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년 전 중국 고대 문자를 해석하면 벌어지는 일(전설의 국가 발견..)ㅣ역사를 보다 EP.51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43

  • @dr.youngcha6398
    @dr.youngcha6398 3 месяца назад +43

    보다를 3년 정도 봤는대 요새는 '역사를 보다'가 제일 재미난거 같아

    • @JohnWilson-q3t
      @JohnWilson-q3t 2 месяца назад +3

      There is an ancient book in the Korean Museum that says: South Korea has no characters, and China lends Chinese characters to South Korea. Koreans can't understand them, but they treat them as treasures, hahah!
      There are complete archaeological records about Dongyi in China. Ancient historical documents: Dongyi has nothing to do with today's South Korea. There are cultural relics in the South Korean Museum, the North Korean Museum, and the Chinese Museum. It is recorded that the ancestors of the South Koreans are Chinese. Jizi, the South Koreans can't understand, but they talk nonsense on the Internet

    • @viicious4u
      @viicious4u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과출신이고 물리학과 출신이라 과학을 보다가 처음엔 분명 재밌었는데, 회를 거듭할수록 재료가 고갈되서 이제는 매번 똑같은 질문 똑같은 내용을 군데군데 뽑아서 짜집기 형식으로 한편 뚝딱 한다는 느낌인 반면에, 최근 역사를 보다는 국가를 바꿔가며 진행하다보니 신선하고 새로운 정보가 계속 생성되는 느낌이다보니 저도 굉장히 공감합니다.

  • @아름답게-x8l
    @아름답게-x8l 4 месяца назад +129

    한글표기를 자유롭게 하자는 의견 너무너무 공감이 됩니다. 사회적 논의가 반드시 필요해보이네요.

  • @imkdi
    @imkdi 4 месяца назад +45

    이런 영상을 집에 편히 앉아 유투브로 볼수 있다니 정말 감사할 따름입니다. 선생님들 모두 감사해요! 허준님도 진행 최고!

  • @LAkyh
    @LAkyh 3 месяца назад +6

    와... 진짜 영상매체에서 했던 역사이야기 중에 포맷이 가장 좋은 것 같아요~
    진짜 이상한 방송이나 영상들이 넘쳐나는데 이 시기, 이 세상에... 정말 보석같은 영상입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zkzkdhzkzkdh
    @zkzkdhzkzkdh 4 месяца назад +239

    역사를 보다 구독한 이래로 박현도 교수님 의견에 저렇게 박수치며 공감하는 강인욱 교수님 모습은 처음보는듯ㅋㅋㅋㅋ

  • @uesr-jhkgdwe
    @uesr-jhkgdwe 4 месяца назад +12

    오늘진짜 술 만땅 먹고와서 듣는데도
    술이 깨면서 귀에 박히네ㅎㅎ
    늘 느끼지만 우리 고고학자 쌤이 늘 최강이신것 같습니다ㅎㅎ 고정맴버 세분 너무 좋습니다ㅎㅎ

  • @Dasdesdemdasü
    @Dasdesdemdasü 4 месяца назад +71

    독일도 매년 사전에 추가된 신조어라던가, 청소년들 유행어까지 정리해서 발표하던데, 언어를 보수적으로 지키려는 노력보다는 어떻게 변해가는지 기록하고 정리해두려는 것에 목적을 둔거같아서 신기했었네요.

  • @Rengea11
    @Rengea11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애굽민수님이 얘기 들으면서 메모 하시는게 배울수록 겸손한거 같아서 보기 좋습니다.귀감이 됩니다.

  • @yellow0707
    @yellow0707 4 месяца назад +204

    오늘 한글에 대한 이야기가 너무 좋았어요. 우리글을 지키는것 올바르게 사용하는것 너무 당연하고 소중하지만
    언어라는건 결국 시대를 반영하기때문에 거기에 맞춰 조금씩 확장해가는건 긍정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해서 우리 한글이 없어지는건 아니니까요. 오늘도 역사를 보다, 정말 잘 보았습니다 ~

    • @ongochian
      @ongochia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헐 존 나

  • @meaningless_user
    @meaningless_user 4 месяца назад +277

    쐐기 문자, 갑골 문자처럼 교과서에서만 읽고 배웠던 내용 뿐 아니라 한글 표기 한계까지 배울 수 있다니... 정말 최고의 컨텐츠입니다.

    • @SungrimLee
      @SungrimLee 4 месяца назад +37

      한글표기 한계...아니죠... 국립국어원의 한계죠...

    • @fuzzface-983
      @fuzzface-983 4 месяца назад +18

      맘먹고 외례어 표기 덤벼들면 다 표기 가능할듯. F=ㅍㅎ th=ㅆㄸ, O=ㅗㅜ/ㅗ-, Z=지‘ 이런식으러 표기 몇가지 추가해서 점이나 장음은 짝때기 라든지 하면 뭐 못할건 없는듯요.

    • @HWANG-bn3xe
      @HWANG-bn3xe 4 месяца назад +1

      ​@@SungrimLeeㅣ

    • @minsooseo3102
      @minsooseo3102 4 месяца назад +1

      @@fuzzface-983 훈민정음으론 가능함 z는 세모모양 훈민정음. l 과 r은 ㄹㄹ과 ㄹ , f는 ㅍㅇ ,v는 ㅂㅇ등등 됩니다 아이폰이라 이렇게 뿐이 못 쓰는데 윈도우로는 다 사용가능해요 날개셋이라는 프로그램있음

    • @참치마요-x2m
      @참치마요-x2m 4 месяца назад

      @@fuzzface-983당장 일본어 ㄴㅇ 사이발음은 어케 쓸꺼임???? 스페인어 j발음도 마찬가지 ㅋㅋㅋㅋ 한글이 우월한게아니라 적기편한거지 다른문자보다 많은걸 표현한다느니 한국어가 표현하는걸 외국어는 못한다느니 2008년 국뽕시절때 유행하던 찌라시를 아직도 믿고있네

  • @carpkingk
    @carpkingk 4 месяца назад +174

    박현도교수님 이렇게까지 흥분..아니 분노하시는건 교수님 출연 영상중 처음보는거같네요 😂

  • @StellaDito
    @StellaDito 4 месяца назад +50

    분명 '역사를 보다'를봤는데 제일 기억에 남고 공감되는건 국립국어원 한글 발음 이야기ㅋㅋ

  • @은빛파도-m6z
    @은빛파도-m6z 4 месяца назад +20

    정말 배울게 많은 콘덴츠입니다.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hk2dl
    @-hk2dl 4 месяца назад +32

    허준님 진행 너무 좋네요 ㅠ 석학들 사이에서 중간 역할 하기 쉽지 않을 것 같은데 때로는 분위기를 끌어주시기도 하고 때로는 자신을 낮추기도 하시면서 시청자의 마음을 잘 대변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 덕분에 집중이 더 잘되는 듯 해요 감사합니다

  • @readykim2751
    @readykim2751 4 месяца назад +164

    공감... 국립국어원에서 표준어라고 지정하는 거 보면 화딱지 남. 만든 이유대로 한글을 사용해라~

    • @123carth
      @123carth 4 месяца назад +30

      @@jjjj8979 지정이 문제가 아니라 그걸 지정하는 이유가 문제겠죠. 예를 들어 전 국민이 수십 년간 잘 쓰고 있던 짜장면을 갑자기 자장면으로 표준어화 해버리고(대체 외래어인 짜장면이 표준어가 되면 안 되는 명확한 이유라도?) 닭볶음탕 등 희한한 사건 많음.

    • @moslow_southkorea
      @moslow_southkorea 4 месяца назад +9

      @@jjjj8979 작가마다 표준어라고 쓰는 게 다르면, 그래서 가독성이 떨어지면, 그런 작가는 독자들이 자연스럽게 도태시킬 겁니다. 그런다고 작가가 표준어만 고집하지 않고 '표준어가 아님에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어와 표현을 쓸 것이고, 그 중 말과 글의 시장에서 선택된 게 살아남을 것입니다.

    • @나일권-h4r
      @나일권-h4r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된소리가 들어가면 일본인이 못따라 할까봐 그렇습니다

    • @RabbiTFooT_T
      @RabbiTFooT_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돈까스-m1i 김밥을 김빱이라고 한다고요...?

    • @DTBpower
      @DTBpower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건 좀 멍청한 소리네요. ​@@moslow_southkorea

  • @Golbat3
    @Golbat3 4 месяца назад +68

    개인적으로 보기에 한글의 사용에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
    외래어표기법을 그냥 다 뜯어고쳐야 한다 생각함.
    최대한 원어에 가깝게 약속을 하고 적극권장을 하는게 낫지 한글과 구성하는 방식 자체가 다른데 한글이 이루어지는 공식을 대입해서 외래어를 읽으려고 하니 맛이 가는거임.

    • @northsevenstar
      @northsevenstar 2 месяца назад

      미국식으로 배우고 하니까 맛탱이가 가는거여 그냥 소리나는 대로 읽는게 영국 영어고 그런나라도도만타잉
      먼10알 워터는 워러어. 포테이토는 모레이토 라고 가르치는 미국인지 중국 선생인지 헷갈리는 영어교사들 졸라만터만
      중국애들이 고급지게한다고 항상 워러어 모레이토 이지롤해

    • @northsevenstar
      @northsevenstar 2 месяца назад

      혀짧은 사투리 쓰는애들 우리나라면 머일거같아? 타국민이 한글배운거지????
      그게 발전된게 사투리고 방언이고 현제 미국 영어란다 .

    • @Golbat3
      @Golbat3 2 месяца назад +1

      @ 사람취급 받으려면 맞춤법부터 좀;

    • @northsevenstar
      @northsevenstar 2 месяца назад

      @@Golbat3 응 너나 마니바더 ㅋㅋㅋ

    • @Golbat3
      @Golbat3 2 месяца назад

      @northsevenstar 그대가 입 터는만큼 그대 수준이 됨.

  • @AChinesearttrip
    @AChinesearttrip 3 месяца назад +70

    국립 국어원의 폐쇄성 문제는
    격하게 공감함니다

  • @sarahpark-r2t
    @sarahpark-r2t 4 месяца назад +43

    이성원 교수님 오시니 너무 흐름이 부드럽고 좋네요 ㅎ 맴버가 제대로 꽉찬거 같아 안정감이 있어영❤ 벌거벗은 세계사서 보다 여기서 뵈니 계속 뵈고 싶습니다🎉

    • @CoolAsura
      @CoolAsura Месяц назад

      저도 벌벗사만 보다 역사를보다를 보는데 뭔가 벌벗사 외전같은 느낌이라 좋네요

  • @anyyou79
    @anyyou79 4 месяца назад +7

    오늘도 너무 재밌고 유익했어요❤❤❤

  • @박진호-v3c
    @박진호-v3c 4 месяца назад +9

    80년대에서 90년대 넘어가면서 국어원 주요 세력이 바뀌면서 굉장히 탑다운(고압적인) 스타일로 바뀌었던걸로 알아요. 그전엔 다양성을 상당히 인정해줬던 걸로 기억합니다

  • @SeoulLEE-j9r
    @SeoulLEE-j9r 4 месяца назад +9

    선추천 후감상!!!

  • @rosak2295
    @rosak2295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이집트나 페르시아 고대 일상 이야기 너무 재미있어요. 러시아도 고대에는 어떤 삶이었을지 궁금합니다.

  • @joungshimpark1627
    @joungshimpark1627 4 месяца назад +8

    이성원교수님 반갑습니다. 벌거벗은 세계사에서 교수님 강의를 인상깊게 들었습니다.

  • @songoh581
    @songoh581 4 месяца назад +30

    저도 답답 할때가 있었는데 100프로 공감합니다 하나 속상한건 요즘 분명 한국말이 있는데 뉴스에서도 많은 TV 프로그램에서 영어를 쓴다는거 그러면 있어 보인다 생각하는건지

    • @bss5543
      @bss554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세계 여러나라도 한글 익히려고 노력해요. 글로벌 시대에 웬 촌스러움. 미,영국 가서 한글로 작성합니까...,

  • @leejunyoung3682
    @leejunyoung3682 4 месяца назад +68

    국립국어원은~자신들의 기득권를 지키기 위해서 기존 틀을 쉽게 못 바꾸게, 바꾼다해도 자신들의 규칙을 따르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것이야말로 카르텔

  • @보다BODA
    @보다BODA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역사를 보다 질문 게시판 링크: cafe.naver.com/boda100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영상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을 채우고, 시청자들이 궁금했던 내용을 담았습니다. 옛사람들의 지혜를 전하는 따뜻한 시선,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에서 구매 하실 수 있습니다.
    📖 [역사를 보다]
    교보문고 url.kr/lhXMpm
    yes24 url.kr/pz75gT
    알라딘 url.kr/3B3tS9

  • @ff50-f4c
    @ff50-f4c 3 месяца назад +6

    생각하지 못한 곳에서 한글이 나와 기쁘네요
    말씀하신 것에 좀더 추가하자면
    원래 우리 훈민정음은 우리말 뿐 아니라 중국어와 북방 유목민 언어들도 모두 참고해서 표기할 수 있게 문자를 만들었기 때문에 원래는 말씀하신 발음들도 표기할 수 있는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제말에 한글 보급률을 더 높이기 위해 단순화된 것으로 알아요.
    몽골이나 중동에서 쓰는 ㅎ 발음은 ‘여린 ㅎ’, f나 v 발음은 순경음 등으로 글자가 있었고
    중국어에 권설음(r)이나 성조가 있기 때문에 그것까지 표기가 다 있었던 것으로 알아요
    새로 만들 필요없이 훈민정음 부활만 시켜도 훨씬 많은 언어들을 표기할 수 있을 겁니다

  • @MrKimwonhyeok
    @MrKimwonhyeok 3 месяца назад +111

    세종께서는 v,f,r,l까지도 다 표기 가능하도록 만드셨는데 왜 안 사용하는지 모르겠다.

    • @thecorea
      @thecorea 3 месяца назад +24

      할버트의 눈으로 구분을 쉽게 연구하고 변형한것까진 좋았으나 3음을 아예빼버린건 30년대 이후 식민시대를 지나오면서 입니다.

    • @Edgarkdh
      @Edgarkdh 2 месяца назад +5

      @@thecorea왜 다시 안 넣죠?

    • @당일투표-g4h
      @당일투표-g4h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일제의 폭거
      따라서 복원해야 한다
      윤가 머리에는 그럴생각이 없다

    • @jmsunny1437
      @jmsunny1437 2 месяца назад +28

      ​@@당일투표-g4h문가는 그럼 왜안했냐 ㅋㅋㅋ

    • @CC-bq8jg
      @CC-bq8jg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윤가는, 국어를 뭐하러 배우냐고 했다

  • @마루치-o3l
    @마루치-o3l 4 месяца назад +8

    국제화 시대에 맞춰 지금보다 더 선진적인 옛 글자를 되살립시다 ❤

  • @SeoulLEE-j9r
    @SeoulLEE-j9r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굿굿굿. 베리 굿!!!

  • @yaericho2361
    @yaericho2361 4 месяца назад +13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 @초이2-p2f
    @초이2-p2f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한글에 대한말씀들 ,정말 정말 공감됩니다.답답한 경우가 너무 많아요.

  •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4 месяца назад +16

    국어원 개혁해야겠네 싸워야할 필요성 있어보이는데

    • @고리골
      @고리골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애초에 국립국어원이 조선총독부의 입맞대로 손댈수 있었던 조선어학회의 후신임

  • @hyei733
    @hyei733 10 дней назад

    허준! 최고👍

  • @user-2wK4tvHEYMhQ
    @user-2wK4tvHEYMhQ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25:19 이건 백번천벌 맞는 말이고
    지식인들이 대대적으로 나서야 한다
    여기 영상에서처럼 “한글로 가능한데 이걸 왜 안하는지 모르겠어요”
    이렇게 말만 하지 말고 모든 분야 지식인들이 나서야 합니다
    우리가 뭐 외국인들하고 구강구조가 다르게 생겼냐?
    왜 우리가 V발음 F발음 th발음 왜 못해야 하는건데?
    ㅋㅎ합쳐서 쓰자는거처럼 V F th에 맞는 글자들만 있으면 우리도 발음 할 수 있다
    옛날 한글에는 V F 표기 가능한 글자 있었다며
    먼저 지식인들이 나서고 전국민이 공감하면 충분히 바꿀 수 있다

    • @아까비까비
      @아까비까비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옛날 한글이면 중국어도 한글로 표현가능했다고 했어요.

    • @sunky1834
      @sunky1834 Месяц назад

      ​@@아까비까비我来澄清下,没有这回事😂

  • @user-tm9zoi7q
    @user-tm9zoi7q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강인욱 교수님 넘 기여워요. 팬입니다

  • @frankyj5665
    @frankyj5665 Месяц назад +8

    既然你们声称汉字是你们发明的,那么我给你们普及一下,东夷在汉字里的意思是东边不开化的野蛮人的意思,竟然还有人追着要做东夷,这就是声称发明汉字的人对汉字的认知?这个词本来是河南及周边的中原人用来称呼他们鄙视的山东人的,随着中国的版图越来越大,东夷人所指代的范围越来越往东扩展,一直到明朝和清朝才用来指代他们瞧不起的朝鲜半岛居民,甲骨文的内容破解成现代字体后,中国人可以熟练地阅读并理解所有内容,请问你们能清楚地读懂一行吗?甲骨文文章是用中文语法写作的,甲骨文也是清晰地适配中文语法的,因为中文是孤立语,一个字就是一个词,甲骨文也是如此,请问你们是孤立语吗?而且语法上你们的스미다能写成汉字吗?中文发音有四种声调,甲骨文那个时代甚至更多,可能有十多个,请问你们韩语有声调吗?所以你们虽然引入了汉字,却无法让普通老百姓学会,因为古代汉语在亚洲就如同法语在欧洲的地位,只有贵族才能学会,因此世宗大王才发明的训民正音,世宗大王说得很清楚,可笑的是你们连训民正音原文都看不懂了,就敢在这胡说八道

    • @frankyj5665
      @frankyj5665 Месяц назад +5

      还有,再给你们普及下,to burst your bubble again, 甲骨文的卜辞里也多次出现东夷,语气也是鄙视的,并且提到要攻打他们,这是不是刺破了你们可怜的幻想。

    • @frankyj5665
      @frankyj5665 Месяц назад +1

      这说起来有一点傲慢,我们也很抱歉,但是古代中国就是这样,认为中国周边的都是野蛮人。因为他们确实显得缺一点文化。

    • @sunky1834
      @sunky1834 Месяц назад

      不是,你让🌽自嗨就完了,还解释上了😂他们要能懂就不是🌽了,你也太欺负人了,还追人家一亩三分地上解读😂

  • @송인관-j9r
    @송인관-j9r 3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옛날 이야기는 재미있어요. 상상력을 풍부하게 도와주죠.

  • @schoonerg6074
    @schoonerg6074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성원 교수님 역대급인데? 매주 나오셨음 좋겠다..

  • @gilsonhwang1225
    @gilsonhwang1225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잘 보았습니다. 특히 한글 표기에 대한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외래어는 소리나는 그대로를 적도록하는 원칙만 두면 되지 않을까 싶은데 말이죠.. 물론 소리나는 그대로에 대한 합의는 필요하겠네요..가끔 한 나라 안에서도 사투리를 구별해야 하는 것처럼요.

  • @zitnbit
    @zitnbit 4 месяца назад +13

    국립국어원 같은 탑다운 방식은 없어져야함.

  • @salt0801
    @salt0801 4 месяца назад +6

    굿굿

  • @왕승윤
    @왕승윤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자금성의 옛모습 사진을 보면 치가 있었는데 치는 고구리 양식이죠..

    • @罠-g9q
      @罠-g9q Месяц назад

      🤣👉🤡

    • @叶子-h9e
      @叶子-h9e 7 дней назад

      你是说爸爸像儿子吗?

    • @weslah4435
      @weslah4435 5 дней назад

      故宫抄袭景福宫,明朝皇帝必须得到朝鲜国王册封😂

  • @itdfyotizgfixxit
    @itdfyotizgfixxit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언어 얘기 잘 들었습니다!! 흥미롭네요

  • @活貧黨
    @活貧黨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내용으로 많은 것을 배워요. 감사해요.😏👍끝.

  • @김상민-m2o
    @김상민-m2o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한글은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라는 점에서, 한국어에 없는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한글을 개량하는 문제에 대해서 저는 조금 주저하게 되는 것 같아요. 사실 전 세계 언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 수도 없이 존재하고, 따라서 그 발음들을 정확하게 한글로 적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한 발음들을 적기 위해서 한글을 개량한다고 하면 과연 얼마나 많은 발음들을 표기할 것이며, 그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한글을 얼마나 개량할 것인지 고민해 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혹은 일부 발음만 표기한다면 어떤 발음을 표기하고 어떤 발음을 표기하지 않을지 결정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 같고요.
    모두가 박현도 교수님 의견에 동의하는 것 같아서 반대 의견 내봅니다 ㅎㅎ

  • @Tyche-xp6wl
    @Tyche-xp6wl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올리비아 뉴튼존의 xanadu가 생각나네요 ㅎ

  • @kirov2476
    @kirov2476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성원 교수님 화이팅❤

  • @swan7926
    @swan7926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역사학자들이 제 생각보다 실용적인 분들이란걸 알게되었네요...

  • @승원-p7u
    @승원-p7u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공부많이되네요 되새김
    70세 옛날공부ㆍ치매예방

  • @pjy0310
    @pjy0310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역시 배운분들의 토론!

  • @jinnotjen
    @jinnotjen 2 месяца назад

    한글에 대한 의견 격하게 공감합니다…

  • @crimsonrose9992
    @crimsonrose9992 4 месяца назад +33

    짜장면도 표준어된지 13년 14년 밖에 안 됨ㅋㅋㅋ 원래 고딩 때 언어 국어시험에서 이전까진 자장면만 썼었음 아무도 그렇게 발음 안 하는데도

    • @seyng738
      @seyng738 4 месяца назад +9

      원래 온 국민들이 모두 짜장면이라 읽고 썼는데 어느 해인가 갑자기 한글 순화를 핑계 삼아 자장면으로 강제 된 것임. 그러다 자꾸 반발에 부딪히니 마지못해 다시 자장면, 짜장면 둘 다 옳은 표기로 한다고 수정한 것. 국립 국어원에 자리 꿰차고 있는 것들이 하는 짓거리라는 게, 당췌 부실하기만 한 듯.

    • @yangban-v3m
      @yangban-v3m 3 месяца назад

      ​@@seyng738
      '당최'가 맞습니당~😅

  • @acebaik
    @acebaik 4 месяца назад +4

    26:34 ~부터 이런게 있었군요

  • @dongjokim6361
    @dongjokim6361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우리나라고토이다😂❤❤❤❤❤❤

  • @김재혁-e6z
    @김재혁-e6z 3 месяца назад +9

    중국사를 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중국은 중국만의 역사가 절대아니죠
    그걸 동북공정으로 날름하려다니 중퀴벌레 소리듣는거 아닐까요??

    • @PrettyT-rex
      @PrettyT-rex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중국이 중국만의 역사가 아니란건 뭔 개소릴까

  • @tkqktls7
    @tkqktls7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집트 신전 = 대한민국 제실 이네요
    어릴적 동네마다 집은 슬레이트나 문이 비닐인 집도 있었지만 제실은 진짜 고래등같은 기와 대들보나 천장 용마루 나무도 엄청 났었는데 거기서 친구들이랑 놀다가 어른들이 어디 신성한 제실에서 뛰어노냐고 꾸지람도 많이듣고 ㅠ

  • @kephas7772
    @kephas7772 4 месяца назад +10

    옛날 80~90년대초인가까지 흐루시초프라고도 표기,발음했었죠...그리고 '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때까진 제가 좋아했던 브라질 국대 선수들 이름도 영어식 발음으로 우리 캐스터가 중계했었습니다..호나우두가 아닌 로날도라고...하긴 제가 가장 좋아했던 '82~86년 브라질 국대 '황금4중주' 미드필더의 이름도 당시 캐스터들과 신문상에서의 발음인 지코,소크라테스,팔카오, 토니뇨 세레조 등이 익숙하여 지금도 그리 개인적으론 쓰고 있으니 말이죠...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4 месяца назад +25

    오늘도 고통받는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은 한국어에만 관여하는 게 맞는 듯. 남의 나라 언어 표기에 왜 한국어식 기준을 고집해야 함?

  • @게르마뇽-q1v
    @게르마뇽-q1v 4 месяца назад +9

    한글에 대한 박현도 교수님의 의견에 절대 공감한다. 나는 이미 20여년 전부터 한글에 외국어 표기 전용 자음 최소 3개(f r w)를, 훈민정음 창제정신에 맞춰, 추가해야한다고 틈날 때마다 여러 인터넷 매체에 댓글로 주장해온 사람이다.

  • @김길홍-q1d
    @김길홍-q1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지금도. 한약방에서는 저도 용골(龍骨)을. 많이. 쓰고있읍니다. 저도요.
    용골은 옛날에는 모양그대로
    팔았기때문에 그걸 사다 썼었는데
    40여년 전부터에는. 건제국에서는
    용골을. 가루로 만들어 놓은것을 수입해 사다 팔더군요

  • @jong-hoonmoon2590
    @jong-hoonmoon2590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굳이 새로 조합할 필요 없이
    사라진 옛 글자 를 복원해서 자음 28자를 활용하면
    영어 발음 기호의 f, r, th발음은 물론 세계 모든 언어의 발음이 가능합니다.

    • @고기사랑-b8d
      @고기사랑-b8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쌍이응도 있었는데..그거 발음을 증조할아버지 하실 줄 아셨는데..

    • @NeouRami
      @NeouRami 3 месяца назад +2

      @@고기사랑-b8d 아플때 내는 ‘아야” 할때 아 발음이 쌍이응

    • @고기사랑-b8d
      @고기사랑-b8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NeouRami 찐하고세게 내는 아 발음인데..요즘 아프다고 아야! 에쓰는 그 아랑은 또 다른 느낌..못 따라하겠어요ㅋㅋㅋ

    • @jewonbaek7168
      @jewonbaek7168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아닙니다. 세상엔 그보다 훨씬 더 많은 모음 자음이 있어요. IPA 보면 압니다. 적당히 그나마 비슷한 발음 나는 걸로 표기하면 됩니다.

    • @팝송용계정-d4g
      @팝송용계정-d4g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선생님께서는 무지개가 몇가지 색깔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어떤 문화권에서는 빨주노초파남보의 7색으로 구분하는가 하면, 중세 유럽에서는 5색으로 구분했기도 하고, 심지어 3색으로 구분하는 문화권도 있답니다. 그러나 어느 것도 정답은 아닙니다. 무지개는 스펙트럼이기에 무한히 많은 색을 가지고 있거든요. 단지 인간이 인식하기 편하게끔 적절히 경계를 나눈 것 뿐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음가는 전부 같은 소리가 아닙니다. 사람마다 발성기관이 조금씩 다르기에 완벽히 같은 소리는 없죠. 어떤 사람은 'ㅏ'를 중저모음으로 발음하는가 하면 중모음이나 증고모음으로 읽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모음보다 'ㅏ'에 가깝기만 하면 'ㅏ'로 들리죠. 예컨대 ㅏ가 60%, ㅓ가 40% 섞인 미지의 모음이 있다면 한국인들은 그것을 'ㅏ'로 받아들일 것입니다. 우리가 약속한 범위 안에만 들어오면 같은 음가로 '인식'하는 거죠.
      (이와 비슷한 사례가 실제로도 종종 일어납니다. 현대 서울말에서는 어말의 ㅓ가 ㅗ로 뭉개지는 경향이 있거든요. '오징어'를 발음할 때 서울 사람들은 '어' 부분을 오와 어의 중간형태로 뭉뚱그려서 발음합니다. 그럼에도 우린 여전히 그것을 '어'라고 생각하지요.)
      그렇기에 모든 소리를 나타낼 수 있는 문자체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문자는 무한한 소리의 파편들을 적당히 모아 분류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ㄹ'은 설측음(L)과 탄설음(R), 전동음(RR)을 모두 망라합니다. 이는 한글이 못나거나 열등해서가 아니라 굳이 나눌 필요가 없어서 그냥 그렇게 둔 겁니다.

  • @kwonesteban257
    @kwonesteban257 Месяц назад

    우리글 한글에 대해 정말 속시원한 말씀을 들었습니다. 없어진 4글자도 살리고 말씀하신 대로 자음을 병합하면 어떤 소리도 나타낼 수 있고, 또 한자로 된 단어들은 이미 중국 글자가 아니라 우리글의 한자인데도 불구하고 일부 국어학자들의 엉터리 주장이 '사과'의 뜻을 잘못 알게하는 우민화 정책에 분노하고 있었거든요.

  • @pangozia
    @pangozia 4 месяца назад +14

    결론 국립국어원은 개판이다

  • @Le_libertine
    @Le_libertine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중국 관련해서 산해경에 대해 다뤄주시면 정말 좋겠습니다. ㄹㅇ 출처를 알 수 없는 문서인데 중국사상 최초로 고조선역사와 문화까지 언급하는 문헌이기에 산해경이 무엇인지 꼭 다뤄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BishopTom
      @BishopTom Месяц назад

      어쩌면 단군이었을지도 하하

  • @mijei6048
    @mijei6048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프로그램 감사 합니다.
    세계 주요한 나라로 더욱 확대시켜서 그들의 시작점을 우리의 손바닥위에 놓고 보는 날이 오기를 기대합니다. 시작에서 현재로 미래로 이어 지는 노정을 상상합니다.

  • @쿤란-s3l
    @쿤란-s3l 4 месяца назад +17

    ㅋㅋㅋㅋ 여기 나온 교수님들도 인정 하듯이 지금의 한글은 소위 배웠다는 놈들이 망친거기도 함
    세종의 뜻은 지금 처럼 표기하는게 아니었다 라는거
    한글의 위대함은 세상의 모든 소리를 글자로 표현할수 있다는거니까

  • @chanhuiha
    @chanhuiha 3 месяца назад

    최근에 '책의 역사'와 '문자의 역사'를 읽는데 관련된 내용이 나와 재미있네요.

  • @neykol2
    @neykol2 4 месяца назад +4

    고대 이집트 얘기는 가끔 나오지만 현대랑 감성이 비슷한거 같아서 웃기네요 ㅋㅋㅋ

  • @auddirrhksghk2318
    @auddirrhksghk2318 4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재미있다

  • @플로렌스-e4l
    @플로렌스-e4l 3 месяца назад +8

    한글을 영어 발음대로 표기할수 있는데 일본발음을 따라가는 국어원을 이해할수 없다 일본 사람들이 국어원을 하나?

    • @고리골
      @고리골 3 месяца назад

      친일학자들이라서
      주시경부터가 친일학자

  • @ryu870149
    @ryu870149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당시에는 초원이었다는 겁니다.
    점차 사막화가되어서 요즘도 사막이 자꾸 늘어나잖아요

  • @Silverion101
    @Silverion101 4 месяца назад +8

    현대 한글은 주시경이 정리한 거라 세종대왕의 훈민정음과는 차이가 좀 있음

    • @여름겨울-y3g
      @여름겨울-y3g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애굽민수님이 말했듯이, 언어는 사회성 역사성이 있음. 세종이 창제한것도 맞지만 사회가 변화면서 언어는 변화함. 주시경 선생이 정리한 언어체계를 지금까지도 가져오려고 하니까 안맞는게 많다는거지. 그당시는 세계화가 안됐으니 우리끼리 알아먹는 글자면 됐지만, 지금은 세계화인데 그 언어를 다 표기 할 수 있는데 왜 안하냐는거지. 주시경선생이 정리한 국어를 지금에 맞게 다시 정리하자는거임

  • @dacos777
    @dacos777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륀쥐 시즌2 개막! 황현산 선생의 글 “외래어의 현명한 표기” 추천해봅니다.

  • @오늘도덥네
    @오늘도덥네 4 месяца назад +20

    올소 국어학자들은 자신들의 일이많아지고 권위가 훼손당할까봐 이상한룰을 만들고 강제하고있다. 이것들을 좀 쎄게 두들겨팰필요가있다. 그냥 놔두면 요지부동일뿐이다.

  • @ha_june
    @ha_june 4 месяца назад +1

    34분은 너무 짧네여ㅜㅠ재밌어요 진짜

  • @tvpd1381
    @tvpd1381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19:12 강의시간에 조는 교수님

    • @rr6tvji8gyug
      @rr6tvji8gyug 4 месяца назад +1

      ㅋㅋㅋ아 ㅋㅋ 너무 귀여우셔라. 교수님도 사람이군요! ㅋㅋㅋㅋ

  • @mkyoing
    @mkyoing 4 месяца назад +1

    한글은 위대하다🙌

  • @g04jee
    @g04jee 4 месяца назад +4

    표기법 저도 화가납니다.
    오린지, 버내너, 뮈으크 이런거만 봐도...
    우리는 단어를 배울때 외래어 배우고 영어를 또 배우는 낭비를 하고 있죠.
    한국인들이라면 다들 영어 트라우마 있지 않나요? 16년을 학교에서 배우고 학원가서 배우는데도 영어 한마디를 못하는...
    그나마 표기와 발음만이라도 바꿔 보탬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한글로는 고유 영어단어조차 라틴식 표기를 하니 이중으로 배워야 하는게 있네요.
    그래서 영어권 사람의 이름이 본토발음하고 우리가 부르 것에 차이가 있네요. 예를 들면 현지에서는 '렛키'라 발음하는 이름을 이렇게 지면에 '렛키' 쓸 수 있듯 렛키라고 쓰고 발음하면 되는데, 한국에서는 뢰트케라고 쓰고 발음하더군요.

    • @bog.byeonggil
      @bog.byeonggil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각짜 스쓰로 쓰믄 댐니다.
      이거 모알아 먹는 사람들 잇슬까요.

  • @whachang
    @whachang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번 영상은 한글날에 보게 되었네요. 한글 음차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생활속에서 쓰다보면 자연스레 받아들여지지 않을까 하네요. 이 부분에 있어서 보수적인 생각을 가진 분들과의 협의도 필요하겠고요.

  • @bhj5893
    @bhj5893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표준어가 없다면 200년후엔 지금기록을 해석도 못한다

    • @SouJungH
      @SouJungH 4 месяца назад

      맞아요. 저기 박현도 교수 말처럼 하면 200년이 아니라 50년만 지나도 무슨 말인지 읽을 수 없게 될 겁니다.

  • @제임스본드3세
    @제임스본드3세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집트 여행은 함 가보고 싶네............

  • @neineo-t4g
    @neineo-t4g 3 месяца назад +4

    맞아요. 티베트어를 배운 저도 공감합니다. 티베트의 수도였던 '라싸'도 중국어 표기입니다. 현지어 발음을 한글로 충분히 표기할 수 있는데 말이죠. 'ㅎㄹ라싸'로... ㅠㅠ
    외국어도 그렇지만 사투리를 무시하는 풍조도 없애야합니다. 사투리에는 '반치음'이나 '순경음비읍', '아래 아'의 발음이 아직 남아있고, 어원을 알 수 있는 용언이나 체언, 수식언들도 많이 남아있어요. 그런데, 쓰시던 노인분들이 돌아가시면서 점점 사라지고 있어요.😢

    • @cats_tail
      @cats_tail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렇죠. 사투리 좀 무시 하지 않았음 합니다. 유튭 보다보면, 사투리 발음 나오면, 그 발음 아니라고 고쳐준다거나, 비웃는다거나 그런 댓글들 많아요.
      고대 말과 비슷한게 사투리라던데. 역사는 잊지 말자면서, 왜 사투리는 없애려고 하는걸까요. 사투리도 역산데.

  • @채널이름은생각중
    @채널이름은생각중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저도 표음문자의 장점을 살리는 게 한글의 취지에 맞다고 생각해요
    케잌도 옛날엔 다 케익이라 발음하고 그렇게 썼는데
    케이크. 라고 딱 정해버리니까 현실에선 케잌으로 발음하고 쓰기는 케이크;;
    외래어는 좀 소리나는대로 정하지.
    “하입보이” 도 원작자가 아예 한글로 하입보이라구 명시해놨는데 아나운서들이 “하이프 보이” 이렇게 발음하면서도 자기들도 민망해하던데 ㅜㅜ

  • @시나브로-x2n
    @시나브로-x2n 4 месяца назад +14

    백그라운드 재생 풀어주세요 ㅠ

    • @릭히드마틴
      @릭히드마틴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진짜 풀어줬으면 ㅜㅋ

    • @지현배-e9n
      @지현배-e9n 4 месяца назад +3

      그건 유튜브가 막은거라

    • @yuzizizi
      @yuzizizi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백그라운드 재생 되는데요??

    • @okgoooo1371
      @okgoooo137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선공개는 백그라운드 안됨ㅜ

    • @굴달밑싱하형
      @굴달밑싱하형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멤버십 영상은 유튜브에서 막는거임

  • @byoungchulkim5030
    @byoungchulkim5030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용각산의 주성분은 감초 길경 행인으로 한약 처방 중 감길탕이 기원입니다. 용골은 효능이 정신을 맑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킵니다. 수정 부탁 드려요.

  • @Maseemaro
    @Maseemaro 4 месяца назад +5

    7:33 대항해시대 때 반년 정도릉 준비해서 제너두에 입성하고 ㅠㅠ
    드디어 대모험가 곰이 되었을 때 감격 햤었는데

  • @iso-p2h
    @iso-p2h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훈민정음에서의 28자 원래대로 사용했으면, 영어 중국어 등등등.. 전세계의 언어를 거의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20세기 중반까지도 우리나라에서는 그 발음들을 거의 다 사용했었다고도합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에 이르러 한글을 24자로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은 너무너무 잘못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28자로 사용할 때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외국어 발음이 아주 훌륭했었다고 전해지는 데, 일제의 단순한 자모음과 이후 24자의 한글 세대에서는 발음이 나빠졌다고 합니다. 훈민정음 28자로 지금까지 다 사용하는 원칙을 선택했다면 정말로 한글과 한국어는 전세계 초언어가 되는 것이었을텐데요

    • @sjs-f7g
      @sjs-f7g 4 месяца назад

      ㅈ본쉑이 또......?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4 месяца назад +1

      @@sjs-f7g 한글을 24자로 정한 것은 1933년 조선어학회가 한 일입니다. 자주적으로 한 업적이에요. 당시에는 외래어도 많지 않았으니, 실용성이 중심이 되었죠.

  • @JayKay-cv9fi
    @JayKay-cv9fi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번 편도 잼나게 잘 보겠습니다!!!

  • @goyangyi
    @goyangyi 28 дней назад

    25:20 세종대왕께서 만드신 초창기 버전의 훈민정음과 동국정운을 보면 v f th r 까지도 다 표기가능한 문자들이 있음. ㅋㅎ 까지도요. 천재 신숙주는 당시 만주 몽골 한족 등 북방의 소리까지 모두 집대성하였고 연구하였다고 함. 지금까지도 보면 컴퓨터 특수문자에도 남아있지만 표준어로서 그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버린거죠. 지금 우리가 쓰는 한글은 신채호선생이 정리하신 버전이었나 기억이... 아무튼 근대와 일제를 지나면서 총 28자 한글이 24자로 정리된 버전으로 되버린...

  • @Red-Octopus
    @Red-Octopus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우리나라는 국립국어원(한글학회)에서 한글을 망친다고 생각해왔는데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었군요ㅋㅋㅋㅋㅋ ㅥ,ㅴ, ㅳ 같은 훈민정음의 연서連書, 병서竝書만 되살려 놓아도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굳이 자신들 말소리에 맞게 변형할 필요도 없었을 것임. 없애버린 자음 4글자를 되살려 놓기만 해도 소리표기가 엄청나게 쉬워질 것인데!

  • @breadsic6517
    @breadsic6517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언어 표기 부문 아주 아주 공감합니다. 특히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 할때. 영어 단어를 한글로 표기할떄는 한국 사람이 아니라 영어권 국가 사람이 표기를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워터 밀크 이런식으로 표기하는데 영어권 사람들중 누가 알아듣습니까 그냥 한국인만 쓰는 한국어 한국 단어지. 외국어 단어 한글 표기 표준화는 현지 국가 언어 학자가 하는게 맞다. 생각합니다. 영어는 영국이든 미국인이 한글 표기 결정하고 아랍어는 아랍사람이 스페인어는 스페인 사람이 표기해야 두번 세번 외국어를 않배우죠.

  • @robomaglor
    @robomaglor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저도 옜날부터 국립국어원이 이상한 규칙들을 강요하면서 한국어와 한글을 망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외국어의 발음을 진짜 원음처럼 표기가 가능한데 이를 못하게 하더군요.

  • @남기권-t7q
    @남기권-t7q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초성에 복수의 자음이 들어가는 경우는 적긴 하지만, 비슷한 것들이 유니코드에 들어가 있습니다. 단순히 타이핑만으로 구현하기가 어려울 뿐이지, 이미지를 넣어서 대체한다고 생각하면 표현이 가능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2. 아무리 초성 복수 자음을 허용한다 하더라도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요. 이미 사라진 음가만 공식적으로 4개인 데다, 《동국정운》에서 쓰였을 전치음이나 후치음 등의 변형 표기 방법도 결과적으론 사장되었지요. 이는 알파벳으로 상대ㆍ고대 한자음을 재구성할 때도 마찬가지라, 대개는 윗첨자로 해결합니다. 그런데 한국에서 한글을 이용해 문서를 편집하는 것으로는 타의추종을 불허하게 된 아래아 한글도 윗첨자 아래첨자로 쓸 수 있어요. 어문규정 준수를, 외국어 표기법에 맞춰 하겠다고 하면, 적어도 첨자는 건드리지 말라고 해보세요. 예를 들자면, f는 ㅍ를 본 발음으로 적고서 ㅎ을 f가 들어가는 위치에 따라 위 첨자나 아래 첨자로 고치고 있습니다. 다 적고나서 첨자로 바꿀 문자열만 블록해서 오른클릭으로 메뉴를 열고 글자 관련 설정으로 들어가시면 할 수 있어요.
    이 방법을 쓰지 않을 거라면 IPA기반 청음 값을 토대로 새로 쓸 수도 있습니다. 저는 프랑스도 프헝스로 썼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도 알베아르트 아인쉬타인으로 적었으며, 아서 코난 도일은 앝허 커넌 도읠이라는 식으로 적었습니다. 연음으로 나오는 경우에는 덧말 넣기로 이음표에 가까운 기호를 유니코드에서 찾아 넣었고, 장음도 그렇게 조금 잘 보이는 대쉬를 찾아서 표기했죠.
    인명 뿐만 아니라, 슈발리에나 쉬발리에 등으로 쓰는 기사도도 셔봘러히(이)로 써본 적이 있어요. 카테고리도 캐터거리(거에 장음 표기 덧말 삽입)로 썼고, 장르도 쟣(장음 표기)로 프헝스 느낌을 살리려고 해본 적이 있지요. 스카이도 청음으로는 슼하이이고, 리턴도 뤼털ㄴ(ㄴ이 아래 첨자로, 이와 비슷한 경우의 인명이 그 유명한 얼ㄴ니스트 밀럴 헤밍웨이입니다)이듯이, 어떻게든 방법을 찾아서 쓰면 됩니다.
    3. 신조어, 그 가운데서도 전문 용어가 아닌 은어ㆍ속어 계열은 생명력이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매번 개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민간 사전 편찬 사업자들이 수익성이 높은 사업을 하는 것도 아니죠. 그래서 추가가 느린 겁니다.

  • @romantic_tiger7
    @romantic_tiger7 4 месяца назад +7

    국어원 및 역사적 교과를 관리 감독 하는 기관들이 일본식 보수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이 독립하면서 헌법은 미국의 헌법을 기준으로 삼았지만 세부적인 법들은 일본이 만들어 놓은 또는 일본이 사용하는 법들을 차용 하였고 시대가 몇십년이 지났음에도 잘 바꾸려 하지 않기에 사회적인 불협이 일어나는 겁니다.

  • @eunheelee6529
    @eunheelee6529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새글자 받아들이는 것도 찬성하고 없앤(빼앗긴) 4글자도 빨리 복원했으면..

  • @SouJungH
    @SouJungH 4 месяца назад +3

    한글 자모는 단순한 발음 기호가 아니라, 의사 소통을 하는 수단입니다.
    따라서 도구가 아니라 법률이나 도덕률의 성격을 가집니다. 현실과 달라져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범이죠.
    푸틴이냐 푸찐이냐? 북한은 푸찐이라 적더군요. 문제는 러시아 시릴 문자 -> 영어로는 Putin일 겁니다.
    그렇다면 러시아도 규범적으로는 '푸틴'으로 읽어야 하지만, 일상적으로 '푸찐'이라 읽는 겁니다.
    둘 중 우리가 무엇을 따라야 하는가? 결국 '푸틴'이죠. 만약 현실의 발음을 그대로 적는 '발음 기호'이면
    러시아 사람들이 발음을 바꿀 때마다 우리도 표기를 바꾸어야 합니다. 이는 언어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해칩니다.
    순니 - 수니, 이 정도는 애교입니다. 인도의 말의 경우 대부분 된 발음을 합니다. 된발음할 수 있는 모든 부분을 다 된발음 표기를 하면 한국 사람들은 눈이 어질어질해집니다. 그래서 된발음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가는거죠.

  • @jiwone6552
    @jiwone6552 Месяц назад

    누구는 쿼픠, 누구는 커피 라고 발음을 할 수는 있지만 표기는 동일해야 합니다.
    그래야 기록을 할 수 있고 읽을 수가 있습니다. 이미 정착된 표기를 실제 발음과 다르다 하여
    바꾸면 읽는 자 마다 해석이 달라질 수 있고 디지탈 시대에 검색조차 안 됩니다.

  • @SeoulClass
    @SeoulClass 4 месяца назад +7

    다른 사람도 아니고 문자를 만든 세종이 그렇게 해도 된다고 해례본에 있는데 발음을 못하게 막아버리는 상황이 웃기네

  • @성환진-y8x
    @성환진-y8x 3 месяца назад +2

    권위가 없는 것들은 권위적인 것들에 골몰하는데 이는 권위없음을 의미하는 증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