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thing About 'Liberty Leading the People'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1
  • Why did the goddess of freedom, who leads the people, become a symbol of revolution?
    The artist who represents Romanticism and the 19th century French Revolution, Eugène Delacroix.
    Liberty Leading the People Eugène Delacroix
  • РазвлеченияРазвлечения

Комментарии • 144

  • @Reason_Of_Art
    @Reason_Of_Art  2 года назад +24

    *🌟예술의 이유 영상 총정리🌟*
    아래 리스트에서 관심있는 작가나 작품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명화의 비밀 List*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 ruclips.net/video/9cBbWQrz2aY/видео.html
    오필리아 ruclips.net/video/eJ1xFh7R-0g/видео.html
    만종 ruclips.net/video/2ihWP8wAPN4/видео.html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 ruclips.net/video/uQ3O0TxAjNc/видео.html
    가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 ruclips.net/video/YqTgJK2jlJA/видео.html
    이반 뇌제와 그의 아들 ruclips.net/video/teMYxKzO5-s/видео.html
    마담X ruclips.net/video/Ns4RRsSkKxw/видео.html
    젠틸레스키의 유디트 ruclips.net/video/Nrd7in8wGSA/видео.html
    에케 호모 ruclips.net/video/YPVmAletNRI/видео.html
    생각하는 사람 ruclips.net/video/MNhpVpqk95o/видео.html
    모나리자 ruclips.net/video/F3OI1-H1Tas/видео.html
    폴리 베르제르의 바 ruclips.net/video/BXKG2m0m_No/видео.html
    달마도 ruclips.net/video/9RnNvrQzMwY/видео.html
    프라고나르의 그네 ruclips.net/video/dFYTpyjfoYU/видео.html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ruclips.net/video/3cvS_Kx3DRg/видео.html
    올랭피아 ruclips.net/video/H-aoINSCjcs/видео.html
    최후의 만찬 ruclips.net/video/vph29cvadMc/видео.html
    천지창조 ruclips.net/video/dvWtDIIfjYc/видео.html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ruclips.net/video/-0CjSLlADnM/видео.html
    시녀들 ruclips.net/video/H-aoINSCjcs/видео.html
    사트루누스 ruclips.net/video/C7IkgmRMb3I/видео.html
    비너스의 탄생 ruclips.net/video/m7neprnJH08/видео.html
    세잔의 사과 ruclips.net/video/KZ6qZ2T9u7I/видео.html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ruclips.net/video/1w_OPSfBC5Q/видео.html
    다 빈치의 앙기아리 전투 ruclips.net/video/BYBgN397tB4/видео.html
    풀밭위의 점심식사 ruclips.net/video/zQh8JmQf258/видео.html
    밀로의 비너스 ruclips.net/video/PSf2-ZxlOf4/видео.html
    고디바 ruclips.net/video/4wDjX8Glz6Y/видео.html
    흰색 교향곡 1번 ruclips.net/video/cK9sPYaEtXs/видео.html
    사모트라케의 니케 ruclips.net/video/6lSQQQZ0Xn0/видео.html
    루앙 대성당 ruclips.net/video/t-eX5v0Tjso/видео.html
    성삼위일체 ruclips.net/video/FuidbuSfZUw/видео.html
    렘브란트의 자화상 ruclips.net/video/s9QD6pulOCE/видео.html
    아테네 학당 ruclips.net/video/DlrJ_ewiOnU/видео.html
    시녀들 ruclips.net/video/H-aoINSCjcs/видео.html
    베르툼누스 ruclips.net/video/4FOhTk2Sgn4/видео.html
    *예술가의 이유 List*
    안토니 가우디 ruclips.net/video/EwkF7AAbUHQ/видео.html
    뱅크시 ruclips.net/video/sIBcA5n6cQU/видео.html
    구스타브 쿠르베 ruclips.net/video/1M-wvJOxRSE/видео.html
    알폰스 무하 ruclips.net/video/nTJt1Dv0HR4/видео.html
    카미유 클로델 ruclips.net/video/lf2gZTn2rwc/видео.html
    클림트 ruclips.net/video/SlAU6YyI_xk/видео.html
    마크 로스코 ruclips.net/video/PhthFHxfUGM/видео.html
    클로드 모네 ruclips.net/video/sLPxvPCNwZY/видео.html
    바스키아 ruclips.net/video/mgB0zJ2DfPc/видео.html
    칸딘스키 ruclips.net/video/C3awlOIPfDs/видео.html
    몬드리안 ruclips.net/video/EfsZ_FasFIU/видео.html
    뭉크 ruclips.net/video/VR-2CJX5WNo/видео.html
    카지미르 말레비치 ruclips.net/video/BxIN2l5I1OA/видео.html
    보테로 ruclips.net/video/x1xMyONI8CI/видео.html
    윌리엄 터너 ruclips.net/video/ZAglIzCYoF8/видео.html
    데이비드 호크니 ruclips.net/video/NcuQgEs91v4/видео.html
    페르디낭 호들러 ruclips.net/video/Y_ldwrlBOLs/видео.html
    툴루즈 로트렉 ruclips.net/video/wNtV0iGu9HM/видео.html
    자크 루이 다비드 ruclips.net/video/AwW4mNhob7o/видео.html
    앙리 루소 ruclips.net/video/xChvgQD4lLA/видео.html
    에펠 ruclips.net/video/d8E97cDfGEo/видео.html
    나혜석 ruclips.net/video/d8E97cDfGEo/видео.html
    이중섭 ruclips.net/video/6PWmA_-Bws4/видео.html
    신윤복 ruclips.net/video/5SEz-Mjf6m0/видео.html

  • @stellaxr
    @stellaxr 3 года назад +412

    ㅜㅜ갠적으로 넘 좋아하는 채널인데 떳으면 좋겟다

  • @op.2020
    @op.2020 3 года назад +385

    저 거대한 그림을 교과서 속 작은 그림이나 티비나 휴대폰 속 잠깐의 이미지로 보고 넘어가면 저 그림속 대부분의 빛을 받는 여신을 중심으로만 보기 쉬워요..
    실제로 저 그림 앞에 서게 된다면 우리 눈에 먼저 보이는 것은 혁명 속의 잔임함과 그 잔인함에 의한 시체들이 제일 먼저 우리의 눈에 들어온답니다
    가까이에서 보면 오직 잔인함과 도살된 사람들만이 보이지만 점차 뒤로 가면서, 멀리 떨어져서 그림을 보게 되면 그 잔인함을 토대로 생겨난 승리를 하고있는 눈부신 혁명이 눈에 들어오죠
    들라크루아가 말하고 싶었던 것이 바로 그것 일 것 같아요 가까운 곳에서 보이는 끔찍한 혁명의 순간들 하나하나가 모여 결국 어느정도 거리를 두고 멀리서 봐야 보이는 눈부신 혁명
    현재의 참울함들이 모여 이루게 되는 낭만
    그런 혁명을 그리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싶어요

    • @user-rl1nu3ki2u
      @user-rl1nu3ki2u 3 года назад +1

      말 너무 이쁘게 하신당...

    • @user-bf9zj7hk8o
      @user-bf9zj7hk8o 2 года назад +1

      누가 봐도 잔다르크 오마주인데
      보급품이 없을땐 적의 물품을 쓰는건 당연한거야 특히나 저당시는....
      약탈 운운하는게 첫분째 잘못이고
      저 그림은 양비론이 아닌
      시민들을 참여하게 만드는게 목적인거야
      특히나 힘이 약한쪽에서
      잔다르크나, 백제의 계백 신라의 화랑 관창
      다윗과 골리앗 처럼등등
      약한 여자 꼬마도 저렇게 전진한다 특히나 몸에 헐벗겨져지는거 상관없이 라는 이미지를 주고 상징이됨

  • @user-gr1ev3gw3k
    @user-gr1ev3gw3k 3 года назад +207

    와 영상 진짜 미쳤다
    결국 혁명을 짜릿한 기쁨뿐만 아닌 피비린내와 사랑하는 이를 잃은 슬픔을 안고 가는 것이었네요. 영상을 보고 나니 이 작품이 프랑스 혁명 그 자체를 가장 잘 표현해 낸 것 같습니다. 새로운 시각을 열어준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gf7lh1tz5o
    @user-gf7lh1tz5o 3 года назад +85

    딱 일년 전 쯤에 루브르에서 직관했던 작품인데 그땐 그냥 단순히 유명한 그림이고 이 작품 앞에 사람들도 바글바글해서 구냥 대충 훑어보고 지나쳤는데ㅠ 이런 배경지식을 알고봤다면 좀 더 눈여겨보고 느끼는바도 달랐을텐데 말이죠ㅠ 지금이라도 알게되서 좋네여!😃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zc2pf9et9z
    @user-zc2pf9et9z 3 года назад +100

    정말 최고의 영상입니다.. 제가 이 그림을 실제로 보기 전에 이 영상을 봤었더라면 ㅜ 감회가 새로웠을텐데 ㅠ 정말 아쉽습니다... 코로나가 풀리면 루브르부터 달려가고싶네요..

  • @juyeonlee4156
    @juyeonlee4156 3 года назад +19

    자유를 얻는 일이 이토록 힘든 일인 것을..
    오랜 자유의 당연함에,이젠 희미해진 그것의 소중함을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brightrighter
    @brightrighter 3 года назад +88

    진짜 사람이 배워야하는게...
    나 저 그림안에 여자를 잔다르크라고 생각했었음
    "여윽시 잔다르크 갑옷 안입어도 안죽죠~?" 요런 느낌의 그림인줄 알았는데...
    잘 배우고 갑니다
    영상 나오면 꼭 시청합니다.

    • @tvuhjjul7677
      @tvuhjjul7677 2 года назад +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jl2gh5fh7o
    @user-jl2gh5fh7o 3 года назад +37

    와 진짜 유익하네요.... 이런 고품질의 영상을 누워서 볼 수 있다니 진짜 유튜브의 순기능... 유명한 그림이지만 선두의 여자가 누구인지 왜 그런 차림을 하고 있는지 전체적인 그림의 의미가 뭐인지는 처음알았네요 항상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응원해요!

  • @Gilsu
    @Gilsu 3 года назад +23

    오늘도 진짜 너무 유익한 영상이네요! 들라크루아의 이 그림이 그저 ‘1830년 7월 혁명에 대한 그림이고, 굉장히 유명하다’고만 알고 있었는데!!! 어떻게 이렇게 유익한 거죠? 편집도 너무 깔끔하고 정말.. 항상 배우는 게 너무 많아요! 감사해요! 특히 여신의 발 밑에 쓰러진 시체에 주목하고 그 의도를 짚어주는 것, 낭만주의 화풍의 시초임을 알려주는 것 너무 유익하게 들었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 @user-jr3ss9lo3m
    @user-jr3ss9lo3m 3 года назад +15

    ebs보다 고퀄인 영상;; 거기다 나레이션까지 완벽. 이런건 이유 없이 구독 좋아요 때려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 @familyonly_j_m
    @familyonly_j_m 3 года назад +4

    근래 발견한 채널 중 가장 유익하네요. 잘보고있습니다♡

  • @whtbdkonly
    @whtbdkonly 3 года назад +32

    딕션도 너무 좋으시고 내용 전달력도 뛰어나셔서
    문외한이 봤는데도 너무 즐겁고 유익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vivakim5259
    @vivakim5259 3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영상입니다 내용도 나레이션도 넘 좋아요

  • @sunnydnjs
    @sunnydnjs 3 года назад +1

    등록금내고 듣는 교양수업듣는것보다 훨씬 풍부하고 재밌어요~~~~~~~. 정말 강추입니다~😀

  • @hna2624
    @hna2624 3 года назад +6

    맘이 아픈 그림이네요. 우리나라 역사도 그렇듯 많은 희생이 있기에 지금이 존재하는 것이겠죠

  • @user-wo1yk4kv4y
    @user-wo1yk4kv4y 3 года назад +6

    와 정말 흥미롭고 유익해요!!😍

  • @user-wd3ud8pm1d
    @user-wd3ud8pm1d 2 года назад +3

    진짜와... 그림 한 장 안에 많은 정보를 담아놓는 화가들이 인상깊네요

  • @user-gz4sc3hq6f
    @user-gz4sc3hq6f 2 года назад +2

    진짜 너무 재밌어요 이 채널ㅠㅠ

  • @PPKIKI
    @PPKIKI 3 года назад +20

    살아가면서 지쳐서 무관심해지는 미술, 예술 작품들에 대해서 배경과 객관적인 시점이나 시대적인 배경으로 해석해줘서 너무 재밌어요!!
    그 시대의 역사, 배경으로 그림들을 해석해주고 현대의 시점에서 저희가 생각을 가지도록 의문점을 던지는 부분도 치열한 삶에서 그림을 다시 한번 자세히 보며 의문도 가지고 여유를 즐길수 있도록 도와주는것 같아요!
    오늘도 힐링하고 생각하고 갑니당!!
    감사해요~

  • @user-vn4ot4he2k
    @user-vn4ot4he2k 3 года назад +4

    와~너무 좋아요!프랑스 국기가 빨간색은 자유, 파란색은 평등,하얀색이 박애라니 신기하네요 구독헸습니다

  • @Reason_Of_Art
    @Reason_Of_Art  2 года назад +6

    저희가 준비한 예술 이야기 재밌으셨나요?
    저희의 예술이야기를 담은 책 『널 위한 문화예술』을 현재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Reason_Of_Art
      @Reason_Of_Art  2 года назад

      널위한문화예술 책 구매하러가기! 👇🏻
      reurl.kr/2BD117309ZU

  • @user-ge5nh9vt5z
    @user-ge5nh9vt5z 3 года назад +1

    그림 하나를 이렇게 설명해주니 너무 좋네요

  • @TheFbgpwl26
    @TheFbgpwl26 3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barleykim9828
    @barleykim9828 3 года назад +24

    낭만주의의 낭만이 그 낭만이 아니었다는 것을 지금 알았어요.... 정말 유익하고 좋은 채널입니다...!! 기존에 군더더기 하나도 없는 완벽한 여신과는 다르게, 흙투성이에 시민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여신이라니, 저 같아도 너무 든든하고 경배해마지않는 여신일 것 같아요!

  • @user-qj5yz7zn8h
    @user-qj5yz7zn8h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해요, 배웁니다

  • @hwang4017
    @hwang4017 Год назад

    살아가면서 지쳐서 무관심해지는 미술, 예술 작품들에 대해서 배경과 객관적인 시점이나 시대적인 배경으로 해석해줘서 너무 재밌어요 의도를 짚어주는 것, 낭만주의 화풍의 시초임을 알려주는 것 너무 유익하게 들었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 @IloveIU0918
    @IloveIU0918 3 года назад +1

    잘 보고갑니다~

  • @Rokbrucelee
    @Rokbrucelee 3 года назад +2

    그림을 이해하니 놀랍네요~!

  • @user-cz4nq8ry9l
    @user-cz4nq8ry9l 2 года назад +2

    지루한 예술을 재밌게 설명하시니 최고!

  • @user-od4md5xt4g
    @user-od4md5xt4g 3 года назад +48

    야~ 수년 동안 들어온 Viva la Vida의 가사가 뭔 뜻인가 하고 넘어갔는데.. 이제야 알았네

  • @druminsect4424
    @druminsect4424 2 года назад +6

    단순히 혁명의 역동성, 위대함 등을 묘사하는 그림인줄만 알았는데 어떻게 보면 처절하고 참혹하기까지 하네요. 혁명에는 숭고함이나 위대함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피와 잔혹함과 고통도 수반되기 마련인데, 그런 부분을 그림에서 은근하게 알리고 있다는 점에서 뭐랄까 낭만주의 작품이지만서도 사실주의 화풍의 기능도 하고 있는듯한 느낌이랄까요.. 많은 것을 배우고 갑니다:)

  • @maxdherzklang
    @maxdherzklang 3 года назад +5

    여담으로 레미제라블 속 혁명은 1832년 6월 항쟁을 배경으로 한다고 해요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보고가요😊

  • @user-dg5gj3pw8l
    @user-dg5gj3pw8l 3 года назад +1

    좋아요

  • @kaiserapo2148
    @kaiserapo2148 2 года назад +1

    저 여신은 우리가 진정으로 찾고자 하는 목표에 다다르기 위한 길잡이의 역할이였을겁니다 프랑스인들은 이 여신을 가슴에 새기며 판단의 나침판으로 오랫동안 자리하게 될것입니다 현재 우리가 판단을 하기 앞서 저 여신을 기억해봅시다
    여신으로 표현해 낸것은 우리는 필멸하지만 목표는 영원함을 표현하기 위함이였을겁니다 시청 잘했고 생각할거리를 주신 채널주인분께 감사말씀드립니다

  • @user-kf6vp7km8s
    @user-kf6vp7km8s 3 года назад +2

    채널 잘 보고 있어요! 최후의 만찬도 다뤄주시면 좋겠어요 ㅠㅠ

  • @nhk1469
    @nhk1469 3 года назад +2

    이채널 왜안뜨지 진짜 완벽한데

  • @user-xi1ox7df7h
    @user-xi1ox7df7h 3 года назад +41

    최고의해설 감사합니다
    참고서적은 어떤걸보시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TheFbgpwl26
      @TheFbgpwl26 3 года назад +10

      제가 현재 읽고 있는 책이 '파리 미술관 역사로 걷다' 라는 책인데요, 영상에 나온 참고 그림도, 내용도 거의 비슷해서 이 책을 참고하신게 아닐까 싶네요

  • @hongekim3130
    @hongekim3130 3 года назад +4

    루브르에서 모나리자보다 더 압도당했던 작품이에요 이 그림의 이야기가 궁금했는데 잘봤습니당

  • @user-ws7ry1pz4m
    @user-ws7ry1pz4m Год назад +1

    며칠 후 루브르에 가는데 이 영상을 미리 보고 가 정말 운이 좋고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밀로의 비너스, 사모트라케의 니케 등 하나하나 영상 보며 공부하고 있어요! 이 채널 넘 좋아요🤍

  • @JSPWONBIN
    @JSPWONBIN 2 года назад

    알면서도 보고, 모르고도 보는 재밌는 영상.

  • @user-tq7ku1ph8p
    @user-tq7ku1ph8p 3 года назад +2

    편집이 깔쌈하네요

  • @floatinginuniverse_
    @floatinginuniverse_ 3 года назад +2

    편집부터 내용까지 다 너무 좋아요

  • @bobaee
    @bobaee 3 года назад +12

    이렇게 그림을 이해하니까 마음이 아프네요...정말 유명한 그림인데 이제야 깊이 알겠어요.

  • @user-px3bk3fz8k
    @user-px3bk3fz8k 3 года назад +1

    와우~^^

  • @ra-zg9op
    @ra-zg9op 3 года назад

    지렷다

  • @user-ib4sk6go1m
    @user-ib4sk6go1m 3 года назад +4

    늘 잘보고있습니다!! 혹시 이중섭화가님에 대해서도 올려주실수있을까요??

  • @user-lc4hl1qj9z
    @user-lc4hl1qj9z 3 года назад +5

    우왕...미니 삼색기 엄청 쪼끔하다

  • @user-kv3xt1ou8d
    @user-kv3xt1ou8d 3 года назад +2

    진짜 너무너무너무 좋으다.ㅎ
    감사합니다

  • @completion6869
    @completion6869 3 года назад +2

    작품해설 강사드립니다
    흥미롭게 잘봤습니다

  • @user-nc9cd2lj2p
    @user-nc9cd2lj2p 3 года назад +6

    들라크루아의 그림은 시대상을 옮겼고 프랑스정신이 깃든듯

  • @user-rq7ye5wh1x
    @user-rq7ye5wh1x 2 года назад +1

    이그림 좋아요

  • @leefullsun2000
    @leefullsun2000 3 года назад +3

    저그림 저희반 앞에 걸려있어요 항상 저 그림보고 많은 상상을했는데 설명 잘 해주셔서 감사해요🤭

  • @ryu2151
    @ryu2151 3 года назад +2

    어떤 그림이든 가까이서 보는것과 멀리서 보이는것의 느낌은 다르다

  • @LllLi-zz6ol
    @LllLi-zz6ol 2 месяц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저는 상도중학교 3학년 학생입니다. 도덕 수행평가로 선한 댓글달기 운동을 실천하게 되어 댓글을 달게 되었습니다.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라는 작품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작품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작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 @chocho3190
    @chocho3190 3 года назад +2

    살바도르 달리도 해주세요 !

  • @hd6mc7
    @hd6mc7 3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asiyf760
    @dasiyf760 3 года назад +1

    한번의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해서 갑자기 좀 더 나은 세상이 되지 않았던 거죠
    우리에게 혁명은 현재진행중이며 우리가 자유를 얻기 위해서 무엇을 포기했었는가를 기억해야합니다
    무엇을 위해 싸우는지를 생각해야합니다

  • @afterdue
    @afterdue Год назад +1

    1:35 재미있게 잘 보고 있어요. 그런데 삼색기 의미 설명에 자유와 박애 색깔이 뒤바뀐 거 아닌가요? 그림에선 뒤집어진 모양이라 착각하신 것 같아요. 파랑이 자유 빨강이 박애.

  • @user-jf7ip4zl8c
    @user-jf7ip4zl8c 3 года назад

    뜨겁습니다

  • @user-fi2xn7ui6f
    @user-fi2xn7ui6f 2 года назад +1

    시험범위인데 알고리즘 떠서 한 번 보았는데 교과서 내용 뒤에 숨겨진 내용이 많네요 ㅎㅎ 근데 여신 옆에 있는 양복차림의 남자가 들라크루아 자신을 그린 것이라고 배웠는데 맞나요??

  • @user-iz5cb3ig6k
    @user-iz5cb3ig6k 3 года назад +3

    여성 예술가에 관한 영상도 보고싶어요!

  • @chae_woom
    @chae_woom 3 года назад

    무야호

  • @user-zx7zy2ol2c
    @user-zx7zy2ol2c 3 года назад +5

    루브르 박물관에서 봤는데 생각보다 엄청 커서 오오 싶었습니다

    • @hyeryunyou1024
      @hyeryunyou1024 3 года назад

      그랬습니까?그랬군요 그렇게 느끼셨군요

  • @scarletflandre3673
    @scarletflandre3673 3 года назад +1

    그리고 코로나에도 혁명을 일으키는 프랑스. 자유란 쟁취하기 어려운거 같음.

  • @pinocchio2950
    @pinocchio2950 3 года назад

    wow

  • @no_more_potato9207
    @no_more_potato9207 3 года назад

    알퐁스 무하 다뤄줘요

  • @kcy8556
    @kcy8556 3 года назад

    9:30 이부분에 나오는 그림 혹시 무슨 그림인지 알 수 있을까용?ㅠㅠ

  • @syng.man.Lee1
    @syng.man.Lee1 3 года назад +3

    0:57 Viva la Vida의 배경?은 루이16세가 아니라 샤를10세 아닌가요?

  • @sswim_
    @sswim_ 2 года назад

    그림의 왼쪽 상단에 위치한 삼색기처럼 보이는
    것은 무엇인가요?

  • @user-gb9tz6jy5g
    @user-gb9tz6jy5g 3 года назад

    6:47 배경음악 뭔가요??

  • @seungjaestudy1830
    @seungjaestudy1830 3 года назад +1

    "Freedom is not Free"

  • @novic1828
    @novic1828 3 года назад +4

    7:48 이 조국이란게 왕정을 말하는것도, 공화정을 말하는것도 아니라, 프랑스 그 자체를 말하는 건가...

  • @MNMNM1111
    @MNMNM1111 2 года назад

    결국 들라크루아의 여신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승리와 혁명을 상징하는 캐릭터가 아니었던 셈이네요.
    작가의 의도와 달리 정치적 목적이나 앨범 자켓으로 사용하는 후대의 모습을 들라크루아가 보았다면
    어떤 심정이었을까요?

  • @user-uu2io6bz8t
    @user-uu2io6bz8t Год назад

    혁명, 자유인듯 그러나 투쟁 쟁취 억압 살벌하고 잔인하고 어린아이들도 이용혁명 반복 계속, 진짜 자유여신은 니케인듯 ,

  • @user-iz4bc1gh3f
    @user-iz4bc1gh3f 3 года назад

    세상에서 제일 혁명적인 그림에서 제목 바뀐건가요??

  • @user-qp2zn7ho4d
    @user-qp2zn7ho4d 3 года назад +1

    저 여신이 아테네인줄 알았는데 아니였군요...?!

  • @user-zf6bg7ko9i
    @user-zf6bg7ko9i 3 года назад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이 공존하는 이세계
    다만 좋은 놈이 사람들을 대표하여 더 좋은 국가가 되기를 바랄뿐

  • @yoonkim2725
    @yoonkim2725 2 года назад +1

    삼색기가 하나 더 있습니다. 푸른 하늘, 흰 연기, 붉은 피. 그림 전체가 삼색기입니다.

  • @ketv8
    @ketv8 Год назад +1

    틀린사실이 있네요. 콜드플레이의 비바 라 비다에는 프랑스 대혁명으로 사형을한 루이 16세가 아니라 프랑스 7월혁명으로 왕위에서 물러난 샤를 10세에 대한 노래입니다.

  • @bloopers_make_me
    @bloopers_make_me 3 года назад +7

    난 아직도 저 그림 여주인공이 잔다르크로 알고 있었어...

    • @Hamuru_pete
      @Hamuru_pete 3 года назад

      ?

    • @siwonnnnnnnn
      @siwonnnnnnnn 3 года назад +2

      아직도 X 아직까지 O

    • @bloopers_make_me
      @bloopers_make_me 3 года назад

      @@siwonnnnnnnn 고맙습니다 저의 무지를 공개해주셔서 쪽팔리네옼ㅋㅋㅋㅋㅋ

    • @siwonnnnnnnn
      @siwonnnnnnnn 3 года назад

      @@bloopers_make_me 좋은하루되세요 ^^

    • @toolazystudio
      @toolazystudio 3 года назад

      잔다르크는 훨씬 옛날 사람 목장 자체가 다름

  • @user-tt9cb9pj6m
    @user-tt9cb9pj6m 3 года назад +3

    자유를 얻기 위해서 무엇을 포기했는가?

  • @gracus9999
    @gracus9999 2 года назад

    프랑스혁명의 주체는 어머니들이었다...
    내 아이들에게 빵을은 가장 강력한 구호였지...
    애들도 노동자도 모두 피를 원했다...

  • @user-pr3rt6sq7h
    @user-pr3rt6sq7h 2 года назад

    1:33 박애에서 우애라는 단어로 요즘 바꼈습니다

  • @user-og6ik4sw8n
    @user-og6ik4sw8n Год назад

    1:37 파란색이 자유고, 빨간색이 박애입니다.

  • @user-pk6sw9cf4d
    @user-pk6sw9cf4d 3 года назад

    지나칠때마다 제목이 바뀌는듯한

  • @palebluedot7617
    @palebluedot7617 3 года назад

    1:35 자유가 파란색이고 박애가 빨간색이에요!

    • @yonoklee8509
      @yonoklee8509 2 года назад

      그림 속 삼색기가 뒤집어져서 헷갈리신 듯합니다.

  • @user-et5kj3wn5m
    @user-et5kj3wn5m 3 года назад +6

    시민들이 자유를 위해 혁명으로 왕정은 몰아냈지만 또 부르주아들 밑으로 들어간 아이러니...

    • @kikijkim
      @kikijkim 3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프혁명의 최대수혜층은 부루주아입니다, 그들이 시민계급, 부루주아는 현대에서 중산층에 해당됩니다. 기술과 자본을 가진 중산층이 사회의 주축을 이루고 공화정을 만들었죠. 그래서 지금의 풍성한 프랑스가 된거예요. 아이러니 아니예요! 공산혁명이 아니죠.

  • @e330sshv4
    @e330sshv4 2 года назад +1

    프랑스 시민혁명은 1830년이 아니라1789년이죠

  • @user-rn7dd8rt5w
    @user-rn7dd8rt5w 2 года назад

    봣음

  • @hansohuie
    @hansohuie Год назад +1

    10명의 남자보다 1명의 여자가 더 위대하네요

  • @Supark0524
    @Supark052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혁명은 계속되어야한다

  • @itwasjustbored
    @itwasjustbored 3 года назад

    왕을 처형하고 나폴레옹이 황제에 즉위 전까지의 프랑스는 정말 생지옥도였죠

  • @user-nl2vm5vk6y
    @user-nl2vm5vk6y 3 года наза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것도 혁명이라는 생각이드네요.....대한민국썩어빠진 국ㄱㅇ우ㅓㄴ들샹각하면아주그냥..!!

  • @user-jg4cn4tw2e
    @user-jg4cn4tw2e 3 года назад +3

    시작부터 욕 박는 줄ㅋㅋㅋㅋ

  • @user-hg3mn9fs4b
    @user-hg3mn9fs4b 2 года назад

    46년프랑스혼란초래

  • @hansukim793
    @hansukim793 3 года назад +1

    예전에 이런 느낌의 해석을 들은 적 있습니다.
    가슴이라는 여성의 성적인 매력엔 관심없이 행동하는 군중들의 역동적인 혁명과 절박함, 그리고 시체들을 밟고 넘어가며 신경도 쓰지 않는 여신과 혁명군의 잔혹함.

  • @youngglishjang3094
    @youngglishjang3094 Год назад

    저여자가 여신이었구나 모자아니고 헤어스타일인줄

  • @Gabalus_elio
    @Gabalus_elio 3 года назад

    가슴은 왜 내 놓은것일까요?

  • @user-pl4bb5qo6e
    @user-pl4bb5qo6e 3 года назад

    声が크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