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에 오류가 있어 알려드립니다. 1. 한글은 집편전 학자들과 연구한 게 아니고, 세종 혼자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집편전에서 해설서를 만드는 작업을했을뿐이죠~ 그리고... 한글 만드는 것을 비밀로 했다고 이 영상에도 나옵니다. 영상의 일관성도 없군요! 2. 최만리가 반대한 것은 사실이나 사대부 대다수의 일반적인 생각이었다는 것은 거짓말입니다. 영상 수정을 요청합니다. 최만리의 반대상소 이외에 추가 상소가 있었다든지, 최만리의 상소를 인용하여 반대한 학자가 있었다든지... 또는 다른 논리로라도 '한글'에 대한 반대한 사대부가 있었나요? 조선역사에서 한글에 대한 반대는 최만리 상소가 유일합니다. 이 영상에 좋아요 100개 싫어요 1개가 있다면, 이 영상은 사람들 대다수가 싫어하는 영상인가요? 그림까지 그려가며 노력한 것이 안타깝긴하지만, 기본적인 팩트체크는 좀 하고 영상을 만듭시다~ 그리고, 한글에 대한 사대부들의 칭송은 '조선왕조실록'과 여러 기록에 나옵니다. 우리말을 적는 기능뿐만 아니라, 한자를 배우고... 중국어들 배우는데 '한글' 덕에 아주 쉽게 익힐 수 있다고 너무나 좋아들 했습니다. 오죽하면, 과거에 급제한 유생들이 어려서 한글 공부 위주로 하다보니, 한자 활용능력이 떨어진다고 한탄하는 내용이 '조선왕조실록'에 나올정도입니다. 왕실은 물론 사대부들의 가족간 편지도 대부분 한글로 주고 받았습니다. 무덤에서도 한글편지 수천통이 나왔습니다. 사대부들은 어려서 한글은 배우고 그것을 기본으로 해서 한자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한글창제 이전에는 한자에 대한 발음이 사람마다 지역마다 달랐으나 한글로 발음이 통일되면서, 한자공부를 더 쉽게할 수 있었습니다. 3. 한글이 억경을 딛고 성공했다는 드라마틱한 전개를 위해 최만리의 반대상소를 너무나 과장해서 평가하고 알리는 것은 역사를 왜곡하는 것입니다. 지금도 미국(패권국)의 말이라면 죽는 시늉이라도 하는 황당한 대미 사대주의자들이 있지만, 대다수 한국인들의 생각과는 거리가 먼~ 일부의 주장입니다. 그런 대미 사대주의자의 주장을 500년이 지난 먼 훗날에... 대단히 중요한 의견인 것처럼 학교에서 방송에서 중요한 역사적 분기점이나 되는냥 가르친다면 어떨까요?
내용에 오류가 있어 알려드립니다.
1. 한글은 집편전 학자들과 연구한 게 아니고, 세종 혼자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집편전에서 해설서를 만드는 작업을했을뿐이죠~
그리고... 한글 만드는 것을 비밀로 했다고 이 영상에도 나옵니다.
영상의 일관성도 없군요!
2. 최만리가 반대한 것은 사실이나
사대부 대다수의 일반적인 생각이었다는 것은 거짓말입니다.
영상 수정을 요청합니다.
최만리의 반대상소 이외에 추가 상소가 있었다든지,
최만리의 상소를 인용하여 반대한 학자가 있었다든지...
또는 다른 논리로라도 '한글'에 대한 반대한 사대부가 있었나요?
조선역사에서 한글에 대한 반대는 최만리 상소가 유일합니다.
이 영상에 좋아요 100개 싫어요 1개가 있다면,
이 영상은 사람들 대다수가 싫어하는 영상인가요?
그림까지 그려가며 노력한 것이 안타깝긴하지만,
기본적인 팩트체크는 좀 하고 영상을 만듭시다~
그리고, 한글에 대한 사대부들의 칭송은 '조선왕조실록'과 여러 기록에 나옵니다.
우리말을 적는 기능뿐만 아니라, 한자를 배우고... 중국어들 배우는데 '한글' 덕에 아주 쉽게 익힐 수 있다고 너무나 좋아들 했습니다.
오죽하면,
과거에 급제한 유생들이 어려서 한글 공부 위주로 하다보니,
한자 활용능력이 떨어진다고 한탄하는 내용이 '조선왕조실록'에 나올정도입니다.
왕실은 물론 사대부들의 가족간 편지도 대부분 한글로 주고 받았습니다.
무덤에서도 한글편지 수천통이 나왔습니다.
사대부들은 어려서 한글은 배우고 그것을 기본으로 해서 한자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한글창제 이전에는 한자에 대한 발음이 사람마다 지역마다 달랐으나
한글로 발음이 통일되면서, 한자공부를 더 쉽게할 수 있었습니다.
3. 한글이 억경을 딛고 성공했다는 드라마틱한 전개를 위해
최만리의 반대상소를 너무나 과장해서 평가하고 알리는 것은 역사를 왜곡하는 것입니다.
지금도 미국(패권국)의 말이라면 죽는 시늉이라도 하는 황당한 대미 사대주의자들이 있지만,
대다수 한국인들의 생각과는 거리가 먼~ 일부의 주장입니다.
그런 대미 사대주의자의 주장을 500년이 지난 먼 훗날에...
대단히 중요한 의견인 것처럼 학교에서 방송에서 중요한 역사적 분기점이나 되는냥 가르친다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