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y Bone and True Bone
Holy Bone and True Bone
  • Видео 258
  • Просмотров 30 362
짜자잔! 또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통풍의 과학적 인문학]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짜자잔! 또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통풍(痛風, Gout)의 과학적 인문학]
지난번 [소고기의 과학적 인문학]에 이어 과학적 인문학 시리즈 2편 [통풍(痛風, Gout)의 과학적 인문학] 이 출간되었습니다.
사실 출간된지는 꽤 되었는데, 워낙 게으르다 보니, 소개 동영상을 올리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네요.
제가 20여년을 넘게 통풍으로 고생하다 보니 통풍에 대하여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던 차에, 이번에 용기를 내어 근거와 문헌, 그리고 필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저술하여 보았습니다.
사실 주변에 보면 알게 모르게 특히 중년 남성들에게서 통풍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인터넷 상에서 떠돌아다니는 내용들은 엉뚱하고 무식(!)한 까짜(?) 정보인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조절 가능한 질환임에도 불필요하게 가중되는 고통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답니다. 저 역시 그랬으니까요.
사실 이 질환의 병태 생리를 이해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나, 아마 구독자 여러분들 제 스타일을 아실 겁니다. 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드리는 것을 소명으로 삼고 있다는 것을.
더불어 관련된 제반 과학적 상식 등도 함께 서술하였습니다.
구글 등의 검색 엔진에 '박희찬 + 통풍'으로 검색하시면 제일 상단에 뜨고 있습니다.
하움출판사에서 출간 하였고, 정가는 24,000원 입니다.
구입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pr...
Просмотров: 27

Видео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6(끝) 두개짜리, 즉 DiTerpenoid인 Tocopherol, Retinol, Taxadiene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321 день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6 두개짜리, 즉 DiTerpenoid인 Phytol, Tocopherol, Retinol, Taxadiene - 성골과 진골 이번 동영상에서는 초반부에 SesquiTerpenoid에 대하여 잠깐 살펴 본 후, 이어서 DiTerpenoid인 Phytol, Tocopherol, Retinol, Taxadiene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이중 Phytol은 엽록소와 Vit E인 Tocopherol의 구성 성분을, Retinol은 Vit A을 구성하게 되며, Taxadiene의 경우 Taxans 계열 항암제의 핵심 구조를 이루게 됩니다. 이들 역시 Geranyl pyrophosphate(GPP)에 Isopent...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5 Behind Story, 연관지어 쉽게 이해되는 여담과 뒷 이야기 모음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2121 день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5 Behind Story, 연관지어 쉽게 이해되는 여담과 뒷 이야기 모음 - 성골과 진골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이번 동영상에서는 조금 쉬어가는 의미에서 연관지어 쉽게 이해되는 여러 여담과 뒷 이야기들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먼저 유명한 호랑이 기름부터 시작하여, 안티프라민, 각종 파스, 물파스, 맨소래담, 리스테린 등의 내용물을 살펴보게 되면 바로 지금까지 알아본 MonoTerpenoid가 주성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안식향산에서부터 조금씩 발전하여 살리실산, 살리실산 메틸, 아세틸 살리실산에 대하여 살펴보고, 안식향산과 계피산을 함유한 발삼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일이...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4 MonoTerpenoid 중 편백나무의 Hinokitiol, 그리고 여담으로 진토닉과 그 칵테일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2321 день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4 MonoTerpenoid 중 편백나무의 Hinokitiol, 그리고 여담으로 진토닉과 그 칵테일 - 성골과 진골 Hinokitiol이란 대만편백(臺灣扁柏)나무(Taiwan cypress, Chamaecyparis taiwanensis)에서 얻어지는 Essential Oil로 특징적인 7각형의 링을 가진 구조를 이룹니다. 그 구조식이 매우 복잡하게 보이지만 사실 이 또한 Geranyl pyrophosphate가 심하게 말리고 꼬인 것에 불과합니다. 그외 같은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향나무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중 여담으로 향나무의 Juniper berry의 향을 첨가한 진토닉과 관련된 칵...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3 MonoTerpenoid 중에 특별한 냄새를 풍기는 Menthol, Camphor, Thymol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821 день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3 MonoTerpenoid 중에 특별한 냄새를 풍기는 Menthol, Camphor, Thymol - 성골과 진골 이번 동영상에서는 아주 특징적이며 날카로운 향을 만들어내는 Menthol, Camphor, Thymol에 대하여 살펴 봅니다. 첫번째 Menthol의 경우는 박하, 즉 민트로 부터 얻게 되는데요, 이 역시 Geranyl pyrophosphate(GPP)가 중간에 링을 형성하면서 말린 경우에 해당하겠고 두번째 장뇌, 용뇌라 불리는 Camphor의 경우 역시 GPP가 심하게 꼬이며 말린 경우이며, 세번째 Thymol의 경우 역시 GPP가 꼬이면서 말리다 보니 Tautomerization을 일으키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2 MonoTerpenoid 중에 기본이 되는 3가지, Geraniol, Nerol, Linalool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17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2 MonoTerpenoid 중에 기본이 되는 3가지, Geraniol, Nerol, Linalool - 성골과 진골 이번 동영상에서는 MonoTerpene에 산소가 들어가 있는 형태의 MonoTerpenoid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Geraniol, Nerol, Linalool에 대하여 살펴 보겠는데요, 첫번째 Geraniol의 경우, Geranyl pyrophosphate의 OPP 부분이 그대로 OH로 바뀐 듯한 형태이며, 두번쨰 Nerol의 경우, 마치 Geraniol의 한쪽 끝이 꺽인 듯한 형태이고, 세번째 Linalool의 경우는 OH가 끝 부분이 아니라 몸통 부분...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1 MonoTerpene 중에 대표적 3가지, Myrcene, Limonene, Pinene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7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1 MonoTerpene 중에 대표적 3가지, Myrcene, Limonene, Pinene - 성골과 진골 이번 동영상에서는 MonoTerpenoid 중에서도 오로지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순수한 탄화수소로만 이루어진 MonoTerpene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그야말로 MonoTerpenoid 중에서도 성골이라 할 수 있겠지요. 첫번째 Myrcene은 Geranyl pyrophosphate(GPP)에서 그대로 OPP만 떨어져 나간 듯한 직선형의 MonoTerpene 이며, 두번째 Limonene과 세번째 Pinene의 경우 Geranyl pyrophosphate(GPP)가 Ring의 형태로 ...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0 MonoTerpenoid의 개요와 분류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3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10 MonoTerpenoid의 개요와 분류 - 성골과 진골 이번 동영상에서는 Isoprene 2개 붙어 있는 형태의, 즉 C10H16 의 분자식을 기본 골격으로 가지는 MonoTerpenoid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언틋 보기에는 상당히 복잡해 보여도, 기본적으로 DiMethylAllyl PyroPhosphate(DMAPP) 1개에 Isopentenyl PyroPhosphate(IPP) 1개가 추가되어 만들어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고, 이후에 산소가 추가되기도 하나 많은 경우 구조식이 다를뿐 분자식이 같은 이성질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요. 즉 이렇게 꼬이고, 저렇게 말리면서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그...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9 Terpene의 생합성(Biosynthesis) 과정은 빛이요, 진리라, 너를 자유롭게 하리니!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19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9 Terpene의 생합성(Biosynthesis) 과정은 빛이요, 진리라, 너를 자유롭게 하리니! - 성골과 진골 "Processus biosynthesis terpeni est lux, veritas, et veritas te liberabit!" 이번 동영상에서는 Terpene의 생합성(Biosynthesis) 과정, 그 중에서도 Mevalonate (MVA) pathway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으로 복잡하게 보이고, 쉽지 않은 내용으로 아마 이번 [자연이 만드는 물질] 동영상 시리즈 중 최고의 난제가 아닐까 싶네요. 그러나 지가 복잡해 봤자, 얼마나 복잡하겠어요. ㅎㅎ 그러나 단언컨데, 이...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8 자연 물질의 60%를 만들어 내는 Terpene & Terpenoid. 지가 복잡해 봤자!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7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8 자연 물질의 60%를 만들어 내는 Terpene & Terpenoid - 성골과 진골 이번 동영상에서는 자연계에서 만들어지는 화합 물질의 거의 60%를 이루는 Terpene & Terpenoid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아마 시작부터 보이는 화학식에 지레 포기부터 하실 수 있는데요, 그래도 함 살펴보시자구요! 지가 복잡해 봤자 화학식이지, 뭐든지 다 원칙이 있고, 방법이 있고, 수가 있는 법입니다. 그 원칙, 방법, 수 란 바로 Isoprene인데요. 1) 탄소가 5개로 이루어진(C5H8) Isoprene이 2개가 모여 1개의 Terpene(C10H16)을 만들게 되는 겁니다. 이러한 Terpene을 M...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7 고체가 된 송진(Rosin)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60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7 고체가 된 송진(Rosin)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 성골과 진골 이번 동영상에서는 휘발성의 테레빈유가 날아간후, 고체 찌꺼기 형태로 남게되는 송진(Rosin)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Rosin이 압력을 받아 보석으로 산출되는 호박(琥珀, Amber, Succinum)과 더불어 흔하게 건강 보조식품으로 팔리는 Propolis에 대하여도 살펴봄으로써, 소나무 송진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소나무 송진에 대한 이야기는 앞으로 이어질 자연이 만드는 물질들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한편 이번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시리즈에서...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6 산패(酸敗), 대개 식용유를 못쓰게 만드는 산패(酸敗) 현상에 대하여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18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6 산패(酸敗), 흔히 식용유를 못쓰게 만드는 산패(酸敗) 현상에 대하여 - 성골과 진골 식용유를 못쓰게 만드는 산패(酸敗) 현상, 과연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걸까요? 반대로 이러한 현상을 유용하게 쓸 수 있지도 않을까요? 산패(酸敗) 란 공기중의 산소가 지방산들 간에 결합하여 Crosslink를 이룸으로써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식용유로서의 가치는 상실되었지만 표면에 얇은 도막(Film)을 형성함으로써, 오히려 유화 그림이나 Varnish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도 하지요. 이번 동영상에서는 산패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와 관련하여 건성유, 반건성유, 불건성유에 대하여 살펴 봅니다. 또한 대표...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5 지방산(脂肪酸), 지방을 산이 만든다고? 기름을 산이 만들어? 그렇다니까!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4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5 지방산(脂肪酸), 지방을 산이 만든다고? 기름을 산이 만들어? 그렇다니까! - 성골과 진골 소기름, 돼지기름, 참기름, 들기름...... 이런 기름을 만드는 것은 산(酸), 지방을 만드는 산(酸)이라고 해서 지방산(脂肪酸) 어떻게 시큼한 식초같은 산(酸)이 반지르한 기름인 지방(脂肪)을 만든다니, 언틋 와닿지 않지만, 중성 지방(中性脂肪, Neutral Fat)이란 지방산(脂肪酸) 3분자가 글리세롤 1분자와 에스테르 결합을 이룬 것. 그러므로 이번 동영상에서는 기름을 만드는 지방산(脂肪酸)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아울러 오메가 3가 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어렵다구요? 노! 식초에서 하나씩 늘어나는 건데요!...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4 건성유(乾性油)가 뭐지?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32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4 건성유(乾性油)가 뭐지? - 성골과 진골 건성유(乾性油)가 뭐지? 먹는 건가? 건성, 건성 만든 기름일까? 건성유(乾性油)란 Drying Oil 로 도료, 바니시, 잉크, 유화 물감에 사용되는 기름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치 말라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건성유(乾性油, Drying Oil)란 이름을 갖게 되었는데요. 흔히 Varnish, Thinner에서 처럼 휘발에 의해 말라가는 기름을 뜻하기도 하지만,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면서 고형화되어 도막(Film)을 형성하는 식물성 기름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한편 이번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시리즈에서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여러 오만(?...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3 테레빈(Terebene)유(油)의 정체?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63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적 인문학, 우문 서답, 문헌 리뷰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3 테레빈(Terebene)유(油)의 정체? - 성골과 진골 테레빈유(油), 테레핀유, 송진유, 투르펜틴, Terebene, Turpentine, Terebenthine, Terebenthene, Terebinthine, Turps, Spirit of turpentine, Oil of turpentine..... 등등 이렇게 많은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테레빈유, 너의 정체는 도대체 뭐니? 이름도 좀 괴이해! 이번 동영상에서는 테레빈유(油)의 유래, 그리고 Essential oil 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정유(精油), 방향유(芳香油), 휘발유(揮發油)라 불리는 Essentia...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2 송진의 정체? 송진! 너 뭘로 만들어진거야?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75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2 송진의 정체? 송진! 너 뭘로 만들어진거야?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1 수지(樹脂)란 나무 기름이라는 뜻인데, 그러면 합성 수지(플라스틱)는 합성한 나무 기름???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3928 дней назад
🎨[과학인문17 자연이 만드는 물질을 생각해 본다 ] - 1 수지(樹脂)란 나무 기름이라는 뜻인데, 그러면 합성 수지(플라스틱)는 합성한 나무 기름??? - 성골과 진골
책이 출판 되었습니다. 쨘 - 소고기의 과학적 인문학-
Просмотров 68Год назад
책이 출판 되었습니다. 쨘 - 소고기의 과학적 인문학-
#Shorts 소고기의 과학적 인문학
Просмотров 30Год назад
#Shorts 소고기의 과학적 인문학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4 [끝] 소고기를 마무리하며... 돼지고기까지 달려볼까요?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30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4 [끝] 소고기를 마무리하며... 돼지고기까지 달려볼까요?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3 토시살, 안창살, 제비추리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39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3 토시살, 안창살, 제비추리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2 오! 갈비! 드디어 갈비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37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2 오! 갈비! 드디어 갈비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1 아롱사태! 이름 마저 너무 예쁜 아롱사태! 사람한테도 있을까요?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32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1 아롱사태! 이름 마저 너무 예쁜 아롱사태! 사람한테도 있을까요?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0 사태중 뭉치사태와 아롱사태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130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30 사태중 뭉치사태와 아롱사태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9 사태는 소의 앞다리와 무릎아래 뒷다리 부분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66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9 사태는 소의 앞다리와 무릎아래 뒷다리 부분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8 양지중 업진살, 업진안살, 치마양지, 치마살, 앞치마살에 대하여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156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8 양지중 업진살, 업진안살, 치마양지, 치마살, 앞치마살에 대하여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7 양지중 양지머리와 차돌박이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51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7 양지중 양지머리와 차돌박이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6 '양지'란 소의 가슴과 배살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61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6 '양지'란 소의 가슴과 배살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5 설도중 삼각살은 어떤 근육?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50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5 설도중 삼각살은 어떤 근육? - 성골과 진골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4 설도중 도가니살은 대퇴사두근 - 성골과 진골
Просмотров 26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인문16 소고기의 인문학] - 24 설도중 도가니살은 대퇴사두근 - 성골과 진골

Комментарии

  • @이효정-d9s
    @이효정-d9s 2 дня назад

    시그마알파감마베타오메가델타

  • @ksun-21
    @ksun-21 20 дней назад

    통풍의 근본적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이죠

  • @ksun-21
    @ksun-21 29 дней назад

    소고기 영상에 적은 질문 좀 답해주세요 오래됨

  • @Hymnofood
    @Hymnofood 2 месяца назад

    과연. 책으로 만들만큼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месяца назад

      과찬의 말씀 덕분에 하루 종일 기분이 좋군요. 염치없지만 책도 구입해 주신다면.... 고맙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Hymnofood
    @Hymnofood 2 месяца назад

    앞에부터 시작해서 하루 종일 봤네요. 퀄리티 있는 영상 너무 재밌게 잘 보고 갑니다.

  • @Hymnofood
    @Hymnofood 2 месяца назад

    뒷다리의 천지굴근(아롱사태)와 앞다리의 천지굴근(보통 가짜 아롱사태라고 부르죠) 은 고기 질도 맛도 크기도 다릅니다. 똑같은 복직근도 윗부분만 업진살이라 부르는 것처럼, 혹은 똑같은 최장근중에서도 꽃등심과 아랫등심, 채끝을 나누는 것처럼, 뒷다리의 천지굴근만 '아롱사태'라고 따로 부른다고 이상할 것은 전혀 없는 것 같습니다.

  • @Hymnofood
    @Hymnofood 2 месяца назад

    잘 봤습니다.

  • @Hymnofood
    @Hymnofood 2 месяца назад

    재밌게 잘 봤습니다.

  • @Hymnofood
    @Hymnofood 2 месяца назад

    잘보고 갑니다.

  • @김홍배-r6r
    @김홍배-r6r 4 месяца назад

    '통풍의 과학적 인문학'책이 출간 된지 모르고 있다가 우연히 서점가서 보고 구매했습니다. ^^

    • @성골진골
      @성골진골 4 месяца назад

      넵. 오랫만에 댓글을 달아주셔서 무척 반갑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 졸저임에도 구매까지 해주심에 깊히 감사드립니다. 고달픈 하루하루의 삶에, 잠시 기쁨을 주시는군요. 이쯔 마이 프레져!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소고기 전편 잘 감상했어요 해부학적으로 접근하니까 소의 각 부위가 3D로 이해됩니다 너무 재밌었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아롱사태의 법령정의와 다르게 정형사들은 앞다리 뒷다리의 profundus와 extensor도 모두 정형하고 있나요?

    • @Hymnofood
      @Hymnofood 2 месяца назад

      앞다리 천지굴근의 경우 간혹 아롱사태로 속여서 팔기도 한다 정도입니다. 뒷다리의 다른 profundus와 extensor는 아롱사태만 제거 후 뭉치사태로 나옵니다.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대갈비"라고 칭하는건 꽃갈비를 말하는 걸까요? ^^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장골에서 안심을 발라내는 장면.....ruclips.net/video/VtXY5tuwWOg/видео.htmlsi=qIp5tyFyHZ8yBG_m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윗집(채끝)과 아랫집(안심)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ruclips.net/video/_Sut0PRYt9Y/видео.htmlsi=Hy0k-K62tLy05mqU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실제 살치살 위치와 모양을 확인 할 수 있는 영상 링크 ruclips.net/video/KYbo5ZECeAU/видео.htmlsi=XJFNOqpWH8kjFav- 귀한 부위인데 적지 않은 양이 나오는 거 같습니다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천지굴근 심지굴근 각각 다른 마디의 굽힘을 통제한다면, 왜 사람은 첫째 마디 하나만 굽힐 수는 없는 건가요? 즉 왜 심지굴근만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건지 궁금하네요 ㅋ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외복사근에 해당되는 소고기 부위는 없네요. 별도로 명칭을 붙이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브리스켓을 설명하시면서 표층부위는 차돌, 심층은 양지머리로 두개가 깊이 차이만 있는 것으로 말씀하셨는데, 막상 단면을 보면 깊이 차이 외에도 수평적인 위치 차이가 존재하네요. 즉 표층의 차돌백이가 심층에 있는 양지면적의 일부만 덮고 있는 듯 합니다. 설명이 틀리진 않지만 완벽한 설명은 아닌거 같아요 ^^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치마양지가 치마살+앞치마살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면 왜 치마양지가 양지의 7대 분류에 단독으로 포함이 되는거죠?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Gluteus minimus에 해당하는 소근육은 그림에 없는데...... 사람과 마찬가지로 대둔근 아래에 깔려있는 건가요?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소의 떡심이 ligament라면, 머리뼈에서 어느뼈로 연결되는 건가요? 등심의 단면을 보면, 척추의 극돌기와 횡돌기와는 연결 안된 것으로 보이는데요.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삼겹은 없네요 ㅋ

    • @성골진골
      @성골진골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청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삼겹은 정식명칭은 아니고 상업적 요구에 의해 쓰이는 말로, 뒷편에 나오는데 사람의 복직근(Rectus abdominis muscle)에 해당하며 돼지의 삼겹살과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아울러 미흡하나마 책으로 출간된 '소고기의 과학적 인문학(하움출판사 간)'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852210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성골진골 사볼께요 소처럼 돼지도 사람 근육과 매칭이 잘되나요?

    • @성골진골
      @성골진골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단히 감사합니다. 돼지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근육 구조는 사람과 다름이 없으나, 그 구분에 있어서는 소고기에서 훨씬 더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책은 소고기와 사람 근육을 비교하여 설명하였지만, 간간히 돼지 고기에 대한 비교도 언급하였답니다. (갈매기살, 삼겹살 등)

  • @ksun-21
    @ksun-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전부터 소의 구조를 알고 싶었는데 이런 좋은 자료가 있네요 감사합니다 근데 정황한 서론 보고 싶지 않은 분은 10:10 부터 보세요 ㅋ

  • @user-te9qb8pi6x
    @user-te9qb8pi6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와 진짜 신기해요

    • @성골진골
      @성골진골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책으로도 출간되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852210

  • @javaxerjack
    @javaxerjack Год назад

    참고로 이걸 실제로 해보려는 어른이를 위해 몇자 적자면 1. 지금에 와서는 재래식 화장실 자체가 없고 2. 대소변을 모아서 발효를 한다고 해도 그 과정에서 냄새가 어마 무시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사실상 몰래 만드는게 불가하며 3. 어찌 저찌 해서 염초를 만든다 쳐도, 대부분 가내 수공업으로 할 수 있는 수준에서는 불순물이 다량 섞여 들어가 대부분 피식하고 말겁니다. 한마디로 착한 어른이는 그냥 재미로만 알기를 바랍니다. 달리 화약에 목을 건 조선 조차 건국부터 망국 때까지 단 한번도 충분한 양의 화약을 비축 못한게 아닙니다.

  • @후아유-w9o
    @후아유-w9o Год назад

    아주 수준 높은 강의 감사합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저의 기쁨입니다.

  • @myh7354
    @myh7354 Год назад

    와 여기 영상들 전부 지식만땅이네요. 구독했어요! 다만 딕션이 좋으신 편이 아니고 소리도 울려서 내용을 알아듣기 힘드네요. 자막이라도 적어주시면 듣기 편할 것 같아요. 그리고 음악도 그렇고 애니메이션도 그렇고~인트로가 너무 길어요.. 지루합니다

  • @이영훈-o8m
    @이영훈-o8m Год назад

    복습해 주시네.

  • @김홍배-r6r
    @김홍배-r6r Год назад

    학교 다닐적 스님이 쓰고 다니는 삿갓모양이라서 승모근이라고 선배가 이야기 해주셔서 그리 알았는데 다른 해석으로 이해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Год назад

      항상 구독하여 주시고 댓글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최근에 이상의 내용으로 책을 한 권 출판하였습니다. 주소를 남겨주시면 저자증정본으로 한 권 보내드리겠습니다. 아울러 교보문고 링크도 남겨 놓겠습니다. 염치없지만 한 권 구입하여 주시면 더욱? 고맙겠습니다. ㅎㅎ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852210

    • @김홍배-r6r
      @김홍배-r6r Год назад

      예. 책보며 소고기 맛있게 먹겠습니다.

  • @jy3439
    @jy3439 Год назад

    화학은 어렵고... 궁금한건 많은데요... 곤약이나 우뭇가사리에는 왜 수산화칼슘이 들어가나요? 수산화칼슘 얘는 뭔데.. 식품에도 들어가고...세균죽이는 강력한 소독제 같은거로도 사용을 하는지...

    • @성골진골
      @성골진골 Год назад

      수산화칼슘(소석회)은 Ca(OH)2 화학식으로 OH기가 2개나 있음으로 강한 알칼리 성을 띄게 되므로, 염기성을 요하는 여러 분야에 사용되게 됩니다. 또한 일반 석회석 CaC03를 열가열하여 얻어지는 CaO(생석회)에 물이 반응을 하게 되면 만들어지는 물질이기도 하구요. 이상은 우리 생활에서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기전이기도 합니다. 캄 사~~~

    • @성골진골
      @성골진골 Год назад

      아, 그리고 화학은 어렵지 않습니다. 관심을 가지면 이렇게 재미있는 분야도 없지요.

    • @jy3439
      @jy3439 Год назад

      @@성골진골아.. 강알칼리성이군요... 조금 쓰면 식품에 넣을 수 있고, 강하게 쓰면 독하게도 쓸 수 있겠군요.. 무식이를 무시하지 않고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Год назад

      현문우답이었습니다. 캄사

  • @jy3439
    @jy3439 Год назад

    이 동영상과 관계없는 질문입니다만..... 혹시 과산화수소는 소비기한이 있나요? 뚜껑이 살짝 느슨하게 닫힌 상태로 보관된 3년전에 쓰던 과산화수소가 있는데.... 지금 사용하도 될까요? 제품에 유통기한은 안적혀 있던디....

    • @성골진골
      @성골진골 Год назад

      과산화수소수에 대한 질문이지요? H2O2는 자연적으로 H2O + (O)로 분해되면서 발생기 산소인 (O)에 의해 살균 등의 작용을 얻을 수 있는 기전입니다. 그러므로 뚜껑이 느슨한 상태에서 3년이나 지났다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겠지요. 캄사~~~

    • @jy3439
      @jy3439 Год назад

      @@성골진골 산소가 느슨해진 틈으로 공기중으로 날라간다는.. 그런건가봐요.. 그럼 남은건 , H2O 물??? 써보고 효과 없으면 물된거라고 보믄 되겠네요?ㅎㅎ 감사해요^^* 성골진골님 짱!! 아.. 그런데 발생기 산소에 의한 살균 등의 작용??이란건 뭔가여?... 산소가 살균작용을 하는건가요?? 우리가 마시는 공기중의 산소가 살균 작용을요??

    • @성골진골
      @성골진골 Год назад

      네. 맞습니다. 특히 거품(발생기 산소 O)이 안나온다면 물이 된것이지요.

    • @jy3439
      @jy3439 Год назад

      답변 감사해용^^

  • @jy3439
    @jy3439 Год назад

    내용 듣고싶은데 음질이 영 안좋아서 못듣겠어요... 웅웅거려용..깊숙한 지하에서 울리는 소리

    • @성골진골
      @성골진골 Год назад

      넵. 그리 깊지 않은 지하에서 녹음했답니다. ㅎ. 그러게요. 음질이 좀 아니죠?

  • @돈스파이크-x4y
    @돈스파이크-x4y Год назад

    재밌습니다~ ㅋㅋ

  • @arslongavitabre
    @arslongavitabre 2 года назад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songil5571
    @songil5571 2 года назад

    디카페인 커피는 안전할까요?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이론의 여지야 있지만 이왕이면 디카페인이 낫지 않을까요? 님의 댓글에 힘있어 오늘 하루도 상쾌하게 출발합니다. 캄~~사~~~

  • @arslongavitabre
    @arslongavitabre 2 года назад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songil5571
    @songil5571 2 года назад

    다음 영상 기대합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넵. 또 부지런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관심가져 주셔서 캄~사~

  • @songil5571
    @songil5571 2 года назад

    카페인 음식도 조심해야겠네요..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아직 이견은 있으나 주의 관찰은 필요할 듯 합니다.

  • @songil5571
    @songil5571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통풍으로 고생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저도 국물 음식을 좋아하는데… 조심해야겠네요…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푹 끓여서 건데기만 드십시오. ㅎ. 라면도 국수가락만....

  • @songil5571
    @songil5571 2 года наза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저의 기쁨입니다. 감사합니다

  • @김홍배-r6r
    @김홍배-r6r 2 года назад

    낭창이란 의미를 처음 알았습니다. 대학시절 강의하신 교수님도 몰랐던 것 같습니다. 설명해주지 않으신거보면..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SLE 환자분들의 얼굴이 홍반등에 의해 변해가는 모습을 '낭창'으로 표현하였다고 합니다. 언제나 즐감해주셔서 캄~~~사 합니다. Dr. Piezo.

  • @shrimpkeeper1
    @shrimpkeeper1 2 года назад

    주석산이 소독효과도있나요? 양식장에서 유해조류 구제용으로 주석산을 사용한다기에 여쭙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그렇던가요? 그점에서는 저의 無識이 ... 어찌되었든 시청과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 @김백준-f7o
    @김백준-f7o 2 года назад

    덕분에 공부 많이 하고 있습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마이 프레져! 고마운 댓글을 주시니 오늘은 아침부터 힘이 납니다. 캄~~~사

  • @짱쪼강쥬유
    @짱쪼강쥬유 2 года назад

    우와... 학교에서 교수님 수업듣고 안면신경 여기저기 찾아봐도 절대 이해가 안갔는데 이거 보니 어느정두 가닥이 잡혀요ㅠㅠ 감히 예상할 수 없지만 만드시는데 정말 고생하신게 느껴지져요,, 이걸 다 나눠서 그려주시다니ㅠ 진짜 대단하셔요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잇쓰 마이 프레져.!

  • @김현배-f5l
    @김현배-f5l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너무너무 쉽게 설명해주셔서 또한더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너무 늦게 답글을 달아 죄송합니다. 이쯔 마이 프레져!

  • @김현배-f5l
    @김현배-f5l 2 года назад

    우와 모두가 과학이란걸 깨달음이. 감사합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너무 늦게 답글을 달아 죄송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저로서는 큰 기쁨입니다.

  • @김현배-f5l
    @김현배-f5l 2 года назад

    쉽게 이해가 속속 감사합니다 🙏

  • @부익-j5g
    @부익-j5g 3 года назад

    염초의 최초발견은 마소분변의 마른 먼지에서 발견된 것인데 처음에 마소먼지의 폭발원인은 모르고 그 먼지가 꽉찬 공간에 불꽃이 닿으면 폭발하는걸 알게되고 거기에 숯가루를 뿌려 폭발력을 높이게 되는걸 알게 된거죠. 그렇게 알게되는건데 처음에 무슨 화학실을 알겠습니까? 그후 세월이 흘러 분석이 되면서 알게 되는거죠.

  • @arslongavitabre
    @arslongavitabre 3 года назад

    린넨실 뜻 알았습니다!

    • @성골진골
      @성골진골 2 года назад

      너무 늦게 답글을 달아 죄송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저로서는 큰 기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