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삼영교통 365번 7092호(용문마을 하차)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슈퍼 마리오 시내버스 탑사 시즌 3(113회)
    (365번의 역사/특징) [촬영 구간 개편 전 노선 번호: 500]
    1983년 삼영교통이 설립될 때 개통한 500번 공항좌석버스 노선이 전신이며. 초창기에는 제주국제공항-관덕정-중앙로-시청-제주대학교 노선으로 운행했다.
    2000년 연동, 노형동이 있는 신제주 일대의 인구 증가로 신제주로터리-제원아파트-한라병원-제주한라대학까지 노선을 연장했다.
    2017년 8월 26일 제주 버스 개편으로 500번 노선이 번호만 365-n번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12월 28일부터 365-1번은 365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2021년 1월 22일에 운행시간표가 일부 변경되었다.
    2023년 6월 28일부로 369번이 무기한 운행 중단으로 인하여 사실상 폐선되었으며, 해당 노선의 데이터만 365번 월평행, 국제대행 노선 데이터 등과 같이 비상용 데이터로서 BIS상에 남아 있게 된다.
    (특징)
    삼영교통의 주력/간판 노선으로, 제주특별자치도 내에서 승객 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다. 제주 시내 간선버스 중 유일하게 1일 이용객이 1만 명 이상이 된다. 그리고 배차 간격도 약 10분에 한 대이다. 간혹 도로 사정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무너지면 365번 바로 뒤에 또 365번 버스가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
    종점인 한라대 방면은 회차 방식이 특이한데 노형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원노형(신제주이마트, 롯데마트) 구간으로 가고, 한라대입구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한라대 정류장에서 노형초등학교를 거쳐 제주대 방면으로 간다. 참고로 365번이 본선이며, 366, 367, 368번은 평일 연북로 등하교용 노선이다. 그러나 202-1번, 202-2번 등과 같은 임시 노선이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혼잡도)
    이 노선은 제주도내 시내버스 중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노선인데, 이미 500번 시절부터 제주 시내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노선이었다.
    이 혼잡도는 360번 노선보다 주요 경유지가 더 많다는 점에 기인한다. 제주의 3대 번화가인 제주시청, 중앙로터리(동문시장), 신제주를 모두 지나며, 거기에 제주의 관문인 제주국제공항을 지나기 때문에 공항에서 구제주나 신제주를 오가는 수요도 많다. 365번 버스는 제주 시내에서 매우 혼잡한 도로를 통과하며(중앙로, 공항로, 신대로, 노연로, 도령로 등) 제주도의 2대 대학교인 제주대학교와 한라대학교를 오간다. 그 사이에 제주에서 아주 큰 병원인 제주대학교병원과 한라병원을 지나고, 제주의 동문시장 및 서문시장을 지나며, 제주시청과 제주도청, 제주지방법원을 오간다. 그리고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제주여자중고등학교,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 남녕고등학교를 지나며 한라대 방면 한정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도 지난다.
    더구나 개편된 이후에도 비슷한 노선이 사라지거나 대폭 변경되면서 이 노선의 수요가 상당히 높다. 버스 개편 이전에는 제주대학교에서 중앙로 사거리로 가기 위해서 10번과 28번, 500번을 타면 되었는데, 개편 이후 10번이 없어지고 다른 노선의 수요가 365번 버스로 몰리면서 혼잡도는 더 높아졌다. 수도권, 동남권의 혼잡한 노선에 비하면 매우 승객이 적은 것이지만, 수도권의 하위권 노선보다는 승객이 많은 편이며, 이 정도면 전국적으로 봐도 승객이 많다.
    365번이 본선이라면 366번, 367번, 368번 노선은 평일 등하교 시의 편리함을 위해 연북로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한라대를 출발해 366번의 경우 제주대학교로, 367번, 368번의 경우에는 월평으로 운행한다. 365번 버스의 경우에는 시내도로의 인구가 많은 곳 위주로 버스가 다니기 때문에 용담동과 중앙로사거리까지 한라대학교에서 제주대학교까지 가려면 1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그런데 366번, 367번, 368번은 연북로를 지나기 때문에 365번 버스보다 훨씬 더 빠르게 통학을 할 수 있다. 367번, 368번은 신성여고와 중앙고의 통학 편리를 위한 노선으로, 월평 종점이다. 하교 시간의 경우에는 367번 버스로 승객이 매우 많이 몰린다. 중앙고와 신성여고 하교시간이 겹치고, 제주중앙고등학교 정류장에서부터 입석 승객이 발생하며, 영평동 정류장에서는 승객이 매우 많이 탑승해 혼잡이 심해진다.
    365번은 옛날 500번 노선과 동일합니다
    촬영일: 2024년 11월 21일
    촬영한 카메라: 아이폰 13 미니

Комментарии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