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의 시선으로 본 한글! 외국인들을 홀리는 한글의 매력✨|비정상회담|JTBC 20171009 방송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окт 2021
  • 외국인의 눈으로 봤을 때 예쁜 그림같다는 한글!
    그저 예뻐서 산 티셔츠에 알 수 없는 문구가 적혀있기도🤣
    보다 보면 한국인도 빠져드는 한글의 매력 속으로〰️
    #비정상회담 #한글 #아름다움
    [JTBC인사이트] 구독하기
    ☞ asq.kr/r6nbKNPOy8Dgon
  • РазвлеченияРазвлечения

Комментарии • 727

  • @L0VEsSyCmYgTt
    @L0VEsSyCmYgTt 2 года назад +2358

    0:31
    이게 바로 내가 한국말 공부하기 시작했던 이유입니다.(난 일본사람이에요.)
    그림 같고 호감스럽다고나 기엽다고는 의견도 있지만, 내겐 기호 처럼 보였고,공부를 시작했던 당시 기호 같이 보이는 그 글자를 쓰는 언어가 자유롭게 쓸수 있게 되면 멋진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때부터 15년 이상이 지나가, 이제는 이렇게까지 자유롭게 한국말을 할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아직 100% 원하는데로 표현하지는 못하지만…

    • @user-gu6ur9ww3g
      @user-gu6ur9ww3g 2 года назад +327

      한국사람도 잘 못하는 띄어쓰기도 잘하시고 정말 대단하세요^-^ 제 일본인친구도 옷 ←이글자가 너무 웃기다고 하더라구요 팔 다리 벌린 사람같다구요ㅋㅋ

    • @L0VEsSyCmYgTt
      @L0VEsSyCmYgTt 2 года назад +247

      @@user-gu6ur9ww3g 아~
      옷 웃
      이 들 글자 말이네요.
      역시나 천지인으로 표현된 글자니까 그런가요?
      내겐 "슝"이 완전 슝슝하는 모습으로 보여요.ㅋㅋㅋ

    • @jyb9309
      @jyb9309 2 года назад +58

      대단하세요!

    • @smw6535
      @smw6535 2 года назад +25

      언젠가 머나먼 미래에는 한국과 일본이 하나의 국가가 되어 국회의원과 국민의 대표자를 뽑는 투표를 같이 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 @L0VEsSyCmYgTt
      @L0VEsSyCmYgTt 2 года назад +31

      @@smw6535 그렇게 되면 언어는 한본어가 될까요?ㅋㅋㅋ

  • @jindao600
    @jindao600 2 года назад +562

    이 프로 다시 좀 해라.
    지금 봐도 젤 재밌음.

    • @illiillililililiil
      @illiillililililiil 2 года назад +19

      ㄹㅇ ....시답잖은 꺼억의 사랑 이 뭐냐고

    • @user-xi5zr9li8k
      @user-xi5zr9li8k Год назад +1

      @@illiillililililiil 꺼억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yq8hp8en3r
      @user-yq8hp8en3r Месяц назад +1

      이런 약간 교양적 프로가 필요한듯
      맨날 남 쳐먹는거 식상하다

  • @rilee207
    @rilee207 2 года назад +671

    이탈리아 사는 교민입니다. 아래층 사는 중년 여자가 자기 이름을 한글로 써 달라고 해서 물었더니 타뚜로 쓰고 싶다고, 해서 서예체로 써 주었어요. 음절이 10음절이나 되는데 한글 서예체로 따투로 뒷 목 뒤에 했어요. 그 서예체가 너무 너무 좋대요

    • @romeoalfa1598
      @romeoalfa1598 2 года назад +38

      서예체 ... 너무 좋네요.. 갠적으로 필기체는 사람마다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형태가 되는데 어느 디자인 책에서 봤던 난초 형태의 필기체가 기억에 남네요... 동양화 같은 필체라서 ... ㄷㄷㄷ

    • @user-dj9cw1iu3k
      @user-dj9cw1iu3k Год назад +1

      뭔말인지?

    • @likepoem0721
      @likepoem0721 Год назад +56

      아래층 사는 중년 여자가 자기 이름을 한글로 써 달라고 해서 왜 그러냐고 물었더니 그녀는 타투(=문신)로 새기고 싶다고 해서, 서예 글자체 중에서 해서체 로 써주었어요. 그녀는 10글자나 되는 자기 이름을 한글 해서체로 뒷 목에 새겼고, 너무 좋아 했다.

    • @user-ip5xz6ul1l
      @user-ip5xz6ul1l Год назад +17

      이런 현지인분들의 증언이 너무 재미있어요

    • @user-bh7vg5ei6y
      @user-bh7vg5ei6y Год назад +1

      그 중년 여성분 한글 이름이 궁금해요.
      어떤 느낌일지 궁금궁금

  • @lettlemonsterh8201
    @lettlemonsterh8201 2 года назад +446

    저 구성원으로 비정상 다시 뭉쳐주기엔 패널들이 넘 성공해버렸어요ㅎㅎ
    한글은 배우기 편해도 한국어는 어렵죠

  • @user-zu3cm2ek7c
    @user-zu3cm2ek7c 2 года назад +491

    가장 한국문화유산의 첫째가는 세계적 자랑거리는 단연 한글임. 정말 최고의 발명품 너무 자랑스러움.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Год назад +7

      하늘이 베푸신 문자입니다..

    • @Akaps3321
      @Akaps3321 Год назад +4

      눈치 없는 말이긴한데 잘못된 사실이 이제는 사라지는 마음에 적습니다.
      한글은 그냥 문자 그자체일뿐 우수하진 않음. 세계에서 유일한 과학적 문자, 창제자가 알려진 문자라고 하는 건 근거 없는 말임 (국어국립어 발췌)
      한글은 그냥 표음문자여서 배우기 쉬움. 같은 맥락으로 이집트어도 빠르면 반나절만에 익힐 수도 있음 (오히려 받침이 있는 한글이 이집트어 보다 어렵다는 시각이 있음)
      문맹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다는 말도 거짓임. 우리나라보다 더 낮은 나라가 많음. 문맹률이 낮아진 이유는 한국이 잘살아져서 선진적 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 (같은 맥락으로 히라가나 가타가나에 더불어 그보다 훨씬 더 어려운 한자를 사용하는 일본이 한국보다 문맹률이 낮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도 아님. 애초에 국제표준 발음 기호도 모든 발음을 적지는 못함 (대표적인 예시로 한글로는 F 발음도 원어에 가깝게 적는 것이 힘듦. 추가로 성조 표기도 존재하지 않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글은 한반도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최적화된 문자임은 확실함.
      우리에게 적절한 언어를 만들기 위해 밤낮 새가며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님이야 말로 전세계적인 자랑거리라고 생각함.

    • @user-ki6gk5ef8y
      @user-ki6gk5ef8y Год назад +18

      @@Akaps3321 적어주신말들 다 맞긴하지만 근본적인걸 놓치신거 같은데 창제자가 알려진 글자들도 많고 우수한 글자들도 많지만 한글이 유독 높은 평가를 받는건 주변 다른나라의 글자들의 영향을 받지않고 독창적으로 만들어진 글자라는거죠.(이부분에선 여러가지 말들이 있지만 현재 정설을 이야기하는겁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글자인 키릴문자도 창제자가 알려져있지만 그리스문자를 변형해서 만들어졌다고 하죠.
      그리고 모든발음을 표기하는건 오바지만 표기할수있는 발음이 많은글자에 속하는건 맞고요 당장 가까운 일본글자인 히라나가와 가타카나에 비해서도 몇십배는 많죠.
      문맹률도 뭐 할말은 있는데 말씀하시고있는 의도는 저도 공감하는지라 따로 말은 안하겠습니다.
      너무 과한 국뽕을 섭취해서 한글이 최고다 이런건 지양해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한글이 문자 그자체일뿐 우수하지 않다는건 동의하기 힘드네요 . 우수하다는게 막 1등이다 최고다 이런건 아니지만 적어도 세계 여러 학자들과 사람들에게서 칭찬받는 우수한 글자니 과대평가도 과소평가도 하지말자고요

    • @L0VEsSyCmYgTt
      @L0VEsSyCmYgTt Год назад +3

      @@Akaps3321 이집트어는 쓰는걸 중심으로해서 만들어진 글자고 한글이 읽는걸 중심으로 해서 만들어진 글자죠?
      그니까 이집트어는 보면 바로 당장 의미를 이해가능하지만 단어마다에 쓰기와 그 읽기를 외워야 읽을수가 있고, 한편에 한글은 보면 바로 당장 읽을수가 있지만 단어마다에 발음과 맞춤법을 모르면 이해하기가 어려운 글자가 맞죠.
      이집트어가 한자같이 표의 문자고 한글이 알파벳 같이 표음 문자라는 말이에요.
      그럼 내 모국어인 일본어는?
      표의인 한자와 표음인 히라가나·카타카나가 있다니까…
      아~얘~ 배우기 어렵습니다.ㅎㅎㅎㅎㅎㅎ

    • @guy31012
      @guy31012 Год назад +1

      전세계 언어중에 유일하게 창조주가 분명한 언어임

  • @kim-j.y
    @kim-j.y 2 года назад +493

    세종대왕님이 안계셔서 우리가 아직도 한글이 아니라 중국 한자를 쓰고있다면 얼마나 끔찍한 일이 일어났을까? 지금도 자기네것이라 우기는것도 많은데 그런 나라에게 문화,혼까지 잃을수도 있을지도...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다시한번 그런분이 우리나라에 태어나셔서 다른 큰영향을 주셨으면 좋겠습니다...이시대에 딱어울리는 프로그램이고 배움 깨달음도 있을듯하다..우리가 우리후손이 더 한글의 중요성과 이쁘게 잘 퇴색되지않게 썼으면 좋겠다

    • @user-xe3lx2cr2t
      @user-xe3lx2cr2t 2 года назад +27

      진짜 개끔찍하다 이런 댓글도 음성인식으로 달고있을듯 ㅋㅋㅋ

    • @eq6356
      @eq6356 2 года назад +27

      훌륭한 체계의 문자를, 그것도 왕이 직접 개발했기에 그나마 수백년 걸려서라도 겨우겨우 반대여론을 뚫고 표준화 될 수 있었으니까...정말 세상에 없는 행운!

    • @ALBINOAVEAHN
      @ALBINOAVEAHN 2 года назад +1

      이미 퇴색되었음. 지들이나 알아듣는 줄임말등등.

    • @vertigo1457
      @vertigo1457 2 года назад +37

      "나랏말쌈이 중국과 달라"라고 첫 문장에 못 박아두지 않으셨으면 한글도 중국꺼라고 우기겠죠.

    • @user-tx9ww7fc8o
      @user-tx9ww7fc8o 2 года назад +15

      그리고 중국 청나라때 위안스카이가 한자 너무 어려워서 문맹률이 높으니 한글 도입하려고했는데 다행히도 안된게 다행이죠.
      만약 도입했다면.... 아주 한글은 중국꺼라니 뭐니 지옥 그 자체;;

  • @user-xl8fb6ow5y
    @user-xl8fb6ow5y 2 года назад +936

    세종대왕님이 기득권에 굴복해서 한글창제를 포기했다면...생각만해도 끔찍하다

    • @modernandantique2861
      @modernandantique2861 2 года назад +16

      사대부들...

    • @waigaioege820
      @waigaioege820 2 года назад +31

      세종은 기득권층의 정점에 있던 사람인데 굴복하긴 뭐에 굴복해 ㅋㅋㅋㅋㅋ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Год назад +144

      @@waigaioege820 잼민아... 조선은 왕과 신하가 서로 견제하는 정치체제를 취했기 때문에 제아무리 왕이라도 모든것을 아무렇게나 마음대로 할수없었고 유교 성리학 법도에 어긋나는 짓을 하면 후폭풍이 엄청났단다.

    • @waigaioege820
      @waigaioege820 Год назад +23

      @@yacht-responce조선은 왕권이 강력한 나라였고 세종 때엔 태종 덕분에 견제할 만한 세력도 없었는데 무슨 ㅋㅋㅋ 드라마를 너무 많이 봤나?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Год назад

      @@waigaioege820 그럼 최만리의 반대상소는 뭔데. 독자적인 문자 개발 및 사용이 당시 성리학 질서에 부합하나? 그리고 천황 정도 허수아비면 모를까, 기득권으로 분류하는건 잘쳐줘도 왕족까지다. 왕은 그냥 왕이지. 왕은 사대부나 평민과는 급 자체가 다른 존재고 왕정국가에서 왕이 권력을 쥐는건 당연하다. 기득권은 권력을 부당하게 또는 어떤 투쟁이나 노력의 결과로 얻었을때 쓰이는 말이라 좀 안맞는데.

  • @user-qb4os3pr4e
    @user-qb4os3pr4e 2 года назад +602

    조승연작가님 참 볼 수록 똑똑한 분이신 듯

    • @user-dq9hs6dp8c
      @user-dq9hs6dp8c 2 года назад +7

      조승연님 이야기에 좋아요가 왜 이리 많아ㅎ

    • @user-sd5fq7un1d
      @user-sd5fq7un1d 2 года назад +7

      맞아요..ㅎㅎ 너무 좋아요

    • @user-og3vh8le1z
      @user-og3vh8le1z 2 года назад +7

      넘 유익한 분..

    • @rionashim9805
      @rionashim9805 2 года назад +17

      눈이 똘망똘망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2 года назад +3

      세계관의 균형. 원만함을 갖추기 위한 몸부림의 결정체 입니다..

  • @user-fe2lk7gj5r
    @user-fe2lk7gj5r 2 года назад +834

    한글은 세종대왕이 집현전 학자와 함께 만들었다고 배웠는데
    최근에 세종대왕 혼자 만들었다고(유키즈에 퀴즈로 나옴)
    해서 너무 충격적이었음.
    천재인걸 알았지만 너무 천재임.

    • @Love4ever-OnMe
      @Love4ever-OnMe 2 года назад +105

      신이 내려 준 천재왕

    • @nalong731
      @nalong731 2 года назад +91

      집현적 학사들도 결국엔 사대부들인데….별 수 있나요…..입에 개거품 물고 반대했겠지

    • @imyed123
      @imyed123 2 года назад +17

      왕권 제도의 최대의 장점이자 최대의 단점

    • @erinj2611
      @erinj2611 2 года назад +48

      왕자와 공주들이 도와드렸답니다. 특히 문종이 또 뛰어난 인재셔서 많이 도와드렸다고 들었어요

    • @jian5186
      @jian5186 2 года назад +57

      @@erinj2611 문종이 천수를 누렸다면 또다른 업적이 많았을 것이고 슬픈역사는 일어나지 않았을텐데 안타깝죠

  • @user-mz5si7zp4m
    @user-mz5si7zp4m 2 года назад +141

    확실히 뭐든 배움이 많은게 좋은듯, 보이는게 정말 많을듯

  • @Yellowheart973
    @Yellowheart973 2 года назад +109

    저기 앉아 있는 외국인들이 한국말로 말할 때 다른 외국인이 끄덕 끄덕 하는 건 여전히 재밌네요 ㅎ

  •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 2 года назад +89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hajangsu
    @hajangsu 2 года назад +83

    세종대왕의 전기를 자세히 읽을필요성이 정말 있습니다 전 30년전쯤에 읽으면서 한글 대부분을 집현전학자와 같이 한글을 만든게 아닌 혼자서 만든것에 놀라고 궁중음악 조선시대의 업적을 보면 정말 대단한분이었다는 것을 알았고 며느리 문제로 많은 고심을 한부분들 참 재미나고 특별했던 기억이 납니다

    • @eunbora777
      @eunbora777 12 дней назад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 @rhombus3815
    @rhombus3815 2 года назад +76

    누가 유학가서 만난 외국인이 자기 이름 한글로 써달라고해서 요셉이라고 적어줬더니 '요' 자기 귀여워서 미칠라구 했다고 ㅋㅋㅋ

  • @cilgabt7576
    @cilgabt7576 2 года назад +67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우리글을 갖게해주셔서...

    • @user-zc2nb5tf3h
      @user-zc2nb5tf3h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늘 감사하고 있습니다! 존경합니다!! 자랑스럽습니다!!!

    • @user-wg4bv9nc2v
      @user-wg4bv9nc2v Год назад

      세종대왕 욕하는 대한민국 국민을 아마도 없을것입니다...감사한일이죠

  • @KT-zy8yy
    @KT-zy8yy 2 года назад +67

    독일유학 때 독일교수님이 제가 한국인인 줄 알게 된 후 한글이 사람같이 생겼다면서 '옷'자 써보이더군요.

  • @hio2691
    @hio2691 2 года назад +97

    조승연작가님 참 말을 잘하셔서 빨려들게 만드는 마력같은분

  • @user-by7rc8ud4m
    @user-by7rc8ud4m 2 года назад +242

    한글은 같은 한자문화권인 중국인이나 일본인 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등의 서양인들도 쉽게 배울 수 있지만 한국어 자체는 서양인들이나 중국인들이 봤을 때 문법적으로 꽤나 어려운 언어입니다.
    다만 일본인들의 경우 일본어와 문장 순서가 같고 한국어와 같은 교착어라서 그나마 외국인들 중에서는 한국어를 다른 외국인들보다 쉽게(?) 배울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89NKOTB
      @89NKOTB 2 года назад +17

      중국인에게 물어보니 문법은 좀 달라도 어휘가 많이 비슷해서 영어보단 한국어가 배우기 쉽다더라. . 일본인은 당연 한국어 쉽다그러고~~

    • @asmoonlightkr
      @asmoonlightkr 2 года назад +3

      @@89NKOTB 중국인들도 영어가 더 쉽다던데.. 어순이 비슷해서

    • @L0VEsSyCmYgTt
      @L0VEsSyCmYgTt 2 года назад

      하 지 만
      비정상회담을 보면 서양인들 보다도 좀 회화하기 힘들어있는 인상.

    • @bluespace6349
      @bluespace6349 2 года назад +15

      저 중국어를 좀 배웠는데 한자권이라 그런지 단어 겹치는게 정말 많아요... 예를 들어서 안전주의는 중국어로 안췐쭈이(安全注意)에요 ㅋㅋㅋ

    • @L0VEsSyCmYgTt
      @L0VEsSyCmYgTt 2 года назад +10

      @@bluespace6349 일본서도 똑같애요.
      안전주의安全注意안젠추우이.

  • @user-hk6bh7xf9g
    @user-hk6bh7xf9g 2 года назад +96

    알고리즘타고왔는데, 전 세종대왕님이 가장 존경스러운건
    컴퓨터에 붙어있는 한글자판기가 키보드안에 다 들어가는거보고
    너무 신기방기하고 문장을 금방쓰는게 감사할따름이죠

    • @gayisculture
      @gayisculture 2 года назад

      영어도 들어가잖아 ㅋㅋㅋ

    • @user-oi6ff3lg8d
      @user-oi6ff3lg8d 2 года назад +14

      쿼티키보드에 다 들어가는거보다 천지인 자판으로 조합해서 가능한게 ㄹㅇ 신기하던데

    • @user-of5gy1vt2h
      @user-of5gy1vt2h Год назад

      @@user-oi6ff3lg8d 천지인자판인데 진심 개좋음ㅋㅋㅋ

    • @user-of5gy1vt2h
      @user-of5gy1vt2h Год назад

      근데 참고로 그건 사어가 된 모음과 자음이 존재하기 때문임!

    • @user-kc9ns9gl7x
      @user-kc9ns9gl7x Год назад

      컴퓨터 자판은 치과의사 인 공병우 박사님께서 개발 하셨대요~~

  • @kamchatka5144
    @kamchatka5144 2 года назад +126

    이란에 갔을 때 나도 아랍어에 대해 비슷한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아름답고 예술적이어서 그림 대신 액자로 걸어놔도 훌륭할 것 같다"는 내 대답에 흡족해 했었다.
    그러나 솔직 하자면 뜻을 알 수 없는 모르는 남의 나라 글자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다.

    • @user-wb5fc3tl6v
      @user-wb5fc3tl6v 2 года назад +43

      예의를 잘 지키셨네요
      모든 일에 솔직한 게 좋은 건 아니니까요

    • @po2769
      @po2769 2 года назад +46

      한국인중 다른나라 글자보고 와 정말 아름답네요라고 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냉정하게 말해서 그반대도 마찬가지라 생각함

    • @user-oi6ff3lg8d
      @user-oi6ff3lg8d 2 года назад +3

      나도 비슷하게 생각했는데 ㅋㅋㅋㅋ

    • @rdc-yo6zs
      @rdc-yo6z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근데 아랍글자 이쁘긴해

  • @DDakong
    @DDakong 2 года назад +148

    너무 흔해서 못느끼지만 한글이 키보드와 호환성이 엄청 좋은 문자라는게 개인적으로는 참 소름이더군요. 일본어와 중국어는 키보드로 글하나 쓰려면 어휴....

    • @user-oi6ff3lg8d
      @user-oi6ff3lg8d 2 года назад +4

      제일 좋은건 영어임.

    • @user-xe6uf1sr2m
      @user-xe6uf1sr2m Год назад +4

      이프 생각이지만 컴퓨터를 중국,일본에서 계발 했다면 키보드가 2배3배는 자판이 많았을꺼 같음ㅋㅋ

    • @Abkaijui
      @Abkaijui Год назад +1

      알파벳은 당연히 키보드가 적을 수 밖에 없음

    • @lennox6003
      @lennox600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user-oi6ff3lg8d "호환성" 모름?

    • @user-of5gy1vt2h
      @user-of5gy1vt2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user-oi6ff3lg8d당연히 영어권에서 만든거니까 그렇지..

  • @d.-u-.r
    @d.-u-.r 2 года назад +33

    좋아하는 한국말 하니까… 난 별을 헤다라는 말이 너무 어감도 예쁘도 뜻도 좋고 분위기도 몽환적인 말이라고 생각함…ㅠㅠ 그래서 ㄹ이나 ㅇ으로 끝나는 말들이 참 좋기도 하고… 뭐랄까… 우리말을 아름답게 쓸려면 최대한으로 아름답게 쓸 수 있고, 저급하게 쓸려면 최대한으로 저급하게 쓸 수 있는 것 같음. 자국민이라 그렇게 느끼는 걸지도 모르겠는데… 암튼 난 우리 문화가 좋다^^ 딴 얘긴데 한복 관련 책도 샀음… 거기에 나오는 한복의 명칭들도 참 예뻐서 좋아함. 옛말들은 다 이쁘더라ㅠㅠ

  • @vonovo9871
    @vonovo987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비정상회담 재밌었는데 다시 해주세요 ㅜㅜ
    각자 캐릭터도 명확하고 토론 수준도 매우 높고

  • @user-xr9fi6xx7e
    @user-xr9fi6xx7e Год назад +26

    알고리즘타고 와서 댓글 남김
    스위스 사람들이 제일 좋아하는 한글단어가 '스위스' 라고 들었습니다.
    대대로 교황청 근위병들은 스위스군인들로 구성이 되는데
    스위스 라는 글 모양이 산 사이에 창을 들고 있는 사람 모양으로 보인대요 ㅎㅎㅎ
    산이 많은 나라의 창든 근위병
    딱 자기 나라를 표현하는 단어라고 매우 좋아한다고 합니다.

  • @a1228s
    @a1228s 2 года назад +32

    '여유'가 제일 와닿아 ㅋ

  • @sml6559
    @sml6559 2 года назад +16

    외국인들 한국어 잘하는거보면
    대단하다느껴요
    전생에 한국인 인것처럼 ㅎㅎㅎ
    한국어 자랑스러워요 ㅎ

    • @hiouggdj517
      @hiouggdj517 Год назад

      나는 내가 영어잘할때 더 자랑스러워

  • @user-yi3fo9be5e
    @user-yi3fo9be5e 2 года назад +15

    너무 익숙해서 좋은걸 잊었을때 ~~한발 멀리 서서 보거나 되새겨보면 참 좋더라~~

  • @ChriseanKim
    @ChriseanKim Год назад +7

    패널들 하는 말이 너무 신기하고 재미있습니다. 한국인들도 느끼지 못한, 알지 못한 느낌이나 생각들이 너무 대단하네요.
    한국 사람들보다 한국말 너무 수준인데 잘 합니다

  • @user-lo1qb8xi2z
    @user-lo1qb8xi2z 2 года назад +40

    이프로 다시 했음 좋겠다 지금 k 가 붙으면 대세잖아요

  • @jennylovemexico
    @jennylovemexico 2 года назад +6

    도련님
    두근두근
    ㅋㅋㅋ너무 긔여웡

  • @hecaiont
    @hecaiont 2 года назад +15

    6:22 자히드 귀여워...

  • @user-uk3do7xy2d
    @user-uk3do7xy2d 2 года назад +10

    비담 다시 돌아와주세요~^^!!

  • @chicaquila
    @chicaquila 2 года назад +24

    "거시기"를 마스터하기전엔 아직 멀었음.

  • @guy31012
    @guy31012 Год назад +27

    한글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창조자가 분명한 언어입니다.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이 가장 과학적이고 훌륭한 언어로 한국어로 뽑죠. 전세계에서 다른언어에 비해 소리로 표현할수 있는 유일무일한 언어임!!! 실제로 한국어가 세계 공융어가 되어야 한자는 학자들도 있어요. 하지만 그럴려면 국력과 한국을 세계에 많이 알려야하는데 지금 음악 드라마 영화 등 한국문화가 많이 알려져서 다행이네요 ㅜㅜ

    • @Abkaijui
      @Abkaijui Год назад +2

      언어는 말이고, 한글은 문자이다. 한국어는 세계적으로도 어려운 언어에 속하며, 한글은 표음문자로써 배우기 쉬운 문자에 속한다.
      창조자가 밝혀진 문자는 전세계에 널렸다. 한국어를 세계공용어로 해야한다는 말은 얼토당토 않는 헛소리이고, 한글을 세계공용 문자로 해야한다는 주장 역시 확인되지 않는 출처불명의 헛소리이다.

  • @jasonkim5347
    @jasonkim534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한글은 인류가 만든 문화유산중에서도 최고의 문화유산입니다.

  • @user-il5zu8ji5s
    @user-il5zu8ji5s 2 года назад +18

    간만에또보니 재밌네 한글은 디지털세상에 최적화된 문자!! 세종대왕님 알고계셨을까~

    • @atomic-orbital
      @atomic-orbital 2 года назад

      디지털에선 표음문자중에선 한글이 최악인데 그나마 다행인건 한글 자모 개수가 로마자랑 거의 똑같아서 한글 전용 키보드를 따로 만들 필요 없이 그냥 기본 키보드에 한글만 추가해서 적을 수 있다는점

  • @june8117
    @june8117 Год назад +15

    어렸을 때 교환학생으로 온 미국애하고 언어교환하는데
    '귀에 대고 얘기해'는 되는데 '귀에게', '귀한테'는 왜 안돼?
    어디 두고 보자의 어디는 어디야? 하는데 진땀 났었네요 ㅎㅎ

    • @user-wg4bv9nc2v
      @user-wg4bv9nc2v Год назад +1

      ㅋㅋㅋㅋ

    • @tokkikki
      @tokkikki Год назад +4

      아앗ㅋㅋㅋㅋㅋ 어디..어디는 진짜 머라고 설명해야하지 ㅋㅋㅋ

  • @aa-gx6nx
    @aa-gx6nx 2 года назад +35

    그래... 내가 괜히 영어가 어려운게 아니야...ㅋㅋ

    • @nalong731
      @nalong731 2 года назад +1

      맞아요 정상적인거에요 ㅋㅋㅋㅋ

  • @user-gt9ms2mp2q
    @user-gt9ms2mp2q 2 года назад +31

    정말 비정상회담 손꼽아 기다리면서 봤네요~~ 동그라미가 너무 예뻐보인다? 저는 깔겨쓰는 영어의 흘림체가 넘 멋있는데.. 외국사람들은 한글이 예뻐 보이나봐요..갠적으로 잘 모르겠는데...창의적이고 과학적이인 대단한 언어이지만 전 네모틀 안의 딱 맞는 글자 같아서 딱딱해 보이던데....원래 가진자는 소중함을 모른데요..

    • @0a00a0
      @0a00a0 2 года назад +4

      서로 이국적이라 더 예뻐보이는 것도 있는 거 같아요 ㅋㅋ

  • @user-ez5nx4wv7k
    @user-ez5nx4wv7k 2 года назад +2

    참~ 오랫만에 다시보니 😊😊😊😊😊

  • @young-seokkim9380
    @young-seokkim9380 2 года наза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rlatldbs_
    @rlatldbs_ 2 года назад +19

    요즘에도 올려주시는 것을 비담이 돌아온다는 얘기로 받아들여도 되겠습니까

  • @rlaehdwn456
    @rlaehdwn456 Год назад +6

    전세계가 다시 화합하는 시대가 오길...

  • @jjj7119
    @jjj711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조승연은 진짜 볼 수록 대단하고 존경하게 되는 사람

  • @joongdok9158
    @joongdok9158 2 года назад +15

    한글은 쉽고 한국어는 어렵다고 어디선가 본것같기도..

  • @receperdogan4548
    @receperdogan4548 3 месяца назад

    비정상회담
    이 프로는 1천년이 지나더라도
    정말 좋은 프로그램이다.
    세계 여러 나라의 버젼이 계속 생기면 좋겠다.

  • @user-dm2jb1nw3h
    @user-dm2jb1nw3h 2 года назад +11

    세종대왕님 참 고맙고 감사합니다.

  • @pasta_pizza_
    @pasta_pizza_ 2 года назад +51

    개인적으로 한글이 이쁘게 보이는 원인은 생소하기 때문이라 생각함 대부분 로마자를 쓰는 서양인들에
    너무나 생소한 문자이다 보니 문자란 생각보단 모양 그 자체에 집중이되서 마치 그림같은 것으로 보이게 되는듯

    • @atomic-orbital
      @atomic-orbital 2 года назад

      사실 전각문자가 디자인적으론 별로 한글도 풀어쓰기 + 반각으로 계량됐으면 로마자처럼 멋있는 폰트, 필기체 많았을텐데 모아쓰기때문에 못생겨짐

    • @user-wg4bv9nc2v
      @user-wg4bv9nc2v Год назад +5

      @@atomic-orbital 못생겼다구요? 아닌데....

    • @user-vl4op9vg9e
      @user-vl4op9vg9e Год назад +5

      @@atomic-orbital 한글의 모아쓰기에 대한 장점도 많은데.. 기울여 쓰거나 세로로 써도 표현하는데 문제가 없고 표음문자기 때문에 글자 개수도 적어서 타자 치는데도 편하구요 로마자도 로마자만의 멋이 있듯이 한글도 한글만의 멋이 있으니 못생겼다고 생각 안하셔도 될 것 같아요~~

    • @atomic-orbital
      @atomic-orbital Год назад

      @@user-vl4op9vg9e 옛날기준이라면 모르겠는데 현대적인 디자인의 대세는 미니멀리즘인데 한자나 한글같은 전각문자는 너무 빽빽해서 미니멀리즘이랑은 거리가 멈. 그리고 ℘, ℜ, ℑ같은 필체나 코믹샌즈같은 개성있는 폰트를 만들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기도 하고. 애초에 세종대왕이 한글을 모아쓰기로 만든 이유는 한자와의 호환성 외에는 별 이유가 없었기도 하고 현대에는 한자보다 로마자와의 호환성이 훨씬 중요한지라 세종대왕이 현대에 태어났다면 한글은 풀어쓰기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99%라고 봄

    • @groundball3
      @groundball3 Год назад

      @@atomic-orbital 근대에 들어와서 풀어쓰기로 바꾸려는 시도가 있었고 그쪽으로 의견이 많이 기울었었는데(큰 이유중 하나가 모아쓰기는 타자기로 구현하는게 불가능해서) 모아쓰기를 할 수 있는 한글 타자기가 개발되면서 무산됐다는 글을 인터넷에서 본 것 같네요

  • @user-bz2wg3jc4x
    @user-bz2wg3jc4x Год назад +2

    한글이 외국인들 보기에 귀엽게 보일 줄이야..! 그렇다니깐 한글이 다시 보게 돼네..~! 한글이 한국사람도 별로 귀한줄 모르고 생각하는 사람들 많다... 한국어 자체가 의성어, 의태어가 발달된 언어에다가 표의문자인 한글이 결합됐으니 최적의 한국인이 쓰면 딱! 좋은 글이 된거다.. 세종대왕님의 천재성에 감탄과 감사가 절로 나오네요..!!!

  • @moonbear1172
    @moonbear1172 Месяц назад +1

    난 "사랑"이 말이 제일 예뻐요

  • @TM-li7bl
    @TM-li7bl Год назад +2

    I miss this program A Lot!!!!

  • @jkjk8866
    @jkjk8866 Год назад +3

    와 알베르토 정말
    한국말 너무 잘해

  • @iklim1225
    @iklim1225 2 года назад +63

    우리나라 표현법의 위대함

  • @user-tz6iy3ru9c
    @user-tz6iy3ru9c 2 месяца назад

    한글 너무 이뿌지

  • @smile4evertogether
    @smile4evertogether Год назад +8

    제 이름중에 '윤' 자가 들어가는데 이탈리안 친구가 제이름 한글로 쓴거 보고싶다하더니 '윤'자가 마치 테이블 위에 토마토 올려놓은것 같다고 귀엽다하길래 외국인시선으로는 그럴수 있구나 참신한 발상이네 이러면서 엄청 웃었거든요 과학적이고 아름다운 우리의 한글~ 세종대왕님과 학자님들 감사합니다 !!

    • @user-kn2ly8bs1g
      @user-kn2ly8bs1g Год назад +4

      외국인 눈에 “븁”이 베트맨이 목욕하는 모습처럼 보임다ㅡㄴㄴ 말을 들었던거같아요 ㅋㅋㅎㅎㅋㅋㅋ

  • @user-yj5dk1du5s
    @user-yj5dk1du5s 2 года назад +6

    비담 다시해요 👍👍👍

  • @bridledun5758
    @bridledun5758 2 года назад +7

    세종대왕님 만세~~

  • @189hjlee
    @189hjlee 2 года назад +9

    세종대왕님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

  • @nature9857
    @nature9857 Месяц назад

    정말 한글은 너무나도 다양하고도 다양하다

  • @TWCleverley
    @TWCleverley Год назад +1

    시즌3 빨리 했으면...

  • @ganandahwa6392
    @ganandahwa639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정상회담 막방때 무슨 잠시 쉬고온다더니 언제 다시 합니까 !!!!!

  • @user-404ja
    @user-404ja 2 года назад +2

    대박. 알베르도도 아는친군데…ㅋ 와우

  • @user-hs5ki4ko1h
    @user-hs5ki4ko1h 2 года назад +2

    개인적으로 토마토,망아지 단어.귀여워

  • @serapio7397
    @serapio7397 2 года назад +12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창제할때 이미 눈이 많이 안좋았던때라죠.보고 듣는거에 더욱 민감했을 시기라 더 그런거같네요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2 года назад +1

      사람은 육신의 눈이 어두워지면 마음과 영혼의 심상이 더 밝아지는 존재입니다..

  • @artart7818
    @artart7818 2 года назад +47

    조승연씨였나 여러나라의 언어를 배워서그런지 썰 풀면 되게 재밌네

  • @user-cs2es6zk7g
    @user-cs2es6zk7g 2 года назад +2

    요즘 러시아알파벳을 배우는데, 내 눈에는 흥미롭고 예뻐보여요.

  • @SH-hf8mz
    @SH-hf8mz 2 года назад +1

    나도 한글 좋아 ㅎㅎ

  • @user-bs5kr8xj3f
    @user-bs5kr8xj3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비정상회담 다시 했으면 하는 프로그램 중에 하나네

  • @PHssaem
    @PHssaem Год назад +1

    저는 한글은 어릴때 하루만에 배웠어요
    한국어는 아직도 어려워요 ㅎㅎ

  • @user-yr9kr4wr7q
    @user-yr9kr4wr7q 2 года назад +17

    유튜버들이 세계여러나라 사람들을 모아놓고
    어떤문장을 자기네 글로 티이프를 쳐서 가장빠른시간에 종료하는지 실험하면 한글이 단연 군계일학으로 가장빠르고 정확하게 표현할것으로 확신함 유엔에서 이런 경연을
    주최해서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려야됨
    반기문 전총장이 했었으면 얼마나좋았을까

  • @user-pd6jf7ck3f
    @user-pd6jf7ck3f Год назад

    한국인이 유독 똑똑하고 두뇌회전이 빨라 큰 경제성장을 이룬데에는 한글이 큰 몫을 했다고 봅니다

  • @109prime
    @109prime 2 года назад +6

    스위스사람이 스위스 글짜보면 산 가운데서 창들고 있는 병사같다고ㅋㅋ 리얼 역사랑도 똑같음.

  • @user-cv2de4kc9q
    @user-cv2de4kc9q Месяц назад +2

    외국인들 현장 안전모에 자기이름을 한글로 박아놨는데
    지나치다가 한글이름 불러주면
    되게 신기해함
    글이랑 발음이랑 일치하는 문자란걸 잘모름

  •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Год назад +1

    도련님이래ㅋㅋ 왕심린 너무 웃겨

  • @hyukjang7794
    @hyukjang7794 Месяц назад

    몇년동안 서너번을 봤는데 매번 신기합니다

  • @selene36
    @selene36 2 года назад +15

    스위스 사람들이 한글로 본인의 나라 스위스 글자 되게 좋아한다고 톡파원25시 댓글 중에 있었어요 산과 사람이 창들고(용병) 산사이에(지리적) 둘러 있는 용맹한 그림과 같다고

  • @user-tl3cc5ij5c
    @user-tl3cc5ij5c 2 года назад +3

    Bts 통해 외국인들이 가장 좋아하게 된 한국어 "소복소복"

  • @JinsuLim-qi7vs
    @JinsuLim-qi7vs 2 года назад +34

    Jtbc 재탕 그만하고 다시 비정상 회담 하라고 이것들아

  • @user-wi5xl1xo5i
    @user-wi5xl1xo5i Месяц назад

    듣기 좋은거.. 까자 사 무라..이 말의 강렬함에 용돈 받은 아이들이 감사합니다 그 감사의 인사를 잊고 ..까자? ㅎ😅

  • @nirvana2042
    @nirvana2042 Год назад +1

    오빠 안녕 ㅋㅋㅋ

  • @baekuen
    @baekuen 2 года назад +11

    외국분이 한여름에 뜨거운 국밥같은거 먹고 `어 시원하다` 하다 할 수 있있으면 이미 그분은 한국어 마스터한거임.

  • @user-kf2yr1jk8i
    @user-kf2yr1jk8i 2 года назад +1

    동그라미는 천으로 하늘
    네모는 지로 땅
    세모는 인으로 사람을 뜻이라네요.

  • @spearminthole
    @spearminthole 2 года назад

    난 늘 화나있다 배가 솟아있어 ㅋㅋㅋㅋ

  • @user-td8nr8nw4x
    @user-td8nr8nw4x 2 года назад

    오 딱 시험범윈데 알고리즘이 이런것도 아나요

  • @crestiology
    @crestiology Год назад +3

    벨기에에서 맥주먹다가 친해진 유럽사람이 발목에 나는 강하다라고 타투해놨던데 글자 이쁘다고 좋아했었음ㅋㅋ

  • @user-mh5yw8oh4p
    @user-mh5yw8oh4p 2 года назад +9

    한글이 아니였으면 이렇게 어려운 한국어를 이렇게 완벽히 커버쳤을까...?

  • @s.yjoung5190
    @s.yjoung5190 Год назад

    동글동글한건미얀마글자가최고지!그런대미얀마문자체계가너무우리글과비슷해놀랍다

  • @user-zp1gb6ps9s
    @user-zp1gb6ps9s 2 года назад +1

    대한사람들이여~~~
    정한수 떠 놓고 매일 세종대왕님께 큰절 올립시다~~!!!♡♡♡

  • @user-ou2on9xq8t
    @user-ou2on9xq8t 2 года назад +16

    오징어게임 타이틀을 미리 내다봤던 비정상회담 비정상들ㅋㅋ

  • @user-xx9zr6fp6b
    @user-xx9zr6fp6b Год назад +3

    한글은 컴퓨터나 전자로 표현하는데도 과학적인 편의와 신속한 속도로 세계화가 편리합니다

  • @user-pj2rp8zk1n
    @user-pj2rp8zk1n 2 года назад +61

    난 예전부터 신기한게 왜 다른나라문자에는 가장 기본적인 동그라미.네모.세모,가로(ㅡ),세로(ㅣ)가 없을까였는데... 가장 기본적인 모양 아닌가. 그러고봄 한글 단순하면서도 대단해.

    • @user-cl2rf1lc5b
      @user-cl2rf1lc5b 2 года назад +1

      그러게요ㅋㅋ

    • @user-uh2rt9xd6l
      @user-uh2rt9xd6l 2 года назад +1

      I는 대체 뭐임 그럼

    • @uuuuuu5322
      @uuuuuu5322 2 года назад +2

      다른나라 문자에도 다 있어 한자는 워낙 글자가 많으니 그렇다 쳐도 o,l 은 뭘까

    • @user-uh2rt9xd6l
      @user-uh2rt9xd6l 2 года назад

      @@uuuuuu5322 배운게 없으니 그런가 보죠 뭐

    • @user-xv5gw3yo3p
      @user-xv5gw3yo3p 2 года назад +1

      국뽕도 적당히 좀 하자 모자란 것들아 ㅋㅋㅋ

  • @user-od4dk3ki4b
    @user-od4dk3ki4b 2 года назад +9

    개적으로 중국어 중엔
    이 너무 듣기 좋은 발음같음

    • @user-wb5fc3tl6v
      @user-wb5fc3tl6v 2 года назад

      피아올리앙, 즉 퍄올량 아닌가요?

    • @user-od4dk3ki4b
      @user-od4dk3ki4b 2 года назад

      @@user-wb5fc3tl6v 사랑해~~ 라는 단어

    • @user-rg7dl7yg2j
      @user-rg7dl7yg2j 2 года назад

      피야올량은 예쁘다란 뜻이네요

    • @dericnam
      @dericnam Месяц назад

      정확하게는 piaoliang '퍄오량'이라 들립니다

  • @windlimpid6942
    @windlimpid6942 Год назад

    세종대왕님, 정조대왕님 멋짐

  • @rekid5295
    @rekid5295 Год назад +2

    우리가 당연시하는 언어가 그림이나 기호로 보인다는게 신기할 따름.

  • @user-ig2bm6vx5x
    @user-ig2bm6vx5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외계어를 쓰는 세대들이 한국이 얼마나 귀하고 아름다운건지 깨달기를 바래봅니다..

  • @h9108
    @h9108 Год назад

    죽겠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gw6qm3bf3h
    @user-gw6qm3bf3h 2 года назад +63

    한국어는 어렵지요 의성어,의태어부터 시작해서 그 소리나는 느낌을 한국인의 문화에서 알아야 한다는 것이 굉장히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po105kr
    @po105kr Год назад +1

    오빠 안녕의 마력이란

  • @daug_jang
    @daug_ja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일본인들은 한글을 마루모지(丸文/まるもじ) 라고 부른답니다. 동그라미가 많은 문자라는 거죠. 그렇데 보니 한글이 의외로 멋있는 문자는 맞는 것 같습니다.

  • @hunmin1
    @hunmin1 Год назад

    나도 도련님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