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 이해가 어려워서 그러는데, 지금 왼쪽에서 fx가 미분가능하다는 것은 gx로 만든 평균변화율의 우극한값(g_R)과 hx로 만든 평균변화율의 좌극한값(h_L)이 동일하다는 것만을 의미하는데, 오른쪽은 h'a와 g'a라는 것이 각각의 함수로 만든 평균변화율의 동일한 좌우극한값(g/h_L)=(g/h_R)을 모두 보장한다는 의미이기에 왼쪽이 오른쪽의 필요조건이라는 건가요? 그럼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와 성립하지 않는 경우는 접하는 그래프랑 꼭짓점끼리만 만나는 그래프 이렇게 외워둬도 괜찮을까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이 참이 아닌 이유는 g와 h가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간단하게 g(x) = |x|, h(x) = -|x| 라고하고 a=0이라하면 f(x)=x가 되니 원점에서 미분가능하지만 g, h는 둘 다 원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죠.
와 내용도 너무좋은데.. 이거 편집 디테일 정말 열정있네요..👍🏻 린정
캬… 감탄하고갑니다
선생님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짱짱
기하 강의영상도 자주 올려주셨으면 좋겠어요!!
하 ..대학생인데 까먹어서 다시공부중인데 너무 유익해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5:50 이해가 어려워서 그러는데, 지금 왼쪽에서 fx가 미분가능하다는 것은 gx로 만든 평균변화율의 우극한값(g_R)과 hx로 만든 평균변화율의 좌극한값(h_L)이 동일하다는 것만을 의미하는데, 오른쪽은 h'a와 g'a라는 것이 각각의 함수로 만든 평균변화율의 동일한 좌우극한값(g/h_L)=(g/h_R)을 모두 보장한다는 의미이기에 왼쪽이 오른쪽의 필요조건이라는 건가요?
그럼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와 성립하지 않는 경우는 접하는 그래프랑 꼭짓점끼리만 만나는 그래프 이렇게 외워둬도 괜찮을까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이 참이 아닌 이유는 g와 h가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간단하게 g(x) = |x|, h(x) = -|x| 라고하고 a=0이라하면 f(x)=x가 되니 원점에서 미분가능하지만 g, h는 둘 다 원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죠.
창무옹 눈물 ㅜㅜ
??? : 대충미분해서 넣으세요
대학생 가르치십니까?
대학교 1학년 1학기 미적분학에서도 최중요한 두 가지 예제네요. 단지 엡실론-델타로 저걸 직접 증명하는 것에서 대학 수학이 출발 된다는..
.............. 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