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딘가 다른 곳에 전위에 대한 기준점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 곳에 대한 '+'단자의 전위를 V+, '-'단자의 전위를 V- 라고 하겠습니다. 이 때, 예를들어, 주어진 부호에서 Vi=+1V라면, V-보다 V+가 +1V 높은 것을 의미하므로, V+ = V- + (+1V)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만일 Vi= -1V라면 V+ = V- + (-1V)가 됩니다. 즉, V- = V+ - (-1V) = V+ + 1V = V+ + (+1V)가 됩니다. 따라서, Vi= -1V인 경우는, V+에 비해서 V-가 +1V 높은 것과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표현력이 부족하여 글로만 설명하려니 어렵네요. ㅠㅠ
@@nameno6452 표현력이 부족하여 미안합니다. 부연설명 해보자면, node a의 전압을 Va, node b의 전압을 Vb라고 합시다. 이 때, 예를들어 Va가 Vb보다 1V 높다면 Va=Vb+1이 됩니다. Va=Vb (+:높다) (1V만큼) 입니다. 이 수식은 Va=Vb-(-1)과도 같으므로 Va는 Vb보다 (-1V) "낮다"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Vb=Va-1=Va-(+1) 로 쓸 수도 있으므로 Vb는 Va보다 (+1V) "낮다"고 표현할 수도 있으며, Vb=Va+(-1)로도 쓸 수 있으므로 Vb는 Va보다 (-1V) "높다"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모두 같은 의미가 됩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전파 정류회로 유튜브는 대부분 브릿지회로만 다루던데 드디어 찾았네요 바로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저에게도 감사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공부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4:25에서 왜 Vi가 0보다 작아지면 아래쪽(-)이 위쪽(+)보다 높아지는 건가요?
어딘가 다른 곳에 전위에 대한 기준점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 곳에 대한 '+'단자의 전위를 V+, '-'단자의 전위를 V- 라고 하겠습니다. 이 때, 예를들어, 주어진 부호에서 Vi=+1V라면, V-보다 V+가 +1V 높은 것을 의미하므로, V+ = V- + (+1V)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만일 Vi= -1V라면 V+ = V- + (-1V)가 됩니다. 즉, V- = V+ - (-1V) = V+ + 1V = V+ + (+1V)가 됩니다. 따라서, Vi= -1V인 경우는, V+에 비해서 V-가 +1V 높은 것과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표현력이 부족하여 글로만 설명하려니 어렵네요. ㅠㅠ
@@kang-bakpark6076 감사합니다! 설명은 이해됐지만 아직까지 엄청 와닿지는 않네요 ㅎㅎ;
@@nameno6452 표현력이 부족하여 미안합니다. 부연설명 해보자면, node a의 전압을 Va, node b의 전압을 Vb라고 합시다. 이 때, 예를들어 Va가 Vb보다 1V 높다면 Va=Vb+1이 됩니다. Va=Vb (+:높다) (1V만큼) 입니다. 이 수식은 Va=Vb-(-1)과도 같으므로 Va는 Vb보다 (-1V) "낮다"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Vb=Va-1=Va-(+1) 로 쓸 수도 있으므로 Vb는 Va보다 (+1V) "낮다"고 표현할 수도 있으며, Vb=Va+(-1)로도 쓸 수 있으므로 Vb는 Va보다 (-1V) "높다"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모두 같은 의미가 됩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kang-bakpark6076 감사합니다 덕분에 좀 더 이해가 잘 되는 것 같습니다!
Center - Tapped Transformer에서 Vi가 교류전압이잖아요 만약 Vi < 0인 상황에선 Vi의 +,-방향이 아래쪽이 +이고 위쪽이 -가 되어서 Vo=+Vi가 되는거 아닌가요? 교류전원의 +,-방향이 햇갈려요
변수는 한 번 정하면 끝까지 계속 유지하면 됩니다. 질문하신 내용을 제가 정확히 이해했는지 모르겠으나, Vi
저항의 +,-는 어떻게 정해지는건가요?
Diode가 ON되는(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해서, 그 때 전류가 흐르는 방향대로 저항의 +/- 부호를 정하면 됩니다. 쉽게 말해서 diode의 막대기에 가까운 쪽을 +로 하면 됩니다.