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황후묘

KBS 역사스페셜 - 추적! 발해황후묘는 왜 공개되지 못하나
Просмотров 1,2 млн4 года назад
중국의 발해 유적지 촬영 원천 봉쇄 발해 황후의 무덤이 발굴된 곳은 중국 길림성 용두산 고분군. 2011년 5월 KBS 역사스페셜 취재팀 ...
영상한국사 ㅣ 167 발해 황후 무덤에서 발견된 고구려의 흔적
Просмотров 23 тыс.5 лет назад
발해 효의황후와 순목황후 무덤에서 발해유물로는 최초로 금제관장식이 출토됐다. 기다란 잎사귀가 세 갈래로 갈라진 모양으로, ...
발해황후 묘비는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가? (KBS_2011.06.16.방송)
Просмотров 34 тыс.Месяц назад
한국 학자들이 발해 황후 묘의 발굴 소식을 접한 때는 지난 2009년이다.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가 발간하는 잡지를 통해서였다.
발해 건국 새 유적지 공개…"고구려 계승 증거" / SBS
Просмотров 260 тыс.3 года назад
중국에서 발해의 역사가 시작된 곳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유적지가 공개됐습니다.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것을 부정하기 어려울 ...
중국정부는 왜 발해의 무덤을 공개하지 않는 걸까? 아무도 모르는 발해 4대왕에서부터 9대왕까지의 이야기 발해의 역사 4부
Просмотров 175 тыс.2 года назад
발해의 역사 4부. 아무도 모르는 발해 4대왕에서부터 9대왕까지의 이야기. 중국정부가 공개하지 않은 발해 무덤의 정체 그럼 역사 ...
"한국인이 지배했던 거에요" 중국에서 발굴된 황후 묘가 한국 황후라고? 당황한 중국, 한국 학자들 접근금지시킨 이유
Просмотров 72 тыс.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국 길림성에서 동아시아 역사의 중요한 근거가 될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그런데 한국에게도 매우 중요한 유물임에도 불구하고 ...
"고구려·발해 빼면 유물 철수"‥최후 통첩 (2022.09.15/뉴스투데이/MBC)
Просмотров 1 млн2 года назад
베이징에서 열리고 있는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 유물 전시회에서 중국이 우리 역사인 고구려와 발해를 한국사 연표에서 일부러 빼 ...
KBS뉴스) 신장 190cm 조선 중기 삼도 통제사 남오성 장군 미라 발굴
Просмотров 187 тыс.3 года назад
조선 중기 삼도 통제사 미라 발굴; 2002.10.10 ⊙앵커: 매장된 지 290년 된 미라가 발견됐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
중국과 러시아가 숨기고 싶은 엄청난 발해의 유적지_보이스
Просмотров 18 тыс.3 года назад
발해만큼 한국인의 마음을 울렁이게 하는 나라는 없을 것입니다. 강역이 사방 9천 리에 이를 정도로 강대국이었던 발해는 서쪽으로는 ...
발해의 역사 속 숨겨진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소름 돋는 미스터리들
Просмотров 35 тыс.Год назад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발해 역사 속 미스테리들 그럼 역사돋보기 시작합니다. #발해 #고려 #대조영 #신라 #고구려 #백제 #미스터리 ...
발해와 신라의 알듯말듯 묘한 관계 (KBS_1998/2003.방송)
Просмотров 96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발해는 고구려 유민들이 주축이 되어 세워진 나라인만큼 통일신라와의 관계가 처음부터 매끄럽지는 못했다. 서로 전쟁을 벌일만큼 ...
오순제 교수의 발해사 강좌 10강 | 용두산 고분군 발해 왕후의 묘비에는 어떤 내용이 있을까?
Просмотров 1,9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본 강의의 내용은 (사)우리역사바로알기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동영상은 국민들의 소중한 후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KBS 한국사전 - 발해 제2부 발해 황제의 나라가 되다 - 문왕 대흠무
Просмотров 793 тыс.5 лет назад
그 누구의 지배도 받지 않는다! 황제의 나라, 발해 1949년 중국 지린성 돈화시 육정산에서 최초로 발해의 공주 '정혜'의 묘비가 발견 ...
KBS HD역사스페셜 - 발해, 고구려를 꿈꾸다 / KBS 2005.11.25. 방송
Просмотров 310 тыс.3 года назад
2005년 국립중앙박물관에 [발해실]이 처음 생기다 2005년 10월 28일 새롭게 문을 연 국립중앙박물관에 [발해실]이 국내 최초로 마련 ...
중국에서 공개하지 않던 발해의 두 황후 비문 일부 공개 #shorts
Просмотров 34 тыс.Месяц назад
한국사 #역사 #발해 #비문 #중국 #효의황후 #순목황후.
중국이 발해 순목황후의 묘를 은폐한 이유는? 중국 역사 왜곡의 민낯 #상식 #역사 #history #지식 #한국사 #발해 #동북공정
Просмотров 17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본 영상에서는 '중국이 발해 순목황후의 묘를 은폐한 이유는? 중국 역사 왜곡의 민낯'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습니다.
6년이 지나도 공개하지 않는 발해 유물 ‘금제 관장식’
Просмотров 699 тыс.Месяц назад
발해황후 묘비는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가?] #한국사 #역사 #역사스페셜 #역사저널 Copyright c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
명성황후 추정 사진에 왕비의 의복을 합성하니 놀라운 결과가!
Просмотров 6 млн4 года назад
명성황후의 진짜 사진에 대한 논란은 지난 백 년 동안 계속되어왔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명성황후의 진본 사진에 여러 번 언급을 ...
저건 우리의 역사가 아니다 (7분 순삭Ver.) #번외
Просмотров 500 тыс.3 года назад
간다효 간다효 채팅규칙 : cafe.naver.com/ganada0811/668 간다효 문의 : gandahyo@gmail.com 간다효 후원1 ...
국가의 멸망에는 이유가 있다. 그런데 강성했던 발해가 갑자기 왜?
Просмотров 831 тыс.2 года назад
자 역사를 변형 역사답게 강의한다고 자부하는 황현필입니다 발해는 왜 멸망했을까요 아니 국가라는게 흥망성쇠를 거듭합니다만 유독 ...
[KBS 역사저널 그날] 불에 탄 명성황후, 염습은 어떻게?ㅣKBS 230115 방송
Просмотров 968 тыс.2 года назад
[393회 그날 클립영상] 불에 탄 명성황후, 염습은 어떻게? #역사저널그날 393회 “산 자들의 정치, 조선왕릉 ③ 명성황후의 시신을 수습 ...
동아시아의 패자 발해, 건국부터 멸망 후 발해인의 행방까지 한편으로 몰아보기 발해의 역사 통합본
Просмотров 288 тыс.Год назад
발해의 역사 통합본 그럼 역사돋보기 시작합니다. #발해 #대조영 #발해역사 #고구려역사 #고구려 #역사 #역사이야기 #역사 ...
[KBS 역사저널 그날] 발해, 어디까지 알고있니?ㅣ KBS 210504 방송
Просмотров 57 тыс.3 года назад
[311회 그날 클립영상] 발해, 어디까지 알고있니? #역사저널그날 311회 "고구려, 동아시아의 전설이 되다 - 제4편 대조영의 아들 ...
발해의 건국지 동모산은 어디인가? 발해 황후묘와 동모산 위치
Просмотров 6 тыс.3 года назад
발해의 건국지 동모산 위치 논쟁과 관련해, 돈화 성산자산성과 연변 마반촌산성 2곳이 어떻게 동모산으로 비정되었을까요? 정혜공주 ...
친일파 후손인 연예인들
Просмотров 2,5 млн2 года назад
email - singidoctor@gmail.com.
친일파 후손인 연예인들
Просмотров 1,4 млн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이슈공장입니다 영상이 즐거우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알림설정까지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제보, 제휴 및 광고 ...
발해 건국지 마반촌 유적지 제기
Просмотров 42 тыс.Год назад
고종의 마음을 사로잡은, 순헌황귀비 엄씨
Просмотров 2,8 млн4 месяца назад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후궁, 순헌황귀비 엄씨의 이야기 #조선 #대한제국 #고종 #명성황후 #순헌황귀비 #영친왕 #엄귀비 #을미사변 ...
전남 강진, 논 한가운데 위치한 거대한 무덤의 정체는?
Просмотров 3,4 млн3 года назад
모닝와이드 #무덤 논 한가운데 자리한 거대한 봉분 하나? 높이만 2.5M에 둘레만도 20M가 훌쩍 넘는 규모에 왕릉이 떠오를 정도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