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인켈 인티앰프에 오래된 아남톨보이 물려듣는데 참 좋습니다. 브라운관티비 채널 드르륵 돌리던게, 삐삐쓰던게 엊그제 같은데 세상이 이렇게 빨리 변하고 기술이 이렇게 발전하는데 앰프와 스피커는 글쎄요 변함이 없다고 해야하나 원초적인 것이라 변함이 없는 것인지 참 재밌습니다. 음악와 음향기기 이녀석들 참 고맙네요.
계속 들어와서 보면서 여러가지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스피커는 특히 세세한 부분에 손질을 많이? 해 가면서 소리를 바꿔가며 들었었는데요. 공간에 알맞은 크기가 아닐경우 고역 혹은 저역쪽에 저항기를 달아서 감쇄하는 것도 수십년전부터 저도 했었는데 어떤 기술자 라는 분이 스피커에 저항을 달면 스피커를 죽이는 거다. 차라리 어테뉴에이터를 달아라고 하더라구요. 그게 뭔 차이인지도 모르겠지만 소리 차이도 없어서 그냥 편리하게 시멘트 저항 하나 달아서 알맞은 오옴수를 체크한 뒤에 그 값에 해당하는 고급저항기 구매해서 바꿔주고 그랬거든요. 모니터오디오 스튜디오50이라는 톨보이를 내부 우퍼선에 3옴 저항을 달아서 저역을 줄이니 중고역이 화려하게 살아나고 맛깔 나는 소리로 변해서 대 만족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포컬 스피커인데요. 이건 저역이 양감이 부족하거나 넘치거나 하지 않고 풀어져서 고민인데요. 내부를 뜯어볼 수 없어서 덕트에 스폰지를 이용 해서 살짝 막아보려고 합니다. 밀폐형의 효과를 조금 얻어낼 수 있을까 해서요. 덕트를 막아도 내부 발열이나 기타 문제되지는 않겠지요? 저역의 양감이 다소 줄어도 상관 없으니 풀어지는걸 단단하게 할 수 있을것 같은데 어찌 생각 하시는지요. ^^
@@audiodio 포컬 쓰시는 분들께 괜히 실례를 끼친것 같네요. 며칠동안 저음을 잡아보려 노력한 결과 결국 세팅을 형편 없이 했던것이 원인이었습니다. 뒷벽과의 거리를 충분히 (지금 80센치 이상) 띄우니까 저역이 확실히 명료해지고 힘이 느껴지네요. 파워앰프도 국산 모노블록 300와트급 제품으로 바꿔봤는데 앰프의 가격을 떠나 좋아짐을 느꼈습니다. 음압이 높은편이라 50와트 미만의 저 출력 앰프로도 될 줄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재즈 브라스밴드의 웅장한 사운드를 듣기엔 출력이 넉넉한 앰프로 구동해주니 베를리움 트위터의 상쾌한 소리결이 확실히 살아나고 저역도 깊어졌습니다. 최고의 매칭을 향해 더 노력해 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소리를 떠나서 어릴적 추억때문에 갖고 싶은 스피커내요. 매번 좋은 매물 나오는지 중고장터에서 보고ㅜ있는데 이 영상을보니 이왕 구매한다면 좋더 좋게 들리기 위해 노력을 하는게 좋을 듯합니다. 하지만 오디오는 잘 모르는 사람이라 어쩌지 싶기도 하네여. 어릴적 안방에있던 전축, Sae, ak650, pro165 등이 아직도 기억나네요.
그 당시 국내 소비자 들 의 취향 에 맞추어서 저음 세팅 이 된듯 하군요. 인켈 제품 어릴적 꼭 써보고 싶은 기계들 이었는데 지금 은 미국에 있어서 구하기 어렵겠네요. 튜닝 을 하는 부분이 굉장이 흥미롭네요. 사실 엠프 와의 메칭 도 달리해볼수 있지않을 까 합니다. 힘 없는 저음 의 클라스 디 앰프가 저음 과잉 의 스피커 에선 상상 외로 잘 울려주더군요.(가격대비).지금도 가지고 계시나요?
30평대 아파트 거실인데 이 스피커 사용해보고 싶습니다. 지금 거실에 jbl4425를 마란츠리시버로 듣는데 이 스피커 어떨까요? 물론 순정은 저음때문에 선생님처럼 튜닝을 해서 들어야겠죠? 앰프는 인켈 1311이 있습니다. 위에 튜닝한 소리가 명료하고 공간감도 있고 참 듣기 좋아보이네요.
네 당시 국산과 일본산 스피커들의 대체적인 특징이죠. 반대로 실속없이 내부를 현란하게 꾸미는 업체도 있구요. 비단 오디오만이 아닌 양산 산업 전반의 흐름인데 고급은 필요이상 고급의 대우를 받고 저가는 필요이상 무시되는데 취미나 기호품을 넘어 생각하면 반대가 되는것 같습니다. 안보이는곳 시멘트 비율은 낮춰 다리나 건물이 붕괴되고. 김치에 쓰래기급 양념으로 건강에 위협이 되기도 하고 말이죠...
오리지널 기준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는 그렇기도 합니다만 기본 세팅이 워낙 부한 기종이기에 그렇지 않습니다. 저항값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는 어쩔수 없지만 주파수 커팅 영역에서의 변화는 거의없는 저항팁입니다. 저는 필요에 따라서 코일과 콘덴서까지 취향에 맞춰 바꿔쓰거나 자작도 하고있는데 문제된적 한번도 없습니다. 소리의 변화는 취향이구요.^^;
@@audiodio 있었어요.80년대 후반에요.여기서 이런말하기 그런데 제가 보기엔 손자들이 많이 떨어지더라구요.故조동식 회장이 해태에 돈많이 받고 넘겼죠.아들인 조순구씨가 인터엠하다가 회사 다른분에게 넘겼죠.요즈음 나이가 들어보니 삼성이 3대까지 가는거 보면 대단하단 생각이 들더라구요.
네트워크를 너무 저급한걸 내장한듯 해요 네트워크엔 공심코일을 넣는데 페라이트 코일을 넣었군요 페라이트 코일을 넣으면 코일을 작게 만들거나 작은 권선수로 큰 코일값을 얻을수 있는데 왜율, 고조파 발생등의 이유로 사용이 기피된다고/ 네트워크를 교환해서 사용해보면 좋겠어요 녹색의 큰 부품이 메탈권선저항 같아요
70~80년대 제작된 음반에서 신디/드럼/기타 녹음된 소리 들어보면 소위 싼마이 '뽕삘'이 난다고 하죠. 그 특유의 쌍팔년도 구닥다리 느낌. 시대마다 hi-fi의 기준뿐 아니라 대중 취향까지 변하는데 이 부분엔 일정 부분 비가역적 속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아날로그 감성이 아무리 좋더라도 다시 필카가 대중화될 수 없는 것처럼요. 당시 아날로그 기술의 한계로 저잡음에 다이나믹레인지가 넓으면서 초고해상도 소리를 구현하지 못했던 까닭에 과거 '스탠다드'에 길들여진 분들이 트랜지스터 기반의 디지털 앰프를 차갑다고 폄하하지만 기술적 진보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도 절대적으로도 모던 hi-fi의 기술적 완성도가 더 뛰어나다고 생각해요. 자글자글한 전축 소리 좋아하시는 분들이 있는 반면 트랜지스터 앰프/이어폰에 익숙한 세대는 진공관 특유의 배음 많은 소리+댐핑감+음역대 구분의 구분의 모호함에 답답함을 느껴 싫어하는 편이죠. 70~80년대 당시의 하이엔드 기준/지향점은 지금 기준/지향점과 한참 거리가 멉니다. 저항/캐패시터/자력/코일 종류/코일 감은 수/스피커 재질/스피커 인치수/흡입재 종류와 양/콘 재질 등으로 소리를 결정 지어야 했지만 지금은 사실상 앰프 하나마다 DAC이 적용돼 있어 원소스의 가공/가용 범위도 훨 넓어진 마당에 굳이 과거에 명기에 집착할 필요가 있을까 의문이 들곤 합니다. 옳다 그르다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취향에 맞는다면 천국, 안 맞으면 고역이지요.
말씀하신 의도와 예시 충분히 이해되고 공감합니다.^^ 다만 취향이라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세상만사가 결국 케이스 바이 케이스임은 자명하지만 그것만을 전재로한다면 세상의 모든 이야기는 의미를 잃어버리고 타인을 이해하기 어렵고 자신도 그리되기 십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주된 케이스의 예상이자 경험의 이야기이니까요. 제가 사진밥을 먹는지라 필름이야기 매우공감하는데요. 관뚜껑 닫히고 못박힌지 수십년이 흘렀는데 다시 나와 존재를 여실히 들려주는 LP와 턴테이블도 있어 오디오는 참 재미있다 싶습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저도.오랜세월.현제도이스피커를.사용하고있읍니다.
추억의 오디오지요 아직도 90년 마지막 오디오 사용중요 사우바990b 75인치 스마트QLED 단독주택 시골
오래된 인켈 인티앰프에 오래된 아남톨보이 물려듣는데 참 좋습니다.
브라운관티비 채널 드르륵 돌리던게, 삐삐쓰던게 엊그제 같은데 세상이 이렇게 빨리 변하고 기술이 이렇게 발전하는데
앰프와 스피커는 글쎄요 변함이 없다고 해야하나
원초적인 것이라 변함이 없는 것인지
참 재밌습니다.
음악와 음향기기 이녀석들 참
고맙네요.
스피커와 앰프 기술은 특별히 발전된 것이 없지요. 이미 80년대에 완성이었고 상급과 하이엔드는 역시 다른 부분이 있지만 말이죠.
무튼 언제나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수명까지 길기에 우리세대까지는 계속 함께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저도 고맙다고 느낍니다.^^
지금도 생각나는 게 제처가 인켈대리점에서 사고 350만짜리 덜컥 계약을 하고,사무실로 전화!지금도 잊을 수가 없네요!당시 교사범이 손윗동서!으이그 웬수들~!!!
아! 80년대중반이었나 세운상가 바로옆에있던 인켈대리점에서
들어봤던 처음들어본 165소리는 재평생기억에 감동으로 기억되네요
지금은 그때보다고급시스템으로들어도 그때 그감동이 나질않네요 나이가들어서인가...,
첫 대형기의 인상이 강렬하셨던 것 같습니다.
풍성함을 넘어 투머치한 스피커지만 공간과 취향에 맞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963(?) 앰프와 함께 아버지께 물려받아 제 어린시절을 보내고 제 아이들에게 들려주다 보낸기억이 있는 입문용 스피커네요
3대가 함께한 추억의 스피커이셨군요.
계속 들어와서 보면서 여러가지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스피커는 특히 세세한 부분에 손질을 많이? 해 가면서
소리를 바꿔가며 들었었는데요.
공간에 알맞은 크기가 아닐경우 고역 혹은 저역쪽에 저항기를
달아서 감쇄하는 것도 수십년전부터 저도 했었는데 어떤 기술자
라는 분이 스피커에 저항을 달면 스피커를 죽이는 거다.
차라리 어테뉴에이터를 달아라고 하더라구요.
그게 뭔 차이인지도 모르겠지만 소리 차이도 없어서 그냥 편리하게
시멘트 저항 하나 달아서 알맞은 오옴수를 체크한 뒤에 그 값에 해당하는
고급저항기 구매해서 바꿔주고 그랬거든요.
모니터오디오 스튜디오50이라는 톨보이를 내부 우퍼선에 3옴 저항을
달아서 저역을 줄이니 중고역이 화려하게 살아나고
맛깔 나는 소리로 변해서 대 만족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포컬 스피커인데요.
이건 저역이 양감이 부족하거나 넘치거나 하지 않고
풀어져서 고민인데요.
내부를 뜯어볼 수 없어서 덕트에 스폰지를 이용 해서
살짝 막아보려고 합니다.
밀폐형의 효과를 조금 얻어낼 수 있을까 해서요.
덕트를 막아도 내부 발열이나 기타 문제되지는 않겠지요?
저역의 양감이 다소 줄어도 상관 없으니 풀어지는걸 단단하게 할 수
있을것 같은데 어찌 생각 하시는지요. ^^
@@Kevin-w5i-y7j 기성품 네트워크도 고차는 다 저항이 들어가는데요.
어테뉴에이터도 가변저항인 개념이구요.
뭐 기준이 다들다르시니까요.
포칼의 풀어지는 저음은 포트막는다고 되는게 아니라고 보는쪽이구요.
그외기종도 포트막는다고 밀폐형이 되는게 아니라 손쉬운 하나의 간이 방법정도로 보는게 맞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audiodio 네 그냥 재미삼아 해보고 효과가 혹시라도
좋으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네 좋은 결과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audiodio 포컬 쓰시는 분들께 괜히 실례를 끼친것 같네요.
며칠동안 저음을 잡아보려 노력한 결과 결국 세팅을 형편 없이 했던것이
원인이었습니다. 뒷벽과의 거리를 충분히 (지금 80센치 이상) 띄우니까
저역이 확실히 명료해지고 힘이 느껴지네요. 파워앰프도 국산 모노블록
300와트급 제품으로 바꿔봤는데 앰프의 가격을 떠나 좋아짐을 느꼈습니다.
음압이 높은편이라 50와트 미만의 저 출력 앰프로도 될 줄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재즈 브라스밴드의 웅장한 사운드를 듣기엔 출력이 넉넉한
앰프로 구동해주니 베를리움 트위터의 상쾌한 소리결이 확실히 살아나고
저역도 깊어졌습니다. 최고의 매칭을 향해 더 노력해 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뒷벽과의 거리와 300w 대출력으로 좋은결과를 보셨군요.
축하드리구요. 과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8:15 작업의 경우 '수축 슬리브'를 쓰면 여러 모로 좋습니다.
수축 슬리브를 끼고 수축할 때는 인더스트리얼 용 전기 '드라이어'를 써야 하지만,
수축 슬리브는 불에 타지 않으니 양이 적을 때는 납땜 용 전기 인두를 써도 무방합니다.
수축 튜브와 히팅 건도 가지고 있는데.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고
먼지도 많아서, 히팅건을 쓰기 싫었네요.
고급정보 감사합니다
좋은데요~ 이거 얼마만에 다시 보는 건지... 인텔 모델명은 기억 안나는데 회색 톨보이 모델 스피커도 소리 갠츈 했었는데..
소리를 떠나서 어릴적 추억때문에 갖고 싶은 스피커내요. 매번 좋은 매물 나오는지 중고장터에서 보고ㅜ있는데 이 영상을보니 이왕 구매한다면 좋더 좋게 들리기 위해 노력을 하는게 좋을 듯합니다.
하지만 오디오는 잘 모르는 사람이라 어쩌지 싶기도 하네여.
어릴적 안방에있던 전축,
Sae, ak650, pro165 등이 아직도 기억나네요.
어린시절 부모님께서 여유가 있으셨군요.
Sae와 ak650드 당시 인켈 최상위니 만만치 않았으니까요.
누구든 처음은 잘모르죠. 자연스레 관심을 가지고 바리보고 경험하면 쌓입니다.
흥미롭고 재밌네요 ^^
재미 있으셨다니 기분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힘이 좀 부족한 앰프를 물리면 오히려 저역이 덜 나와서 밸런스 맞겠는데요!
6:38 녹색 원통 모양이 세라믹바에 전선을 감아놓은 와트저항일겁니다.
그 당시 국내 소비자 들 의 취향 에 맞추어서 저음 세팅 이 된듯 하군요. 인켈 제품 어릴적 꼭 써보고 싶은 기계들 이었는데 지금 은 미국에 있어서 구하기 어렵겠네요. 튜닝 을 하는 부분이 굉장이 흥미롭네요. 사실 엠프 와의 메칭 도 달리해볼수 있지않을 까 합니다. 힘 없는 저음 의 클라스 디 앰프가 저음 과잉 의 스피커 에선 상상 외로 잘 울려주더군요.(가격대비).지금도 가지고 계시나요?
네 말씀에 공감합니다. 오디오는 결국 매칭이기도 하지요. 보내고 만든 영상이라 제게 없네요^^
그 스피커 인수 하신분은 무지 운이 좋으신듯, 오리지날 보다더 나은 소리를 들을수 있으니까요.시대 가 변하면서요즘은 펑 퍼짐한 저음보다 탄력있는 빠른 저음 성향 이 대부분 인것 같아요.@@audiodio
pro-10도 소리 좋았는데...12나 그 이상 기종들도 상당히 좋았을 것 같네요...
당시 인켈에 근무했었는데...프로 모델 중 Pro-10이 가장 좋은 소리를 냈었고 인기도 가장 많았었습니다 ㅎ
90년대 초반에 인켈 오디오 구입 했습니다. 지금도 시골집에 있어요.
지금도 중고로 구매 하는 사람들이 있나요?
프로165가 시골집에 있으시다면 상태에따라 나름 괜찮은 가격에 거래되니 시세 검색해보세요.
고급기종이 아니더라도 중급이상은 거래가 됩니다. 모델명으로 중고나라 등에서 검색해보세요.
30평대 아파트 거실인데 이 스피커 사용해보고 싶습니다. 지금 거실에 jbl4425를 마란츠리시버로 듣는데 이 스피커 어떨까요? 물론 순정은 저음때문에 선생님처럼 튜닝을 해서 들어야겠죠? 앰프는 인켈 1311이 있습니다. 위에 튜닝한 소리가 명료하고 공간감도 있고 참 듣기 좋아보이네요.
음. 튜닝을 통해 저음과다나 먹먹함은 줄일수있지만 그래도 큰스피커이고 넓은곳에 어울리는 스타일입니다.
튜닝후 명료함이 크게 상승했고 중음의 두툼함 등이 매력적이긴한데
그렇다고해도 명료하거나 공간감이 있는 스타일은 아니고
두툼하고 풍성한 스타일에 가깝습니다.^^
@@audiodio 네ᆢ그렇군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주인장님이 튜닝한 스피커는 소리가 참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되세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힘이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도👍
postex 슈퍼트위트 부착사용하시면 요즘스피커 보다조아요
저는 저음을 뺐는데 슈퍼트위터를 더하는것도 좋은 방법이겠네요~~~
동양마샬 M165 도 너무 궁금합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M165가끔 보이면 바라보게됩니다.
저도 감사드립니다~^^
Pro-12, Pro-125와 Pro-8의 3종 써 보았는데, 165는 그 크기에 압도되어 결국 포기했지요.
12.125.8써보셨군요. 12와 125도 제법 크죠.^^
요 스피커를 오래전에 해부한 경험이 있습니다.파티클 보드에 엘피엠 비닐류 접착 그리고 내부에 그다지 크지도 않은 크로스오버가 있었는데 이것을 보고 너무나 실망한 기억이...
너무나 상술에 규모만 크게 만들었다는 기분 이었고 소리에는 그다지 매력적 소리는 못느꼈습니다
네 당시 국산과 일본산 스피커들의 대체적인 특징이죠.
반대로 실속없이 내부를 현란하게 꾸미는 업체도 있구요.
비단 오디오만이 아닌 양산 산업 전반의 흐름인데 고급은 필요이상 고급의 대우를 받고 저가는 필요이상 무시되는데
취미나 기호품을 넘어 생각하면 반대가 되는것 같습니다.
안보이는곳 시멘트 비율은 낮춰 다리나 건물이 붕괴되고. 김치에 쓰래기급 양념으로 건강에 위협이 되기도 하고 말이죠...
인터넷 활성화 되기 이전인 80~90년대는 오디오의 전성기!
당시 국내 오디오 업체 BIG4는 인켈, 롯데 파이오니아, 아남 테크닉스, 태광 에로이카.
네 전세계 오디오 시장의 황금기였지요.^^
저는 태광 에로이카 오디오를 아직도 구동하고있어요.
LP 턴테이블 돌려서 들으면 그때 옛 추억으로 돌아가요.
저 스피커 무지 가지고 싶었지만 그 당시 그림의 떡... 다시 보니 반갑습니다.
네 당시 가격이 상당했죠. 세월이 흐르니 이젠 부담이 크진 않네요^^;
소리가 아주 충격적이네요. 맹맹한데요? 녹음이 좀 안좋았던가요?
감사합니다. 이 영상보고 제 인켈ISP-161스피커에 옴마이트 오디오골드 10W 5.6옴을 달았는데요.. 확실히 저음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만 좀더 억제시키려고 10옴을 써 보려 합니다. 혹시 마이너스선에 하나 더 다는건 옳지않는 방법인가요?
네 일단 마이너스에 하나더 다는건 좋지않습니다. 효과가 거의 없거든요.
더 억제하고싶다면 기존 5.6옴 빼고 그자리에 넣어주세요.
복수의 저항은 임피던스 증가를 가져오기에 앰프 부담이 생길수 있습니다. 고성능앰프는 무관하지만요.
감사합니다. 5.6옴빼고 10옴을 달아볼깨요^^
10옴을 연결했더니 원하는 어느정도까지 저음이 억제되었습니다
저음 소리가 좀 더 단단해 졌어요
요긴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원하시는 저음 수준이 되셨다니 축하드립니다~
저역이 줄어드니 고역도 더 살지요?
실행해주셔서 제가 감사하네요^^
네, 저역을 줄이니 고역이 좀 더 잘 들려요
동원전자에서 스피커 유닛까지 모두 생산 했을까요?
Pro시리즈는 ar기술이 들어갔다는데 제가 보기엔 인켈 제작유닛이라고 생각합니다.
부모님 갑자기 편찮게 되어 AK, TK...튜너와 앰프들 그냥 버리고 온 것이 아직도 아까움...^^;;;
혹시
테마앰프 있어요?
설명하기 힘든데ㅎㅎ 옛날에 들었던 그런 추억의 소리가 나네요
네 그시절 그 느낌이죠^^
제 첫오디오 네요이거후에 하베스에쿼드 사용했었읍니다 하베스는마음에 들었는데아들이 태어나면서망같드렸어요
첫오디오가 프로165였다니
여유가 있으셨군요~ 에고.
망가졌군요. 아쉬우셨겠네요.
ㅎㅎ 시루떡 애들은 싫어해도 맛나죠~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우퍼에 저항 연결... 절대 안 됩니다. 댐핑이 엄청 떨어지고 네트워크의 주파수 분할점이 엉뚱한 곳으로 갑니다. 그렇게 해서 소리가 좋게 들렸다면? 그렇게 쓰셔야지요 ㅠㅠ
오리지널 기준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는 그렇기도 합니다만 기본 세팅이 워낙 부한 기종이기에 그렇지 않습니다.
저항값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는 어쩔수 없지만 주파수 커팅 영역에서의 변화는 거의없는 저항팁입니다.
저는 필요에 따라서 코일과 콘덴서까지 취향에 맞춰 바꿔쓰거나 자작도 하고있는데 문제된적 한번도 없습니다.
소리의 변화는 취향이구요.^^;
ㅋㅋㅋ Pro10을 오래 시용했는데 JBL96과 유사해요
Pro8과 12. 165를 써보고 10은 못들어봤는데요. L96과 유사하다니 들어봐야겠습니다. 12는 실망이 컷었네요.^^
300인치급 영화관을 지어서 스피커로 쓰면 좋을것 같은 사이즈네요..
네 사이즈는 큰데 그렇다고 전용룸 30평 이상급을 꽉채우는것은 또 어렵다고 느껴지는 여유롭고 느긋한 스피커라 생각합니다^^
제가 풀쎗트 두개조 보유하고 있습니다
필요한분 전화주세요
지난시절 모두 제가구입하여서 조그만 손보면 좋을겋같아요
녹색 부품 권선 저항 아닌가요?
네 회로도에 저항이 없어서
없는줄 알았는데 녹색이 대용량 권선저항이네요.
pro10 만해도 저역이 방 바닥에 기본 3센티는 깔려 있는것 같은 착시 현상을 경험했습니다. 165 는 덩치만 봐도 숨이... ㅎㅎ
Pro10은 생각보다 저역만 많았던 기억입니다.그래서인지 8이나 10이 인기가 훨씬 많았지요.
165는 훨씬 넓은곳이 어울리긴 합니다.^^
오ᆢ제대로 업글이 됐네요
소리 참 좋습니다.
저도 깨끗한거 구입해서 따라해보고 싶네요.
좋은 영상 감사히 잘 봤습니다.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튜닝 후에는 기대보다 좋았습니다.^^
외관이 아르데코인가요 어디 1930년대 풍이네요
아르데코 레벨은 아닌것 같구요^^
탄노이 유사한 디자인인데 1980년 전후의 대형기들이 중후함이 포인트 같습니다.
@@audiodio 제가 보기에도 탄노이 웨스터민스터 (로얄) 계열로 보이네요.
저음을 줄엿다기 보다는 아예 삭제가 되버리고 고음이 과도한거 아닌가요?
스피커 사이즈가 있어서 배음이 다르긴 다르네요.
저음은 조금더 살리셔야 할득합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녹음은 결국 한계가 있고 가지고 계신 스피커로 들으신 거라서요.^^;;
인클로저가 유닛 크기에 비해 깊이가 너무 작아서 저역이 딱딱하고 답답할거 같네요. 인클로저 내부 미로는 어떻게 구성해놓았나 궁금하네요.
내부에 흡음재를 가득 채우면 좀 전체적인 음향이 나아질 듯 합니다.
인켈이 방산으로 갔었다면 지금까지 살아남았겠죠.
방산으로 갈 기회가 있었나보군요.
동원과 인터엠등으로 구분되고 축소된 듯합니다.
@@audiodio 있었어요.80년대 후반에요.여기서 이런말하기 그런데 제가 보기엔 손자들이 많이 떨어지더라구요.故조동식 회장이 해태에 돈많이 받고 넘겼죠.아들인 조순구씨가 인터엠하다가 회사 다른분에게 넘겼죠.요즈음 나이가 들어보니 삼성이 3대까지 가는거 보면 대단하단 생각이 들더라구요.
2세 3세가 경영을 잘한다는게 참 어려운일 같습니다. 저도 회사하나가 그냥 떨어지면 어떻게 했을지 감이 오지 않네요.
삼성은 대단하지요.
@@audiodio 잘먹고 살면 돼는거죠.굳이 능력이나 되어지면 모를까 잘들 살거에요.
진호야))))))))))))차카게 살아라.ㅋㅋㅋㅋㅋㅋ
당시 인켈(스피커음량중 최고)!왜 해태전자로~~!누가 뭐래도,
어디서 구입해요
오디오장터. 중고나라등 오디오 장터를 보시면 될듯 합니다.
인켈은 명기란놈들 다 사보아도
하나같이 딱 그시절스러운 소리가 나더군요. 롯데,아남 명기라 불리는애들은 그래도 인켈에 비하면 대체적으로 요즘 노래들어도 괜찮던데 인켈은 너무 안맞아서 그뒤로 안삼
네 기본적으로 상당히 부하고 멍청한 소리가 많지요. 당시는 그런 소리가 유행이었으니까요.
저역 레벨만 줄여줘도 괜찮은 정도까지는 들을 수 있습니다.^^
inkel, international korea electric
That's right, it's Korea's leading audio brand, but there are a few other hi-fi-oriented brands as they focus on mass production.
네트워크를 너무 저급한걸 내장한듯 해요
네트워크엔 공심코일을 넣는데
페라이트 코일을 넣었군요
페라이트 코일을 넣으면 코일을 작게 만들거나
작은 권선수로 큰 코일값을 얻을수 있는데
왜율, 고조파 발생등의 이유로 사용이 기피된다고/
네트워크를 교환해서 사용해보면 좋겠어요
녹색의 큰 부품이 메탈권선저항 같아요
국산 양산품의 부품은 저렴한 부품이 많이 사용되죠. 여유되면 해볼만 할것 같네요.
녹색 긴걸 콘덴서로 봤는데 대전력 권선 저항같네요^^;
지금은 솔직히 별루이고 음질도 별로인데 추억에 갖고 싶은거지 성능은 딱 8ㅡ90년대임
동감합니다. 하지만 저역이 정말많고 푸근한 소리를 선호하는 분도 소수지만 계시더라구요. 기본적으로 단독주택 거주해야 맞는 세팅인데 내용처럼 개선할수도 있으니까요.
뽕짝에 맞춘 스피커인듯ᆢ
네 그런면도 있겠네요. 당시는 저음이 많을수록 상급기인 셈도 있었구요.
국내 엔지니어들이 기술적 이해는 높았지만 음악적 이해는 낮기도해 앰프나 소스는 기대 이상으로 좋고 스피커는 아쉬운 모습도 많이 나타난 것 같습니다
빈티지 입문자들은
굳이 빈티지를 사야겟다면 그냥 빈티지 역시도 제이비엘이 제일 무난무난
70~80년대 제작된 음반에서 신디/드럼/기타 녹음된 소리 들어보면 소위 싼마이 '뽕삘'이 난다고 하죠. 그 특유의 쌍팔년도 구닥다리 느낌. 시대마다 hi-fi의 기준뿐 아니라 대중 취향까지 변하는데 이 부분엔 일정 부분 비가역적 속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아날로그 감성이 아무리 좋더라도 다시 필카가 대중화될 수 없는 것처럼요. 당시 아날로그 기술의 한계로 저잡음에 다이나믹레인지가 넓으면서 초고해상도 소리를 구현하지 못했던 까닭에 과거 '스탠다드'에 길들여진 분들이 트랜지스터 기반의 디지털 앰프를 차갑다고 폄하하지만 기술적 진보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도 절대적으로도 모던 hi-fi의 기술적 완성도가 더 뛰어나다고 생각해요. 자글자글한 전축 소리 좋아하시는 분들이 있는 반면 트랜지스터 앰프/이어폰에 익숙한 세대는 진공관 특유의 배음 많은 소리+댐핑감+음역대 구분의 구분의 모호함에 답답함을 느껴 싫어하는 편이죠. 70~80년대 당시의 하이엔드 기준/지향점은 지금 기준/지향점과 한참 거리가 멉니다. 저항/캐패시터/자력/코일 종류/코일 감은 수/스피커 재질/스피커 인치수/흡입재 종류와 양/콘 재질 등으로 소리를 결정 지어야 했지만 지금은 사실상 앰프 하나마다 DAC이 적용돼 있어 원소스의 가공/가용 범위도 훨 넓어진 마당에 굳이 과거에 명기에 집착할 필요가 있을까 의문이 들곤 합니다. 옳다 그르다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취향에 맞는다면 천국, 안 맞으면 고역이지요.
말씀하신 의도와 예시 충분히 이해되고 공감합니다.^^
다만 취향이라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세상만사가 결국 케이스 바이 케이스임은 자명하지만 그것만을 전재로한다면 세상의 모든 이야기는 의미를 잃어버리고 타인을 이해하기 어렵고 자신도 그리되기 십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주된 케이스의 예상이자 경험의 이야기이니까요. 제가 사진밥을 먹는지라 필름이야기 매우공감하는데요.
관뚜껑 닫히고 못박힌지 수십년이 흘렀는데 다시 나와 존재를 여실히 들려주는 LP와 턴테이블도 있어 오디오는 참 재미있다 싶습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