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반도체 판도를 뒤흔들 HBM 삼국지의 시작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июн 2024
  • 삼성전자가 늘 1위를 달리던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AI 시대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HBM 때문입니다. 10년 전 처음 등장했을 때만 해도 쓰겠다는 기업이 없어 애물단지였던 HBM. 그래서 삼성전자도 개발팀을 축소했던 반도체인데요. 지금은 엔비디아도 줄서서 받아가는 반도체가 됐습니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SK하이닉스의 HBM만 사용하고 있는데요. 엔비디아 납품을 둔 글로벌 메모리 기업간의 전쟁, 막전막후를 살펴봅니다.
    편집: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이재원 기자
    섬네일: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HBM #SK하이닉스 #삼성전자
    00:00 인트로
    00:20 HBM 경쟁구도의 변화
    02:10 삼성전자 HBM은 실패인가요?
    06:01 SK하이닉스가 역전하게 된 이유
    07:15 삼성 vs SK하이닉스, 경쟁 전망은?
    10:16 마무리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87

  • @TTimesTV
    @TTimesTV  3 дня назад +6

    📌오늘의 주제 모아보기📌
    00:00 인트로
    00:20 HBM 경쟁구도의 변화
    02:10 삼성전자 HBM은 실패인가요?
    06:01 SK하이닉스가 역전하게 된 이유
    07:15 삼성 vs SK하이닉스, 경쟁 전망은?
    10:16 마무리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 @noah489
      @noah489 День назад

      계속 고단으로 쌓는게 답일까??
      언제나 운영의 방법론이 있고 기본은 프렉탈이다...
      가볍게 운영할 적당한 사이즈의 분할...

  • @user-nr2kl7du5g
    @user-nr2kl7du5g 3 дня назад +20

    여러 유튜브 보지만 반도체 설명은 티타임즈가 가장 쉽게 설명해준다

    • @wingsoverfries
      @wingsoverfries 3 дня назад +1

      ㄹㅇ 퀄이 다른 급

    • @SgYi-gl1te
      @SgYi-gl1te 3 дня назад

      이거 몇년전에 신문에 나온거랑 똑같은데

  • @hskim3077
    @hskim3077 2 дня назад +5

    하이닉스가 모처럼 잘하는 분야가 생긴 것은 한국의 메모리 경쟁 구도에서 바람직한 상황이라고 봅니다. 두 업체가 경쟁을 통해서 기술이 더욱 발전하기 바랍니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День назад

      그럼 삼성전자가 승기 잡겠네요. 삼성전자의 기술자들이 하이닉스로 가서 하이닉스가 승기 잡았으니까
      삼성이 그 기술자들에게 3배 ~10배의 연봉을 주겠다고 하면 삼성으로 이직 하겠죠.
      한국의 기술자들이 돈만 많이 주면 중국 기업으로도 많이 가는데 같은 나라의 최고 기업이 연봉을 더 준다고 하면 안갈 이유가 하나도 없죠.

  • @user-ol3oz4jp2c
    @user-ol3oz4jp2c 3 дня назад +13

    NVIDIA에서는 HBM을 싸게사려면 경쟁시켜야 하겠지... ㅎㅎㅎ

  • @user-pv5nu2gn5u
    @user-pv5nu2gn5u 3 дня назад +2

    설명 명확하게 이해되네요^^

  • @user-ns3mm5xo2e
    @user-ns3mm5xo2e 3 дня назад +3

    감사 감사합니다~~^^

  • @armand3981
    @armand3981 7 часов назад

    2배속으로 들어도 이해가 쏙쏙~

  • @bullsnam2239
    @bullsnam2239 3 дня назад +3

    고마워요. 로이터

  • @leekame20
    @leekame20 3 дня назад +3

    두가지공법 같이쓰면 꿀인디.
    안휘는 sk굽기공법으로 4단에서 8단까지만 굽고 잘 패키징해서 4단짜리끼리 삼성본딩공법으로 붙이면 나을듯

  • @user-vf6qq4dw9j
    @user-vf6qq4dw9j 3 дня назад +2

    일각에서는 디램문제 해결 안하면 결국 하닉보다 발열이나 수율이 낮을수밖에 없다고 하더군요 하닉보다 삼성의 ddr5 수율이 안좋은대 이거부터 해결 안하면 글쎄요? 과연?

  • @sjyoon0603
    @sjyoon0603 3 дня назад +1

    매우 훌륭한 영상 감사히 잘봤습니다!!!

  • @rohyt000
    @rohyt000 День назад +1

    결국 미래로 갈 수록 삼전이 유리해 지는 군요.. 삼전이 퀄테스트 통과 하는 이벤트를 기다려 봅니다.

  • @prouiod4481
    @prouiod4481 2 дня назад

    상온 초전도체로 만들어진(AI?)퀀텀컴퓨터(개인 가정용 혹은 노트북 사이즈)는 언제쯤 볼 수 있게 될 수 있을카요?

  • @user-vl2nz8if6u
    @user-vl2nz8if6u 2 дня назад +1

    몇년전 TSMC 등 몇몇회사들이 삼성전자 제품 안쓰기로 결의했던 기억이 남....

  • @moonanrenthouse7540
    @moonanrenthouse7540 День назад

    둘다 화이팅~

  • @user-vs5wg5vh3d
    @user-vs5wg5vh3d 3 дня назад +22

    hbm도 납품 못하면서 더 고성능 hbm3e를 납품하겠다니...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День назад

      그럼 삼성전자가 승기 잡겠네요. 삼성전자의 기술자들이 하이닉스로 가서 하이닉스가 승기 잡았으니까
      삼성이 그 기술자들에게 3배 ~10배의 연봉을 주겠다고 하면 삼성으로 이직 하겠죠.
      한국의 기술자들이 돈만 많이 주면 중국 기업으로도 많이 가는데 같은 나라의 최고 기업이 연봉을 더 준다고 하면 안갈 이유가 하나도 없죠.

    • @user-cg2ig8hw8b
      @user-cg2ig8hw8b 20 часов назад

      GDDR6 보다는 높은 성능을 원하는데 HBM3 물량 딸려서 구하지 못하니 HBM2E 장착도 고려하는 업체도 있다고 함

    • @mcy2756
      @mcy2756 18 часов назад

      엔지니어 몇명이직한다고 바뀌는건 쉽지 않음
      이직해도 공정에 적용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고
      평사원들은 많은 공정중 일부업무만 반복하기때문에 전반적으로 공정을 잘아는 엔지니어는 극소수임

    • @H_H_H_H_H
      @H_H_H_H_H 13 часов назад

      ​@@user-ic1dj5tf7r 특허 생각도 안하고 그런 단순한 논리를요?

    • @H_H_H_H_H
      @H_H_H_H_H 13 часов назад

      모 IT 전문가가 그러더군요.. 그런 주장은 더하기, 빼기는 잘 못하는데 미적분은 잘할 수 있다고 하는 것과 같다고...😊

  • @sunfine
    @sunfine 3 дня назад +2

    기다려봐
    시간이 다해결해줌

  • @steadysteps2217
    @steadysteps2217 3 дня назад +7

    그래서 썸네일에서 말한 엔비디아가 삼성전자를 못쓰는 이유가 뭔가요?

    • @Monkey_Donkey_Kiki
      @Monkey_Donkey_Kiki 3 дня назад +3

      하이닉스에 비해 개발이 늦어져 현시점 완성도 부족이 이유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테스트 실패는 아니고 조율과정에 있다 정도로 이해했습니다.

    • @user-pb6lr8gx8m
      @user-pb6lr8gx8m 2 дня назад +3

      qual 통과를 못하고 있다고 했잖아요.^^

    • @steadysteps2217
      @steadysteps2217 2 дня назад +6

      삼성전자 HBM제품이 퀄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엔비디아의 의도된 전략 때문이라고 봅니다. 쉽게 말해 엔비디아는 지금의 GPU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 없다는 겁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지금 독점체제로 누리고 있는 초과수익(독점수익)을 당분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 @LifeHistory287
      @LifeHistory287 2 дня назад

      @@steadysteps2217 일리잇는 댓글입니다. 사실 A.I시대가 왓다고는 하지만 그 A.I서비스를 어떻게 수익으로 만들어내느냐가 중요하겟지요
      AMD는 아에 경쟁상대로 안보기때문에 충분히 엔비디아로써는 급할게 없다라는것이죠

    • @user-eg1ej5rm1y
      @user-eg1ej5rm1y 2 дня назад

      영상 좀 보고 댓글 달자

  • @age3441
    @age3441 3 дня назад +2

    뭐긴 뭐여 합격 못했는데 언플은 합격으로 하주세요 했겠지 황회장 입장에선 경쟁 시켜야 하니까 굳이 적을 만들 필요도 없고 ㅋ

  • @Iockheedmartin
    @Iockheedmartin 21 час назад

    컴퓨터에 관심 조금이라도 있는사람이면 알텐데
    5~6년전에 AMD에서 Fury라는 그래픽카드를 출시했었는데, 당시에는 반도체 업계에서 한번도 시도하지 않은 HBM메모리를 사용했음
    기존 GDDR4,GDDR5가 가지던 태생적 한계인 메모리비트의 대역폭을 기존 192Bit/256Bit/384Bit에서 그 이상으로 넘지못하는 문제를 수십년동안 갖고있었는데 HBM은 이걸 한방에 해결해버림
    그때당시 Fury에 사용된 HBM 메모리비트가 2048Bit였고 그래픽카드 사이즈가 타 카드대비 3~40%정도 작아지는 효과까지 얻게되었음
    근데 무슨이유에서인지 AMD는 후속작을 생산하지 않았으며 기존 RX라인업만 생산해내기 시작했고 HBM은 그렇게 시장에서 잊혀져가다가 갑자기 2024년 Ai가 흥하면서 다시 주목받게됨
    이때 성장 가능성을 캐치한 SK하이닉스만 지금 신나게 노젓는 중

  • @sdtfjln
    @sdtfjln 19 часов назад

    반도체하면 삼성인데 이제는 앤비디아라니 씁쓸하네요

    • @mcy2756
      @mcy2756 18 часов назад +1

      메모리반도체가 삼성이었죠 반도체는 인텔이었습니다만

  • @LifeHistory287
    @LifeHistory287 2 дня назад +5

    삼성 힘들고 어렵다고 본다. 리더의 순간의 판단이 회사를 자쥐우쥐 한다는걸 알아야한다.

  • @user-mk2vc5rt6e
    @user-mk2vc5rt6e 3 дня назад +2

    과거형 보도!

  • @JaKe-pm8tu
    @JaKe-pm8tu 22 часа назад +1

    제가 추정하는 엔비디아가 삼성 제품을 안쓰는 이유는 GOS 사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2021년인가 2022년에 엔비디아에서 (제가 알기로) 처음으로 삼성에 파운드리 계약을 하고 납품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제품에서 성능 문제가 생겼는데 삼성에서는 모르쇠였죠. 그러다 GOS가 터졌고, 엔비디아는 동일 제품을 TSMC에 맡겨 만들어봅니다. 문제가 해소되었죠. 이후 엔비디아는 삼성을 안믿는 것 같아요. 지금도 립서비스만 해주는 것이고.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삼성은 아직도 GOS 문제를 해결했다고 발표를 한 적이 없어요. 파운드리에 돈은 쓰고 있는데 실적은 안나오고, 메모리 반도체 기술은 점점 처지고. 이게 현실이 아닐까요?

  • @JKKO1020
    @JKKO1020 3 дня назад

    그냥 두개 방식 8단 12단 16단에 맞게 장점 있는 공법 사용하면 되는거 아닌가..

  • @uunsword
    @uunsword День назад

    세 회사가 경쟁하니 수익성은 별로겠네. 안그래도 공급처도 제한적인 마당에

  • @user-zc3hk8gn8w
    @user-zc3hk8gn8w 10 часов назад +1

    테스트 계속 불량입니다 성공 한적이 없어요ㅠㅠ 사내 분위기 너무 안좋습니다

  • @yoominheri
    @yoominheri 3 дня назад +1

    ncf방식? 삼성은
    수율이 안좋은걸로 알고 있는데..
    반면 muf방식 닉스는 수율이 80퍼 이상 나온다던데.. 발열도 그렇고..
    잘은 모르지만..
    하이브리드본딩인가로 넘어가는 시점이
    승부처가 될 수 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용

  • @dohyokkang5042
    @dohyokkang5042 19 часов назад

    허허 엔비디아는 다른 회사랑 다르게 듀얼벤더를 고집하진 않습니다. 못따라오는 벤더는 버리고 갑니다. 마이크론에서만 gddr 주구장창 쓴 이력이 있자나요

  • @DaveDice-f4j
    @DaveDice-f4j 20 часов назад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디테일에서 좀 아쉬운 부분이 있는데 대부분은 사소하지만 몇 가지만 수정하였으면 합니다.
    (1) MR-MUF 는 한 번만 열을 가하고, TC-NCF 는 층마다 열을 가하기 때문에, 열로 인한 문제는 TC-NCF 가 더 취약합니다. (휘어짐에서는 TC-NCF 가 유리한 것이 맞습니다.)
    (2) Hybrid 공법은 Hybrid bonding 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여러 공법을 섞은 것이 아니고, Dielectric 과 Cu 라는 다른 물질을 동시에 접합한다고 해서 Hybrid 라고 이름붙은 것입니다.

  • @user-lz4se9cf8r
    @user-lz4se9cf8r 3 дня назад +2

    정확한 차이는 TSMC나 한미반도체와의 관계설정이라 본다. 삼성은 두 업체의 뺨을 후려 갈겼고, SK하이닉스는 두 업체와 악수를 나눴기 때문이다.

  • @user-cg2ig8hw8b
    @user-cg2ig8hw8b 21 час назад

    내 기억이 정확하면 HBM2를 암드에 납품까지 해놓고 돈 안된다고 팽하다니
    뭐 지금도 램 전체 점유율에서 HBM 점유율이 1% 이하니 삼성이 틀린건 아닌데 램에서 돈이 안돼도 투자를 한다는 삼성의 이미지가 무너지네요

  • @user-ke3uh8he3j
    @user-ke3uh8he3j 19 часов назад

    TSMC에 종속되는거 아님

  • @lego-official
    @lego-official 10 часов назад

    엔비디아가 의외로 애플급 가격후려치기 도사임

  • @artriver1881
    @artriver1881 2 дня назад

    기대 심리로 선반영되서 생산도 못따라가는 산업 요즘AI 하는데 딱 1년전에 밧데리 밧데리 했었지 결국 AI도 내년에 한풀 꺽일꺼야~~두고봐

  • @yskim7827
    @yskim7827 3 дня назад +9

    이제 메모리도 마이크론이 다 먹었네요.. 성능은 압살이고 내년부터 캐파도 왕창 늘어나면 그냥 끝

    • @hj5641
      @hj5641 2 дня назад +5

      뭔 소리에요? 마이크론 어닝 발표에서 HBM 매출이 예상보다 많이 안나와서 오히려 SK하이닉스 호재던데 ㅋㅋㅋ

  • @LOVE-vf8bt
    @LOVE-vf8bt День назад +2

    SK하이닉스 HBM개발 책임자가 직접 삼성HBM개발 직원들이 하이닉스로 와서 개발했다는 루머가 도는데 단언한건데 자체인원들로만 개발했다고 컨퍼런스콜인가 에서 말했는데 여기도 역시 주워듣기식 기사네요.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День назад

      한국의 기술자들이 돈만 많이 주면 중국 기업으로도 많이 가는데 같은 나라의 기업이 연봉을 더 준다고 하면 안갈 이유가 하나도 없죠.
      특히 삼성은 hbm 사업을 접었는데 그 사람들이 그냥 백수 하거나 일반 직장인 월급만 받고 가만히 있었을까요?? 절대 아닙니다.

  • @user-qo8wn9nm1m
    @user-qo8wn9nm1m 2 дня назад +2

    삼선은 기술력이 떨어져서 안됨

  • @forjylee
    @forjylee 3 дня назад +8

    DRAM 자체의 성능도 떨어진다고 하던데....삼성이

    • @didiq
      @didiq 3 дня назад +2

      1b 수율 안나온다고 하덴데... SK 마이크론은 1b 쓰는데..

  • @user-cg8sc6up2m
    @user-cg8sc6up2m 2 дня назад +3

    삼성은 그냥 망했어요.,.얼릉 탈출하세요..

  • @GIN_COMPUTER_ulsan
    @GIN_COMPUTER_ulsan День назад

    HBM한쿡 전문가가 하이닉스를 도왔으니. 인제가 회사 매출과 직결되는걸 보여주는 단적인예. 근대 삼성은 중역에 판.검사 출신들이? ㅎㅎ

  • @fradokumar5792
    @fradokumar5792 2 дня назад +4

    06:56 삼성이 HBM 개발팀 해체하면서 하이닉스로 인력이 이동했다는 건 사실이 아닙니다. HBM 개발 담당 부사장이 인터뷰에서 확실히 밝혔으니 수정하시는게 좋겠네요.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День назад

      한국의 기술자들이 돈만 많이 주면 중국 기업으로도 많이 가는데 같은 나라의 기업이 연봉을 더 준다고 하면 안갈 이유가 하나도 없죠.
      특히 삼성은 hbm 사업을 접었는데 그 사람들이 그냥 백수 하거나 일반 직장인 월급만 받고 가만히 있었을까요?? 절대 아닙니다.

    • @fradokumar5792
      @fradokumar5792 День назад

      @@user-ic1dj5tf7r 그건 님의 순도 100% 뇌피셜이고요. 하이닉스의 HBM 개발팀 부사장이 아니라고 인터뷰 했다고 제가 적었는데 뇌피셜을 그대로 다시 쓰시면 어떡합니까 ㅋㅋㅋ 님같은 분들을 위해서 아래 댓글에 발췌까지 해드리겠습니다

    • @fradokumar5792
      @fradokumar5792 День назад

      박 부사장은 얼마 전 HBM 개발과 관련돼 항간에 돌았던 루머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명확히 짚으면서 앞으로도 경쟁 우위를 확고히 지켜가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SK하이닉스의 HBM은 지난 15년간 구성원들이 피땀 흘려 쌓은 기술력의 결실입니다. 얼마 전 경쟁사의 HBM팀이 당사로 넘어와 기술을 개발했다는, 사실무근의 루머가 있었는데요. 온전히 우리 힘으로 기술 개발을 해낸 당사 구성원들로서는 자존심에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SK하이닉스 HBM은 명확하게 당사 자체 기술이며, 당시 경쟁사에서 우리 HBM 설계 조직에 들어온 인력은 1명도 없습니다. 우리 기술력이 그만큼 대단하기에 헛된 루머가 돌 정도로 유명세를 치렀다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우위를 지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마음을 다집니다.

  • @whitegom
    @whitegom 3 дня назад +1

    파운드리 기술이 떨어지니깐 납품을 못하는게 아닐까요?

  • @swjo2853
    @swjo2853 3 дня назад +4

    삼성 아부나 하는 사람들 승진시키고 실무자 아우성 할때 그냥 외면 하더만 기술력이 점점 떨어지는 구만

  • @danielcho9305
    @danielcho9305 День назад

    이런 지점이 삼성의 장점이자 단점이죠!!
    그래서, 기초기술을 가지지 못하는 삼성의 한계죠!!!
    이런 부분은 삼성에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요
    우리나라 주류기업의 문제이기도 하죠!

  • @Sam-hs2zy
    @Sam-hs2zy 11 часов назад

    대만 중국인들이 삼성전자 이참에 보내려고 🎉

  • @wwoo-dg3px
    @wwoo-dg3px 3 дня назад +2

    로이터의 5월24일 보도는 국내 알파경제에서 5월10일 보도한 내용을 그대로 보도한 찌라시였습니다. 좀 아시고 방송하십시오.. 로이터의 기사에서도 삼성전자는 관련보도 내용을 부정했고(건데도, 로이터는 삼전과 반대로 필테실패했다고 버젓이 거짓말을 제목으로 붙여 보도했습니다), 이후 잰슨황까지 나서서 진행되고 있다고 했습니다.

    • @Jay-hh1tx
      @Jay-hh1tx 3 дня назад

      젠슨황이 직접 테스트 실패한적 없다고 트윗 올렸었죠?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День назад +1

    그럼 삼성전자가 승기 잡겠네요. 삼성전자의 기술자들이 하이닉스로 가서 하이닉스가 승기 잡았으니까
    삼성이 그 기술자들에게 3배 ~10배의 연봉을 주겠다고 하면 삼성으로 이직 하겠죠.
    한국의 기술자들이 돈만 많이 주면 중국 기업으로도 많이 가는데 같은 나라의 최고 기업이 연봉을 더 준다고 하면 안갈 이유가 하나도 없죠.

    • @fradokumar5792
      @fradokumar5792 День назад

      뇌피셜 여기저기 적고 다니셨구나...
      박 부사장은 얼마 전 HBM 개발과 관련돼 항간에 돌았던 루머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명확히 짚으면서 앞으로도 경쟁 우위를 확고히 지켜가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SK하이닉스의 HBM은 지난 15년간 구성원들이 피땀 흘려 쌓은 기술력의 결실입니다. 얼마 전 경쟁사의 HBM팀이 당사로 넘어와 기술을 개발했다는, 사실무근의 루머가 있었는데요. 온전히 우리 힘으로 기술 개발을 해낸 당사 구성원들로서는 자존심에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SK하이닉스 HBM은 명확하게 당사 자체 기술이며, 당시 경쟁사에서 우리 HBM 설계 조직에 들어온 인력은 1명도 없습니다. 우리 기술력이 그만큼 대단하기에 헛된 루머가 돌 정도로 유명세를 치렀다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우위를 지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마음을 다집니다.

  • @user-lp2hp7iv9z
    @user-lp2hp7iv9z 2 дня назад

    그냥 2기업에서 반씩투자해서 한회사차려서 기술통합해서 만들어 납품하지. 하긴 남이 잘되면 배가아픈게 우리가 이때까지의 교육방식이며 사상이기에 어렵겠지.

  • @user-of6uf1th6q
    @user-of6uf1th6q 3 дня назад +3

    사실은 삼성 메모리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 엔 미디아가 마하칩 때문에 모든 계약이 정지되거나 취소 되어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계약도 취소되었다. 그러나 이 사실을 엔미디어에 주가 조작을 위해 당신이 말하지 않을 뿐이다. 어제 루마 드림 머신이 서비스를 시작했다. 삼성 마하 서버를 기반한다 젠슨 황이 밤에 잠을 못 잘것이다. 마하는 h3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다.

    • @LifeHistory287
      @LifeHistory287 2 дня назад +1

      ㅎㅎㅎㅎㅎ 마하칩은 네이버+삼성SOC팀이 같이 개발하고 잇는칩인데 아직 삼파에 오더도 안냇는데 그런 거짓말을 해대나???ㅎㅎㅎ
      올하반기 양산이야
      A.I에 A자도 모르는구만 ㅎㅎㅎㅎㅎ

    • @user-tx9qr7pp2p
      @user-tx9qr7pp2p День назад +2

      전혀근거 없음...실제로 매우 큰 위기고 시험대에 오는게 삼성임
      위기의 순간 도움받을곳도 없음
      항상 1등하던 탓에 갑질도 악랄해서
      주변에 적을 엄청만든 상황
      (대표적으로 한미반도체)
      매우 위기인게 맞음

  • @user-fs7ur1sp2f
    @user-fs7ur1sp2f 2 дня назад

    딱 전문가들도 구멍가게 전파 수리상 왜 22년말 까지 하이닉스는 곧 반도체 접을 회사로 판단을 하였는지
    그리고 23년초 부터 오르기 시작한 하이닉스 주가 그,리고 1년뒤 24년부터 여기저기서 나오는 HBM 이야기
    AI시대가 도래 할지 몰랐다 .. 짜고 투자하는 주가조작 만큼 믿기 어려운 과학계 .... 아니 한국만 믿지 못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