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군단 ROTC 고민하는 친구들은 무조건 보세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7

  • @wildcard9123
    @wildcard9123 Год назад +8

    □ 장관, 차관 : 37명
    □ 국회의원 : 44명
    □ 대학교 총장 : 62명
    □ 변호사 : 44명
    □ 군인(장군) : 144명(1~34기)
    ○ 대장(🌟🌟🌟🌟장관급) : 8명
    * 합참의장 : 2명, 육군참모총장 : 1명, 지상작전사령관 : 1명, 2작전사령관 : 5명.
    ○ 중장(🌟🌟🌟차관급) : 16명
    * 특전사령관 : 1명, 기무사령관 : 1명, 안보지원사령관 : 2명, 군단장 : 12명.
    ○ 소장(🌟🌟준차관급) : 44명
    * 육군 : 42명, 해군 : 1명, 공군 : 1명.
    ○ 준장(🌟1급) : 74명
    * 육군 : 66명, 해군 : 5명, 공군 : 2명, 해병 : 1명.
    □ 경찰(경무관 이상) : 23명
    ○ 치안총감(경찰청장) : 3명
    ○ 치안정감 : 6명
    ○ 치안감 : 10명
    ○ 경무관 : 4명

  • @cketerja7637
    @cketerja7637 2 года назад +25

    여러분들 인생은 정답이 없습니다 지금 저 알티분께서 한루트가있다는것을 말해주는것뿐이지 인생은 여러 루트가 있다는걸 알아두세요 그저 정답이 있다면 자기가 선택한길에 열심히 하는것외에는 없어요

  • @youngbeompark8760
    @youngbeompark8760 2 года назад +29

    학군단은 병과구분없이 해보는게 나은것 같아요 중,고교때 학군출신 선생님들이 대인관계,업무처리가 다른분들 보다 깔끔하셨고 제자들을 대할때도 정성이 있으셨거든요. 문제일으키는 학생들은 퇴근이후에 가정방문도 하실만큼 능력들이 다방면에서 출중하셨고 제 첫번째 소대장님은 학군41기로 임관하셨고 제가 자대갔을때 전역이 7개월남은 선임소대장이었는데 선임들과 갈등관계가 생기면 면담할때 저의 부족한부분을 말씀해주시면서 이 부분을 개선하면 절대 갈등관계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과 포상휴가 나가는방법등을 일러주신 좋은 경험이 있네요. 저는 대학졸업하고 기숙사관리회사를 갔을때 학군,학사출신 친구들이 부러웠던게 병과가 보병이어도 소대장을 하면서 행정업무를 경험하니까 사회에서도 병장출신들보다 능숙한게 부러웠던 것 같아요.

  • @wildcard9123
    @wildcard9123 Год назад +1

    □ 군인(장군) : 142명(1~34기)
    ○ 대장(🌟🌟🌟🌟장관급) : 8명
    * 합참의장 : 2명
    * 육군참모총장 : 1명
    * 지상작전사령관 : 1명
    * 2작전사령관 : 5명
    ○ 중장(🌟🌟🌟차관급) : 16명
    * 특전사령관 : 1명
    * 기무사령관 : 1명
    * 안보지원사령관 : 2명
    * 군단장 : 12명
    ○ 소장(🌟🌟준차관급) : 44명
    * 육군 : 42명
    * 해군 : 1명
    * 공군 : 1명
    ○ 준장(🌟1급) : 74명
    * 육군 : 66명
    * 해군 : 5명
    * 공군 : 2명
    * 해병 : 1명

  • @오늘만사는놈-b6i
    @오늘만사는놈-b6i 2 года назад +111

    공대는 기사따고 인턴하나 더 하는게 백 배는 더 좋음

    • @hcj1113
      @hcj1113 2 года назад +3

      기사 복무 중간에 따도 충분함.
      인턴? 웬만한 공기업 인턴아니면 장교생활이 자소서에 더 적을거 많음

    • @오늘만사는놈-b6i
      @오늘만사는놈-b6i 2 года назад +23

      @@hcj1113 본인이 잘나서 그렇게 했으면 상관없는데 웬만해서는 군생활하면서 공부못함 그리고 굳이 쉬운길 놔두고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음
      임원면접에서는 좀 어필이 될지 몰라도 실무자면접에서는 실무능력이 더 중요함
      그리고 컴활자격증 같은건 안챙길거임?

    • @에스토니아-n4b
      @에스토니아-n4b 2 года назад +6

      쌉 ㅇㅈ ㅋㅋㅋㅋㅋ

    • @hcj1113
      @hcj1113 2 года назад +6

      @@오늘만사는놈-b6i 컴활1급을 재학중에 못딴다? 걍 기사 1년준비해도 못딸 지능임

    • @오늘만사는놈-b6i
      @오늘만사는놈-b6i 2 года назад +12

      @@hcj1113 본인 잘난건 알겠는데 잘났으면 내 요지가 컴활자격증이 아닌건 알텐데요..
      Rotc하면서 다른거 다하면 그만큼 뛰어난 인재인건 ㅇㅈ하는데 가성비가 개씹구리다구요
      이걸 다시 설명해야되는지..
      님 말대로 rotc가 더 좋은데 왜 지원율이 미달일까요ㅋ

  • @kkim5209
    @kkim5209 Год назад +7

    학군장교의 장점은 각각 전공이 다양하는 것이죠.
    총만 잘쏘고 포만 잘 쏜다고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은 아닙니다.
    토목을 전공한 엔지니어. 심리학을 전공한 엔지니어. 컴퓨터를 전공한 엔지니어 . 기계를 전공한 엔지니어.
    항공정비를 전공한 엔지니어 , 영문학을 전공한 장교 등 다양성에서 나오는 지식의 집합체 이 또한 무시 못하는 전투의 요소입니다.
    즉 다리를 전차가 지나갈 수 있는지 하중을 계산하고 이런 것은 토목을 전공한 엔지니어 출신 장교가 있어야
    합니다.
    이런 다양성이 학군장교의 장점아닐까요?

  • @hkhkhk12
    @hkhkhk12 2 года назад +10

    저는 대학교에 어학연수나 해외봉사를 2번씩만 갈수 있는 제한 횟수가 있어서 1,2학년때 어학연수 2번, 해외봉사 2번, 공모전 및 다양한 대외활동을 하고 3,4학년땐 과 학생회 및 회장, 동아리 활동과 학군단생활했었어요~ 인턴은 못해도 다른 대학생활에서 누릴수 있는건 누릴수 있어요

  • @muna8298
    @muna8298 2 года назад +16

    말씀하시는 거 보면 군생활 잘 하셨을 듯 ㅎㅎㅎ

  • @지랄도장
    @지랄도장 2 года назад +19

    이 영상에 핵심이 '경험'인데 과연 군에서의 경험을 더 중요시할까 그냥 병으로 빨리 다녀오고 인턴이나 이러한 경험들을 비교했을 때 후자를 더 많이 선택하지 않을까요

    • @대충살자-l6g
      @대충살자-l6g 2 года назад +6

      옛날엔 rotc만 가도 스펙이 되어 취업이 가능했는데 이젠 인턴, 어학연수같은게 당연시되고 그럼에도 취업이 어려울 정도로 상향평준화되어서 rotc의 경험보단 그 시간에 취업준비를 하는게 선호되겠군요

    • @노스트레스-f9j
      @노스트레스-f9j 2 года назад +1

      차라리 가고싶은분야 알바로 최저시급만 받고 저정도 열심히 일해도 사회경험쌓고 돈도 비슷하게 벌수있지 않나요?

    • @user-ag7iw7bs7k
      @user-ag7iw7bs7k 2 года назад +4

      제 친구가 알티 61기인데 처음에 육사가려다가 육사도 안되고 군사학과 가려다가 군사학과도 안되고 그러니까 그냥 지방대 가서 알티함 ㅋㅋㅋ 학창시절때는 군인이 꿈이었던 애인데 친구들은 다 지금 예비역이고 2년 4개월 하고 그냥 나올판임 ㅋㅋ 진짜 비추임 이제는 ㅋㅋ

    • @아크루루크루
      @아크루루크루 2 года назад +4

      인생에 있어선 장교경험 의미있다 봅니다. 하지만 취업으로 한정하면 요즘엔 아쉽긴 하죠 ㅠ

  • @user-zr1ym2yq8n
    @user-zr1ym2yq8n 2 года назад +9

    차라리 3학년 여름방학 때 3개월 4학년 겨울방학 때 3개월 훈련을 몰아서 하고 3학년 겨울방학 4학년 여름방학 때는 인턴 해외연수 자격증 취득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해주면 훨씬 좋을듯

  • @빙고-z9i
    @빙고-z9i Год назад +3

    74년도 전방부대에 배치받고 온 우리 초급소대장님은 3사출신보다 젊잖고 판단력과 전우들의 심리파악까지 잘파악해서 부모처럼 아껴준 소대장의 ROTC
    장교가 보러웠고 존경스러웠던 군병사 시절
    로 만기제대 하였답니다
    이 생각납니다

  • @lllillililililillli
    @lllillililililillli 2 года назад +59

    수년전 단기복무 마치고 전역했습니다.
    제가 학군단 선택한 이유는
    병vs장교로만 봤을땐 메리트가 컸고
    20대초반에 “내가 이것도 못하면 앞으로 뭘 하겠나” 싶은 생각에 지원하게 됐습니다.
    덕분에 많은걸 배웠고 결혼도 해서
    남들보다 조금 더 빠른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후배님도 승승장구 하시길 바랍니다!

    • @와하하-l8u
      @와하하-l8u 2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이번에 63기 합격한 후보생인데 질문 있습니다!
      병과 선택시 전공학과>자격증>성적 순으로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아무리 성적이 좋고 자격증이 많아도 전공학과가 아니면 아예 가망이 없나요???

    • @lllillililililillli
      @lllillililililillli 2 года назад

      @@와하하-l8u 네 예를들어서 상경계열에서 재정이나 의정 같은 비전투병과를 갈수도 없고 헌병같은 특수한 병과도 갈수 없습니다.
      지금 전공이 뭐고 원하는 병과가 어떻게 되나요?

    • @와하하-l8u
      @와하하-l8u 2 года назад

      @@lllillililililillli 저는 영어영문 정치외교 이중 전공자이고 정훈이나 정보병과를 생각중입니다.

    • @송재윤-t4o
      @송재윤-t4o 2 года назад

      성적이 월등히 뛰어난게 아니면 보통 보병 포병 빠집니다 1지망 2지망 의미 없어요

    • @lllillililililillli
      @lllillililililillli 2 года назад

      @@와하하-l8u 정훈은 충분히 가능성 있을거 같은데
      정보는... 제 동기들 60여명 중에 정보는 1명이었어요
      보병갔다가 정보 전과하는 친구들은 있어요
      정보는 소위때 보병교육 받다가 중위달고 정보학교 가서 교육받는거 같던데요

  • @도하나-h3p
    @도하나-h3p 2 года назад +7

    어느 집단이든 어느 정책이든 장점이 있고 단점이 있음.
    자기가 단점을 많이보느냐 장점을 많이 보느냐에 따라 틀리다고 생각함.
    학사든 학군단이든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함니다.
    군대에서도 분명 배울점이 있음/
    병사든 장교든 부사관이든 장점을 키워서 오냐 단점만 키워서 오냐의 차이도 잇을수 있다고 생각함.

  • @sirgjl
    @sirgjl 2 года назад +11

    학군단으로써 장점도 크군요 확실히 학군 출신 중에서 짱짱하신 분들 많은 듯 하네요

  • @user-tx4mt4sd4z
    @user-tx4mt4sd4z 2 года назад +27

    군대에서 배운 능력도 일단 서류 통과 면접 통과 후 입사를 해야 발휘할수 있는것들...
    인턴 어학 등등을 빵빵하게 채운 병 출신과는 일단 서류에서 부터 경쟁이 어렵습니다. 그러면 후보생 때 그 스펙을 채워야 하는데 인턴은 어림도 없고 방학때
    계속 불러재끼고 자격증은...? 언제...
    전 이런 생각입니다😢

    • @cketerja7637
      @cketerja7637 2 года назад

      인생은 정답이 없어요 그저 자기가 생각한바를 열심히 죽어라 하는것뿐이지

    • @sshs9044
      @sshs9044 2 года назад +3

      영상에서도 그렇게 대학 다니면서 계획대로 인턴, 어학 등등 스펙을 다 쌓을수있을정도 능력이면 굳이 학군단 안해도 된다 하잖음

    • @포도당-t3u
      @포도당-t3u 2 года назад +2

      영상에서 말하는것처럼 인턴이나 어학 같은 그런걸 안하고 어영부영 대학생활을 하는 사람이 하면 좋다고 하잖아 그런 계획을 하고 스팩 빵빵하게 채울수있으면 학군 안해도 상관없다하잔음

  • @taehyungroo7382
    @taehyungroo7382 2 года назад +5

    안녕하세요
    지잡쓰래기대학 학점 2.4출신 대기업 협력사 소속으로 대기업에서 IT 프로젝트 코디네이터로 일하고있는 학군사관출신자 입니다

  • @kwm7163
    @kwm7163 2 года назад +5

    학군,학사는 그에 속한다는 자체로도 메리트가 있다. 자발적인 지원으로 장교가 되고..군복무시에도 남다른 고생을 하고 사회에 나오니..학연 지연외에 "군연"아닐까?

  • @한도경-n2i
    @한도경-n2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ROTC제도를 만든거 자체가 잘못되었음. 군인은 직업이지. 취업수단은 아님. ROTC가 취업가산점으로 변질되었음.

  • @봄나물-t6n
    @봄나물-t6n 2 года назад +2

    복무기간 고생하셨어요.

  • @박하용-u1e
    @박하용-u1e 2 года назад +2

    상호형 힘내요

  • @유동근-g7y
    @유동근-g7y 2 года назад +7

    제가 대학생 이였을 때 생각했던 부분들이 나왔고 공감 가는 영상 이여서 적어봅니다.
    제가 학군단 안했던 이유가 앞서 언급하신 내용 그대로 입니다.
    그리고 맞아요.
    시간은 흐르고 학군단 지원을 안 한 결과, 저도 막상 해 놓은 게 없었어요.
    TMI)
    또한, 저는 해군이나 공군 학군단 아니면 안가겠다는 마인드도 있었지만요.
    비록, 저는 학사장교로 갔지만 학군단 안한 것이 오히려 제 인생에서
    가장 큰 아쉬움과 미련, 그리고 후회만 남았습니다.
    심지어 일이 잘 안풀리거나 힘들면 가끔가다
    '학군단 누가 하라고 권유한다면 바로 망설임 없이 지원했을 텐데...'
    라고 스스로 생각할 때 가 많았습니다.
    ** 제가 대학생으로 돌아가거나 두 번 다시 기회가 온다면
    학군단 지원할 겁니다. **

  • @lookoutpoint2953
    @lookoutpoint2953 2 года назад +7

    문과면 뭐 가서 열심히 해서 장기 함 도전해보던가(워낙 취업이 헬이니), 이과는 내가 학군단 안 한 친구들만큼 스펙을 쌓을 수 있다 그럼 ㄱ(다른조건이 같고 학군단이 +@가 될 수 있다면)

    • @winter1teamsnusrdigital806
      @winter1teamsnusrdigital806 2 года назад +2

      인서울이면 문과여도 장기하는 것 보다 취업하는게 훨낫죠. 인서울이면 이과면 대학원 가서 석박하고 연 8천 이상 받겠죠

  • @MrBrianJung
    @MrBrianJung 2 года назад +3

    영업이나 생산관리에서는 군에서 배운 행정능력이나 인력관리가 나름 유용합니다만,
    그 부분을 제외하고 사업개발, 마케팅, HR, 엔지니어링등 나머지 분야에서 학군단 장교의 경험이 인정해드릴 부분이 많지 않습니다.
    90년대 이전에는 군의 행정수준이 미군의 영향을 받아 매우 뛰어났고,
    패스트팔로워 산업구조에서 다수의 미숙련인력을 조직관리하는게 매우 요구되는 기술이었지만,
    지금 군은 한국전체에서 가장 낙후된 조직이고, 한국은 더 이상 패스트팔로워가 아닌 선두에서 새로운것을 창조해야 하는 입장입니다.
    그래서 군경험이 이전처럼 대우받지 않는겁니다.
    이스라엘은 징집제인데도 불구하고 기술군체계라서 군출신들이 전역후 기술스타트업 차려서 세계적인 명성을 날립니다.
    인텔이나 AMD같은 탑티어 반도체기업 연구소들이 이스라엘에 있고, 단순유지보수가 아니라 핵심제품설계 기능을 담당하고 있을 정도에요.
    한국군보다 훨씬 더 실전적인데도 불구하고 전역후에도 탁월한 실적을 내는 기술인력을 배출하는 군대라는 거죠.
    한국군도 이런 사례 배워서 혁신적으로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ROTC장교들도 혁신적인 군에서 배운 기술을 보유한 우수인재가 되고,
    경쟁률도 치솟아 오를겁니다.

  • @현민옥-w5i
    @현민옥-w5i 2 года назад +22

    결론 : 4년제 대학 다니면서 인생에 계획 없으면 그냥 학군단 한다.

  • @646-p8l
    @646-p8l 2 года назад +1

    지원은 하고픈뎅 제가 공부를 너무 못해요 :( 운동은 자주 하는데.. 공부는 진짜 못하겠어요

  • @beautifulgyu2426
    @beautifulgyu2426 2 года назад +2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항상 좋은 주제로 재미있는 영상 만드시느라 고생많으십니다.
    영상 관련해서 한 가지 말씀드리고 싶은게 있는데 모자이크를 좀 작게 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의자 지원해주는 영상과 이 편에서 모자이크가 크거나 이질감이 있어서 영상 자체에 집중이 잘 안되더라구요. 편집이 힘들지만 다른 유투브 모자이크 참고하셔서 디테일 조금만 더 신경써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35894
    @user35894 2 года назад +1

    전역3일전 영찰 썰에서 궁금한게 있는데 전역하기 3일전에 생긴일이면 징계줄때 3일의 보호기간이 있는데 그럼 징계주기 전에 전역하는거 아닌가요?

  • @데날리
    @데날리 2 года назад +1

    그렇죠
    장교는 직원으로 군대에 입대
    병은 일꾼으로 입대

  • @user-tp2sx5it3i
    @user-tp2sx5it3i 2 года назад +7

    학군단 최대의 단점은 단연 영외훈련과정입니다. 통제가 없기 때문에 구타 가혹행위에 너무 취약합니다. 그리고 이 사유 하나만으로도 학군단을 폐지해야 하는 사유는 충분합니다.
    대학생이라서 지성인이니까 믿고 맡긴다? 웃기는 소리죠. 학기중에는 군사학 수업 일주일에 7시간 정도가 전부이지만 4학년이 3학년 집합 걸고 그 집합에서 뭐 하는지는 며느리도 모릅니다.
    그 '집합' 이게 바로 학군단 제도를 철폐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명령은 교관이나 훈육관에게서 나와야 하며 선배가 후배를 통제하는 것도 육사의 기파생도처럼 그걸 통제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 거지 아무도 없는 곳에서 교육생들끼리 통제라... 이등병이 이등병에게 1개월 일찍 입대한 걸 벼슬 삼아 얼차려를 주는 것만큼 웃기는군요.

    • @민-i7z1d
      @민-i7z1d 2 года назад +1

      요새 누가 패노 빙시야ㅋㅋㅋ

    • @blue24868
      @blue24868 Год назад +4

      요즘 학군단은 그런거 없음 ㅋㅋㅋㅋ
      선배 입장에선 굳이 애들 건들어서 피곤한 일 만들지 않으려고 하고 그나마 좋은 선배는 충고나 모르는걸 알려주는 정도로 끝내지

    • @user-tp2sx5it3i
      @user-tp2sx5it3i Год назад +1

      @@blue24868 그 "맛"을 보면 얘기가 달라짐. ㅋㅋㅋㅋㅋㅋㅋㅋ

    • @신구초딩
      @신구초딩 Год назад +2

      현 서울 북부 학군63기 입니다만 제 주변에는 선후배관 터치 일도 없고 오히려 선배랑 친해서 선배들이랑 술도 같이 마시고 놉니다 지방대 학군단은 다를수도 ㅋ

    • @Harry_paullak
      @Harry_paullak Год назад

      븅신학교들이나 그러겠지 ㅋㅋ

  • @마초필
    @마초필 Год назад +2

    경찰행정학과 갈 사람인데 rotc 추천하시나요? (경찰이되는것이 꿈)

  • @winter1teamsnusrdigital806
    @winter1teamsnusrdigital806 2 года назад +16

    1학년 때 부터 계획이 있으면 지방대를 안 가고 지방대에서 ROTC를 하지 않겠죠

  • @남자탁용삼
    @남자탁용삼 2 года назад +2

    학군단 학사장교 4성장군이 될 확률은 🤔?!

  • @곽두팔-f2d
    @곽두팔-f2d 2 года назад

    근데 학군 간 친구 중에 후회하는 애들 많긴 해

  • @김-p5x6k
    @김-p5x6k 2 года назад +3

    병도 어차피 똑같이 버텨야함...

  • @빙고-z9i
    @빙고-z9i Год назад

    굿 굿 굿

  • @스맘모-d7l
    @스맘모-d7l 2 года назад +4

    학군단 의외로 메리트 큽니다 지원하세요

  • @elisakim818
    @elisakim818 Год назад

    방학때 훈련받고~~
    남은시간에 해외에 나갈수는 있나요?
    가족이 해외에 있는데요.ㅠ

  • @dhgdd3169
    @dhgdd3169 2 года назад +1

    말 잘하시네요 톤만 교정 받으시면 아나운서 하셔도될듯

  • @김영원-x2q
    @김영원-x2q 2 года назад +3

    그래도 RoTC는 인가요 ㅋㅋㅋ

  • @cptham15
    @cptham15 2 года назад +1

    나도 상근아니었음 학군단했을수도

  • @user-ag7iw7bs7k
    @user-ag7iw7bs7k 2 года назад +7

    알티부심이 있는 충청도쪽 지방대 알티 친구 있는데ㅋㅋㅋ 원래 군인이 평생 꿈이었던 애가 뭐 애초에 사관학교 갈 실력은 안되고 군사학과도 안되니 그냥 알티 가던데 난 도대체 뭔 메리트가 있는지 잘 모르겠음 ㅋㅋㅋ 하계훈련 한두달 간걸로 예비역 친구들 앞에서 뭐 훈련이 어쩌고 저쩌고 해서 엄청 웃겼는데 ㅋㅋㅋㅋ 군인 하려했던 애인데 학군단 훈련 받으면서 군대의 그 폐쇄된 맛을 한번 보더니 평생직업 할 생각은 접은 것 같음

    • @Dlatbdu2
      @Dlatbdu2 Месяц назад

      학군단 출신입니다
      제 주위도 평생 군인을 목표로 학군단 들어왔다가 나간 친구들도 있고 아직 계속 하는 친구들도 있고 다양합니다
      학군단이 전부라고 할 순 없지만 대기업 최종면접에서 보니 조금 느끼겠더라고요 다대다 면접인데 다들 인턴이나 직장생활을 해봤더라고요 저는 당연히 그런게 없어서 장교 생활로 밀고 들어가서 최종합격을 했습니다.
      앞서 말했다듯이 학군단이 전부는 아니지만 꿈이나 뜻이있는 학생들한테는 최고의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 @커여운댕댕이-c5x
    @커여운댕댕이-c5x 2 года назад +5

    학군단 알오티씨 열악한 환경에서 고생하는거 잘알겠는데 제일 먼저 살려야하는건 육군사관학교다 대한민국 육군 장교 엘리트 집단부터 살려야지 핫바리들 먼저 살려달라는건 어불성설이지

    • @민-i7z1d
      @민-i7z1d 2 года назад

      ㅈㄴ 멍청하노ㅋ

  • @손영태-i1t
    @손영태-i1t 2 года назад +6

    안가 학군단. 미처지. 탈퇴해요. 나는 생각. 미달되는 인간만. 가는. 인간

    • @chimmydono1176
      @chimmydono1176 2 года назад +18

      님은 언어능력 미달이신듯 ㅋㅋㅋㅋㅋㅋㅋ

    • @anh8067
      @anh8067 2 года назад +11

      @@chimmydono1176 ㅋㅋㅋㅋㅋㅋ아마 조선족인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구글번역기 돌린듯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