 않아도 반드시 일어나야만 하는 조건은 절대적인 조건이며 시제는 현재시제로 쓰는 이유가 있나요?
    절대적과 상대적이 둘다 비교할 때 쓰이는데 절대적은 기준을 정해두고 비교하지만 상대적은 기준없이 비교한다고 말은 맞는 것인가요?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Год назад +2

      * If it rains tomorrow I will not go there.
      - 위 예문은 조건문입니다. 내일 비가 오면, 즉 내일 비가 반드시 온다는 조건 하에 내일 그곳에 가지 않겠다는 말입니다.
      - 절대적인 조건을 현재시제로 표현하는 이유는 영상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Pink-m3m
    @Pink-m3m 2 года назад +1

    쌤~ 짐 궁금한 파트 다시 보는 중인데요.
    when 부사절이 한글로 해석하면 '~할때'가 아니라 '~ 하면'이란 뜻이 써 있더라구요.
    if도 '~하면'의 해석이 되는데 한글에서 '~하면'이란 단어일 경우 when을 써야할지 if를 써야할지를 어케 구분해서 when이나 if를 써야할까요?
    after도 쌤 해석은 '~하면'이네요? 한글로는 다 같은데 어떤 접속사를 써야할지 모르겠어여.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2 года назад

      '-면' 하면 조건이나 가정을 떠올리죠?
      * If it rains tomorrow, ... [조건절: 직설문]
      내일 비가 오면
      * If the sun rose in the west, ... [가정절: 가정문], ...
      내일 해가 동쪽에서 뜨면
      국어는 영어와 달리, 가정법이 없어서, 문법적으로 조건과 가정을 구분하지 않고, '-면'을 씁니다. [영어는 조건(rains, 현재형)과 가정(rose, 과거형) 구분함]
      * When I go to the market, I will buy it for you. [직설문]
      또한, 국어는 어떤 일이 확실히 일어날 때 '-면'을 씁니다. 위 예문은 실제로 시장에 갈 일이 있거나 가기로 되어 있는 ‘확실한 상황’에서 한 말입니다.
      ‘(시장에 갈 건데) 시장 갈 때 〉 시장 가면 〉 시장 가서 그것을 사다 줄게.’ 이런 말입니다.
      고맙습니다.

  • @김소희-b7g4e
    @김소희-b7g4e 2 года назад +2

    1) If it rains tomorrow I won't go there
    1)에서 조건부사절이 조건이고 추정할일이 아니라서 will을 쓰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절대적으로 반드시 일어날 때 현재시제를 쓰기에 1)의 If절은 절대적인 미래라지만 저는 반드시 일어날 것으로 보이지 않아서 헷갈립니다. 설명을 구할 수 있을까요?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2 года назад

      반드시 일어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
      사건a: If it rains tomorrow
      사건b: I won't go there
      먼저 비가 와야지만 그곳에 가지 않죠?
      그곳에 가지 않으려면, 먼저 비가 와야죠?
      사건a는 먼저 반드시 일어나야만 하는 절대적인 개념이고, 절대적인 미래고, 절대적인 조건입니다.
      비가 올지 안 올지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비가 온다는 절대적인 조건/전제로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김소희-b7g4e
      @김소희-b7g4e 2 года назад +1

      @UC_Oy87M5XKe3IRAN1Y7LPeA 답변 감사합니다.
      절대적의 의미가 아무런 조건이나 제약이 붙지 않고 비교하거나 상대될 만한 것이 없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절대적인 조건문에서 반드시 일어나는 조건에서 추가적인 조건이 없다는 의미인가요?
      조건이 반드시 일어난다고 할 수 없어도
      반드시 일어나야만 그곳에 가지 않는다는 것이 절대적인 조건문이라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

    • @thinkinggrammar
      @thinkinggrammar  2 года назад

      @@김소희-b7g4e 반드시 일어나야만 ... 이것이 절대적인 개념이고요.
      그곳에 가지 않으려면 비가 먼저 반드시 와야죠? 그러니까 비가 오는 일은 절대적인 일입니다.
      If it will rain ... 이것은 비가 올지 안 올지 ...
      If it rains ... 이것은 생각하고 말고 없이, 비가 오면 ...
      고맙습니다.

    • @김소희-b7g4e
      @김소희-b7g4e 2 года назад +1

      @@thinkinggrammar 그렇군요. 절대적인 의미가 반드시 일어나야만 한다는 의미라서 조건에도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luisjoon2915
      @luisjoon291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thinkinggrammar
      아.... 저도 질문자님처럼 이거 대해서 한참 고민해습니다. 아무리 현재시제를 사용하더라도 분명히 if(만약;불확실성)라는 조건이 붙었는데 이게 과연 현재시제 즉, '절대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댓글을 쭉 읽어보니까, 중고등학교 때 when과 if를 비교하는 문법에서 when은 '확실한 상황', if는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못박아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다시말해, 과거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괴상한 문법체계에 휘말렸다는....헐...
      ex)
      - When you are hungry, let me know. (you가 미래 어느 시점에 분명히 배고플 때가 올테니까→"절대적인 미래", 그 때 나에게 알려달라.)
      - If you are hungry, let me know. (만약 you가 미래에 배고플지 안 고플지의 개념이 아니라, you가 만약 반드시 배고프다는 조건 하에 →"절대적인 미래" 그 조건이 되면 나에게 알려달라)
      이렇게 이해되는데... 제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