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bond metal without heat (Cold welding)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6 май 2024
  • We attempted to implement the 'Cold welding' phenomenon that occurs in space.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212

  • @parkgt3237
    @parkgt3237 14 дней назад +69

    제가 긱블을 좋아하는 이유가 이 영상에 다 담긴듯.. 젊음, 새로운시각, 열정과 도전, 실패와 좌절, 조력자, 배움과 괴리 등등.. 성공 실패를 떠나서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 @LotteSnacks
    @LotteSnacks 14 дней назад +25

    실험에 디벨롭을 하기위한 조건 제안 해봅니다 ㅎㅎ
    시중에 나와있는 철은 순수한철 Fe가 아닌 탄소강으로 탄소나 다른 금속들의 합급입니다 시중에서 순철이라고 구하면 그것또한 0.02%이하의 탄소가 함유되어 있는 재료입니다
    그러니 순수한 철 99.9999999에 가까운 철이나 구리 같은 재료가 필요할것 같구요
    다른 조건으로는 판(plate)형식 이 아닌 구형 같이 입자의 크기가 10~30mm의 조각나있는 다량의 재료가 좋을것 같습니다
    이유로는 판형식의 재료로 실험 할 경우 재료간 마찰로 떨어져 나온 칩들이 판과 판사이에 껴서 판과의 거리가 멀어져서 더욱 안됐을것 같으므로 구형 재료로 하게 된다면 불규칙한 적재 형태로 재료간 마찰로 생기는 칩은 자연스레 아래로 흘러내려 서 재료간의 접촉 거리는 가까워 질것같습니다
    대신 구형 재료로 사용하게 될경우 냉간 용접이 발생 했다 하더라도 재료간의 접촉면적이 작아서 접합력 자체도 낮아질것이므로 실험 후 냉간용접 확인을 하기 위해선 재료를 하나씩 조심히 꺼내야 할듯 합니다 접촉면을 늘리는 방법으론 무른 금속을 이용하면 좋을 것 같아 구리가 좋을것 같습니다.
    그래서 최종적으론 99.99999의 매우 높은 순도를 가지고 있는 무른 성질의 구리를 이용하여 구 형태의 재료로 실험 하고 실험 결과를 볼때 재료를 하나씩 조심히 꺼내면 이번 실험보다 조금 더 눈에띄는 결과를 얻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 @ongs5526
      @ongs5526 11 дней назад +2

      순수철 아니어도 상관 없을 듯 합니다 ㅎㅎ.... 표면에서 0.02% 면 무시해도 됩니다. 표면에 쌓이는 유기물이 정말 말도 안되는 속도로 쌓이는 것도 있고, 일단 저렇게하면 산화되어버려서 의미가 없죠. 이란 문제들 때문에 표면 측정 시에는 대부준 진공에서 Ar 이온으로 레스터링합니다.

  • @user-ki6bf3go1v
    @user-ki6bf3go1v 14 дней назад +176

    훌륭하십니다. 대학원 가면 잘하실듯

  • @the_best_potato
    @the_best_potato 9 дней назад +4

    진짜 오랜만에 재밌게 봤네요

  • @hwan9732
    @hwan9732 14 дней назад +8

    역대급으로 재미있었습니다!!

  • @Tommyli9876
    @Tommyli9876 10 дней назад +3

    너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성공과 실패가 공존하는 긱블이 정말 좋네요. ^^

  • @czteamlove
    @czteamlove 7 дней назад

    실험결과는 아쉬웠는데 정말 재미있게봤고 좋았어요! 노력하신거 너무 대단하고 저온용접신기해요ㅎㅎ

  • @SSALTTEOK
    @SSALTTEOK 14 дней назад +9

    진짜 좋았어요. 이런 영상 더 만들어주세요

  • @notarealdad
    @notarealdad 11 дней назад +1

    The extra audio track was done so well!
    Lots of nice touches and emotion. The voice through the mask was well done!

  • @D4M
    @D4M 14 дней назад +11

    12:07 중간에 얼음을 드시길래 저는 얼음끼리 붙는 것도 고체의 냉간용접이라서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쉬운 예시로 영상에서 연출한 줄 알았는데 얼음과 관련하여 그런 내용은 없더라구요.
    문득 얼음을 보고 드는 생각인데 주변에 있는 얼음끼리 녹으면서 붙는 것도 냉간용접과 같은 원리일까요?
    얼음의 구성자체에 산소가 있기 때문에 이건 그냥 다른 원리일까요? 어렸을때 과학시간에 배운거 같은데 아닐거 같지만 그냥 궁금해졌습니다.

    • @tubeyou1490
      @tubeyou1490 14 дней назад +8

      얼음은 물분자 내부의 공유결합이든 물분자끼리의 수소결합이든 방향성이 있습니다. 반면에 금속은 전자구름에 원자핵이 박히는 느낌이라 방향성이 없습니다. 그래서 겉으로 서로 비슷해보여도 뜯어보면 전혀 다른 매커니즘이 필요하게 됩니다.
      크게 세라믹(돌)의 결합과 금속의 결합 방식이 다르다는거를 위주로 생각해보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user-v16fc
      @user-v16fc 14 дней назад +3

      얼음은 그냥 용접이랑 같은 원리라고 봐야될거 같은데요
      온도가 우리 기준으로 낮은거지
      얼음 기준으로는 높은 온도에 녹는거니까

    • @llllIIllIIlIIlllllIIIIIlIIllIl
      @llllIIllIIlIIlllllIIIIIlIIllIl 9 дней назад

      금속의 ㅇ냉간용접은 녹는다는 느낌이 아니잖아요

    • @elgb5671
      @elgb5671 5 дней назад

      제가 아는 수준에서 설명드리자면 흔히 말하는 얼음이 녹는다가 사실은 녹는 속도가 어는 속도보다 빠른 상황이에요. 얼음과 얼음 사이에서 녹은 물이 다시 얼면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보입니다

  • @namulnara
    @namulnara 14 дней назад +3

    갈링현상은 어느정도 본것 같은데 그런 원리였다니!!!! 또 그런일 있으면 수드님이 생각나겠네요

  • @_5703
    @_5703 8 дней назад +3

    진짜 공부는 이렇게 스스로 도전하고 탐구하면서 하는게 .. 좋지 않을까..😊

  • @shangus512
    @shangus512 14 дней назад +1

    글러브박스같은게 있으면 연구에 도움이 많이될거같아요!

  • @yuch9114
    @yuch9114 13 дней назад +2

    언제나 응원합니다❤❤❤❤❤

  • @judy6677
    @judy6677 14 дней назад +4

    실험 조건이 조금 아쉬운게 후반에 구리를 다듬어서 보여주셨지만, 거울처럼 보일 정도로 매끄럽게 다듬어지지도 않았고 구리판 면적이 너무 넓어서 좁은 면에 비해서 조건이 나빴어요. 마지막에 구리판 끝부분부터 밀착시켜들어갔던 것 처럼 작은 판으로 했으면 좋은 결과가 있었을 것 같아요.
    다음에 다시 실험을 하신다면 작은 판에 고광택을 내서 하시면 성공 하실 듯! 👍
    밀착력이 관건일 것 같아요.

  • @sm6owner
    @sm6owner 14 дней назад +1

    철사처럼 얇은 재료로 하면 좀더 잘 되지 않을까 싶네요. 원기둥 형태면 접촉면적이 작아서 반응범위는 작지만 먼지가 쌓여서 반응을 방해할 확률이 낮을것같구요.

  • @user-lv8lm4qm6j
    @user-lv8lm4qm6j 14 дней назад +5

    뭔가 예전느낌 나면서 오랜만에 재밋게봄

  • @skshxpsk12
    @skshxpsk12 11 дней назад +1

    표면거칠기 측정해가며 면이 내고 일반진공펌프보다 tubo molecular pump 등 이용하면 유의미한 결과를 낼 수 있을 것같네요

  • @user-ov3wj2ke5p
    @user-ov3wj2ke5p 4 дня назад +2

    시험 의뢰 합니다 !!
    판테온 신전의 오쿨루스는 기압차로 인해 비가 와도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다던데 사실인가요 ??

  • @go8598
    @go8598 14 дней назад +6

    진공 펌프가 Roughing Pump만 연결된것 같은데
    이 경우, 챔버 구성이 우주 진공환경 구성하기는 좀 부족하지 않나 싶네요
    만약 Roughing Pump만 연결했다면 Turbo Molecular Pump를 추가 연결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 @twins1225t
      @twins1225t 6 дней назад

      그걸 저런데에서 어떻게 삼 ㅋㅋㅋ

    • @go8598
      @go8598 5 дней назад

      @@twins1225t ??? 구하는건 쉽게 구함.

  • @kwon_awe_some
    @kwon_awe_some 14 дней назад +10

    오. 재밋어요👍

  • @user-wd4ul7wh6z
    @user-wd4ul7wh6z 14 дней назад +4

    수드래곤님 학교에서 마주쳤는데 이영상이었군요 ㅋㅋ
    실험은 아쉽지만 😂😂

  • @user-no7ui3fg7m
    @user-no7ui3fg7m 14 дней назад

    냉간용접이나 갈링의 경우 제대로 되었다면 두 물체는 용접된 것처럼 온전히 하나로서 붙는 건가요 아니면 적당한 힘을 주면 다시 분리가 되는 건가요?

  • @rudwieko
    @rudwieko 14 дней назад +4

    그래요. 이런게 긱블이죠,,
    역시 재밌습니다 ㅎㅎㅎ
    응원합니다.

  • @user-ws3cn9yt1m
    @user-ws3cn9yt1m 14 дней назад +5

    이런 영상을 원했어!

  • @gamegrace592
    @gamegrace592 13 дней назад +1

    갈링 현상 일으킨후에 하면 완전히 용접 되려나용?

  • @user-rp2rj6gj9q
    @user-rp2rj6gj9q 11 дней назад

    오 신기하다. 좋은 영상 ㅋㅋㅋ

  • @user-eb6tf7fw8h
    @user-eb6tf7fw8h 14 дней назад +2

    눈으로 보기에는 깨끗하게 보이나 표면에는 연마제가 남아있었기에 실험의 실패의 큰원인이 된듯합니다.
    차라리 밀링등으로 표면을 고르게 정리한후 실험을 했다면 어떠했을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진동역시 상하진동이 없고 좌우진동만 이루어지는 미새진동이 발생한다면 마지막에 보여준 현상이 이루어질것 같습니다.

    • @user-v16fc
      @user-v16fc 14 дней назад

      그런 작업에는 밀링보다 연마를 하는게 유리할겁니다 뭐가됐든 진공이 중요할거같긴 한데...

  • @White_Day_
    @White_Day_ 14 дней назад

    wire edm 방식으로 금속을 절단하면 경계선도 보이지 않을만큼 정밀하게 절단되던데, 그걸 합쳐놓은 상태에서 진공챔버에 고정시켜놓고 실험하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 @user-roblox_combo
    @user-roblox_combo 14 дней назад +1

    티타늄도 해보죠!

  • @DdoongT
    @DdoongT 14 дней назад +1

    파인만의 물리학강의에도 같은 내용의 설명이 나오는데요.(읽은지 오래되어서 기억이 흐릿하긴한데)

  • @ltaillialin984
    @ltaillialin984 14 дней назад +33

    중간까지만 보고 추측하는 거지만 물질간에 접근하면 인력이 작용합니다. 다만 원자단위에서은 전자기력으로 인하여 척력이 발생한다고 알고있습니다. 결국 원자간의 간격이 발생하고 냉간 용접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이전의 조건으로 따져봤을때 표면의 연마도는 아주 큰 의미가 있어보이진 않고 다만 우주에 올라갈당시 재료는 우주 환경에 노출되는데 우주에는 수많은 방사선, 플라즈마등이 퍼져있고 특히 성층권쯤으로 올라가면서 산소등을 이온화 시켜버릴 수 있는 조건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일상 대기압과 방사선 환경에서는 재료의 원소에 산화물 상태로 부착된 산소를 제거하긴 어려워 보이므로 조건이 불충족되어 실패한 거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지상에서 이 실험을 성공시키기 위해선 플라즈마를 일으킬 수 있는 장치와 방사선을 같이 쐬어줘야 가능할거라 생각됩니다.

    • @user-oo5cy1ye2h
      @user-oo5cy1ye2h 14 дней назад +1

      그런거 필요없이 무산소 챔버에서 순수한 금속을 자르고 붙이기만 해도 붙일수 있습니다.

    • @user-jk9cu5mn3w
      @user-jk9cu5mn3w 11 дней назад

      ​@@user-oo5cy1ye2h 이분은 우주에서 어떻게 산화막이 제거됐나에 초점으로 말하신듯

    • @leemyughan
      @leemyughan 11 дней назад

      @@user-oo5cy1ye2h 저도 그래서 초반만 해도, 어라 진공에서 어떻게 잘라서 붙이지? 그게 제일 확실할것 같은데 궁금했었는데, 역시 시행 난이도가;

  • @nezko632
    @nezko632 11 дней назад

    일단 몇가지 변칙 변수들이 존재하겠군요 챔버의 진공이 진동에 의해 진공이 일정하게 유지가 되었나, 물질들의 마찰로 인한 물질 조각들이 마찰면에서 탈락 되어서 항상 깨끗한면이 유지 되었나, 온도변화에 의한 표면 거칠기, 경도가 일정하였나, 진동에 의해 무게추가 일정한 무게로 눌렸나 정도이겠구요... 갈링효과는 기계 측정에서도 많이 사용 되는 방법입니다 특수열처리된 표면거칠기가 일정한 게이지 바를 이용하여 코사인,탄젠트로 계산하고 사인바를 이용해 높이로 각도를 구할때 게이지바들끼리 갈링효과,물질간에 진공을 이용해 최대한 밀착하여 정반에서 게이지바위에 올려진 사인바로 측정하여 각도를 산출해냅니다 물리학적으로 좋은 시도 네요

  • @user-ep1vk3lj5c
    @user-ep1vk3lj5c 3 дня назад

    실험을 할 때 닿는 면이 수평으로 있게 되면 진동으로 생긴 이물질이 중력의 영향으로 옆으로 빠져나오지 못 하니까 안에 머물러서 실패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틀 안에 수직으로 세워서 넣고 실험을 한다면 성공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 @Health-jeebak
    @Health-jeebak 14 дней назад

    세워서 힘을 수평 방향으로 해서 입자들이 잘 빠지게. 표면 알콜로 닦아서 기름 날리고 하면 될지도

  • @jjangppy
    @jjangppy 14 дней назад +2

    9:35 대학원생이 지도교수님한테 실험보고 하는거 같네요...

  • @stoneage2000
    @stoneage2000 14 дней назад +7

    수드님.. 저기서 50분동안 앉아서 챔버보면서 멍때린 거 에요? 편집..이겠죠? 아니면 광기..?

    • @leemyughan
      @leemyughan 11 дней назад

      그러고 보니..그것 조차 대단한거네

  • @song4444
    @song4444 14 дней назад

    블록게이지 사용할때 갈링 현상을 이용해서 자주 사용하죠

  • @user-by9rd7tt6e
    @user-by9rd7tt6e 14 дней назад

    보면서 생각한 실험 오류로
    표면을 아무리 매끄럽게 잘 연마 했다고, 또 압력을 주었다고 해서, 두 금속간 거리가 제로에 가깝게 붙었을지 의문스럽네요
    마지막에 비슷한 경우라며 소개한 갈링에서 미끄러지며 붙게 하는 경우
    두 금속간 거리가 제로에 가깝게 서로 뭉게지며 빈공간을 채우고 결국 제로에 가까운 거리에 맞붙게 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이는데,
    진동에 의해 깍여나가는 방법으로 비슷한 원리에 의해 금속간 거리가 제로에 가깝게 되기에는 쉽지 않았던 실험인거 같습니다.
    만약, 재 실험을 하신다고 하면 마지막 방법에서 50분 진동 10분 숙성이 아닌 하루 이상의 오일 펌프로 10^-2torr 이상의 고진공 조건으로 해보시는것을 어떨까 조심스럽게 의견 제시합니다.
    또한, 어떤분이 이야기 하신것 처럼
    반응성이 낮은 금속이라 할지라도, 공기중에서 실험할 경우 연마과정에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은 산화가 발생하여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공기와의 차단을 위한 글러브 박스... 비싸지만 앞으로의 실험에 사용할 수 있다면 고려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같은 맥락으로 공기중에서 할 수 없는 실험의 경우가 많다면, 너무 비싼 글러브박스 하위 호환격인 퍼지 박스라도....)

  • @banshee0271
    @banshee0271 14 дней назад

    먼저 금속의 표면을 매끄럽게 갈아내고 무게추가 아닌 스프링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힘을 가하면서 일반적인 진동이 아닌 초음파를 이용하면 가능할것같네요

  • @JaeTarot_TV
    @JaeTarot_TV 14 дней назад +2

    플루오르화 케톤으로 초음파 세척을 시켰어야 하지 않았나 싶네요😊

  • @user-lc8rv3qe9r
    @user-lc8rv3qe9r 14 дней назад +8

    플라스틱이 만들어지는 과정 플라스틱은 고분자화 반응에 노출 시키고 첨가제 및 안정화제를 넣어 강도 내구성 투명도를 조정 하고 마지막으로 인쇄 커팅등을 하여 마무리한다

  • @user-ly7dn7ek7i
    @user-ly7dn7ek7i 14 дней назад

    철로 하는것도 괜찮은게 주위에 자석으로 불순물은 붙게해서 불순물은 없애고 진동을 주면 되지 않을까요??

  • @JazzMusicLofi
    @JazzMusicLofi 13 дней назад

    와 진짜 신기하네요 ㄷㄷ

  • @user-jf3pn6zm2s
    @user-jf3pn6zm2s 14 дней назад

    표면이 매끄럽게있는 상태에서대기권진입할때 열이발생하는걸로아는데 인공위성은 그때문에 붙을수있지않을까요?? 어디까지나 제추측입니다

  • @qusworud
    @qusworud 14 дней назад +14

    컴파운드도 분순물;;

    • @KHoon.
      @KHoon. 14 дней назад +1

      컴파운드 세정을 위한 과정이 필요했을거 같네요.

    • @user-jk9cu5mn3w
      @user-jk9cu5mn3w 11 дней назад +1

      산화막이 금방 생기기 때문에 진짜 실용적으로 용접하려면 진공중에서 해야죠 산업용으로도 그렇게 쓰는..

    • @user-jk9cu5mn3w
      @user-jk9cu5mn3w 11 дней назад

      아니면 질소 아르곤을 쓰는게 더 낫겠네요 들어본거 같기도 하고

    • @sjmtech7572
      @sjmtech7572 11 дней назад

      컴파 먼저하고
      빠우했었으면 약간 가망이...

  • @dragon_dragon..
    @dragon_dragon.. 13 дней назад

    다른 댓글에도 있지만 갈릴레오 탐사선이 진공상태 였다면 진공글로브박스를 이용해서 확인한다면 가능성이 좀 더 커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 @Hwangssss
    @Hwangssss 14 дней назад +18

    매우 고도화된 과학 유튜버는 대학원생과 구분이 되지 않는다.

    • @leemyughan
      @leemyughan 11 дней назад +1

      넘심말 ㅋㅋㅋㅋ

  • @seongyongpark4840
    @seongyongpark4840 14 дней назад

    무게를 조금더 늘리면 냉간용접이 잘 될것같은데 해주시면 안됄까요?

  • @EXELLITE_ZERO
    @EXELLITE_ZERO 14 дней назад

    간이 우주선이 진공상태일 때 금속들이 온도의 영향은 안 받을까요?

  • @dowonkim9059
    @dowonkim9059 14 дней назад

    신기해!!

  • @JiwoonYY
    @JiwoonYY 14 дней назад +2

    근데 나모님은 항공모함 언제 만들어요?

  • @luneclips
    @luneclips 14 дней назад +23

    진동방향이 면에 수직하게 위아래로 진동하는 것 위주여서, 약하게 붙었다가도 쉽게 떨어져나갈 수 밖에 없는거 같네요. 실제로 마찰용접의 경우 면에 평행하게 움직입니다.

    • @user-gz6tz3kx7s
      @user-gz6tz3kx7s 14 дней назад

      마찰용접으로 붙이려는게 아니라 산화막만 깍아서 결합되는지 보는거 아닌가요

    • @luneclips
      @luneclips 14 дней назад +3

      @@user-gz6tz3kx7s 영상처럼 크게 위아래로 진동하면 처음에 약하게 붙었을때 떨어져 나가기 쉬우니까요. 위아래로 움직여서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도 있기는한데,움직이는 양이 몇~몇십 마이크론 단위로 미세합니다.

    • @kokaya6504
      @kokaya6504 13 дней назад

      마찰용접이 아니라 산화막이 없어서 일어나는 냉간 용접을 보고자 하는 것이고, 따라서 마찰 용접이 일어나면 안되기에 수평이 아니라 수직으로 진동해야합니다.
      진동 중에는 진동으로 인해 용접을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기에 용접이 안되는 것이 맞고, 진동으로 산화막을 벗겨낸 뒤 10분 간의 휴식 시간에 냉간용접을 하는 실험인 것 같네요.

    • @luneclips
      @luneclips 11 дней назад

      @@kokaya6504 위스콘신대 Michael Nosonovsky 교수에 의하면, 두 매끈한 금속간에 약한 마찰을 가하면, 표면의 산화막을 파괴해서 두 매끈한 금속블럭이 상온에서도 붙을 수 있게 합니다. 눈에 띄는 마찰에 의한 가열없이도요. 지금은 표면이 그렇게 고르지 않고, 진공에서 산화막을 제거한 뒤 공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실험한게 아니기 때문에 표면사이에 산화막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 @luneclips
      @luneclips 11 дней назад

      ​​​​@@kokaya6504 위스콘신대 미카엘 노소노프스키 교수에 의하면, 매끄러운 두 금속블럭사이를 힘을 주어 슬라이딩시키면,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여 상온에서도 강하게 결합될 수 있게합니다. 마찰로 고온으로 올리지 않고 도요. 현재 실험에서 표면이 충분히 평행하지 않고, 군데군데 매끄럽지 않아보입니다. 산화막 제거에 도움을 주는건 수평 방향 진동인데, 위아래 진동을 주면 산화막 제거에 크게 도움이 안되고, 낮은 결합강도로 붙은 금속들이 쉽게 분리될 수 밖에요.

  • @user-tc8oe1jx8t
    @user-tc8oe1jx8t 14 дней назад +1

    대박

  • @yongbinlee9698
    @yongbinlee9698 День назад +1

    실패를 영상으로 올리는 모습이 너무 멋지네요 👍

  • @billykim7179
    @billykim7179 14 дней назад

    꺼냈을때 반짝반짝하던데 이것때문 아닐까요? 산화막이 형성이 안된것이 아니었을듯 진공이 어느정도의 진공도를 가지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부족한 수준이 아니았을까 싶네요

  • @Mingminghai
    @Mingminghai 13 дней назад +2

    이정도면 안테나 안펴진게 억까다...

  • @user-fo4rb3ki9o
    @user-fo4rb3ki9o 14 дней назад +1

    그래서 항공모함은 언제 만드는건가요?

  • @beom-seokko7600
    @beom-seokko7600 12 дней назад

    일단 진공 펌프로 우주정도의 진공을 만들기에는 택도 없을듯,. 제가 다른 실험 할때는 대략 4시간정도는 진공을 걸어 놔야 산소의 영향을 충분히 줄일수 있었어요.1시간진공후 실험은 정성 분석은 가능하지만 정량분석하기에는 산소가 너무 많더군요.

  • @user-zk9bx6ic9r
    @user-zk9bx6ic9r 14 дней назад +2

    교수님 계신곳으로 직접 가셨군요...

  • @josangsooo1
    @josangsooo1 12 дней назад

    인바로 만든 게이지블럭을 갈링같은 현상으로 표면끼리 비벼 진공을 만들어 붙여서 사용하죠.
    완전 매끄럽고 평평하게 가공된 게이지블럭을 완벽히 세척하고 붙여 시험해보는건 어때여

  • @pazarochi
    @pazarochi 14 дней назад

    아르곤 넣은 글로브박스 안에서 연마 또는 절단 후 붙이면 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망상일 수도 있지마는

  • @kwonkevin8189
    @kwonkevin8189 14 дней назад

    근대 진동 애너지가 마찰을 생성하면 동시에 열 애너지로 만들어지는데 그래도 냉각용접인가요?

    • @elgb5671
      @elgb5671 5 дней назад

      용접 치고 그정도면 저온이죠. 그 열이 메인도 아니고 해봤자 25°C가 30°C 되는 정도로 끝날테니까요

  • @xenovize
    @xenovize 7 дней назад

    12inch(30cm) 실리콘 웨이퍼 2장 붙이면 미끄러지는 현상도 관찰 가능하고 붙어서 잘 안떨어 지는 현상도 관찰 가능합니다.(작은 사이즈의 웨이퍼에서도 될것 같긴한데 그건 제가 경험해보지를 못했네요) 실제로 두께 재보면 산화막은 5A 정도입니다. 이걸로 실험하면 뭔가 원하는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것 같습니다. 구하기 어렵지 않을듯 싶네요 장당 10만원 정도 합니다.

  • @user-he5ns5zj3f
    @user-he5ns5zj3f 14 дней назад

    금속 연마 기술이 금속미각 이라고 하는게 있어요
    20000방 사포까지 거울처럼 미각 기술이 있어요
    참고 하시면 좋겠네요
    제가 예전에 금속 미각을 했었는데

  • @user-bn7xk5go1m
    @user-bn7xk5go1m 13 дней назад

    연마제를 바르면 안될것같은데 연마제가 냉간용접 입장에서는 불순물인거 같네요...
    그리고 예상하기로...갈링이랑 냉간용접이 다르다고 하기보다 갈링이 냉간용접의 한 종류라고 보는것이 적절할것같은데.....
    그리고 갈링현상이 공기중에서 발생하는걸 보면...진공챔버가 필요 없어보이네요...

  • @dsfsda8128
    @dsfsda8128 14 дней назад

    지상에선 동일하게 구현이 힘들지도?
    굳이 한다면 반도체등에서 쓰는 고진공 챔버에서
    금속판 2개를 플라즈마 드라이 에칭해서 표면 처리 해주고
    인시츄로 바로 붙이거나
    진동이 필요하면 초음파 진동기로 해야 할 것 같은데

  • @user-pc4xf5km4t
    @user-pc4xf5km4t 13 дней назад +2

    뒤에 빽곰님 소면슬라이드 만들고 계시네요;

    • @leemyughan
      @leemyughan 11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

  • @JesusChristEvangelicalism
    @JesusChristEvangelicalism 11 дней назад

    다음에 순금으로 실험해보면 쉽게 성공할 수 있을듯 합니다.

  • @infotree1458
    @infotree1458 12 дней назад

    연마를 진공에서 하던가 하중을 더 주던가 진동을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주던가 해야합니다

  • @user-wh7xz7rz7m
    @user-wh7xz7rz7m 13 дней назад

    홀스 워크 좀 만들어 주세요

  • @ossososos7889
    @ossososos7889 8 дней назад

    나중에 우주 조선소에서 우주선 만들때 저런 방법으로 만들어질까요?

  • @user-fl6pl9os6j
    @user-fl6pl9os6j 14 дней назад +16

    배운것이 진리는 아니라는... 가설은 가설일 뿐... 가설과 실제는 다르다는 것을 실험으로... 증명했네요... 진정한 실험정신에 박수를...

    • @NfK
      @NfK 13 дней назад +3

      끝까지 안보셨나봐요. 인듐은 쉽게 구현이 됐습니다.
      이외 금속에 대해서 실패한 이유도 실험 디자인 문제라고 긱블과 교수님이 판단을 내렸기 때문에 가설과 실제가 다르다는 결론이라고 해석하신다면 그건 오산이죠

    • @noahwhite3964
      @noahwhite3964 13 дней назад +2

      아니에요. 갈링도 성공하고 냉간용접은 가설이 아닙니다. 이건 단순 실험의 문제입니다. 산화물과 여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나 생각해 보네요.
      아 냉간용접을 말하는 게 아닌 갈릴레오 탐사선 안테나 융착이 가설이 아니냐고 하시는 건가? 애초에 이 실험으로 이 가설이 잘못됐다고 보긴 힘들죠.

    • @user-jk9cu5mn3w
      @user-jk9cu5mn3w 11 дней назад

      교수님도 이 부분은 즉답하신게 실제로 산업용으로 많이 쓰는 용접법이기 때문에 틀릴리가 없어서...

  • @igoo9
    @igoo9 13 дней назад +1

    보는 중인데 이건 안될것 같다.. 일단 진공도가 너무 낮고 하중을 주는 소재가 진공에서 기화되면 의미가 없죠. 그리고 산화막이 떨어지려면 진동보다는 플라즈마 상태여야 함.

  • @user-lp2ps8pw6o
    @user-lp2ps8pw6o 9 дней назад +1

    마지막에 갈링을 활용해서 용접시킨게 더 신기한걸 우왕

  • @needtoon
    @needtoon 14 дней назад +6

    17:40 그럼 갈링현상을 먼저 일으킨 다음 다시 실험을 진행하면 냉간용접이 더 많이 일어날 것 같은데.

  • @inx2853
    @inx2853 13 дней назад

    숫돌로 최대한 평평하게 매끄럽게 갈고 평형진동을 주면 성공할수도?

  • @Etheon
    @Etheon 13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ㅋ 수드님 뒤에서 긱블 막내 메이커분 대형 소면 슬라이드 부품 조립하는 거 뻘하게 재밌네요

  • @user-vy5pb8gl7v
    @user-vy5pb8gl7v 11 дней назад

    5:21 진동만 해도 깍여나가다니!

  • @user-oo5cy1ye2h
    @user-oo5cy1ye2h 14 дней назад

    금은 산소와 반응하지 않으니까 순금바 2개를 압력을 주면서 진공챔버에 넣어보죠

  • @w-jk8699
    @w-jk8699 14 дней назад

    연마재가 아닌 산으로 닦고 공기중 분술물(먼지)도 최소화 하기 위해 클린룸으로 갔으면 성공하지 않았을까요? 진동도 위아래가 아닌 회전 즉 옆으로 하면 좋았으것 같고 우주 환경이면 음 반사능도 ㅋㅋㅋㅋㅋㅋㅋ

  • @jihunkim7101
    @jihunkim7101 12 дней назад

    산이나 furnace로 표면처리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 @user-yn8ljinn
    @user-yn8ljinn 14 дней назад

    진공은 만들어 냈지만 원자나 원소들이 우주에서처럼 극단적으로 그런 환경을 만들어야죠. 우주가 진공이라는 하는것과 아무 물질도 없다는것은 다름요. 우주먼지...그 넓은 우주에 그미세한 먼지들도 서로 같은 원소나 원자들끼리 뭉침...우주먼지가 모여 태양이 되고 태양계를 만들듯...

  • @HoneyBeeStory
    @HoneyBeeStory 11 дней назад

    연마제에 광택제성분이 섞여있는게 아닐까? 이런생각도 해봅니다.

  • @user-xi5tf2ie4v
    @user-xi5tf2ie4v 14 дней назад

    저는 금속 공학과 전공했던 사람입니다.
    대학 생활 내내 놀았기도 했고
    졸업한지도 오래되서 잘 기억은 안나지만 기억나는 내에서 서술 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물질은 파괴되어 내부가 표면으로 드러나는 순간 아주 빠른게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막을 형성합니다.
    때문에 파괴된 물질을 파괴되기 전과 똑같이 퍼즐처럼 조립해도 파괴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만약 산화막을 제거하고 다시 산화막이 형성되기 전에 파괴된 물질을 다시 조립할 수 있다면 원리상으론 부서진 물건도 파괴된 단면을 접촉 시키는 것 많으로도 다시 붙이는게 가능합니다.
    문제는 시간인데 산화막이 형성되는 시간은 기압을 낮추는 건으로 늦출 수 있지만 제가 기억하기로 산소가 철에 산화막을 형성할 수 없게되는 기압이 정확한 숫자는 기억이 안나지만 소수점이 64개 붙는 기압이었던가?
    우주 기압보다 낮은 기압이라고 설명을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자세한건 하이퍼 베큠에 관해 소제공학 관련 교수님께 물어보면 들으실수 있을겁니다.

  • @user-np4es5sp5p
    @user-np4es5sp5p 14 дней назад

    인공위성은 아주 초정밀하게 가공을 해서 사용하는 기계장치일텐대요 두개의 철 및 재료들을 아주초정밀하게 표면을 가공을 해서 실험을 한다면 냉간용접이 가능하지 안을까요?

  • @user-bc3xp7hb7y
    @user-bc3xp7hb7y 14 дней назад +1

    안 차가워서 그런거 아니예요?

  • @amargand
    @amargand 11 дней назад

    어음... 아직 끝까지 보지 않았는데.... 혹시 금속이 산화방지(녹방지) 코팅이 된것 아닌가요

  • @LosiLosi
    @LosiLosi 8 дней назад

    지나가던 문과입니다. 무슨소리인지 하나도 이해를 못했지만 예전에 우주로 치킨 보낼때 영상을 보고 생각이 든건데 연료 연소로 인한 열이나 우주로 갔을때의 온도로 인한 열변화도 같이 넣었어야 하는게 아닐까 싶어요. 정말 단순하게 열로 인해서 금속에 변화가 금속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어요. 진동으로 인해서 산화막이 깎이고 열처리+진공 상태로 산화막 생성이 저지 된게 아닐까 생각해봤습니다

  • @user-oh8ep7sq4n
    @user-oh8ep7sq4n 4 дня назад

    2:10 그래서 순금끼리 부딛히면 붙는거군요

  • @MrKaritan
    @MrKaritan 14 дней назад

    진공상태에서도 지구안에서 하는것이니 만큼 중력의 영향도 있을 것 같은데... 이건 아닌가요?? ㅎㅎ 인공위성(안테나가 있을만한 건 그쪽이니...)에서 일어난 일이였으니 중력은 상관 없나??

  • @DD_DD_DD
    @DD_DD_DD 14 дней назад

    무게추 말고 바이스로 고정했다면 가능할수도?

  • @user-zi2gu8cf6p
    @user-zi2gu8cf6p 13 дней назад

    연마가 얼마나 잘 되냐에 따라서
    저런현상은 흔하게 볼수있습니다.
    평면연마할때 잘 안떨어져서 문제가 많이 발생하지요.
    금속끼리가 심한편이고요.
    세라믹도 연마가 잘되면 가능합니다.

    • @youdieee
      @youdieee 7 дней назад

      거의 모든 물질의 "마찰"이라는 개념이 각 소입자가 "결합" 해서 붙었다가 분리되는 개념이라고 들었는데, 거기에 전자 + 원자핵이 고분자처럼 되어있는 금속의 경우에만 가능성이 있다고 봤는데 세라믹도 가능하군요

  • @chriskim5535
    @chriskim5535 14 дней назад

    연마제 바르고 불순물이 없다고 하면 어케요 ㅠㅠ

  • @user-zw8lf2pp4h
    @user-zw8lf2pp4h 14 дней назад

    온도를 낮춰야 반응성이 좀 떨어질 거 같은데, 상온에서 하기에는 무리가 아니였나 싶습니다 ㅋㅋㅋ

  • @user-dg2dt7wy3f
    @user-dg2dt7wy3f 14 дней назад

    옛날에 치킨을 우주로 보냈던 실험도구로 진짜 우주에 보냈다가 내려왔으면 용접이 됬을라나요?

  • @gogub
    @gogub 14 дней назад +1

    와 성대 오셨었네요

  • @NOMOTHER
    @NOMOTHER 12 дней назад

    제가 학교에서 제트엔진 관련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긱블샵에 제트엔진 조립키트 제고좀 늘려주세요!!

  • @user-hu1kk2vr2o
    @user-hu1kk2vr2o 3 дня назад +1

    방금 수드래곤님 연무장길에서 봤는데 실물이 더 잘생기셨어요.

  • @Neo-NGO
    @Neo-NGO 14 дней назад +1

    컴파운드로 연마 했으면 컴파운드도 제거 해야됨.
    순도 99퍼센트 이소프로필 알콜로 제거했어야 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