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의 끝, 내 안에서 희망을 발견하는 법 | 김현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фев 2025
- '청년들이 죽음을 택하는 사회'. 2021년, 20대 사망자 둘 중 하나는 자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남은 절반도 '죽지 못해 사는' 거나 마찬가지일 수 있습니다. 부모보다 가난한 첫 세대, 고용 한파로 삶의 기반이 뿌리째 흔들리고 사랑조차 사치인 청년들. 기성세대로부터 전혀 이해받지 못한 채 더 불행해진 청년들. 정서적으로 고립된 채 삶의 기로에 놓인 청년들에게 우리는 어떤 위로의 말을 전할 수 있을까요? 바로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 이 강연은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maum1080 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서울시 자살예방센터는 서울시민의 자살률 감소를 위하여 지역단위 밀착형 예방사업을 통해 자살예방의 안전망을 구축하고, 시민 모두가 서로 생명을 돌보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자살 위기 상담전화 : 1577-0199
👉🏻 청년 자살 예방 플랫폼 'Y Run On' : seoulymind.org
출연 : 김현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00:51 요즘 청년들, 뭐가 그렇게 힘든가요?
02:20 먹고살기 힘들다던 청년들의 회사 탈출, 이유가 뭔가요?
05:31 세월호와 코로나, 그리고 이태원 참사가 청년들에게 미친 영향은?
07:40 사랑은 아무나 하나? 연애 못하는 청년들의 속사정?
11:11 요즘 청년들이 힘든 진짜 이유는 불공정이다?
12:41 위기에 놓인 청년들을 위로하는 방법은 뭔가요?
17:03 완치가 없는 트라우마, 더불어 살아가는 법이 있나요?
19:31 마음의 병은 반드시 병원에서만 치료할 수 있나요?
21:43 절망 속에서 희망을 끌어내는 방법은?
✻ 아직 세바시앱이 없으신가요?
⭐️ 배움 커뮤니티 플랫폼, 세바시랜드 앱을 지금 바로 설치해보세요
👉 sebasiland.pag...
✻ 인생질문 책 구매하기
👉 www.sebasi.co....
✻ 인생질문클럽 신청하기
👉 www.sebasi.co....
✻ 인생질문 페이스북 / answer2u
✻ 세바시 인스타그램 / sebasi15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