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PO 2차전 하이라이트(LG 트윈스 vs KIA 타이거즈)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준플옵 2연승과 플옵 1차전까지
포스트시즌 3연승으로
적수가 없어 보이던 기세 좋던 LG의 연승 행진에 제동이 걸린 경기.
당시 KIA 정규리그 마무리가 누구였는지 나도 가물가물하긴 한데
아무튼 멀쩡하게 선발이던 김진우를 갑자기 마무리로 돌리겠다고 할 때부터 뒷문이 약점이 될 가능성은 높았다.
2000시즌 LG 장문석... 선발에서 잘 하다 마무리에서 플레이오프 전설의 불쇼를 선보였고
2001시즌 삼성 김진웅.... 이 역시 선발에선 준수했는데 괜히 KS에서 마무리로 갔다가 두산에게 영혼까지 털려버렸는데
2002시즌 김진우가 딱 삼성 김진웅을 떠올리게 만드는 이미지였고................. 실제로 1차전에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최동수에게 연장 결승 3점홈런을 헌납하면서 멘탈이 나갔다.
그리고 그건 2차전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물론 그에 앞서 김진우보다 먼저 불쇼 마무리 전력을 갖고 계신 장문석님께서 그래도 02시즌엔 나름 중간계투로는 잘 해 주셨는데 중요한 순간 8회말 백투백 홈런으로 김진우 앞에서 몸소 시범을 보여 주시자
9회초 김진우가 청출어람 정신으로 더한 불쇼를 시전한다. 결국 9회 1,2루 주자 쌓고 아니다 싶자 KIA 김성한 감독도 일찌감치 김진우를 내렸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미쳐 있는 최동수가 다시 한 번 2루타로 2-4를 만들면서 1사 2,3루까지 동점 주자를 득점권으로 보냈고 기어이 4-4 동점 드라마가 펼쳐졌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9회초 동점 드라마가 아름다운 패배, 아쉬운 패배, 끈질긴 집념 정도로 포장은 됐지만
연장전 허무하게 텍사스 안타로 끝내기를 맞는 바람에 도리에 팀내 엄청난 허탈감으로 돌아왔다. (더군다나 무사 만루에서 삼진과 내야 땅볼-홈 포스 아웃으로 2사 만루까지 잘 끌고 오고, 마지막 김종국도 플라이로 유도했다고 생각했는데 허무하게 끝내기 텍사스 안타.....{)
이 9회초 동점 드라마가 의미가 있으려면
2차전까지 이겨 버리면서 아예 KIA를 기 팍팍 죽이고 3연승으로 플레이오프도 쓸어버리고 3일이라도 휴식기를 갖고 한국시리즈를 갔거나
혹은 2차전을 지더라도 김진우가 더이상 나오지 못하는 3차전을 이기면서 2승 1패로 우위를 점유, 4차전에서 3승 1패로 끝냈어야
1, 2차전까지 이틀 연속으로 김진우를 털어버린 효과를 영위할 수 있었던 건데
결과적으로 2차전에서 허탈하게 패배하는 바람에
아무리 준플레이오프부터 기세는 좋았고
1차전 김진우 상대로 연장전 3점포 승리가 1승 이상의 분위기를 만들었지만
막상 2차전을 지고 나니 현실은 그냥 똑같이 1승 1패였고
한끝차이 승부에서 3차전에 되레 케펜이 볼쇼 불쇼를 남발하고
타선은 최상덕에게 2안타 무득점 완봉패로 쳐발리는 바람에
김진우도 하루 휴식하는 효과,
그리고 점수차도 0대5인 바람에 김진우가 또 나와서 또 얻어터지는 상황도 없었고,
되레 1승 2패로 벼랑에 몰리게 된 것.
결과적으로 3승 2패로 뒤집기는 했지만
그건 오로지 4차전에서부터의 투혼과 벌떼 마운드의 효과였을 뿐
2차전에서의 9회초 동점 드라마의 효과는
이미 3차전에서의 완패로 상쇄되어 버렸다는 점.
그래서 더욱 아쉽고 아깝다. 2차전의 9회 드라마가 어떤 식으로든 시너지를 만들게 했어야 했는데, 그냥 하루 멋진 끈기 보여준 정도로만 끝나고 아무 의미 없이 허공으로 사라져 버렸다.
유지현의 동점 스퀴즈. 원체 병살도 잘 안 치고 영리한 선수에 팀배팅도 잘 하는 선수인데, 강공이었어도 동점은 만들어 주지 않았을까.
역전이 아니라 동점을 노리는 거였다면, 굳이 스퀴즈가 아니었어도 유지현에게 믿고 맡겨도 되지 않았을까. 오히려 그런 상황에서 역전타가 나왔든.... 혹은 연속 사사구에 심지어 직전 권용관은 밀어내기 사구로 상대 투수가 제구가 흔들리는데 2연속 밀어내기였다면 아웃카운트 손해 안 보고 2사 2,3루가 아닌 1사 만루에서 동점에 계속해서 2,3번타순이었을 텐데.
오히려 스퀴즈라면 동점 1사 만루에서 이종열이 더 낫지 않았을까.
결과론이지만, 9회초 유지현 스퀴즈도 참 아쉬운 상황이었다.
저 때 시리즈 정말 재미있었는데.
5차전까지 갔었지
캐스터 표영준 해설 하일성
이거 언젠가요 구한말때 인가요?
엘지 마지막으로 한국시리즈 간 해 입니다 ㅋ
190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